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493A -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493A
KR20220162493A KR1020210071010A KR20210071010A KR20220162493A KR 20220162493 A KR20220162493 A KR 20220162493A KR 1020210071010 A KR1020210071010 A KR 1020210071010A KR 20210071010 A KR20210071010 A KR 20210071010A KR 20220162493 A KR20220162493 A KR 2022016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stage
generating unit
foreign matt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욱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493A/ko
Publication of KR2022016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4Lamp cleaning installations, e.g. 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8Having flow diverters (baff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살균대상 유체를 다단으로 살균할 수 있고,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의 유로로 구획하는 유로구획수단; 및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조사하는 광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STERILIZER APPARATUS}
본 발명은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살균대상 유체를 다단으로 살균할 수 있고,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의 정수과정이나 식물 재배에 이용되는 양액의 재처리 과정 등에는 바이러스, 병원균과 같은 유해미생물을 제거하는 살균과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살균과정은 주로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물리적 방법으로는 건열멸균법, 고압증기멸균법, 간헐멸균법, UV 또는 방사선 멸균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방법들은 고온 또는 고압의 상태에서 장시간 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유해미생물을 살균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물리적 방법을 이용한 살균방법은 고온 또는 고압의 상태를 만들기 위해 긴 처리 시간이 요구되고, 고온 또는 고압의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장비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화학적 방법은 특정 살균제와 살균성 가스를 사용하여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유독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물리적 및 화학적 살균방법 대신 자외선(UV) 살균장치와 같이 광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 살균장치는 물이나 양액이 이동되는 파이프 라인상에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이프 형상을 갖는 챔버본체 내부에 자외선 램프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자외선 램프는 석영관에 삽입되어 챔버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982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살균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탱크(10), 용수유입관(20), 분기유입관(30), 자외선살균부(40), 연결관(50), 제 1밸브(510) 및 제 2밸브(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외선살균부(40)는 긴 체류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용수의 안정적인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된 것으로서 케이싱의 내부에 석영관 및 자외선램프가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자외선 살균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의 자외선살균부(40)를 다수 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므로 소비자의 비용 부담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 자외선 살균장치는 다수 개의 자외선살균부(40)를 배치, 조립하여야 하므로 많은 공간이 요구하고, 긴 조립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자외선 살균장치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석영관에 무기물, 이물질 등이 엉겨붙어 자외선 램프의 광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면서 살균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므로 일정 시간 사용 후에 석영관의 표면의 고착물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하거나, 질산 등을 포함하는 약품을 이용하여 고착물을 산세처리하는 석영관의 세척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석영관의 세척작업은 공통적으로 지나치게 긴 시간이 소요되어 장시간의 휴지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많은 유지보수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0-1198208호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한국등록실용 제20-0435974호 "무동력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1051호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긴 체류시간을 가지면서 다단으로 유체를 살균할 수 있고,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발생부의 세척작업이 불필요하여 휴지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살균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의 유로로 구획하는 유로구획수단; 및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조사하는 광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구획수단은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유로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격벽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측 또는 하측에 서로 엇갈리게 유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케이스는 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부에 다수의 체결공을 갖는 프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프랜지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게 연통공이 천공되고 상기 광발생부의 설치를 위한 광원연결부가 구비된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설치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발생부는 살균용 광이 발광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석영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는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어 이물질 제거작용을 수행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광발생부에 삽입되는 링형몸체; 상기 링형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하는 세척부; 및 상기 링형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피살균유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몸체에는 인접하는 링형몸체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챔버본체 내부에 유로구획수단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살균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긴 체류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양액의 안정적인 살균작용이 이루어지고, 한정된 공간에 살균장치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는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액의 유속과 와류에 의해 이물질제거수단이 요동되고, 이러한 요동과정에서 석영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별도로 석영관을 분리하여 세정하지 않더라도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외선의 방사 특성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살균효율 또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자외선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광발생부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7은 도6의 A부 확대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2 내지 도8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는 챔버본체(1), 유로구획수단(2) 및 광발생부(3)가 구비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결, 단순하여 한정된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챔버본체(1)는 살균 대상물인 양액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3) 및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챔버본체(1)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케이스(11)와, 이 메인케이스(11)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케이스(12)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케이스(11)는 통 형상을 갖는 몸체(111)의 상부에 다수의 체결공(112a)을 갖는 프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케이스(11)는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사각 기둥 형상의 통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 다각통 등의 형상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커버케이스(12)는 메인케이스(11)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커버판(121)과, 메인케이스(121)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기밀부재(122)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판(121)은 메인케이스(11)의 프랜지부(112)에 체결되도록 체결공(112a)과 대응되게 연통공(121a)이 천공되어 있고 광발생부(3)의 설치를 위해 광원연결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광원연결부(123)는 커버판(121)에 설치되는 파이프와, 이 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프랜지로 구성되어 있다.
기밀부재(122)는 커버판(121)의 상단에 밀착되는 프랜지부(112) 및 후술되는 유로격벽(2a)의 상단에 밀착되는 가스켓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구(13)는 메인케이스(1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유입파이프(131)와, 이 유입파이프(131)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프랜지(132)로 구성되어 있다.
배출구(14)는 메인케이스(11)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파이프(141)와, 이 배출파이프(141)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프랜지(14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유로구획수단(2)은 수용공간을 복수의 유로로 구획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유로격벽(2a)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로격벽(2a)은 메인케이스(1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격벽(2a)은 유입구(13)로부터 배출구(14)를 향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측 또는 하측에 서로 엇갈리게 유동통로(d)가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유로격벽(2a)은 유입구(13) 방향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유로격벽(21), 이 제1 유로격벽(21)과 접하여 이격, 설치되는 제2 유로격벽(22), 및 제2 유로격벽(22)과 접한 배출구(14) 방향에 설치되는 제3 유로격벽(23)으로 구성되어 용접 등의 방식으로 메인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1 유로격벽(21)은 하부에 유동통로(d)가 마련되도록 판상부재의 하단이 메인케이스(11)의 바닥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고, 제2 유로격벽(22)은 상부에 유동통로(d)가 마련되도록 판상부재의 상단이 메인케이스(11)의 커버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고, 제3 유로격벽(23)은 하부에 유동통로(d)가 마련되도록 판상부재의 하단이 메인케이스(11)의 바닥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다.
광발생부(3)는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챔버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어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광발생부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단면 구조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도6의 A부 확대도로서 영구자석의 N극과 S극 사이의 경계선으로 도시한 선은 실제로는 없는 선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광발생부(3)는 살균용 광이 발광되는 자외선램프(31), 및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석영관(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외선램프(31)는 100 내지 280nm 파장대역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외선램프(31)는 이를 감싸는 석영관(32)에 의해 보호되며, 커버판(121)의 광원연결부(123)에 설치되는 소켓(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광발생부(3)는 석영관(32)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수단(4)이 구비되어 있다.
이물질제거수단(4)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몸체(41), 세척부(42), 및 와류발생부(43)로 구성되어 있다.
링형몸체(41)는 광발생부(3)의 석영관(32)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유체의 이동 압력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석영관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형몸체(41)는 상하 이동과정에서 석영관(32)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척부(42)는 링형몸체(41)의 내면에 형성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석영관(32)의 외면에 마찰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돌기 형태를 갖는 다수의 브러쉬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척부(42)는 브러쉬돌기 외에도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벗겨낼 수 있는 모(미도시)가 식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제거수단(4)은 상하 병진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링형몸체(41)에 인접하는 또 다른 링형몸체(41)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44)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구자석(44)은 중공부를 갖는 원판 형상의 영구자석을 링형몸체(41)의 사출시에 내부에 매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이물질제거수단(4)을 석영관에 상하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의 영구자석(44)의 N극과 마주하는 또다른 이물질제거수단의 영구자석의 극성이 N극이 되도록 배치하고 S극과 마주하는 영구자석은 S극이 위치하도록 배치,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수단(4)은 내부에 영구자석(44)이 내장되되 인접하는 또 다른 링형몸체(41)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근접할 경우 이물질제거수단(4)의 상하 병진운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석영관(32)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별도로 석영관을 분리하여 세정하거나 산세하지 않더라도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외선의 방사 특성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발생부(3)에는 이물질제거수단(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5)가 구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부재(5)는 이물질제거수단(4)의 하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 석영관(32)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밀착 고정되는 실리콘 소재의 이탈방지용 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2의 미설명부호 7은 챔버본체(1)의 하단에 설치되는 드레인노즐(19)에 설치되는 밸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식물의 재배에 이용된 후 펌프의 펌핑작용에 의해 회수되는 양액이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면 제1 유로격벽(21)과 메인케이스(11) 내벽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동된 후 제1 유로격벽(21) 하단 유동통로(d)를 통과하고 제1 및 제2 유로격벽(21,22) 사이 공간으로 상방 유동된다. 연이어 양액은 제2 유로격벽(22)의 상단 유동통로(d)에서 선회하고 제2 및 제3 유로격벽(22,23) 사이 공간으로 하방 유동되며, 제3 유로격벽(23) 하단 유동통로(d)에서 선회하여 상방으로 유동된 후 배출구(14)를 배출된다. 배출구(14)로 배출되는 양액은 이에 연결되는 배관(미도시)를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양액이 제1 내지 제3 유로격벽(21,22,23)에 의해 구획, 형성된 다단의 살균공간을 따라 유동되면서 각 살균공간에 설치된 광발생부(3)에 의해 살균작용이 수행된다. 즉 자외선램프(31)에서 발광된 광이 석영관(32)을 통과하여 살균공간으로 조사되므로 양액에 포함된 바이러스, 등의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는 단일의 살균장치 내에 유로격벽(2a)에 의해 다단으로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자외선살균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조 간결, 단순하면서도 긴 체류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양액의 안정적인 살균작용이 이루어지고, 한정된 공간에 단일의 살균장치를 배치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액의 유속과 와류에 의해 석영관(32)에 삽입된 이물질제거수단(4)이 요동되고, 이러한 요동과정에서 석영관(32)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별도로 석영관을 분리하여 세정하지 않더라도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외선의 방사 특성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살균효율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챔버본체 11:메인케이스
12:커버케이스 13:유입구
14:배출구 2:유로구획수단
2a:유로격벽 21:제1 유로격벽
22:제2 유로격벽 23:제3 유로격벽
3:광발생부 31:자외선램프
32:석영관 4:이물질제거수단
41:링형몸체 42:세척부
43:와류발생부 44:영구자석
5:이탈방지부재

Claims (7)

  1.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의 유로로 구획하는 유로구획수단; 및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살균용 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조사하는 광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구획수단은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유로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격벽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측 또는 하측에 서로 엇갈리게 유동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스는 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부에 다수의 체결공을 갖는 프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프랜지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게 연통공이 천공되고 상기 광발생부의 설치를 위한 광원연결부가 구비된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설치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부는 살균용 광이 발광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석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어 이물질 제거작용을 수행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광발생부에 삽입되는 링형몸체;
    상기 링형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하는 세척부; 및
    상기 링형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피살균유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발생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몸체에는 인접하는 링형몸체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KR1020210071010A 2021-06-01 2021-06-01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KR20220162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010A KR20220162493A (ko) 2021-06-01 2021-06-01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010A KR20220162493A (ko) 2021-06-01 2021-06-01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93A true KR20220162493A (ko) 2022-12-08

Family

ID=8443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010A KR20220162493A (ko) 2021-06-01 2021-06-01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49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974Y1 (ko) 2007-01-10 2007-03-29 케이에스엔바이로 (주) 무동력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200451051Y1 (ko) 2008-05-23 2010-11-22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KR101198208B1 (ko) 2012-05-10 2012-11-07 윤미자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974Y1 (ko) 2007-01-10 2007-03-29 케이에스엔바이로 (주) 무동력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200451051Y1 (ko) 2008-05-23 2010-11-22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KR101198208B1 (ko) 2012-05-10 2012-11-07 윤미자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315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EP2368852B1 (en) Ultraviolet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2533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101330572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120028414A (ko) 핸드피스 소독 멸균장치
JP2006116536A5 (ko)
JP2015110231A (ja) 紫外線水処理装置
KR102364173B1 (ko)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JP2019076879A (ja) 紫外線殺菌装置
KR101072592B1 (ko) 정수용 자외선 살균장치
KR20100095306A (ko) 자외선 led를 이용한 활성 물질 중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
KR20220162493A (ko)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KR102559219B1 (ko) 다채널 다단 살균장치
KR200425659Y1 (ko) 하수를 소독하는 모듈장치
KR101896964B1 (ko) 에어버블 초음파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
KR102264047B1 (ko) 수경재배용 살균장치
US10597311B2 (en) Self-cleaning ultraviolet wastewater disinfection unit and method
CN107922179B (zh) 出水口的消毒结构和含有该消毒结构的水处理装置
JP5886037B2 (ja) 紫外線処理装置
JP4438248B2 (ja) 紫外線照射装置
JP2013184127A (ja) 紫外線水処理装置
KR20220021316A (ko) 식물공장 및 재배기 전용 순환식 수경재배 양액 전처리 정화장치
KR101196737B1 (ko) 수직 수로형 자외선 살균기
KR102654239B1 (ko) 다열 자외선 살균장치
EP32631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queous solution using flexible ultraviolet irradi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