KR102364173B1 -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173B1
KR102364173B1 KR1020200039462A KR20200039462A KR102364173B1 KR 102364173 B1 KR102364173 B1 KR 102364173B1 KR 1020200039462 A KR1020200039462 A KR 1020200039462A KR 20200039462 A KR20200039462 A KR 20200039462A KR 102364173 B1 KR102364173 B1 KR 10236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hamber
sterilization
generating uni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956A (ko
Inventor
이주영
양중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39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1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4Lamp cleaning installations, e.g. 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4Turbul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대상 유체의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발생부의 세척작업이 불필요하여 휴지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살균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있어서,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사하는 광발생부;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수단; 및 상기 광발생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챔버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CHAMBER TYPE STERILIZER APPARATUS USING LIGHT}
본 발명은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대상 유체의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발생부의 세척작업이 불필요하여 휴지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살균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의 정수과정이나 식물 재배에 이용되는 양액의 재처리 과정 등에는 바이러스, 병원균과 같은 유해미생물을 제거하는 살균과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살균과정은 주로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물리적 방법으로는 건열멸균법, 고압증기멸균법, 간헐멸균법, UV 또는 방사선 멸균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방법들은 고온 또는 고압의 상태에서 장시간 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유해미생물을 살균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물리적 방법을 이용한 살균방법은 고온 또는 고압의 상태를 만들기 위해 긴 처리 시간이 요구되고, 고온 또는 고압의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장비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화학적 방법은 특정 살균제와 살균성 가스를 사용하여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유독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물리적 및 화학적 살균방법 대신 자외선(UV) 살균장치와 같이 광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자외선 살균장치는 물이나 양액이 이동되는 파이프 라인상에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이프 형상을 갖는 챔버본체 내부에 자외선 램프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자외선 램프는 석영관에 삽입되어 챔버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자외선 살균장치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석영관에 무기물, 이물질 등이 엉겨붙어 자외선 램프의 광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면서 살균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므로 일정 시간 사용 후에 석영관의 표면의 고착물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하거나, 질산 등을 포함하는 약품을 이용하여 고착물을 산세처리하는 석영관의 세척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석영관의 세척작업은 공통적으로 지나치게 긴 시간이 소요되어 장시간의 휴지시간이 필요하고, 특히 산세처리는 질산과 같은 양품을 자외선 살균장치이 설치된 주변 파이프 라인으로 1시간 이상 순환시키면서 수행하여야 하므로 살균처리공정을 장시간 휴지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주변 파이프 라인이 약품에 오염되므로 별도의 정화작업이 필요하고 폐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챔버본체는 내양품성을 만족하도록 STS 316L 등과 같은 고가의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하여야 하고, 살균효율의 증대를 위해 방안으로 살균 대상물인 물이나 양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그 내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이동홈을 파내는 고도의 정밀가공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 지나치게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3844호 "자외선 살균장치의 유수 유도관" 한국등록실용 제20-0435974호 "무동력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1051호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살균대상 유체의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발생부의 세척작업이 불필요하여 휴지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살균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있어서,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사하는 광발생부;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수단; 및 상기 광발생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챔버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발생부는 살균용 광이 발광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석영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상기 챔버본체의 내면에 삽입되는 내통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본체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통체는 내식성 및 내마모성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나선상의 돌부가 형성된 주름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는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통체는 외면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광반사물질이 적층되거나, 반사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광발생부에 삽입되는 링형몸체; 상기 링형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하는 세척부; 및 상기 링형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피살균유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몸체에는 인접하는 링형몸체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몸체는 접촉시에 탄성반발 되도록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광발생부의 외면에 덧씌워지고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광투과성박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과성박막은 외면에 유체의 와류 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류형성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의하면, 이물질제거수단에 의해 석영관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장시간 동안 석영관을 분리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장시간 동안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질산 등을 포함하는 약품을 이용한 산세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긴 휴지시간 없이 살균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의 발생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의하면, 챔버본체에 설치되는 내통체 및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수단에 의해 살균대상 유체의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종래와 같이 챔버본체를 고가의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하거나 정밀가공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1의 A부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B부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확대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단면 구조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1의 A부 확대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챔버본체(1)의 내장된 광발생부(2)의 세척작업이 불필요하도록 이물질제거수단(3)이 구비되어 휴지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살균대상 유체의 살균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유체의 와류를 형성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챔버본체(1)는 광발생부(2)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살균대상 유체가 유동되는 유동로(15)가 형성된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챔버본체(1)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바디(11), 이 메인바디(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12), 및 메인바디(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배출구(13)가 구비되어 있다.
광발생부(2)는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살균용 광이 생성되는 자외선램프(21)와, 이 자외선램프(21)가 삽입되는 석영관(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외선램프(21)는 100 내지 280nm 파장대역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외선램프(21)는 이를 감싸는 석영관(22)에 의해 보호되며, 챔버본체(1)의 상단면을 밀폐하는 소켓홀더(5)에 내장되는 소켓(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이물질제거수단(3)은 광발생부(2)에 설치되어 이물질제거 작용과 와류형성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광발생부(2)의 외면에 덧씌워지고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광투과성박막(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광투과성박막(31)은 표면에 무기물 등의 이물질이 고착되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투명한 내마모성 비닐지, 박형 투명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박막(31)은 외면에 유체의 와류 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류형성돌부(312)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챔버본체(1)의 내면에 삽입되는 내통체(4)가 더 구성되어 있다.
내통체(4)는 소재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STS 316L 규격의 스텐인레스 소재와 같은 내식성 및 내마모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체(4)는 유체의 유동 중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나선상의 돌부가 형성된 주름관(41)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내통체(4)가 구비되면, 종래와 같이 챔버본체(1) 전체를 고가의 STS 316L 규격의 스텐인레스 소재로 형성하지 않고 내식성을 갖는 저렴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작용을 양액의 재활용을 위한 재생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기준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유체유입구(12)를 양액의 유입측 배관(미도시)에 접속하고, 유체배출구(13)를 양액의 배출측 배관(미도시)에 접속한 후 재활용할 양액을 공급하게 되면 유체유입구(12), 유동로(15) 및 유체배출구(13) 순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양액이 메인바디(11)의 유동로(15)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자외선램프(21)에서 발광된 광이 석영관(22)을 통과하여 유동로(15)에 조사되므로 양액에 포함된 바이러스, 등의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살균과정이 수행되면서 이동되는 양액은 나선상의 돌부가 형성된 주름관(41)과 광투과성박막(31)의 와류형성돌부(312)의 작용에 의해 와류가 형성하게 되므로 자외선과의 노출 특성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살균과정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석영관에 무기물, 이물질 등이 엉겨붙어 자외선 램프의 광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면서 살균효과가 저하된다. 이러한 상황이 초래되면 소켓홀더(5)를 해체하여 광발생부(2)를 분리하고, 석영관(22)에 적층되어 있는 오염된 광투과성박막(31)를 제거한 다음 신품 광투과성박막(31)를 삽입하여 교체하고, 광발생부(2)를 재조립하게 되면 살균과정을 연이어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광투과성박막(31)의 교체작업을 통해 석영관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장시간 동안 석영관을 분리하여 물리적으로 세정하거나 질산 등을 포함하는 약품을 이용한 산세 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긴 휴지시간 없이 살균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의 발생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단면 구조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B부 확대도이다.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유체유입구 및 유체배출구가 형성된 챔버본체(1),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광발생부(2), 광발생부(2)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수단(6) 및 챔버본체(1)의 내면에 삽입되는 내통체(4)로 구성되되, 이물질제거수단(6)은 링형몸체(61), 세척부(62), 및 와류발생부(63)로 구성되어 있다.
링형몸체(61)는 광발생부(2)의 석영관(22)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석영관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형몸체(61)는 상하 이동과정에서 석영관(22)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척부(62)는 링형몸체(61)의 내면에 형성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석영관(22)의 외면에 마찰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돌기 형태를 갖는 다수의 브러쉬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척부(62)는 브러쉬돌기 외에도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벗겨낼 수 있는 모(미도시)가 식재될 수 있다.
와류발생부(63)는 링형몸체(61)의 외면에 형성되어 유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유체의 유동시에 난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날개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7)가 구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부재(7)는 이물질제거수단(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 석영관(22)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밀착 고정되는 실리콘 소재의 이탈방지용 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챔버본체(1)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바디(11), 이 메인바디(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12), 및 메인바디(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배출구(13)가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통체(4)가 구비되어 있어서 가격이 저렴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체(4)는 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과 같이 광투과성 소재에 의해 파이프 형상의 광투과성통체(43)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투과성통체(43)에는 UV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광 이용효율을 상승시킴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사층(44)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층(44)은 광투과성통체(43)의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유체에 포함된 무기물 등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거나 마모되지 않도록 광투과성통체(43)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사층(44)은 광반사물질이 적층되거나, 반사 필림이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액이 메인바디(11)의 유동로(15)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자외선램프(21)에서 발광된 광이 석영관(22)을 통과한 후 유동로에 조사되면서 양액에 포함된 바이러스, 등의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게 된다.
이러한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액의 유속과 와류에 의해 석영관(22)에 삽입된 이물질제거수단(6)이 요동되고, 이러한 요동과정에서 석영관(22)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별도로 석영관을 분리하여 세정하지 않더라도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외선의 방사 특성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살균효율 또한 유지할 수 있다.
도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확대도로서, 영구자석(64)의 N극과 S극 사이의 경계선으로 도시한 선은 실제로는 없는 선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링형몸체(61), 세척부(62), 및 와류발생부(63)로 구성된 복수의 이물질제거수단(6)을 구비하고, 이물질제거수단(6)은 석영관(22)에 상하로 삽입되되, 상하 병진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링형몸체(61)에 인접하는 또 다른 링형몸체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64)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구자석(64)은 중공부를 갖는 원판 형상의 영구자석을 링형몸체(61)의 사출시에 내부에 매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이물질제거수단(6)을 석영관에 상하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의 영구자석(64)의 N극과 마주하는 또다른 이물질제거수단의 영구자석의 극성이 N극이 되도록 배치하고 S극과 마주하는 영구자석은 S극이 위치하도록 배치, 구성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6)의 내부에 영구자석(64)이 내장되되 인접하는 또 다른 링형몸체(61)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근접할 경우 이물질제거수단(6)의 상하 병진운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석영관(22)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별도로 석영관을 분리하여 세정하거나 산세하지 않더라도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외선의 방사 특성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확대도이다.
도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링형몸체(61), 세척부(62), 및 와류발생부(63)로 구성된 복수의 이물질제거수단(6)을 구비하고, 이물질제거수단(6)은 석영관(22)에 상하로 삽입되되, 상하 병진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링형몸체(6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인접하는 링형몸체와 같은 피접촉부에 충돌될 경우 탄성반발 되도록 탄성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65)는 탄성 반발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탄성부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는 양액의 유속 및 와류에 의해 이물질제거수단(6)이 요동되는 과정에서 탄성부(65)가 서로 인접하는 이물질제거수단(6)에 충돌된 후 탄성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요동되면서 석영관(22)에 고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석영관을 분리하여 세정하지 않더라도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챔버본체 11:메인바디
12:유체유입구 13:유체배출구
2:광발생부 21:자외선램프
22:석영관 3:이물질제거수단
31:광투과성박막 4:내통체
41:주름관 43:광투과성통체
44:반사층 5:소켓홀더
6:이물질제거수단 61:링형몸체
62:세척부 63:와류발생부
63:와류발생부 64:영구자석
65:탄성부 7:이탈방지부재

Claims (11)

  1.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에 있어서,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사하는 광발생부;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수단; 및 상기 광발생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챔버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광발생부에 삽입되는 링형몸체; 상기 링형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하는 세척부; 및 상기 링형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피살균유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몸체에는 인접하는 링형몸체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부는 살균용 광이 발광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석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본체의 내면에 삽입되는 내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본체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통체는 내식성 및 내마모성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나선상의 돌부가 형성된 주름관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통체는 외면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광반사물질이 적층되거나, 반사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몸체는 접촉시에 탄성반발 되도록 탄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39462A 2020-03-31 2020-03-31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KR10236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62A KR102364173B1 (ko) 2020-03-31 2020-03-31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62A KR102364173B1 (ko) 2020-03-31 2020-03-31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56A KR20210121956A (ko) 2021-10-08
KR102364173B1 true KR102364173B1 (ko) 2022-02-21

Family

ID=7811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462A KR102364173B1 (ko) 2020-03-31 2020-03-31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69206B (zh) * 2022-10-13 2024-04-02 安徽中科大禹科技有限公司 灭活杀菌设备
KR102596052B1 (ko) * 2022-12-28 2023-10-31 주식회사 첨단랩 광촉매 반응을 활용한 수질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65B1 (ko) * 2007-07-09 2007-11-08 뉴엔텍(주) 상하수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0913187B1 (ko) * 2007-10-18 2009-08-20 한성자외선 주식회사 중심가변형 석영관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로용 자외선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44Y1 (ko) 2002-02-05 2002-04-27 고석배 자외선 살균장치의 유수 유도관
KR200435974Y1 (ko) 2007-01-10 2007-03-29 케이에스엔바이로 (주) 무동력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200451051Y1 (ko) 2008-05-23 2010-11-22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KR20090124681A (ko) * 2008-05-30 2009-12-03 김찬호 살균장치
KR101035343B1 (ko) * 2008-07-24 2011-05-20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유체를 살균하는데 적합한 자외선 유체 살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65B1 (ko) * 2007-07-09 2007-11-08 뉴엔텍(주) 상하수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0913187B1 (ko) * 2007-10-18 2009-08-20 한성자외선 주식회사 중심가변형 석영관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로용 자외선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56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173B1 (ko)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CN101486500B (zh) 一种紫外线消毒装置
JP6232361B2 (ja) 紫外線殺菌装置
JP4690872B2 (ja) 紫外線照射水処理装置
KR101930434B1 (ko) 자외선 살균기 및 그 세척 장치
JPH10249335A (ja) 開放式光照射装置の透光管の自動清掃機構
KR100984948B1 (ko) 수위변동 대응 및 세척링 보호가 가능한 수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20140106136A (ko) 자외선램프 외측부 석영관 무동력 세척 장치
KR100454167B1 (ko) 마찰 푸싱 방식 와이퍼 세척장치가 장착된 자외선 살균기
CA2319323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a liquid
KR102256064B1 (ko) 오존가스를 병용한 자외선 수질 정화장치
EP3583070B1 (en) A liquid treatment system
WO2017192080A1 (en) Liquid 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uv light ultraviolet lamp
KR101318604B1 (ko) 마이크로 버블 살균장치
JP4438248B2 (ja) 紫外線照射装置
KR20030046088A (ko) 관 세척기 및 이를 채용한 자외선 소독장치
JP2009066478A (ja) 紫外線照射水処理装置
KR100726465B1 (ko) 스크래칭 방식의 브러쉬 세척장치가 구비된 자외선자동살균시스템
KR100955301B1 (ko)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물 살균장치
KR102654239B1 (ko) 다열 자외선 살균장치
KR100574583B1 (ko) 배관 세척 및 살균장치
KR101399526B1 (ko) 다기능 자외선 램프 보호용 석영관을 장착한 자외선 살균기
US20200231470A1 (en) A liquid treatment system
KR20220162493A (ko)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KR200331333Y1 (ko) 마찰 푸싱 방식 와이퍼 세척장치가 장착된 자외선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