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015A -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 Google Patents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015A
KR20100062015A KR1020080120416A KR20080120416A KR20100062015A KR 20100062015 A KR20100062015 A KR 20100062015A KR 1020080120416 A KR1020080120416 A KR 1020080120416A KR 20080120416 A KR20080120416 A KR 20080120416A KR 20100062015 A KR20100062015 A KR 2010006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efibrillator
controller
pati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421B1 (ko
Inventor
강구현
Original Assignee
휴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4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제세동기의 사용방법을 동영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을 통해 환자에게 전기적인 쇼크를 전달하도록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사용방법 및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제어부; 동영상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동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세동기의 작동방법 및 응급조치 방법 등을 동영상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서도 구조자의 올바른 사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응급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AUTOMATIC DEFIBRILLATOR INCLUDE MOVING PICTURE ANNOUNCEMENT FUNCTION}
본 발명은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제세동기의 사용방법을 동영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연사는 2분마다 1명이 사망하는 사망의 주요한 원인이다. 대부분의 돌연사는 심실의 세동(줄여서"VF"라고 함)에 의해 초래되며, 이는 심장의 근육섬유가 조정없이 수축되므로, 이에 의하여 몸에 대한 정상적인 피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VF에 대하여 유일하게 알려진 효과적인 치료법은 전기적인 심실제세동이며, 전기적 펄스가 환자의 심장에 적용된다. 전기적 펄스는 환자가 생존의 합리적인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VF의 개시 후, 짧은 시간이내에 전달되어야만 한다. 전기적 심실제세동은 또한 쇼크적인 심실의 빈맥(줄여서 "VT"라고 함)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심실제세동은 어떤 쇼크상태인 리듬, 예들 들면 VF 혹은 쇼크적인 VT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이다.
이러한 전기적인 심실제세동을 제공하는 방법은 체외형 심실제세동기를 이용 하는 것이다. 체외형 심실제세동기는 전기적인 펄스를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통하여 환자의 심장에 보낸다. 체외형 심실제세동기는 일반적으로 병원 응급실, 수술실, 또는 응급 의학 차량에 구비되고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체외형 심실제세동기들 중에서, 체외형 자동/반자동 심실제세동기(AED)는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왜냐하면, 이들이 비교적 경험이 없는 의료인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경중량이고, 컴팩트하며,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AED는 환자에게 심실제세동이 필요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등을 자동적으로 분석한 후, 환자에게 심실제세동 쇼크를 가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자동적로 동작하게 된다. 그에 따라 환자의 호전정도에 따라 반복해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황에 따라 환자에게 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기술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응급구조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AED는 정식 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기술을 훈련받지 못한 초보 구조자에 의하여 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AED는 응읍환자의 병원 이송 전에 사용될 경우, 구조자는 심실제세동으로 훈련된 응급처치사, 경찰, 항공기 승무원, 경비원, 직업 간호사, 소방대원을 포함한다. 또, ACLS를 익힌 숙련된 구조자에 의해서 병원영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AED는 일반인 또는 미숙련 구조자에게 정확한 사용법을 스피커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AED는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었을 경우 소리를 통해 발생되는 사용방법을 구조자가 바르게 인지할 수 없었을 뿐만아니라 미숙련자의 오 작동으로 사용상의 많은 문제를 빈번히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전기적 충격이 전달되는 상황에서는 정확한 안전사항을 지켜야 구조자, 일반인, 주변인들의 안전이 보장되기에 이러한 상황에 대한 안전안내문을 시각과 청각적으로 전달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세동기의 작동방법 및 응급조치 방법 등을 동영상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된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는 전극을 통해 환자에게 전기적인 쇼크를 전달하도록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사용방법 및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제어부; 동영상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동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는, 동영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와 연동되는 소리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영상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영상과 연동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따라 전극에 인가될 전원의 충진 및 방전을 실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따라 임피던스 신호를 전극에 인가하여 되돌려 받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전극이 환자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세동기의 작동방법 및 응급조치 방법 등을 동영상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서도 구조자의 올바른 사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응급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심정지 상황에서 일반인의 자동제세동기 사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제세동을 안전하게 실행하게 되고, 소음이 있는 상황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해야 할일에 대한 안내로 환자 처치에 도움을 주고, AED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도 사용가능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5)(AED)의 외부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세동기(5)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전극(2)과, 제세동기(5)를 조작하기위한 스위치(1) 및 전극(2)을 통해 감지되는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등의 환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세동기(5)는 전극(2)을 통해 환자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여 제세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세동에 대한 동작 및 구성은 당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세동기(5)는 하우징에 구성된 표시부(3)를 통해 사용방법 및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미숙한 구조자 또는 일반인인 경우에도 제세동기(5)를 사용하여 읍급환자에게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물론, 주변 소음이 많더라도 구조자에게 동영상으로 사용방법 등을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확실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 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5)는 제어부(10), 전원부(30), 감지부(20), 동영상제어부(50), 메모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는 전극(2)을 통해 환자에게 전기적인 쇼크를 전달하도록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0)는 제세동기(5)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기반 제어시스템을 탑제하고 있다. 제어부(10)는 제세동기(5)의 하우징에 구비된 스위치(1)의 조작에 따라 전극(2)과 연결된 감지부(20)를 통해 환자상태를 판단하고, 충진된 전원을 공급하는 하술된 전원부(30)를 제어하여 전극(2)으로 전기펄스를 공급하게 된다. 물론, 제어부(10)는 제세동기(5)의 모든 작동을 기설정된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운영프로그램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를 이용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3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 카트리지와 같은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을 충전 및 방전하는 구성을 포함하게 된다. 그래서 전원부(30)는 제어부(10)의 동작신호에 따라 전원의 충진 및 전원 방전 등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부(20)는 전극(2)에 연결되며 임피던스 신호 등을 전극(2)에 인가하여 되돌려 받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전극(2)이 환자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감지부(20)는 전극(2)이 환자에게 완전하게 부착된 상태라면 비교적 높은 저항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감지부(20)는 심실제세동이 필요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0)는 전극(2)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감지부(20)로부터 입력받고 이를 근거로 환자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감지부(20)는 감지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필터 및 증폭부 등를 포함하여 환자의 ECG 또는 심장리듬(Cardiac rhythm)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영상제어부(50)는 제어부(10)의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사용방법 및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동영상제어부(50)는 제어부(10)의 동작신호에 연동하여 제세동기(5)의 동작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동영상을 출력하여 제세동기(5)의 사용을 안내하게 된다. 동영상제어부(50)는 제어부(10)의 동작신호를 입력받아서 구동개시된다.
메모리(40)는 표시부(3)를 통해 표시될 사용방법 및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저장하게 된다. 메모리(40)에는 소리 데이터(예컨데, 음성, 효과음 등) 동영상 데이터(예컨데, 스틸사진, 동영상 등)를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동영상제어부(50)는 메모리(40)에서 동영상과 함께 소리를 함께 검색하여 스피커(4)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방법 및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동영상은 분석시 주의 사항, Shock시 주의 사항, Shock이후 처치 사항 등을 포함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의 동작을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동일한 부호는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5)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세동기(5) 하우징에 구비된 스위치(1)를 조작하여 전원을 온 시키면 제어부(10)는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제세동을 위한 준비를 개시하게 된다(S10). 그러면 제어부(10)의 동작신호에 의해서 동영상제어부(50)는 동작이 개시된다.
그러면, 동영상제어부(50)는 전극(2)을 환자 가슴에 부착하는 동영상을 메모리(40)로부터 검색하여 표시부(3)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S100). 물론, 동영상제어부(50)는 전극(2)을 환자 가슴에 부착하는 동영상과 연동되는 음향효과를 메모리(40)로부터 검색하여 스피커(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을 환자의 가슴에 부착한다" 등.
이때, 제어부(10)는 감지부(2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서 환자의 가슴에 전극(2)이 정상적으로 놓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된다. 이러한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전극(2)이 환자의 몸에 정확히 위치됨을 가리키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만일 제어부(10)는 정확한 감지신호(예컨데, 기설정 임피던스 또는 감지펄스 등)가 측정되지 않으면, 동영상제어부(50)에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동영상제어부(50)는 상술한 전극(2)을 환자 가슴에 부착하는 동영상 및 음향을 재차 출력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10)는 감지부(2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 중 심전도 신호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한다(S20).
그래서, 제어부(10)는 환자의 상태를 심실세동, 빈맥 등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심실세동 또는 빈맥인 경우 제세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부(30)를 통해 고전압이 충전되도록 한다(S30). 이때, 동영상제어부(50)는 제어부(10)의 동작신호에 의해 접근경고에 대한 동영상을 메모리(40)에서 검색하여 표시부(3)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S120). 물론, 동영상제어부(50)는 접근경고에 대한 동영상과 연동되는 음향효과를 메모리(40)로부터 검색하여 스피커(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를 건드리지 마세요" 등. 이처럼 본 발명은 전기적 충격이 전달되는 상황에서는 정확한 안전사항을 지켜야 구조자, 일반인, 주변인들의 안전이 보장되기에 이러한 상황에 대한 안전안내문을 시각과 청각적으로 전달해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전원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완료를 알리고 스위치(1)를 조작하도록 요청하여 전극(2)을 통해 환자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여 제세동하게 된다. 그러면, 동영상제어부(50)는 동작스위치(1)를 조작하는 동영상을 메모리(40)에서 검색하여 표시부(3)로 출력한다. 이러한 제세동은 환자상황에 따라 3회까지 진행되게 된다.
만약, 제어부(10)는 환자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심실세동 또는 빈맥이 아닌 다른 상태(예컨대, 비쇼크적인 심장리듬 등)이면 제세동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동영상제어부(50)는 제어부(10)의 동작신호에 의해 심폐소생술 동영상을 메모리(40)에서 검색하여 표시부(3)를 통해 출력한다. 물론, 스피커(4)를 통해 "CPR를 실행한다" 등의 음향효과를 함께 내보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세동기의 동작시 조작자의 수동조작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황에 따라서 제세동기는 자동적으로 구동되고 그에 따라 요구되는 안내동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게되는 것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세동기의 작동방법 및 응급조치 방법 등을 동영상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서도 구조자의 올바른 사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응급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심정지 상황에서 일반인의 자동제세동기 사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제세동을 안전하게 실행하게 되고, 소음이 있는 상황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해야 할일에 대한 안내로 환자 처치에 도움을 주고, AED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도 사용가능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스위치 2 : 전극
3 : 표시부 4 : 스피커
5 : 제세동기 10 : 제어부
20 : 감지부 30 : 전원부
40 : 메모리 50 : 동영상제어부

Claims (5)

  1. 전극을 통해 환자에게 전기적인 쇼크를 전달하도록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사용방법 및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제어부;
    상기 동영상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동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동영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와 연동되는 소리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영상과 연동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에 인가될 전원의 충진 및 방전을 실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따라 임피던스 신호를 상기 전극에 인가하여 되돌려 받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극이 환자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KR1020080120416A 2008-12-01 2008-12-01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KR10106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16A KR101069421B1 (ko) 2008-12-01 2008-12-01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16A KR101069421B1 (ko) 2008-12-01 2008-12-01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015A true KR20100062015A (ko) 2010-06-10
KR101069421B1 KR101069421B1 (ko) 2011-09-30

Family

ID=4236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416A KR101069421B1 (ko) 2008-12-01 2008-12-01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36B1 (ko) * 2010-10-22 2011-06-28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118182B1 (ko) * 2011-04-08 2012-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 환자 구조요청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휴대형 단말기용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140B1 (ko) * 2018-11-15 2021-02-01 정재동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685A (en) 1996-06-24 1999-06-22 Hutchins; Donald C. CPR computer aiding
WO2000030712A1 (en) * 1998-11-20 2000-06-02 Medtronic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 Visual and aural user interface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O2005082454A1 (en) * 2004-02-19 2005-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audible information prompts from an external defibrillator
KR100740766B1 (ko) 2006-05-08 2007-07-19 허대수 니들을 이용한 심폐소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36B1 (ko) * 2010-10-22 2011-06-28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118182B1 (ko) * 2011-04-08 2012-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 환자 구조요청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휴대형 단말기용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421B1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3887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нешний дефибриллятор с увеличенным временем проведения слр
US11103718B2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230404847A1 (en) Mobile device control
US11160991B2 (en) Medical device with lack-of-readiness alarm
JP6196609B2 (ja) ユニバーサルaedトレーニング・アダプター
US20180342319A1 (en) Single use aed
US20080103402A1 (en) Motion detection system for an external defibrillator
JP6532859B2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における意図しない電池切れの防止
JP2009045485A (ja) 除細動ショックまでの遅延が最小化された心肺蘇生を実行する除細動器
US63143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inactivating AED functionality
JP2016526975A (ja) 灌流モニタを備える統合蘇生装置及び方法
WO2009147678A2 (en) Pocket defibrillating system
KR101069421B1 (ko)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WO2023108042A1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CN112839576B (zh) 心肺复苏指导方法、指导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38084B2 (en) External defibrillator pads with visual CPR feedback indicator
WO2018109145A1 (en) Context sensitive help function for medical device monitor/defibrillators
US20220257961A1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Power Supply Adapted for Non-Clinical Use
KR102211140B1 (ko)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WO2007053820A1 (en) Motion detection system for an external defibril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