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012B1 -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 Google Patents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012B1
KR101421012B1 KR1020120132286A KR20120132286A KR101421012B1 KR 101421012 B1 KR101421012 B1 KR 101421012B1 KR 1020120132286 A KR1020120132286 A KR 1020120132286A KR 20120132286 A KR20120132286 A KR 20120132286A KR 101421012 B1 KR101421012 B1 KR 10142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dy clamp
bar type
mounting bracket
type i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748A (ko
Inventor
이동훈
김상효
이수영
이재현
허시환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2013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0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6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ionising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내부에 끼워 고정되고,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갖는 바디 클램프;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에워싸서 바디 클램프가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원형 가이드 레일을 하부면에 내장하고, 상부면은 고정 구조물에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에 걸려서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한 바디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중심축을 바디 클램프내에 형성시키고, 회전 반경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이 바디 클램프를 이용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 회전 반경을 최소화시켜서 공장내의 좁은 공간내에서도 제품의 탈착 및 보수 유지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고정시키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그 회전 각도를 보다 다양하고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다양한 작업환경 및 공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BRACKET APPARATUS FOR A BAR-TYPE IONIZER}
본 발명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고정 구조물에 장착시키는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중심축이 장착 브라켓 상에서 회전가능한 바디 클램프내에 형성됨으로써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반경이 최소화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디 클램프가 장착 브라켓내에서 원형으로 회전하고, 스토퍼를 이용하여 바디 클램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고정 각도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액정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EL, 다중레이어 세라믹 콘덴서(MLCC; Multi-Layer Ceramic Condenser)등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고도의 청정한 작업공간을 요한다. 그런데 특히 이들의 인쇄, 도포및 세정 공정에서는 정전기가 대전하기 쉬운 고절연물질을 다량으로 취급하는데, 이때 정전기로 인한 먼지 등의 이물질 부착 등의 이유로 수율의 저하, 패턴의 파괴, 인쇄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고절연물질의 작업과정 중에 대전체의 정전기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는 방전침에 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 대전물체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방전침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 모듈을 구비하고, 이오나이저의 양의 출력전압과 음의 출력전압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셋 버튼, 선택된 항목의 수치를 설정하는 설정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는 LCD 공장내의 청정한 작업공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라켓 장치(20)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것이었다.
즉, 이러한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브라켓 장치(20)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양쪽 끝단과, 중앙에 각각 3개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구조물(30)에 상부면이 고정되고, 하부면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힌지축(40)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 장치(20)는 설치 및 보수 유지를 위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고, 종종 아주 비좁은 장착 공간에 위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 장치(20)는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 중심축(P)이 힌지축(40)에 형성되고, 힌지축(40)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일측 상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전 반경(R)이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전체 길이로서 크게 형성되어 장소가 협소한 공간내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 장치(20)가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축(40)에 마련된 볼트에 의해서 조여져서 회전 각도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 장치(20)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10)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 상태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전선걸이(50)에 걸려서 회전이 방해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종래의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 장치(20)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단지 수직 또는 수평으로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는 기능상의 문제점도 큰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시켜서 공장내의 좁은 공간내에도 제품의 탈착 및 보수 유지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및 고정 각도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보다 다양한 작업환경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고정 구조물에 장착시키는 브라켓 장치에 있어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내부에 끼워 고정되고,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갖는 바디 클램프;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에워싸서 바디 클램프가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원형 가이드 레일을 하부면에 내장하고, 상부면은 고정 구조물에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에 걸려서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한 바디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중심축을 바디 클램프내에 형성시키고, 회전 반경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 클램프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절개 홈을 각각 형성한 반원형 테두리의 제1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는 제2 클램프와의 결합면 양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제2 클램프는 제1 클램프와의 결합면 양측에 상기 돌출부에 일치하여 결합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를 관통하여 고정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절개 홈내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 클램프는 제1 및 제2 클램프들이 상호 결합하여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호형 외주면 플랜지는 그 양측 테두리에 각각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끼움홈을 나란하게 형성하며,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돌출된 돌기들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해 바디 클램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브라켓은 좌우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바디 클램프를 원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그 결합면을 횡으로 관통하여 고정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내에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브라켓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와 동일한 원형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상부면은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 하부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마찰면을 형성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 클램프는 제2 클램프의 일측에 호형 외주면 플랜지가 생략된 끼움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모서리는 그 두께가 장착 브라켓의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브라켓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의 사이 간격에 일치함으로써, 상기 제2 클램프이 끼움 모서리를 장착 브라켓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사이 간격에 밀어 넣으면, 제2 클램프의 끼움 모서리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의 사이로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바디 클램프를 회전시키면, 호형 외주면 플랜지가 장착 브라켓의 제1 및 제2 브라켓 내측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에 걸리게 되어 바디 클램프가 장착 브라켓에 별도의 공구 없이 삽입되고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장착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회전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 돌기들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한 바디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에 의하면,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내부에 끼워 고정되는 바디 클램프를 장착 브라켓에 슬라이딩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켜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중심축을 바디 클램프내에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에 의하면,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이 바디 클램프를 이용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 회전 반경을 최소화시켜서 공장내의 좁은 공간내에서도 제품의 탈착 및 보수 유지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에 의하면, 장착 브라켓의 일측에 스토퍼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스토퍼의 제1 및 제2 돌기들을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 양측 테두리에 각각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 끼워서 고정시키면, 장착 브라켓에 대한 바디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에 의하면,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고정시키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그 회전 각도를 보다 다양하고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다양한 작업환경 및 공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라켓장치가 바 타입 이오나이저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라켓장치 상에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라켓장치 상에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라켓장치 상에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수직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회전하는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장치가 바 타입 이오나이저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분해하여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를 중요 구성 부품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상에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상에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상에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수직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회전하여 임의의 회전 각도로 고정되는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양측단부 및 중앙부에 각각 장착되어 사용가능하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 또는 다른 수량으로 적용되어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 이오나이저(10)가 내부에 끼워 고정되고,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를 갖는 바디 클램프(200), 상기 바디 클램프(200)에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300) 및 상기 장착 브라켓(300)에 대한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40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바디 클램프(200)는 상하로 배치된 제1 및 제2 클램프(210a,210b)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클램프(210a,210b)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210a,210b)는 내측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외형 윤곽에 일치하는 제1 및 제2 절개 홈(212a,212b)을 형성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클램프(210a,210b)는 반원형 테두리(222a,222b)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210a)는 제2 클램프(210b)와의 결합면 양측에 돌출부(230a)를 형성하며, 제2 클램프(210b)는 제1 클램프(210a)와의 결합면 양측에 상기 돌출부(230a)에 일치하여 결합가능한 오목부(230b)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210a)의 돌출부(230a)와, 제2 클램프(210b)의 오목부(230b)를 관통하여 고정 볼트(234)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210a,210b)는 서로 일체로 결합되고, 그 내측의 제1 및 제2 절개 홈(212a,212b)내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 클램프(200)는 제1 및 제2 클램프(210a,210b)들이 상호 결합하여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를 형성하고, 상기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는 그 양측 테두리에 각각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끼움홈(260)을 나란하게 형성하며, 상기 끼움홈(260)에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스토퍼(400)의 제1 및 제2 돌기(430a,430b)들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300)에 대해 바디 클램프(2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일측의 제2 클램프(210b)에는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가 생략된 끼움 모서리(252)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끼움 모서리(252)의 두께(t)는 이후에 설명되는 장착 브라켓(300)의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에 구비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의 사이 간격(d)에 일치한다.(도 7 참조)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를 에워싸서 바디 클램프(200)를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장착 브라켓(30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장착 브라켓(300)은 하부면이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를 에워싸서 바디 클램프(200)가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부면은 고정 구조물(30)에 고정 볼트(미 도시)등을 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300)은 좌우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바디 클램프(200)를 원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은 그 결합면을 횡으로 관통하여 고정 볼트(312)가 체결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 내에 상기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은 만곡형 또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와 동일한 원형 곡률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브라켓(300)의 내측에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를 에워싸서 바디 클램프(200)를 고정시키면, 상기 장착 브라켓(300)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 상부면은 상기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 하부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마찰면(S)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슬라이딩 마찰면(S)을 윤활시킴으로써 바디 클램프(200)는 장착 브라켓(300)의 내측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스토퍼(400)의 일측이 장착 브라켓(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에 걸려서 상기 장착 브라켓(300)에 대한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스토퍼(4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300)의 양측에 각각 회전핀(410)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420a,420b)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끼움홈(260)으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 돌기(430a,430b)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토퍼(400)는 제1 및 제2 돌기(430a,430b)들이 바디 클램프(200)의 끼움홈(260)으로 삽입되면, 상기 장착 브라켓(300)에 대한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그 상태로 바디 클램프(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양측단부 및 중앙부에 각각 장착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구조물(30)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바디 클램프(200)의 제1 및 제2 클램프(210a,210b)들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장착 브라켓(300)의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들은 횡으로 서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 내에 상기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장착 브라켓(300)의 내측에 바디 클램프(200)가 별도의 공구 없이 삽입되고 장착 및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 클램프(210b)에 형성된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가 생략된 끼움 모서리(252)는 그 두께(t)가 도 7의 하부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의 사이 간격(d)에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 클램프(210b)이 끼움 모서리(252)를 장착 브라켓(300)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의 사이 간격(d)에 밀어 넣으면, 그 두께(t)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의 사이 간격(d)에 일치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의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바디 클램프(200)를 회전시키면,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가 장착 브라켓(300)의 제1 및 제2 브라켓(310a,310b) 내측에 위치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에 걸리게 됨으로써 바디 클램프(200)가 장착 브라켓(300)에 별도의 공구 없이 삽입되고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는, 도 7의 상부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300)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 상부면과,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 하부면이 그 사이에서 슬라이딩 마찰면(S)을 형성함으로써, 바디 클램프(200)는 장착 브라켓(300)의 내측에서 원활하게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이와 같은 장착 구조를 통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회전 중심축(P)을 바디 클램프(200)내에 형성시키고, 장착 브라켓(300)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20a,320b)을 이용하여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기존에 비하여 그 회전 반경(r)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a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와 바디 클램프(20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8b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외 바디 클램프(200)가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스토퍼(400)는 제1 및 제2 돌기(430a,430b)들이 바디 클램프(200)의 끼움홈(260)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300)에 대한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바디 클램프(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260)은 바디 클램프(200)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250) 양측 테두리에 각각 나란하게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와 바디 클램프(2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다음, 스토퍼(400)의 제1 및 제2 돌기(430a,430b)들을 인접한 상기 끼움홈(260)으로 삽입하면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와 바디 클램프(200)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와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 및 고정 각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와 바디 클램프(200)가 수직으로 배치된 위치와,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외 바디 클램프(200)가 수평으로 배치된 위치 사이이며, 그 사이의 회전 각도(θ)를 통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10)를 보다 편리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10)가 내부에 끼워 고정되는 바디 클램프(200)를 장착 브라켓(300)에 슬라이딩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켜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의 회전 중심축(P)을 바디 클램프(200)의 중앙에 형성하기 때문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10)가 제자리에서 자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그 회전 반경(r)을 최소화시켜서 공장내의 좁은 공간내에서도 제품의 탈착 및 보수 유지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100)는 장착 브라켓(300)에 대한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와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 각도(θ)를 조정한 상태에서, 스토퍼(400)의 제1 및 제2 돌기(430a,430b)들을 바디 클램프(200)의 끼움홈(260)에 끼워서 고정시키면, 장착 브라켓(300)에 대한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을 견고하게 정지시킬 수 있음으로써, 바 타입 이오나이저(10)와 바디 클램프(200)의 회전 각도를 보다 다양하고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다양한 작업환경 및 공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 바 타입 이오나이저 20: 종래의 브라켓 장치
30: 구조물 40: 힌지축
50: 전선걸이 100: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200: 바디 클램프 210a,210b: 제1 및 제2 클램프
212a,212b: 제1 및 제2 절개 홈 222a,222b: 반원형 테두리
230a: 돌출부 230b: 오목부
234: 고정 볼트 250: 호형 외주면 플랜지
252: 끼움 모서리 260: 끼움홈
300: 장착 브라켓 310a,310b: 제1 및 제2 브라켓
312: 고정 볼트 320a,320b: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400: 스토퍼 410: 회전핀
420a,420b: 제1 및 제2 연결대 430a,430b: 제1 및 제2 돌기
d: 간격 P: 회전 중심축
r,R: 회전 반경 S: 마찰면
t: 두께 θ: 회전 각도

Claims (7)

  1.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고정 구조물에 장착시키는 브라켓 장치에 있어서,
    바 타입 이오나이저가 내부에 끼워 고정되고,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갖는 바디 클램프;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에워싸서 상기 바디 클램프가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원형 가이드 레일을 하부면에 내장하고, 상부면은 고정 구조물에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에 걸려서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한 상기 바디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바 타입 이오나이저의 회전 중심축을 상기 바디 클램프내에 형성시키고, 회전 반경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클램프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고정시키는 제1 절개 홈을 형성한 반원형 테두리의 제1 클램프 및 제2 절개 홈을 형성한 반원형 테두리의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제2 클램프와의 결합면 양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1 클램프와의 결합면 양측에 상기 돌출부에 일치하여 결합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를 관통하여 고정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절개 홈내에 바 타입 이오나이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클램프는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들이 상호 결합하여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호형 외주면 플랜지는 그 양측 테두리에 각각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끼움홈을 나란하게 형성하며,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돌출된 돌기들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해 상기 바디 클램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좌우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바디 클램프를 원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그 결합면을 횡으로 관통하여 고정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내에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와 동일한 원형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상부면은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 하부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마찰면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클램프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일측에 호형 외주면 플랜지가 생략된 끼움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모서리는 그 두께가 장착 브라켓의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의 사이 간격에 일치함으로써, 상기 제2 클램프의 끼움 모서리를 상기 장착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사이 간격에 밀어 넣으면, 상기 제2 클램프의 끼움 모서리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의 사이로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바디 클램프를 회전시키면, 호형 외주면 플랜지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내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에 걸리게 되어 상기 바디 클램프가 상기 장착 브라켓에 별도의 공구 없이 삽입되고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회전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바디 클램프의 호형 외주면 플랜지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 돌기들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한 상기 바디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KR1020120132286A 2012-11-21 2012-11-21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KR10142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86A KR101421012B1 (ko) 2012-11-21 2012-11-21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86A KR101421012B1 (ko) 2012-11-21 2012-11-21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748A KR20140065748A (ko) 2014-05-30
KR101421012B1 true KR101421012B1 (ko) 2014-07-23

Family

ID=5089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86A KR101421012B1 (ko) 2012-11-21 2012-11-21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088A (ko) 2019-09-17 2021-03-26 (주)선재하이테크 이온 밸런스의 감시 및 이온 밸런스의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한 바 타입 이오나이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97A (ko) * 2016-11-22 2018-05-30 (주)선재하이테크 정전기 제거 장치의 탈착이 용이한 브라켓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76B1 (ko) * 2007-05-17 2009-02-23 (주)선재하이테크 피에조 세라믹 소자를 이용한 막대형 정전기 제거 장치
JP2010218695A (ja) * 2009-03-13 2010-09-30 Omron Corp バー型イオナイザ取り付け具およびバー型イオナイザの取り付け方法
KR101146621B1 (ko) * 2009-09-18 2012-05-16 (주)동일기연 코로나 방전원리가 사용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76B1 (ko) * 2007-05-17 2009-02-23 (주)선재하이테크 피에조 세라믹 소자를 이용한 막대형 정전기 제거 장치
JP2010218695A (ja) * 2009-03-13 2010-09-30 Omron Corp バー型イオナイザ取り付け具およびバー型イオナイザの取り付け方法
KR101146621B1 (ko) * 2009-09-18 2012-05-16 (주)동일기연 코로나 방전원리가 사용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088A (ko) 2019-09-17 2021-03-26 (주)선재하이테크 이온 밸런스의 감시 및 이온 밸런스의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한 바 타입 이오나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748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012B1 (ko)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TW200307637A (en) Conveying device
WO2016094972A1 (pt) Sistema de aterramento de mancais de máquinas elétricas girantes e máquina elétrica correspondente
KR101608625B1 (ko) 위치 결정 장치
JP4280481B2 (ja) 基板支持装置
US11698167B2 (en) Display fixing apparatus
KR20110028641A (ko) 외연 맞물림 전극 캐리어 및 이를 통합한 어셈블리
CN102996523A (zh) 散热风扇
KR200382821Y1 (ko) 이송롤러와 베어링의 고정클립
WO2019242247A1 (zh) 布线结构及具有其的机器人
KR20140090445A (ko) 기판 처리 장치
EP3457200B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180324984A1 (en) Installation tool for flexible elements
CA2844213C (en) Retaining spring nutplate
US10458633B1 (en) Deformable and quick-installation illumination lamp
WO2020034504A1 (zh) 轴承胶圈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220094259U (zh) 一种磨轮法兰防护罩、磨轮组件和研磨设备
CN109153515A (zh) 引导辊和基板输送装置
KR20130133551A (ko) 보조 반송롤러 유닛
JP2001174050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50133967A (ko) 기판 스피닝 장치의 회전 지지대
KR200394211Y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817958B1 (ko) 롤러용 이물질제거 장치
KR102008142B1 (ko) 기판 이송 장치의 원터치 캡 결합형 베어링 홀더
JP2019113136A (ja) カップリングガードおよび機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