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428A - 박스 - Google Patents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428A
KR20100063428A KR1020080121943A KR20080121943A KR20100063428A KR 20100063428 A KR20100063428 A KR 20100063428A KR 1020080121943 A KR1020080121943 A KR 1020080121943A KR 20080121943 A KR20080121943 A KR 20080121943A KR 20100063428 A KR20100063428 A KR 20100063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ing
fastening
coupling portion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3428A/ko
Publication of KR2010006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제1커버(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1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결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10)의 일측에는 제2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버(3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결합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차폐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의 일측에는 지지결합부(20)가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결합부(20)는 상기 체결차폐부(4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2)와 상기 체결차폐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차폐부(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10) 및 상기 제2커버(30)의 사이를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버(10)의 결합부(12)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결합부(20)가 결합부(12)와 체결차폐부(40)의 결합을 고정시켜 제1커버(10)와 제2커버(30)를 체결하는 것과 동시에 결합부(12)와 체결차폐부(4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므로, 제1커버(10)나 제2커버(30)에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제1커버(10)와 제2커버(30)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박스, 커버, 결합, 결합부, 체결차폐부

Description

박스{Box}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각종 전장품이 구비되는 퓨즈박스나 정션박스와 같은 박스에서 외관을 구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구비되는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조인트박스, 퓨즈박스, 또는 정션박스 등의 다양한 박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퓨즈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이를 위해 퓨즈박스의 내부에는 많은 퓨즈와 릴레이 그리고 전자부품들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제1커버(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1)는 상부로 개구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져, 그 내부에 퓨즈나 릴레이 등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제1커버(1)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결합부(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버(6)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제2커버(6)를 향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에는 걸이공(미도시)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차폐부(7)의 걸림턱(9)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커버(1)의 일측에는 제2커버(6)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버(6)는 상기 제1커버(1)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1)의 상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버(6)는 상기 제1커버(1)와 같이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6)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결합부(3)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차폐부(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차폐부(7)는 상기 결합부(3)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차폐부(7)의 외관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차폐부(7)에는 결합부(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공간(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7')은 상기 결합부(3)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결합부(3)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차폐부(7)에는 체결레버(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8)는 상기 제2커버(6)의 외면과 평행하게 상기 제1커버(1)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8)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상기 체결차폐부(7)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8)의 선단에는 걸림턱(9)이 형성된 다. 상기 걸림턱(9)은 상기 제2커버(6)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9)은 상기 결합부(3)의 걸이공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8)는 상기 제2커버(6)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결합부(3)의 걸이공에 걸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커버(1)와 제2커버(6) 사이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차폐부(7)의 체결레버(8)를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겨 상기 체결레버(8)의 걸림턱(9)과 상기 결합부(3)의 걸이공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 후에 상기 제2커버(6)를 제1커버(1)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체결레버(8)를 상기 제2커버(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탄성변형시키게 되면, 도 2에 과장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8)가 소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커버(1)와 제2커버(6)를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레버(8)는 제역할을 더이상 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2커버(6)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8)는 상기 제2커버(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3)로부터 임의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와 체결차폐부(7)를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체결차폐부(7)의 체결레버(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체결레버(8)를 상기 결합부(3)의 걸이공에 걸어야 하므로, 상기 제1커버(1)와 제2커버(6)를 결합시키기 위 한 삽입력이 커지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레버 필요없이 결합부와 체결차폐부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는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일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의 일면을 차폐하는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일측의 외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제1커버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며, 걸이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제1커버 중 어느 일측의 외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체결차폐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나 그에 인접한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차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체결차폐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차폐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를 체결시키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단 가장자리나 그에 인접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레그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결합부의 양단은 상기 체결차폐부의 양측면에 상기 체결차폐부의 삽입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공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지지결합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차폐부의 표면과 밀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차폐부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바;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걸이바가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의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바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체결턱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의 선단 사이의 폭은 상기 체결차폐부의 양측면 사이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손잡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의 외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커버에 형성된 결합부와 제2커버의 체결차폐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지지결합부가 상기 체결차폐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와 체결차폐부의 결합을 고정시켜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체결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와 체결차폐부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제1커버나 제2커버에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1커버의 결합부와 제2커버의 체결차폐부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결합부에 의해 결합이 고정되므로, 상기 결합부와 체결차폐부를 결합하기 위해 탄성력을 극복해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삽입력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제1커버(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1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는 상부로 개구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져, 그 내부에 퓨즈나 릴레이 등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제1커버(1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결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버(3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차폐부(40)의 삽입공간(40')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제2커 버(30)를 향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에는 걸이공(13)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결합부(20)의 걸이턱(26)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공(13)의 내면은 지지결합부(20)의 걸이턱(2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레그(1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레그(15)는 상기 결합부(12)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상기 결합부(12)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레그(15)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레그(15)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결합부(20)와 상기 결합부(12)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레그(15)는 지지결합부(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레그(15)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지지결합부(20)는 상기 연결레그(15)를 중심으로 체결차폐부(40)의 표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쉽게 접히게 된다.
상기 결합부(12)의 일측에는 지지결합부(2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결합부(20)는 상기 연결레그(15)에 의해 상기 결합부(12)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결합부(20)는 상기 제1커버(10)에 제2커버(3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결합부(20)는 상기 결합부(12)와 체결차폐부(4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골격은 지지플레이트(2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는 상기 결합부(12)와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는 상기 결합부(12)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 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는 체결차폐부(40)의 표면과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양측에는 걸이바(2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바(23)는 외팔보와 같은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제2커버(30)의 체결차폐부(4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바(23)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바(23)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제2커버(30)의 체결차폐부(40)가 상기 결합부(12)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바(23)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에 걸어져 상기 지지결합부(20)와 제2커버(3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바(23)의 선단에는 체결턱(2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4)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4)은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제2커버(30)에 상기 지지결합부(2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체결턱(24) 사이의 폭(D)은 체결차폐부(40)의 양측면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는 상기 지지결합부(20)가 체결차폐부(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턱(24)이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체결턱(24)은 상기 지지결합부(20)와 체결차폐부(4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원형으로 복원되는 것이 다.
상기 체결턱(24)의 외면에는 경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4')은 상기 체결턱(24)의 선단을 향할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4')은 상기 체결턱(24)이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을 원활하게 걸어지도록 체결차폐부(40)의 양측 외면을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외면에는 걸이턱(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6)은 상기 걸이바(2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6)은 상기 걸이바(23)가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6)은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상기 결합부(12)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26)의 선단에는 고정돌기(27)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7)는 상기 걸이턱(26)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선단을 향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7)는 상기 걸이턱(26)이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에 결합될 때, 상기 걸이공(13)의 내면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고정돌기(27)의 외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정돌기(27)가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에 걸어질 때나 상기 걸이공(13)으로부터 분리될 때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턱(26)에는 안내경사면(2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7')은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과 마주보는 일면에 선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7')은 상기 걸이턱(26)이 상기 결합부(12)의 걸이 공(13)에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손잡이부(29)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9)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9)의 외면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표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부(29)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걸이턱(26) 및 상기 걸이바(23)를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 및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체결차폐부(4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상기 제1커버(10)의 일측에는 제2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버(30)는 상기 제1커버(10)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10)의 일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버(30)는 상기 제1커버(10)와 같이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3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결합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차폐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차폐부(40)는 상기 제2커버(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차폐부(40)는 상기 결합부(12)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차폐부(40)의 외관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차폐부(40)에는 상기 결합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공간(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차폐부(40)의 내면은 상기 결합부(12)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2)를 감싸게 된다.
상기 체결차폐부(40)에는 간섭회피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42)는 상기 지지결합부(2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42)는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42)는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걸이턱(26)이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에 걸어질 때, 상기 체결차폐부(40)에 의해 상기 걸이턱(26)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체결차폐부(40)에는 체결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4)은 상기 체결차폐부(40)의 양측면에 상기 삽입공간(40')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4)은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걸이바(23)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결합부가 체결차폐부에 결합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화살표는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30)의 결합방향을 표시한 것으로, 상기 제2커버(30)가 상기 제1커버(1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커버(10)에 상기 제2커버(30)를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커버(30)를 상기 제1커버(10)를 향해 눌러주면, 상기 체결차폐부(40)의 삽입공간(40')의 내부로 상기 결합부(12)가 삽입된다. 이때, 상 기 결합부(12)와 체결차폐부(40)를 결합하기 위해 탄성력을 극복해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삽입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차폐부(40)와 상기 결합부(12)가 결합하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지지결합부(20)를 파지하여 상기 체결차폐부(40)를 향해 도 5a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결합부(20)의 지지플레이트(22)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부(1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레그(15)가 상기 체결차폐부(40)의 표면에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레그(15)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차폐부(40)의 표면을 향해 원활하게 접혀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2)는 상기 체결차폐부(40)와 상기 결합부(12)가 결합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차폐부(40)의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상기 체결차폐부(40)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상기 체결차폐부(40)를 향해 누르게 되면,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걸이턱(26)이 안내경사면(2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에 삽입되고, 상기 걸이바(23)의 체결턱(24)의 경사면(24')이 상기 체결차폐부(40)의 양측 외면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걸이바(2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결합부(20)를 상기 체결차폐부(40)를 향해 누르게 되면, 상기 걸이바(23)의 체결턱(24)은 상기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공(44)의 가장자리에 걸어지고 상기 걸이바(23)는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결합부(20)의 지지플레이트(2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와 마주보는 상기 체결차폐부(40)의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걸이턱(26)에 형성된 고정돌기(27)는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의 내면 가장자리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커버(30)를 상기 제1커버(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커버(30)의 체결차폐부(40)에 상기 지지결합부(20)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2커버(30)와 상기 제1커버(10)를 체결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30) 사이에 상대적으로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30)의 결합이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상기 체결차폐부(40)와 결합된 상기 결합부(12)를 상기 체결차폐부(40)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결합부(20)의 손잡이부(29)를 파지하여 상기 지지결합부(20)를 상기 체결차폐부(4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9)를 당기게 되면,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걸이바(23)는 탄성변형 되면서 상기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지지결합부(20)의 걸이턱(26)은 상기 결합부(12)의 걸이공(13)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결합부(20)를 상기 체결차폐부(40)로부터 분리한 상태 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1커버(10)를 상기 제2커버(3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1커버(10)를 상기 제2커버(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극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제1커버(10)를 제2커버(3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결합부(20)에는 걸이턱(26)이 형성되어 결합부(12)의 걸이공(13)에 걸어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결합부(20)에 걸이턱(26) 없이 지지결합부(20)의 걸이바(23)가 체결차폐부(40)의 체결공(44)에 걸어지는 것 만으로도 결합부(12)와 체결차폐부(40)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커버(10)에는 지지결합부(20)가 형성되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제2커버(30)에는 체결차폐부(40)가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커버(10)에 체결차폐부(40)가 형성되고 제2커버(30)에 지지결합부(20)가 형성된 결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결합부(20)는 결합부(1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레그(15)에 의해 연결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결합부(20)은 결합부(12)의 하단 가장자리와 인접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레그(15)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결합부가 체결차폐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커버 12: 결합부
13: 걸이공 15: 연결레그
20: 지지결합부 22: 지지플레이트
23: 걸이바 24: 체결턱
24': 경사면 26: 걸이턱
27: 고정돌기 27': 안내경사면
29: 손잡이부 30: 제2커버
40: 체결차폐부 40': 삽입공간
42: 간섭회피부 44: 체결공

Claims (8)

  1.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일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의 일면을 차폐하는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일측의 외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제1커버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며, 걸이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제1커버 중 어느 일측의 외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체결차폐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나 그에 인접한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차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체결차폐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차폐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를 체결시키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단 가장자리나 그에 인접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레그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부의 양단은 상기 체결차폐부의 양측면에 상기 체결차폐부의 삽입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공에 걸어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차폐부의 표면과 밀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차폐부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바;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걸이바가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의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바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체결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턱의 선단 사이의 폭은 상기 체결차폐부의 양측면 사이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손잡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박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외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KR1020080121943A 2008-12-03 2008-12-03 박스 KR20100063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943A KR20100063428A (ko) 2008-12-03 2008-12-03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943A KR20100063428A (ko) 2008-12-03 2008-12-03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428A true KR20100063428A (ko) 2010-06-11

Family

ID=4236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943A KR20100063428A (ko) 2008-12-03 2008-12-03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3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3772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JP2013059138A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組立部品
KR20100063428A (ko) 박스
KR100970274B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100001181U (ko) 차량용박스
KR20110017261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JP2019004639A (ja) 電気接続箱
KR200431758Y1 (ko) 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KR100995277B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20100070137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2528Y1 (ko)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20100043995A (ko) 박스
KR200439566Y1 (ko) 정션박스의 커버
JP2011229302A (ja) ケース
KR200449876Y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100058214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100944013B1 (ko) 박스
JP5798499B2 (ja) 電気接続箱
KR100773836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0874971B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럭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