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140B1 -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 Google Patents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140B1
KR102211140B1 KR1020180140592A KR20180140592A KR102211140B1 KR 102211140 B1 KR102211140 B1 KR 102211140B1 KR 1020180140592 A KR1020180140592 A KR 1020180140592A KR 20180140592 A KR20180140592 A KR 20180140592A KR 102211140 B1 KR102211140 B1 KR 10221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gnal
display unit
disabled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655A (ko
Inventor
정재동
Original Assignee
정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동 filed Critical 정재동
Priority to KR102018014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1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을 받지 못해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는 비장애인과,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 모두 손쉽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는 전기적 쇼크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패드를 구비하는 출력부,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내측면에 사용 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패널이 구비되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Monitor type defibrillator}
본 발명은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육을 받지 못해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는 비장애인과,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쟁애인 모두 손쉽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동영상 출력이 가능한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 40 대의 돌연사 원인의 1위는 심장질환이다. 특히, 급성 심장질환 중 대표적인 것이 심근경색이다. 일단 심근경색이 생기면 환자의 55% 정도는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사망한다. 심장마비는 암 등 기타 질병과 달리 산소 부족으로 뇌 손상이 되는 5분 이내에 기초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목격자, 구급대원 등의 교육/인식 부족으로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뤄지는 경우가 3~4%에 머물러 있다. 이 때문에 살 수 있는 환자들이 허망한 죽음을 맞거나, 살더라도 뇌 손상 등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그런데 심장질환은 환자 및 환자의 주변인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게 대부분이고, 특히 갑자기 심장질환이 발생할 경우 환자 본인이 직접 병원의 응급실 또는 119 등에 구조 요청을 하게 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에는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의료기기인 자동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AED)가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응급 상황 발생시 누구나 손쉽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동 제세동기는 급심정지 환자의 심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전기 충격이 필요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음성 메시지 등으로 안내하여 비의료인 또는 비전문가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응급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 제세동기는 환자에게 심실제세동이 필요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등을 자동적으로 분석한 후, 환자에게 심실제세동 쇼크를 가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자동적로 동작하게 된다. 그에 따라 환자의 호전정도에 따라 반복해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황에 따라 환자에게 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기술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응급구조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제세동기는 정식 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기술을 훈련받지 못한 초보 구조자에 의하여 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자동 제세동기는 응읍환자의 병원 이송 전에 사용될 경우, 구조자는 심실제세동으로 훈련된 응급처치사, 경찰, 항공기 승무원, 경비원, 직업 간호사, 소방대원을 포함한다. 또, ACLS를 익힌 숙련된 구조자에 의해서 병원영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자동 제세동기는 일반인 또는 미숙련 구조자에게 정확한 사용법을 스피커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제세동기는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었을 경우 소리를 통해 발생되는 사용방법을 구조자가 바르게 인지할 수 없었을 뿐만아니라 미숙련자의 오작동으로 사용상의 많은 문제를 빈번히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의 AED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 방법을 안내하기 때문에 청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과,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는 비장애인 모두 손쉽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동영상 출력이 가능한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는 전기적 쇼크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패드를 구비하는 출력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내측면에 사용 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개폐하며, 열림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며, 닫힘 동작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손쉬운 전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표시부는 열림 동작 신호, 상기 출력부의 부착 신호, 상기 패드의 신체 부착 신호로부터 감지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단계별로 동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는 표시부를 통해 사용 방법에 관한 동영상을 음성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받지 못해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는 비장애인과 소리를 듣지 못하는 비장애인 모두 손쉽게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는 표시부의 열림 동작과 함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동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제세동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하여 긴급 상황의 환자에게 빠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는 버튼부와 이웃하게 점자를 형성함으로써, 동영상을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도 음성과 점자를 통해 손쉽게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제세동기가 사용되는 상황은 아주 긴급한 상황이며,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환자에게 제세동을 실시하여야 한다. 공공 장소에 비치된 제세동기는 전문가가 아니고 비전문가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비전문가 중에서도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성 안내에 따라 각종 버튼 등을 확인하고 단계별로 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포함하는 전문가와 비전문가 모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는 본체(10), 버튼부(20), 출력부(30) 및 표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전기적 쇼크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표시부(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는 판 형태의 육면체, 원통체 등 상부면에 표시부(40)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일단부가 표시부(40)와 힌지 결합되어 표시부(40)를 지지 한 상태로 표시부(40)가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 상에는 버튼부(20)가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일측부에는 출력부(30)가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를 출력부(30)에 전달하는 포트(Port)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트는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버튼부(20)는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즉 버튼부(20)는 전기적 쇼크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데 버튼부(2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통해 전기적 쇼크 발생을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20)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점자는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과 이웃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30)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본체(10)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0)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패널(3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31)은 표시부(30) 내측면의 90% 이상을 차지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40)는 본체(10)에 구비되는 포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본체(1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패드(4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41)는 두개로 구비되어 상체를 노출시킨 후 우측 쇄골 아래쪽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좌측 유두 바깥쪽 아래의 겨드랑이 중앙선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패드(41)에는 각 패드의 부착할 위치가 표면에 그림 형태 또는 점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는 버튼부(20), 표시부(30), 출력부(40), 음성 출력부(50), 전원 공급부(60), 저장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20)는 표시부(3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30)는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는 본체(10)의 상부면을 개폐하며, 열림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며, 닫힘 동작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는 열림 동작 신호, 출력부(40)의 부착 신호로부터 감지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단계별로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0)는 본체(10)에 구비되는 포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탈부착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출력부(40)는 탈부착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함으로써, 표시부(30)가 동작에 따른 단계별 동영상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50)는 표시부(30)로부터 표시되는 동영상에 따른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출력부(50)는 제어부(8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0)는 제어부(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60)는 표시부(30)가 열림 동작을 수행하면 활성화 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표시부(30)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면 비활성화 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60)는 제어부(80)의 동작 신호에 따라 제세동을 위한 전원의 충전 및 전원 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부(60)는 별도의 전원 버튼에 의해 동작하지 않고, 표시부(30)의 열림 동작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환자에 대하여 최소한의 시간으로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저장부(7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70)는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의 구동을 위한 설정 데이터와, 동영상 및 동영상에 따른 음성을 저장하여, 제어부(80)의 제어 하에 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제어부(8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표시부(30)가 열림 동작을 수행하면, 전원 공급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표시부(30)에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는 표시부(30)가 열림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출력부(40)를 본체(10)의 포트에 결합하는 동작을 동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실제 촬영된 영상이거나, 시뮬레이션으로 제작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출력부(40)가 본체(10)의 포트에 결합되면, 패드(41)를 환자의 몸에 부착하는 동작을 동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환자의 몸에 패드(41)가 부착되면, 출력부(40)에 임피던스 신호 등을 인가하여 되돌려 받는 신호의 크기에 다라 패드(41)가 환자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0)는 패드(41)가 환자에게 완전히 부착되면 높은 저항을 감지하여 패드(41) 부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는 패드(41) 부착 여부가 감지되면, 심장 리듬 즉, 심전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심장 분석에 오류가 나지 않도록 환자에게 닿지 않도록 떨어져 있는 동영상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는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환자가 제세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0)는 감지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필터 및 증폭부 등를 포함하여 환자의 ECG 또는 심장리듬(Cardiac rhythm)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환자의 상태를 심실세동, 빈맥 등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심실제동 또는 빈맥인 경우 제세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 공급부(60)로 하여금 고전압이 충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0)는 사용자가 환자에게 닿지 않도록 떨어져 있는 동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전원 공급부(60)의 충전이 완료되면, 버튼부(20)에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동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환자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심실세동 또는 빈맥이 아닌 경우, 제세동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하는 동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는 표시부(30)를 통해 사용 방법에 관한 동영상을 음성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받지 못해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손쉽게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는 표시부(30)의 열림 동작과 함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동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제세동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하여 긴급 상황의 환자에게 빠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100)는 버튼부(20)와 이웃하게 점자를 형성함으로써, 동영상을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도 음성과 점자를 통해 손쉽게 사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본체 20 : 버튼부
30 : 표시부 31 : 패널
40 : 출력부 41 : 패드
50 : 음성 출력부 60 : 전원 공급부
70 : 저장부 80 : 제어부
100 :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Claims (4)

  1. 전기적 쇼크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패드를 구비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내측면에 사용 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개폐하며, 열림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닫힘 동작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표시부는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동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표시부는,
    열림 동작 신호, 상기 출력부의 부착 신호, 상기 패드의 신체 부착 신호로부터 감지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단계별로 동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KR1020180140592A 2018-11-15 2018-11-15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KR10221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92A KR102211140B1 (ko) 2018-11-15 2018-11-15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92A KR102211140B1 (ko) 2018-11-15 2018-11-15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55A KR20200056655A (ko) 2020-05-25
KR102211140B1 true KR102211140B1 (ko) 2021-02-01

Family

ID=7091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592A KR102211140B1 (ko) 2018-11-15 2018-11-15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1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734B2 (ja) * 1997-10-28 2001-04-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ホイール式連続押出装置
KR101069421B1 (ko) * 2008-12-01 2011-09-30 휴메드 주식회사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KR200479146Y1 (ko) * 2015-01-08 2015-12-24 (주)라디안 제세동기용 전극패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734U (ja) * 2009-06-01 2009-12-03 田中 正博 Aed(自動対外式除細動器)点字ブロック(点字シール)
KR101594750B1 (ko) * 2011-10-17 2016-02-17 주식회사메디아나 응급상황시 전문의료인과 자동연결되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734B2 (ja) * 1997-10-28 2001-04-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ホイール式連続押出装置
KR101069421B1 (ko) * 2008-12-01 2011-09-30 휴메드 주식회사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KR200479146Y1 (ko) * 2015-01-08 2015-12-24 (주)라디안 제세동기용 전극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55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8974A1 (en) Automated caregiving device with prompting based on caregiver progress
US11890257B2 (en) Automated resuscitation device with ventilation sensing and prompting
US7792577B2 (en) Defibrillators
JP2015506252A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のための2言語コントローラ
KR102211140B1 (ko) 장애인 겸용 자동 제세동기
KR20100062015A (ko)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JP2015509024A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用の言語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