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011A -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011A
KR20100062011A KR1020080120407A KR20080120407A KR20100062011A KR 20100062011 A KR20100062011 A KR 20100062011A KR 1020080120407 A KR1020080120407 A KR 1020080120407A KR 20080120407 A KR20080120407 A KR 20080120407A KR 20100062011 A KR20100062011 A KR 2010006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data
user
user terminal
targ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195B1 (ko
Inventor
마진석
김선자
함호상
김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195B1/ko
Priority to EP09172515.0A priority patent/EP2192525B1/en
Priority to JP2009238039A priority patent/JP5026491B2/ja
Priority to US12/581,425 priority patent/US8428370B2/en
Priority to CN2009101810876A priority patent/CN101753557B/zh
Publication of KR2010006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90Identifying an image sensor based on its outpu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2Recognising information on displays, dials, c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IT 기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종래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번거롭고 복잡하게 수행해야 했던 사용자 단말 판별 과정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Apparatus of provid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판별하여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도록 디지털 컨텐츠를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8-S-022-01, 과제명:서비스지향 맞춤형 모바일 미들웨어 기술 개발].
최근 대표적인 개인용 휴대 통신 장비인 휴대 전화에 각종 부가 기능이 다양한 형태로 탑재되고 있다. 휴대 전화는 이미 고화소 카메라폰, DMB(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 수신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특별히 기존에 스마트 폰 등이 가졌던 파일 뷰어나 텍스트 뷰어를 이미 탑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동영상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기능을 탑재한 휴대 전화는 이미 널리 사용하는 대표적인 모바일 장치가 되었다. 그리고, 최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는 본래의 동영상 및 음악 재생, 텍스트 뷰어, 네비게이션 기능 이외에 HSDPA 모뎀 또는 무선랜 디바이스 같은 무선 통신장치와 소프트웨어인 인터넷 브라우져(browser)를 탑재하여 인터넷으로 무선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 애플사에서 출시된 아이팟 터치(i-Pod touch)등도 다양한 동영상 및 음악 재생 기능, 슬라이드쇼 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적인 무선랜 기능을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파일 뷰어 등의 기본 기능을 가지는 개인용 미디어 재생장치와 향후 위의 기능을 포함하여 출현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통칭하여 PMS(Portable media system)라 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PMS는 매우 다양한 사양의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실제로 이의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SoC(System on Chi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사용되며 PMS의 사양에 따라 메인 메모리와 서브 메모리 또한 다양한 용량과 종류를 갖는다.
대표적으로 메인 메모리의 경우 SDRAM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서브 메모링의 경우 휘발성이 없는 플래시 메모리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플래시 메모리의 읽기/쓰기 속도는 SDRAM의 읽기/쓰기 속도에 대응할 수 없으므로 프로그램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SDRAM이 필요하며 두 개의 메모리 부 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의 성능향상이 이루어지면서 자연히 플래시 메모리만을 갖는 시스템이 출연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PMS는 매우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각각의 PMS제조회사나 사용 용도가 상이함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결과라 할 수 있다. 휴대전화의 경우에도 각 기종마다 매우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며 스마트폰이나 PDA의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휴대전화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임기나 PMP의 경우에는 각 기기의 제조회사에 따라 제품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매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PMS들은 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와 해상도, 컬러 레벨, 컴퓨팅 시스템의 재생 능력 등을 갖는다. 따라서, 현재 다양한 PM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기기의 정보를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자신의 PMS기기가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확보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모바일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A사의 PDA에서 재생 가능한 동영상은 B사가 제조한 PMP기기에서는 재생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각각의 PMS기기는 제조사 또는 기종에 따라 하드웨어적으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이를 운용하는 운영체제 또한 제조사 또는 기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PMS기기에서 멀티미디어 재생지원을 위하여 제공되는 코덱(codec)의 종류 또한 상이하며 최종적으로 계산된 영상을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와 사양이 서로 상이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각기 다른 PMS간에 사용가능한 컨텐츠의 호환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PMS에 적합한 컨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일이 자신이 보유한 PMS기기의 사양을 확인한 후, 사양에 적합한 컨텐츠 변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변환하여 컨텐츠를 확보하여야만 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PMS들은 다양한 기술적 진화 과정을 거치며 대중에게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현재 온라인 상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영화, 드라마, 뮤직 비디오, 전자책(e-book)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오프라인 상에서 PMS에 제공 또는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술한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운집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저장된 유선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중앙 서버로부터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별도의 패킷 사용료없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여준다. 때문에, 사용자는 기존에 이동 통신사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 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0), 제공 가능한 컨텐츠 내역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2),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16),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18),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의 컨텐츠 구매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정보(예컨대, 모델명)을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하여야 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의 기종이 다양하기 때문이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경우, 제조사 또는 모델(model)에 따라 LCD화면의 해상도가 800*600, 640*480, 320*240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원활하게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제공받는 컨텐츠를 각각의 단말에 적합하도록 트랜스코딩 등의 변환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다운로드받은 컨텐츠에 의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 리셋(reset)되거나 시스템이 다운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컨텐츠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랜스코딩 기술은 다양한 입력변수, 광범위한 동영상 코덱의 사용, DRM(Digital Right Management) 기술 등으로 인하여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장치는 각기 다른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사양을 갖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예컨대, 모델명)를 알아야만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사양은 미리 파악하여 알고 있음을 가정한다.
종래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전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즉, 사용자 단말의 사양(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사양)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단말의 모델명을 입력받거나 제조사별로 다양한 단말에 대한 정보(예컨대, 모델명)를 제시하고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단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알고 있기를 요구한다.
하지만, IT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자신이 소유한 단말에 대한 세부 정보를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도록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컨텐츠 구매를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자동으로 판별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장치 사 용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의 사용자 단말 판별 과정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기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기저장된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비교부;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단말 판별부를 구비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상기 영상 비교부는,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과 상기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상기 영상 비교부는, 상기 대상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 판별부에 전달하고, 상기 단말 판별부는,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단말의 확률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 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단말의 모델명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영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내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컨텐츠의 원본을 요청하는 다운로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이미지 압축 포맷, 상기 단말의 여유 저장공간 크기, 상기 단말의 화면 정보,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문서의 종류,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동영상 압축 형식, 상기 단말의 메인 메모리 크기, 상기 단말의 CPU정보, 상기 단말이 탑재하고 있는 플랫폼과 라이브러리 버젼 정보, 및 상기 단말이 탑재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 기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기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기저장된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기저장된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과 상기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상기 대상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확률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단말의 모델명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영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내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컨텐츠의 원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컨텐츠 구매시 최초로 수행하여야하는 사용자 단말 판별 과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즉, IT 기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종래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번거롭고 복잡하게 수행해야 했던 사용자 단말 판별 과정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효율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컨텐츠 제공 장치의 활성화를 통해 많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촬영부(210), 영상 처리부(220), 단말 데이터베이스(230), 영상 비교부(240), 단말 판별부(250), 상호 작용부(260), 제어부(270), 구동 제어부(275), 결제부(280), 네트워크 접속부(290), 무선 송수신부(300), 컨텐츠 변환부(310), 컨텐츠 변환부(320)를 구비한다.
촬영부(210)는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판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의 형상 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텐츠 제공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50)을 촬영한다. 촬영부(2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가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촬영부(210)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기설정된 포맷(format)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220)는 후술할 영상 비교부(240)에서 요구하는 포맷에 맞도록 디지털화된 영상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22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가능하고, 예컨대, 하드웨어인 프레임 그래버(Frame grabber)를 사용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단말 데이터베이스(230, 이하 '단말 DB')는 시중에 공개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영상 데이터 및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DB(230)는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이를 각각의 휴대용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예컨대, 모델명)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 DB(230)에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휴대용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음악 재생, 또는 파일 뷰어 등의 기능을 가지는 개인용 미디어 재생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영상 비교부(240)는 영상 처리부(220)으로부터 디지털화되고 기설정된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징점을 추출한다. 영상 비교부(240)는 영상 처리부(220)에서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한 특징점과 단말 DB(230)에 저장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특징점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단말(이하,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예컨대, 모델명)를 추출하고, 이를 단말 판별부(250)에 전달한다. 또한, 영상 비교부(240)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고 판단한 대상 단말과 사용자 단말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정보를 산출하여 단말 판별부(250)에 전달한다. 이때, 영상 비교부(240)는 사용자 단말의 영상 데이터와 단말 DB(230)에 저장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대상 단말을 판단하기 위해서 공지된 다양한 비교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 판별부(250)는 영상 비교부(240)로부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확률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판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판별부(250)는 영상 비교부(240)에서 사용자 단말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된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확률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식별 정보 및 확률 정보가 상호 작용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대상 단말로 판단된 휴대용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단말 DB(230)로부터 추가로 입력받아 상호 작용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호 작용부(26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이 사용자에게 출력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 판별부(250)는 영상 비교부(240)에서 판단한 대상 단말이 실제 사용자 단말과 일치하는지를 상호 작용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질의한다. 그리고, 단말 판별부(250)는 상호 작용부(260)를 통해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한다. 이때, 상호 작용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상 단말이 실제 사용자 단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즉, 디스플레이된 대상 단말 중 사용자 단말과 일치하는 단말이 없는 경우), 단말 판별부(250)는 제어부(270)에 사용자 단말을 재촬영하도록 요청한다.
구동 제어부(275)는 제어부(27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부(210)를 제어하여, 촬영부가(210)가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고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결제부(280)는 사용자가 구매한 컨텐츠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현금, 카드, E-머니, 핸드 폰 결제 등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과금이 가능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접속부(290)는 외부 중앙 서버 등과 같이 외부 저장 매체와 연결되어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하여 기존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망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300)는 사용자가 구입한 컨텐츠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나 무선랜인 와이파이(WiFi)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컨텐츠 변환부(310)는 제어부(27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기종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저장부(32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다. 예컨대, 컨텐츠 저장부(320)에는 동영상, 이미지, MP3 파일, 문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270) 및 컨텐츠 변환부(3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270)는 다운로드 관리부(272) 및 단말정보 관리부(274)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운로드 관리부(272)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다운로드 관리부(272)는 컨텐츠 변환부(31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운로드 관리부(272)는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 생략)에 컨텐츠의 원본을 요청하고, 이를 네트워크 접속부(290)를 통해 수신하여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컨텐츠 변환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단말정보 관리부(274)는 단말 판별부(250)에서 최종적으로 판별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한다. 해당 단말의 프로 파일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이미지 압축 포맷, 단말의 여유 저장공간 크기, 단말의 화면 정보, 단말이 지원하는 문서의 종류, 단말이 지원하는 동영상 압축 형식, 단말의 메일 메모리 크기, CPU정보, 단말이 탑재하고 있는 플랫폼과 라이브러리 버젼 정보, 및 단말이 탑재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종류를 포함한다.
표 1은 단말정보 관리부(274)에서 추출한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다.
PMS기기 사양 사양 예
PMS제작회사 XX전자
PMS 모델명 PMS-100
화면 크기 4인치
화면 해상도 480*640
컬러 해상도 65,536컬러
CPU사양 Intel PXA270
내장메모리크기 128MB
외장메모리크기 1GB
사용 가능한 무선전송방식 Bluetooth v1.2,
WiFi 802.11a/b/g
최대재생가능FPS(frame per second) 30
사용 가능한 메모리크기 100MB
플랫폼 버전 WIPI 2.0
플랫폼 라이브러리 버전 SKTlbs1.0;SKTopenGL1.1
지원 멀티미디어 MPEG4, H.263, MJPEG, MP3, JPEG, PNG, PDF, HTML, TXT
컨텐츠 변환부(310)는 컨텐츠를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변환부(314), 문서 변환부(316), 동영상 변환부(318)가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변환하기 위한 컴파일러/링커(312)가 구비된다.
이미지 변환부(314)는 사용자 단말이 지원하는 이미지 압축 포맷, 사용자 단말의 여유 저장공간 크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정보 등의 정보를 제어부(270)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한다.
문서 변환부(316)는 사용자 단말이 지원하는 문서의 종류, 사용자 단말의 여유 저장공간 크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정보 등을 제어부(270)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된 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한다.
동영상 변환부(318)는 사용자 단말이 지원하는 동영상 압축 형식, 사용자 단말의 여유 저장공간 크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정보, 사용자 단말의 메인 메모리 크기, 및 CPU 정보 등을 제어부(270)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이용해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컴파일러/링커(312)는 사용자 단말이 탑재하고 있는 플랫폼과 라이브러리 버젼 정보, 탑재한 라이브러리의 종류, 사용자 단말의 메일 메모리 크기, 및 CPU 정보, 사용자 단말의 화면 정보 등을 제어부(270)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시 빌드(build)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게 변환된 컨텐츠는 제어부(270)의 처리에 따라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되거나, 이용 기간이 끝난 후 혹은 다른 조건에 이해 삭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으로 컨텐츠 변환부(202)에서 컨텐츠를 변환하지 않고, 제어부(270)의 다운로드 관리부(272)가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 생략)에 사용자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를 변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을 이동하여 촬영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요구한다(S10).
사용자 단말이 촬영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20).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한다(S30).
그리고, S30 단계에서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포맷(format)으로 변환한다(S40).
다음으로, S40 단계에서 디지털화되고 기설정된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징점을 추출한다(S6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한 특징점과 단말 기저장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특징점을 상호 비교분석한다(S70). 그리고,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단말(이하,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예컨대, 모델명)를 추출한다(S80). 이때, 사용자 단말의 영상 데이터와 기저장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대상 단말을 판단하기 위해서 공지된 다양한 비교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S80 단계에서는,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된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가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고 판단된 대상 단말과 사용자 단말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정보를 산출한다.
S80 단계에서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가 추출되고, 대상 단말의 확률 정보가 산출되면,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와 확률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받기 위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한다(S100). 사용자 확인 단계는, 입력받은 식별 정보 및 확률 정보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대상 단말의 영상 데이터가 식별 정보 및 확률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전술한 사용자 확인 과정이 직관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확률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실제 사용자 단말과 일치하는지 사용자에게 질의한다.
S1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치하는 단말(대상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프로파일 정보를 컨텐츠 변환부에 전달하여 컨텐츠 변환부가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도록 컨텐츠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S110). 컨텐츠 변환부는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도록 컨텐츠를 변환한 뒤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한편, S1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치하는 선택된 단말(대상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재촬영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컨텐츠 구매시 최초로 수행하여야하는 사용자 단말 판별 과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IT 기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종래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번거롭고 복잡하게 수행해야 했던 사용자 단말 판별 과정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효율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컨텐츠 제공 장치(일명 '컨텐츠 자동 판매기')의 활성화를 통해 많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몸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270) 및 컨텐츠 변환부(3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기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비교부;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단말 판별부를 구비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비교부는,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과 상기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비교부는, 상기 대상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 판별부에 전달하고,
    상기 단말 판별부는,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단말의 확률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단말의 모델명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영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내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컨텐츠의 원본을 요청하는 다운로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이미지 압축 포맷, 상기 단말의 여유 저장공간 크기, 상기 단말의 화면 정보,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문서의 종류,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동영상 압축 형식, 상기 단말의 메인 메모리 크기, 상기 단말의 CPU정보, 상기 단말이 탑재하고 있는 플랫폼과 라이브러리 버젼 정보, 및 상기 단말이 탑재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종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8. 사용자 단말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기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기저장된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과 상기 다양한 단말의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의 기종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확률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단말의 모델명 및 상기 대상 단말의 영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내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컨텐츠의 원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방법.
KR1020080120407A 2008-12-01 2008-12-01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 KR10116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07A KR101164195B1 (ko) 2008-12-01 2008-12-01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
EP09172515.0A EP2192525B1 (en) 2008-12-01 2009-10-08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JP2009238039A JP5026491B2 (ja) 2008-12-01 2009-10-15 映像データの獲得を通じてユーザ端末を判別するデジタル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ユーザ端末判別方法
US12/581,425 US8428370B2 (en) 2008-12-01 2009-10-19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CN2009101810876A CN101753557B (zh) 2008-12-01 2009-10-28 用于提供数字内容的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07A KR101164195B1 (ko) 2008-12-01 2008-12-01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011A true KR20100062011A (ko) 2010-06-10
KR101164195B1 KR101164195B1 (ko) 2012-07-11

Family

ID=4202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407A KR101164195B1 (ko) 2008-12-01 2008-12-01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28370B2 (ko)
EP (1) EP2192525B1 (ko)
JP (1) JP5026491B2 (ko)
KR (1) KR101164195B1 (ko)
CN (1) CN10175355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419A (ko) 2014-08-25 2016-03-07 국방과학연구소 Dibr 방식의 입체영상 카메라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1980458B1 (ko) * 2017-12-22 2019-05-20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온라인 캐싱 시스템에서 파일 및 화질의 선호도를 고려한 파일 저장 방법 및 파일 저장 장치
KR102209535B1 (ko) * 2019-09-16 2021-01-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이즈 특성을 이용한 동일 모델의 모바일 단말기 판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3355B (zh) * 2009-02-12 2014-08-27 索莱尔&帕劳通风设备集团公司 具有可导向喷嘴的机械控制通风装置
US20120001724A1 (en) * 2010-07-01 2012-01-05 Petros Belimpasakis Interacting with Peer Devices Based on Machine Detec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TWI457762B (zh) * 2010-09-30 2014-10-21 Ibm 供閱讀電子書的電腦裝置與連結該電腦裝置之伺服器
JP5970887B2 (ja) * 2012-03-19 2016-08-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画像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TW201401070A (zh) * 2012-06-29 2014-01-01 Quanta Comp Inc 資料傳輸系統和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4304B2 (ja) * 2000-02-07 2004-06-07 株式会社Snkプレイモア 画像転送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1238108A (ja) * 2000-02-24 2001-08-31 Pacific Century Cyberworks Japan Co Ltd 画像入力装置及び画像入力方法
US7016532B2 (en) * 2000-11-06 2006-03-21 Evryx Technologies Image capture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process
JP2003274381A (ja) * 2002-03-12 2003-09-26 Columbia Music Entertainment Inc 画像データの配信方法,画像データの変換方法およびサーバ
JP4048836B2 (ja) * 2002-05-24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サーバ
US7318073B2 (en) * 2002-05-31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JP3991799B2 (ja) * 2002-07-15 2007-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端末及び記録再生装置
US7324462B1 (en) * 2002-07-25 2008-01-29 3Com Corporation Methods for discovering devices within a wireless network
JP2004164098A (ja) * 2002-11-11 2004-06-10 Fuji Photo Film Co Ltd ウェブカメラ
JP4413633B2 (ja) * 2004-01-29 2010-02-10 株式会社ゼータ・ブリッジ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プログラム、画像認識装置、画像認識方法およ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ならびに、販売システム
WO2006085301A2 (en) * 2005-02-09 2006-08-17 Mobixell Networks Image adaptation with target size, quality and resolution constraints
JP2006244213A (ja) * 2005-03-04 2006-09-14 Nec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装置および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6259893A (ja) * 2005-03-15 2006-09-28 Oki Electric Ind Co Ltd 物体認識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JP4676303B2 (ja) * 2005-10-18 2011-04-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端末装置
KR101151027B1 (ko) 2005-12-07 2012-06-01 주식회사 케이티 관리가 용이한 단말관리정보 프로파일을 갖는 단말기 및그의 관리 방법
US8086253B1 (en) * 2005-12-15 2011-12-27 Google Inc. Graphical mobile e-mail
WO2007130688A2 (en) * 2006-05-10 2007-11-15 Evolution Robotics,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imaging capability
CN101000623A (zh) 2007-01-08 2007-07-18 深圳市宜搜科技发展有限公司 通过手机拍照进行图像识别搜索的方法及采用该方法的装置
JP4591459B2 (ja) * 2007-02-26 2010-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
EP1965344B1 (en) * 2007-02-27 2017-06-28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Remote object recogn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419A (ko) 2014-08-25 2016-03-07 국방과학연구소 Dibr 방식의 입체영상 카메라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1980458B1 (ko) * 2017-12-22 2019-05-20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온라인 캐싱 시스템에서 파일 및 화질의 선호도를 고려한 파일 저장 방법 및 파일 저장 장치
KR102209535B1 (ko) * 2019-09-16 2021-01-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이즈 특성을 이용한 동일 모델의 모바일 단말기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2525A3 (en) 2017-12-13
CN101753557A (zh) 2010-06-23
EP2192525A2 (en) 2010-06-02
KR101164195B1 (ko) 2012-07-11
EP2192525B1 (en) 2020-07-08
US8428370B2 (en) 2013-04-23
JP2010130691A (ja) 2010-06-10
CN101753557B (zh) 2013-08-28
US20100135577A1 (en) 2010-06-03
JP5026491B2 (ja)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195B1 (ko) 영상 데이터 획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판별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 판별 방법
CN104823169B (zh) 用于网络中的可搜索数据的索引配置
KR100779089B1 (ko) 단말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7433710B2 (en) System and methodology for automated provisioning of new user accounts
US20070198632A1 (en) Transferring multimedia from a connected capture device
US20110252085A1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3152729A1 (zh) 用于向终端设备提供软件的方法及装置
KR101129380B1 (ko)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9357333B2 (en) Mobile terminal, application selection server, application install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program
US8086715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US20100138417A1 (en) Apparatus of providing digital contents with external storage device and metadata, and method thereof
US20090076936A1 (en) Dynamic Media Rights
JP2008028494A (ja) 写真アップロードシステム
KR20200024538A (ko) 이미지 검색과 관련한 정보 추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102277772B1 (ko) 모바일 기기에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 모바일 기기
KR101513529B1 (ko) 부가 정보를 갖는 사진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135222B1 (ko)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KR20200024539A (ko) 이미지 검색과 관련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JP5994373B2 (ja) 連携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5416599B2 (ja) 動画作成装置及び動画作成方法
JP200820596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カメラアダプ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213373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及び情報検索方法
CN102096681A (zh) 利用外部存储设备和元数据提供数字内容的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