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208B1 -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208B1
KR101198208B1 KR1020120049465A KR20120049465A KR101198208B1 KR 101198208 B1 KR101198208 B1 KR 101198208B1 KR 1020120049465 A KR1020120049465 A KR 1020120049465A KR 20120049465 A KR20120049465 A KR 20120049465A KR 101198208 B1 KR101198208 B1 KR 10119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violet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branch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자
한찬호
Original Assignee
윤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미자 filed Critical 윤미자
Priority to KR102012004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외선살균부를 통해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살균처리하여 양어장으로 살균처리된 용수를 순환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AQUACULTURAL WATER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자외선살균부를 통해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살균처리하여 양어장으로 살균처리된 용수를 순환공급할 수 있는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어장에서 사용되고 난 후의 용수는 정수장치를 거쳐서 다시 양어장으로 재순환되어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는바, 우리나라는 OECO국가 중에 UN이 지정한 물 부족국가에 해당하므로, 상기 정수장치 등을 사용하여 한번 사용하고 난 뒤의 용수를 재활용하는 정수장치의 필요성은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저온에서 일정시간동안 숙성시킨 선어(鮮魚)보다 살아있는 활어(活魚)를 더욱 선호하기 때문에 횟집 등에 수족관의 보급률이 높고, 양어장이 널리 보편화되어 있어 정수장치의 사용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정수장치는 단순하게 침전조와 내부에 모래 및 여과망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설치된 여과조를 통해 여과시키거나 약품처리를 하여 여과하는 원시적인 정수장치일 뿐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살균처리한 후 양어장으로 다시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자외선살균부를 통해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살균처리하여 양어장으로 살균처리된 용수를 순환공급할 수 있는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유입구 및 보조유입구가 형성되고,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 내로 각 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관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분기탱크와; 상기 분기탱크의 유입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용수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키는 용수유입관과; 상기 용수유입관과 연결되는 분기유입관과; 상기 분기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용수를 자외선 살균시키는 자외선살균부와; 상기 자외선살균부와 상기 분기탱크의 보조유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자외선 살균부로부터 살균된 용수를 상기 보조유입구를 통해 상기 분기탱크로 유입시키는 연결관과; 상기 용수유입관으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분기탱크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 1밸브와; 상기 분기유입관으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자외선살균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 2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살균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내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자외선살균부는 상기 분기탱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되고, 상기 분기탱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된 상기 자외선살균부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분기탱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보조연결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밸브는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자외선살균부의 살균동작여부에 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밸브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용수유입관으로 유입된 용수의 수질상태를 감지하는 수질감지센서와; 상기 수질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밸브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자외선살균부를 통해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살균처리하여 양어장으로 살균처리된 용수를 순환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자외선살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분기탱크(10), 용수유입관(20), 분기유입관(30), 자외선살균부(40), 연결관(50), 제 1밸브(510) 및 제 2밸브(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분기탱크(10)에는 유입구(110)와 보조유입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분기탱크(10)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유입구(120)는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탱크(10)의 후측면에는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내로 각 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관(130)이 상기 분기탱크(10)의 일측에서 상기 분기탱크(10)의 타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와 복수의 배출관(130)사이에는 양단부가 각각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와 복수의 배출관(130)에 수밀하게 연결되는 호스, 파이프관 등을 포함한 연결라인(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수유입관(20)은 상기 분기탱크(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분기탱크(10)의 전측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탱크(10)와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용수유입관(20)과 상기 분기탱크(10)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용수유입관(20)의 일측은 상기 분기탱크(10)의 유입구(110)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분기탱크(10)의 유입구(110)에 수밀하게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은 상기 용수유입관(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과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 사이에는 양단부가 각각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와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에 수밀하게 연결되는 호스, 파이프관 등을 포함한 연결라인(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와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에 양단부가 각각 수밀하게 연결된 상기 연결라인(미도시)에는 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미도시)는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내의 기존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를 강제펌핑하여 상기 연결라인(미도시)을 통해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 내로 강제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 내로 강제공급된 용수는 상기 용수유입관(20)의 일측내를 지나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분기탱크(10)내로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기유입관(30)은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과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전면 일측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입관(30)과 상기 자외선살균부(40)가 연통되도록 상기 분기유입관(30)의 일측은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전면 일측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입관(30)과 상기 용수유입관(20)이 연통되도록 상기 분기유입관(30)의 타측은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자외선살균부(40)는 상기 분기탱크(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방향에 상기 분기탱크(10)와 평행을 이룬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살균부(40)는 상기 분기유입관(30)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자외선살균부(40) 내부로 유입된 용수를 자외선 살균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관(50)은 상기 자외선살균부(40)와 상기 분기탱크(10)의 보조유입구(120)를 연결하여 상기 자외선살균부(40)로부터 살균된 용수를 상기 보조유입구(120)를 통해 상기 분기탱크(10)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관(50)과 상기 자외선살균부(40)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관(50)의 상측은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일측 상부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50)과 상기 분기탱크(10)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관(50)의 하측은 상기 분기탱크(10)의 보조유입구(120)와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밸브(510)는 상기 용수유입관(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분기탱크(10)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밸브(530)는 상기 분기유입관(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유입관(30)내로 용수가 상기 자외선살균부(4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3은 자외선살균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자외선살균부(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싱(410), 석영관(411) 및 자외선램프(4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410)은 상기 분기탱크(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방향에 상기 분기탱크(10)와 평행을 이룬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410)내로는 상기 분기유입관(30)내를 통과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석영관(411)은 상기 케이싱(410)의 내부 중심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412)는 상기 석영관(411)내부에 수평으로 수용되어 상기 케이싱(410)내로 공급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용수에 포함된 세균 등의 미생물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살균처리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된 상기 자외선살균부(40)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된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서로 연통시키는 보조연결관(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자외선살균부(40)가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방향에 2열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것을 예로 들기로 하고,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방향에 2열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각각 제 1, 2, 3, 4, 5, 6, 7, 8, 9, 10자외선살균부(40a, 40b, 40c, 40d, 40e, 40f, 40g, 40h, 40i, 40j)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는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 전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는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 후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는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는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는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는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는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는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9자외선살균부(40i)는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0자외선살균부(40j)는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관(90)은 복수의 상기 자외선살균부(40) 사이에 각각 수평구비되는 수평보조연결관(910)과; 복수의 상기 자외선살균부(40) 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각각 수직구비되는 수직보조연결관(9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보조연결관(910)은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 및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와 연통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의 케이싱(410)의 타측 후면과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의 케이싱(410)의 타측 전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보조연결관(910)은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 및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와 연통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의 케이싱(410)의 타측 후면과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의 케이싱(410)의 타측 전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보조연결관(910)은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 및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와 연통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의 케이싱(410)의 타측 후면과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의 케이싱(410)의 타측 전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보조연결관(910)은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 및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와 연통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의 케이싱(410)의 타측 후면과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의 케이싱(410)의 타측 전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보조연결관(910)은 상기 제 9자외선살균부(40i) 및 상기 제 10자외선살균부(40j)와 연통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제 9자외선살균부(40i)의 케이싱(410)의 타측 후면과 상기 제 10자외선살균부(40j)의 케이싱(410)의 타측 전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보조연결관(920)은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 및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와 연통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의 케이싱(410)의 일측 하부면과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의 일측 상부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조연결관(920)은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 및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와 연통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의 케이싱(410)의 일측 하부면과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의 일측 상부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조연결관(920)은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 및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와 연통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의 케이싱(410)의 일측 하부면과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의 일측 상부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조연결관(920)은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 및 상기 제 9자외선살균부(40i)와 연통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제 9자외선살균부(40i)의 케이싱(410)의 일측 하부면과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의 일측 상부면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의 케이싱(4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분기유입관(30)의 일측이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0자외선살균부(40j)의 케이싱(410)의 일측 상부면에는 상기 연결관(50)의 상측이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밸브(510)가 상기 용수유입관(20)을 개방하고, 상기 제 2밸브(530)가 상기 분기유입관(30)을 폐쇄한 경우,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는 상기 용수유입관(20)내부 → 상기 분기탱크(10) 내부 → 복수의 배출관(130) 순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밸브(510)가 상기 용수유입관(20)을 폐쇄하고, 상기 제 2밸브(530)가 상기 분기유입관(30)을 개방한 경우,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는 상기 분기유입관(30)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보조연결관(90)을 통해 상기 제 1자외선살균부(40a) → 상기 제 2자외선살균부(40b) → 상기 제 4자외선살균부(40d) → 상기 제 3자외선살균부(40c) → 상기 제 5자외선살균부(40e) → 상기 제 6자외선살균부(40f) → 상기 제 8자외선살균부(40h) → 상기 제 7자외선살균부(40g) → 상기 제 9자외선살균부(40i) → 상기 제 10자외선살균부(40j) 순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도 3의 실선화살표 참조.)하여, 상기 연결관(50)의 내부 및 상기 분기탱크(10)의 내부로 공급 및 복수의 상기 배출관(130)을 통해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미도시)내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가 상기 제 1, 2, 3, 4, 5, 6, 7, 8, 9, 10자외선살균부(40a, 40b, 40c, 40d, 40e, 40f, 40g, 40h, 40i, 40j)를 순차적으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자외선램프(412)가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살균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일예로, 상기 용수유입관(2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밸브(510)와 제 2밸브(530)는 각각 수동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투명재질의 이루어진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가 너무 탁해 오염되었다라 임의로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 1밸브(510)를 조작하여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직접 수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밸브(530)를 조작하여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직접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가 탁하지 않아 오염되지 않았다라 임의로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 1밸브(510)를 조작하여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직접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밸브(530)를 조작하여 상기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직접 수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는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포함한 전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용존산소량측정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존산소량측정센서(미도시)가 측정한 용존산소량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산소량값을 비교하여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포함한 전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5의 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존산소량측정센서(미도시)가 측정한 용존산소량값이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기준산소량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밸브(510)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도 5의 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자동폐쇄하게 되고,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밸브(530)는 외부의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자동개방할 수 있다.
상기 용존산소량측정센서(미도시)가 측정한 용존산소량값이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기준산소량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밸브(510)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도 5의 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자동개방하게 되고,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밸브(530)는 외부의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자동폐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제어부(7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다른예로서,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는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포함한 전자밸브로 이루어지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살균동작여부에 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60)와; 상기 스위치부(6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60)는 상기 제어부(70)에 누름식 버튼방식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자외선램프(412)가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스위치부(6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밸브(510)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도 5의 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자동폐쇄하게 되고,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밸브(530)는 외부의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자동개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자외선램프(412)는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자외선램프(412)가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스위치부(60)를 OFF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밸브(510)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도 5의 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자동개방하게 되고,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밸브(530)는 외부의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자동폐쇄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자외선램프(412)가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도록 상기 자외선램프(412)는 작동정지될 수 있다.
또 다른예로서,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는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포함한 전자밸브로 이루어지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용수의 수질상태를 감지하는 수질감지센서(80)와; 상기 수질감지센서(8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질감지센서(80)는 상기 용수유입관(20)의 타측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에는 상기 수질감지센서(80)가 측정한 측정값과 비교될 기준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질감지센서(80)가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용수의 수질상태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밸브(510)가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자동폐쇄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밸브(530)가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자동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자외선램프(412)가 지하수 등을 포함한 용수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수질감지센서(80)가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용수유입관(20)내로 유입된 용수의 수질상태가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밸브(510)가 상기 용수유입관(20)을 자동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밸브(530)가 상기 분기유입관(30)을 자동폐쇄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외선살균부(40)의 자외선램프(412)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통해 용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살균처리하여 양어장으로 살균처리된 용수를 순환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분기탱크, 20; 용수유입관,
30; 분기유입관, 40; 자외선살균부,
50; 연결관, 510; 제 1밸브,
530; 제 2밸브.

Claims (5)

  1. 일측에 유입구(110) 및 보조유입구(120)가 형성되고, 양어장의 복수의 호지 내로 각 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관(130)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분기탱크(10)와;
    상기 분기탱크(10)의 유입구(110)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용수를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시키는 용수유입관(20)과;
    상기 용수유입관(20)과 연결되는 분기유입관(30)과;
    상기 분기유입관(30)으로 유입되는 용수를 자외선 살균시키는 자외선살균부(40)와;
    상기 자외선살균부(40)와 상기 분기탱크(10)의 보조유입구(120)를 연결하여 상기 자외선 살균부(40)로부터 살균된 용수를 상기 보조유입구(120)를 통해 상기 분기탱크(10)로 유입시키는 연결관(50)과;
    상기 용수유입관(20)으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분기탱크(10)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 1밸브(510)와;
    상기 분기유입관(30)으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자외선살균부(4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 2밸브(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살균부(40)는 케이싱(410)과; 상기 케이싱(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석영관(411)과; 상기 석영관(411)내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412);로 구성되고,
    상기 자외선살균부(40)는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되고,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된 상기 자외선살균부(40)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분기탱크(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열로 구비된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서로 연통시키는 보조연결관(90);이 구비되고,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는 전자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수유입관(20)으로 유입된 용수의 수질상태를 감지하는 수질감지센서(80)와;
    상기 수질감지센서(8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 1밸브(510)와 상기 제 2밸브(530)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49465A 2012-05-10 2012-05-10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KR10119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465A KR101198208B1 (ko) 2012-05-10 2012-05-10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465A KR101198208B1 (ko) 2012-05-10 2012-05-10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208B1 true KR101198208B1 (ko) 2012-11-07

Family

ID=4756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465A KR101198208B1 (ko) 2012-05-10 2012-05-10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2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087B1 (ko) * 2015-01-15 2017-05-11 (주)삼지테크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CN108869783A (zh) * 2018-05-08 2018-11-23 青岛明赫渔业工程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循环使用之养殖水的紫外杀菌电磁阀
KR20220162493A (ko) 2021-06-01 2022-12-08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KR20220169620A (ko) 2021-06-21 2022-12-28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다채널 다단 살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35B1 (ko) 2001-08-07 2003-05-09 (주) 빛과환경 광촉매 분해기를 이용한 수족관 정화장치
KR200434663Y1 (ko) 2006-08-28 2006-12-26 (주)종합엔텍 용수 살균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35B1 (ko) 2001-08-07 2003-05-09 (주) 빛과환경 광촉매 분해기를 이용한 수족관 정화장치
KR200434663Y1 (ko) 2006-08-28 2006-12-26 (주)종합엔텍 용수 살균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087B1 (ko) * 2015-01-15 2017-05-11 (주)삼지테크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CN108869783A (zh) * 2018-05-08 2018-11-23 青岛明赫渔业工程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循环使用之养殖水的紫外杀菌电磁阀
KR20220162493A (ko) 2021-06-01 2022-12-08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다단 살균이 가능한 살균장치
KR20220169620A (ko) 2021-06-21 2022-12-28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다채널 다단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208B1 (ko)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DK2585407T3 (en) ADVANCED BIOLOGICAL WATER TREATMENT USING ALGES
KR101259698B1 (ko)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WO2010062032A3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AU20153724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foods and/or containers by means of a process liquid
KR101800379B1 (ko) 물과 공기 겸용 플라즈마 처리장치
CN106577438A (zh) 一种水产养殖循环水系统
CN108380053A (zh) 一种环保养殖用水处理装置和方法
KR100943686B1 (ko) 입수식[入水式] 자외선 살균기 및 상기 기기를 이용한 살균장치
CN105152428A (zh) 一种撬装式应急用水处理系统
KR101775845B1 (ko)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폐양액 살균처리 방법
JP2018202292A (ja) 純水タンク内の生菌繁殖を抑制する方法及び純水製造装置
CN210340586U (zh) 一种深度净化水处理系统
KR101547300B1 (ko)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제어장치
KR101670855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955301B1 (ko)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물 살균장치
CN208612198U (zh) 一种环保养殖用水处理装置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110801545A (zh) 血液净化装置及灭菌方法
KR101879668B1 (ko) 해수 양식장 배출수 복합산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양식장 배출수 복합산화 처리방법
KR101159512B1 (ko)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미생물 살균기를 구비한 지하수 정수처리장치 및 방법
CN204999760U (zh) 用于液体消毒的消毒装置
CN205061759U (zh) 一种撬装式应急用水处理系统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CN215161105U (zh) 一种超声臭氧消毒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