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087B1 -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087B1
KR101731087B1 KR1020150007169A KR20150007169A KR101731087B1 KR 101731087 B1 KR101731087 B1 KR 101731087B1 KR 1020150007169 A KR1020150007169 A KR 1020150007169A KR 20150007169 A KR20150007169 A KR 20150007169A KR 101731087 B1 KR101731087 B1 KR 101731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quartz tube
branch
tube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026A (ko
Inventor
고명림
이영광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삼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지테크 filed Critical (주)삼지테크
Priority to KR102015000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oxic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수구(12)를 형성하면서 수직의 방향으로 폐회로관(11)을 형성하는 입수부(10); 일단에 출수구(22)를 형성하면서 수직의 방향으로 폐회로관(21)을 형성하고, 상기 입수부(10)와 일정 간격 이격시켜 구비되는 출수부(20); 상기 입수부(10)와 출수부(20)의 사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지관(31)이 동일 수직선상에 복수 층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복수의 가지관(31)들 중 동일 수평선상의 가지관(31)은 일단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입수부(10)와 상기 출수부(20)의 폐회로관(11)(21)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분기부(30); 내부에 수용되는 자외선 램프(41)의 외부를 석영관(42)으로 감싸도록 하여 상기 분기부(30)의 각 가지관(31) 내에 삽입되는 살균부(40); 상기 각 가지관(31)의 일단에서 상기 석영관(42)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석영관(42) 내의 자외선 램프(41)로부터 인출되는 소켓(410)의 리드 단자(411)가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맞춤 결합되는 제1 피팅부(50); 상기 제1 피팅부(50)와 대응되는 상기 각 가지관(31)의 타단에서 상기 석영관(42)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41)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의 피팅 플러그(62)로 커버되게 하는 제2 피팅부(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Sea water sterilizing apparratus for fish and shellfish aquaculture}
본 발명은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처리를 하고자 하는 해수가 자외선에 균일하게 조사되면서 좀더 많은 조사량에 의해 살균효율이 좀더 향상되도록 하고,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자외선 램프의 점등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외선 램프의 교체 등의 보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토록 하는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패류를 취급하는 수조에는 해수를 직접 사용함으로써 어패류가 좀더 싱싱하게 보존되도록 하고 있다.
수조에서 해수는 어패류의 호흡과 배설물에 의한 질소, 인 등의 발생으로 부영양화가 심화되면서 수질오염이 점차 악화된다.
즉, 수조 내 해수의 부영양화는 각종 유해세균의 번식을 촉진시켜 어패류의 폐사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주기적으로 자주 수조 내 해수를 교체해주어야만 한다.
이러한 수조 내 해수는 단순히 순환시킴에 의해 전수가 이루어지게 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살균장치를 사용하여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기도 한다.
등록특허 제1076766호(2011.10.19.명칭:해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수 수족관)는 반응챔버의 내부에 튜브관과 자외선램프가 구비되도록 하는 한 쌍의 살균부를 반응챔버간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면서 반응챔버의 양단부는 블록에 의해서 각각 연결되도록 하되 각 블록에는 일측의 블록에는 반응챔버로 해수가 유출입되도록 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고, 타측의 블록에는 반응챔버간을 연결하는 해수연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종래 기술의 특허에서는 해수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일측의 블록을 통해 자외선램프가 수용되는 튜브관이 삽입되도록 하고, 덮개부재을 통해 전류공급선이 각 튜브관에 연결되게 하면서 튜브관이 삽입되는 블록의 삽입단부가 밀폐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해수가 유동하도록 하는 직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반응챔버에 각각 자외선램프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이중의 살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지만 각 반응챔버로 다량의 해수가 통과하게 되면 자외선램프에 의한 살균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살균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자외선램프의 점등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투시창을 형성해야 하며, 자외선램프를 교체 시에는 일일이 볼트로 체결고정한 덮개부재를 분리시켜야만 하므로 교체 작업 시간이 지체되면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다.
등록특허 제1076766호(2011.10.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입수되는 해수를 소경의 가지관으로 분기되도록 하고, 각 가지관에 각각 자외선 램프가 수용된 석영관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각 가지관을 통해 최상의 살균력이 발휘될 수 있는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하고자 하는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가지관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최소의 설치 공간으로 대용량의 해수 처리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지관의 일단을 커버하는 반투명의 피팅 캡을 통해 램프의 점등 여부를 외부에서도 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일단에 입수구를 형성하면서 수직의 방향으로 폐회로관을 형성하는 입수부; 일단에 출수구를 형성하면서 수직의 방향으로 폐회로관을 형성하고, 상기 입수부와 일정 간격 이격시켜 구비되는 출수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의 사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지관이 동일 수직선상에 복수 층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복수의 가지관들 중 동일 수평선상의 가지관은 일단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입수부와 상기 출수부의 폐회로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분기부; 내부에 수용되는 자외선 램프의 외부를 석영관으로 감싸도록 하여 상기 분기부의 각 가지관 내에 삽입되는 살균부; 상기 각 가지관의 일단에서 상기 석영관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석영관 내의 자외선 램프로부터 인출되는 소켓의 리드 단자가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맞춤 결합되는 제1 피팅부; 상기 제1 피팅부와 대응되는 상기 각 가지관의 타단에서 상기 석영관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의 피팅 플러그로 커버되게 하는 제2 피팅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를 통해 해수에의 자외선 조사량을 균일하고 극대화함으로써 살균 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설비의 설치 공간은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가지관의 양단부에서 제1 피팅부와 제2 피팅부의 간단한 조립을 통해 자외선 램프의 교체와 함께 외부에서 점등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가지관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제1 피팅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제2 피팅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상부 가지관을 통한 해수 유동 구조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하부 가지관을 통한 해수 유동 구조를 예시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는 크게 입수부(10)와 출수부(20)와 분기부(30)와 살균부(40)와 제1 피팅부(50)와 제2 피팅부(6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입수부(10)와 출수부(20)의 사이에서 복수의 가지관(31)으로 이루어지는 분기부(30)에서 해수의 살균이 동시에 이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입수부(10)와 출수부(20)에 각각 폐회로관(11)(21)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들 각 폐회로관(11)(21)에는 해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2)와 살균한 해수를 수조에 공급하는 출수구(22)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각 폐회로관(11)(21)은 스스로 현장 설치 바닥면에서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원통형의 관을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입수부(10)와 출수부(20)는 폐회로관(11)(21)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입수부(10)와 출수부(20)간 일정 폭이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입수구(12)와 각 폐회로관(11)(21)과 출수구(22)는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입수부(10)와 출수부(20)의 상호 이격되도록 한 공간에는 분기부(30)가 구비되도록 한다.
분기부(30)는 입수부(10)의 폐회로관(11)과 출수부(20)의 폐회로관(21)을 연결하도록 하되 다만 분기부(30)는 복수의 가지관(31)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분기부(30)는 입수부(10)와 출수부(20)의 사이에서 가지관(31)을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하면서 복수 층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를 예시한 평면도로서, 동일 수평선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지관(31)은 마주보는 일단부의 상호 인접하는 주면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그와 대응되는 타단부의 상호 대응하는 주면에는 입수부(10)와 출수부(20)의 폐회로관(11)(21)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입수부(10)와 출수부(20) 사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가지관(31)은 일단간 서로 마주보는 주면을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들 일단과 대응되는 각 가지관(31)의 타단에서 입수부(10)와 출수부(20)의 각 폐회로관(11)(21)과 마주보는 주면간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지관(31)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동일 수직선상에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하면서 복수층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각 층별 가지관(31)은 양측의 폐회로관(11)(21)에 동일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나, 가지관(31)간 그리고 폐회로관(11)(21)으로 연결되는 상하층의 연결 구조를 서로 반대방향에서 연결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각 가지관(31)과 폐회로관(11)(21)의 연결 부위에는 T자형의 티(tee,32)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가지관(31)간은 H자형의 티(32)를 이용하여 연결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T자형 또는 H자형 티(32)에는 각각 가지관(31)의 일단이 강제 끼움에 의해서 견고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가지관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부(30)의 각 가지관(31) 내부에는 살균부(40)가 구비되도록 한다.
살균부(40)는 자외선 램프(41)와 이 자외선 램프(41)를 수용하는 투명의 석영관(4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자외선 램프(41)는 일단으로 소켓(410)이 일체로 결합되고, 이 소켓(410)의 단부에는 리드 단자(411)가 형성되며, 이러한 자외선 램프(41)를 수용하는 석영관(42)은 일단만 개방되도록 한다.
살균부(40)가 수용되는 분기부(30)의 각 가지관(31) 일단은 제1 피팅부(50)로 커버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2 피팅부(60)로 커버되도록 한다.
한편, 각 가지관(31)의 양단에는 T자형 및 H자형 티(32)가 연결되고, 제1 피팅부(50)와 제2 피팅부(60)의 가지관(31)이 연결되는 단부와 대응되는 단부에 각각 삽입 및 연결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제1 피팅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제1 피팅부(50)는 크게 제1 피팅 너트(51)와 피팅 볼트(52)와 오링(53) 및 피팅 캡(54)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제1 피팅 너트(51)는 티(32)의 가지관(31)이 맞춤 결합되는 단부와 대응되는 단부로 억지 끼움에 의해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제1 피팅 너트(51)는 중앙이 서로 다른 직경으로 수평 관통되도록 하되 가지관(31)측 단부의 내경은 석영관(42)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로서 관통되도록 하고, 그와 대응되는 단부측의 내경은 보다 크게 확장되도록 하면서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도록 하여 나선홀(61)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피팅 너트(51)에는 일부가 나사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티(3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피팅 볼트(52)가 구비되도록 하되 피팅 볼트(52)의 티(32)에 나사결합되는 단부의 외경보다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단부의 외경이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피팅 볼트(52)의 중앙은 석영관(42)의 외경보다는 작지 않은 사이즈로 수평 관통되도록 한다.
한편, 티(32)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구비되는 피팅 볼트(52)의 돌출 단부는 피팅 캡(54)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한다.
피팅 캡(54)은 피팅 볼트(52)의 외주면으로 내주면이 강제 끼움에 의해서 맞춤 결합되도록 감싸면서 티(32)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중앙에는 석영관(42)의 단부로부터 일부 돌출되는 자외선 램프(41)의 단부에 결합된 소켓(410)이 맞춤 결합되면서 외측으로 리드 단자(411)가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다.
이렇게 가지관(31)의 일측에 연결된 티(32)에 삽입 고정되는 제1 피팅부(50)와 대응되는 가지관(31)의 타측에 연결된 티(32)에는 제2 피팅부(60)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의 제2 피팅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제2 피팅부(60)는 제2 피팅 너트(61)와 피팅 플러그(62)의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중 제2 피팅 너트(61)는 중앙이 서로 다른 내경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가지관(31)측 일측단부는 석영관(42)이 통과할 정도의 크기로 내경이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단부는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나선홀(610)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2 피팅부(60)의 피팅 플러그(62)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일단부는 제2 피팅 너트(61)의 나선홀(510)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피팅 너트(61)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피팅부(60)의 피팅 플러그(62)에는 제2 피팅 너트(61)에 나사결합되는 일측 단부로부터 석영관(62)의 삽입이 가능한 내경으로서 외측으로 가이드홈(6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반투명의 제2 피팅부(60)에 의해서는 가지관(31)의 내부로 구비되는 자외선 램프(41)의 점등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한편, 제1 피팅부(50)와 제2 피팅부(60)에서 제1 피팅 너트(51)와 제2 피팅 너트(61)의 내경이 단차지는 단부에는 오링(53)(63)이 구비되도록 하여 제1 피팅 너트(51)와 제2 피팅 너트(61)에 결합되는 피팅 볼트(52)와 피팅 플러그(62)간 실링이 긴밀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피팅 플러그(62)의 외경은 제2 피팅 너트(61)의 나선홀(620)측 내경보는 크고 티(32)의 외경보다는 작은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 각 가지관(31)은 석영관(31)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부를 유동할 수 있는 해수가 입수구(12)를 통해 입수되는 해수양의 1/n이 되도록 하고, 수직으로 배열되는 가지관(31)은 n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의 가지관(31)의 층수는 살균하고자 하는 해수의 양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70은 안정기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에 의한 작용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에 의한 해수의 유동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미도시)로부터 강제 순환에 의해 유동하여 입수부(10)의 입수구(12)로 유입되는 해수는 폐회로관(11)을 순환하면서 이 폐회로관(11)에 연결된 분기부(30)의 가지관(31)으로 해수가 분산 공급되도록 한다.
폐회로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는 분기부(30)에서 다양한 경로로 가지관(31)에 유도되고, 동일 수평선상에 연결되는 가지관(31)을 통해서는 U자형으로 유동하여 출수부(20)측 폐회로관(21)으로 이동한다.
이때 각 가지관(31)에는 내부에 석영관(42)이 내장되므로 이 석영관(42)의 외측으로 해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은 대폭적으로 협소해지게 되는데 다만 이들 가지관(31)으로는 입수부(10)의 폐회로관(11)에 연결된 가지관(31)의 갯수에 반비례하는 해수의 양을 유입시키게 된다.
이렇게 각 가지관(31)을 통과하게 되는 해수는 비교적 좁은 공간을 통해 통과하게 되면서 자외선 램프(41)에 의한 살균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러한 살균이 한 쌍의 가지관(31)을 통해 이중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써 더욱 살균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살균처리할 해수의 자외선 램프(41)를 일시에 통과하는 단면적이 보다 축소되게 함으로써 해수에의 살균력이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중의 살균에 의해 좀더 강력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균일한 살균력을 위하여 해수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는 대신 해수가 통과하는 가지관(31)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입수부(10)로 유입되는 해수가 출수부(20)를 통해 출수되면서 일정한 유동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각 가지관(31)의 양단부에 T형 또는 H형의 티(32)가 연결되도록 하고, 이들 티(32)의 가지관(31)이 연결되는 단부와 대응되는 단부로 제1 피팅부(50)와 제2 피팅부(60)가 손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각 티(32)에는 제1 피팅부(50)와 제2 피팅부(60)의 제1 피팅 너트(51)와 제2 피팅 너트(61)가 가지관(31)과 마찬가지로 억지 끼움에 의해 맞춤 결합되도록 한 후 이들 제1 피팅 너트(51)에는 오링(53)을 삽입시켜 피팅 볼트(52)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고, 피팅 볼트(52)의 외주면으로는 간단하게 피팅 캡(54)이 맞춤 결합되도록 하여 일단이 커버되고, 제2 피팅 너트(61)에는 오링(63)을 삽입시켜 반투명의 피팅 플러그(62)가 간단히 제2 피팅 너트(61)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별도의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약간의 힘을 가하여 밀거나 당기기만 하면 피팅 캡(54)을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가 있고, 피팅 볼트(52)와 피팅 플러그(62)는 간단히 나사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나사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제1 피팅 너트(51)와 제2 피팅 너트(61)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피팅부(50)와 제2 피팅부(60)는 가지관(31)의 내부에 삽입된 자외선 램프(41)의 교체를 위한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본 발명에서 제1 피팅부(50)와 제2 피팅부(60)는 분기부(30)의 각 가지관(31)에서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더욱 용이한 작업성을 제공하게 되며,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는 반투명의 피팅 플러그(62)를 통해서는 외부에서도 각 가지관(31) 내부의 자외선 램프(4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관리가 매우 쉬운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최소한의 설치 공간에서 자외선 조사량에 의한 살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10 : 입수부 11, 21 : 폐회로관
20 : 출수부 30 : 분기부
31 : 가지관 32 : 티
40 : 살균부 50 : 제1 피팅부
51 : 제1 피팅 너트 52 : 피팅 볼트
54 : 피팅 캡 60 : 제2 피팅부
61 : 제2 피팅 너트 62 : 피팅 플러그

Claims (5)

  1. 일단에 입수구를 형성하면서 수직의 방향으로 폐회로관을 형성하는 입수부;
    일단에 출수구를 형성하면서 수직의 방향으로 폐회로관을 형성하고, 상기 입수부와 일정 간격 이격시켜 구비되는 출수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의 사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지관이 동일 수직선상에 복수 층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복수의 가지관들 중 동일 수평선상의 가지관은 일단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입수부와 상기 출수부의 폐회로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분기부;
    내부에 수용되는 자외선 램프의 외부를 석영관으로 감싸도록 하여 상기 분기부의 각 가지관 내에 삽입되는 살균부;
    중앙이 서로 다른 내경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가지관측 일측단부는 석영관의 외주면과 실링이 이루어지는 크기로 내경을 형성하고, 타측단부는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나선홀을 형성하여 가지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티의 일측단부와 대응되는 타측단부에 맞춤 삽입되는 제1 피팅 너트와, 일단부가 상기 제1 피팅 너트의 나선홀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티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피팅 볼트와, 상기 피팅 볼트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맞춤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1 피팅 너트와 상기 피팅 볼트를 관통하는 자외선 램프의 일단에 결합된 소켓의 리드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게 고정결합되는 피팅 캡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가지관의 일단에서 상기 석영관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리드 단자가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맞춤 결합되는 제1 피팅부;
    중앙이 서로 다른 내경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가지관측 일측단부는 석영관의 외주면과 실링이 이루어지는 크기로 내경을 형성하고, 타측단부는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나선홀을 형성하여 가지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티의 일측단부와 대응되는 타측단부에 맞춤 삽입되는 제2 피팅 너트와, 일단부는 상기 제2 피팅 너트의 나선홀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피팅 너트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티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도록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피팅 플러그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피팅부와 대응되는 상기 각 가지관의 타단에서 상기 석영관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피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부의 동일 수평선상에 배열되는 한 쌍의 가지관은 일단이 H자형 티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입수부의 폐회로관과 상기 출수부의 폐회로관과는 T자형 티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팅 플러그는 상기 제2 피팅 너트측 단부로부터 외측단부로 석영관이 삽입되는 직경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KR1020150007169A 2015-01-15 2015-01-15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KR101731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69A KR101731087B1 (ko) 2015-01-15 2015-01-15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69A KR101731087B1 (ko) 2015-01-15 2015-01-15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026A KR20160088026A (ko) 2016-07-25
KR101731087B1 true KR101731087B1 (ko) 2017-05-11

Family

ID=5661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69A KR101731087B1 (ko) 2015-01-15 2015-01-15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0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766B1 (ko) 2008-10-16 2011-10-26 광주과학기술원 해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수 수족관
KR101198208B1 (ko) * 2012-05-10 2012-11-07 윤미자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766B1 (ko) 2008-10-16 2011-10-26 광주과학기술원 해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수 수족관
KR101198208B1 (ko) * 2012-05-10 2012-11-07 윤미자 양어장 용수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026A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7594A (en) Pathogen control system
US11046602B2 (en)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671311B1 (ko) 광촉매 살균정화장치
CN1008810B (zh) 流体净化系统
JP5575077B2 (ja) 紫外線照射装置
JP6153343B2 (ja) 紫外線照射水処理装置
US20160122208A1 (en) Combined Ultraviolet and Ozone Fluid Sterilization System
US11142470B2 (en) Disinfection of water mains using ultraviolet light and oxidizing agents
US9586837B2 (en) Disinfection of water mains using ultraviolet light
JP2007307544A (ja) 紫外線液体浄化処理器
CN106115843B (zh) 一种水流杀菌模组
JP2019076879A (ja) 紫外線殺菌装置
JP3222475U (ja) 流体の照射効果を改善する配管装置
KR100943686B1 (ko) 입수식[入水式] 자외선 살균기 및 상기 기기를 이용한 살균장치
KR101731087B1 (ko) 양식용 해수 살균장치
KR101333746B1 (ko) 자외선 살균기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KR200427690Y1 (ko) 생태연못용 물 살균장치
CA2923950C (e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US9090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disinfection
CN211419659U (zh) 一种紫外线净水装置
CN211770415U (zh) 一种过流式杀菌装置
JP4445930B2 (ja) オゾン反応型流体用照射装置
US10662079B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196737B1 (ko) 수직 수로형 자외선 살균기
JP2014100690A (ja) 水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