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222B1 -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5222B1 KR101135222B1 KR1020100072545A KR20100072545A KR101135222B1 KR 101135222 B1 KR101135222 B1 KR 101135222B1 KR 1020100072545 A KR1020100072545 A KR 1020100072545A KR 20100072545 A KR20100072545 A KR 20100072545A KR 101135222 B1 KR101135222 B1 KR 101135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ultimedia file
- file
- multimedia
- gen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생성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를 통해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때 분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함에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또는 휴대폰을 통해서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녹음기를 이용해 음성을 녹음하는 경우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MP3 파일과 같은 종류의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된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은 대부분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된 날짜나 시간정보로 이루어져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자가 나중에,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파일의 이름으로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파일의 이름만으로는 파일이 담고있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라 함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자, 음향을 녹음하는 녹음자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자 중의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파일의 이름이, 사용자가 기억하거나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 내용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제조사마다 고유의 저장 파일이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후지사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의 경우 DSCF XXXX와 같은 형태의 일괄적인 파일의 이름을 사용하고 올림푸스 DSLR의 경우 PB117256.JPG와 같은 형식의 파일이름을 사용한다. 여기서 P- 는 올림푸스 고유의 문자이고 B는 촬영한 월을 나타낸 것으로 1~9월 까지는 숫자로 나타내며 10월은 A, 11월은 B, 12월은 C 이다. 또한, 11 은 촬영일이며 나머지 4자리 숫자는 촬영 컷수를 의미한다.
파일의 이름뿐만 아니라 이미지 파일의 생성시 파일을 인덱싱 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을 촬영할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생성하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실행할 수 있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한 것을 나타낸다.
Exif 정보는 일본의 카메라 회사들이 일본 전자정보 기술 산업 협회를 통해 만든 표준으로 1995년 11월 최초 제정되었다. Exif 정보는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정지영상 카메라용 정보 교환 체제 구축'을 그 목적으로 하여 만들어진 파일 포맷으로 일본에 있는 거의 모든 디지털 카메라 업체가 참가해 제정하였고 비교적 매우 간단한 기술이므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카메라는 Exif 정보 저장기능을 거의 모두 탑재하고 있다.
Exif 정보는 카메라 제조사, 카메라 모델, 카메라 펌웨어 버전, 촬영 시각(셔터 누른 순간), 저장 시각, 촬영 장소의 위도 및 경도 (GPS 부착된 카메라의 경우), 촬영자 (시그니쳐 설정되는 카메라의 경우), 셔터 속도, 렌즈 초점거리, 조리개 값, 노출 보정치, 촬영 프로그램, 측광 모드 등 카메라 촬영시에 여러 가지 기기 상태 정보들의 저장을 지원한다. 이러한 정보는 이미지의 Exif 정보를 볼 수 있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Exif 정보는 촬영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 (예: 영상, 음향)의 내용과는 직접적으로 상관없는 정보이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은 대부분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된 날짜나 시간정보로 이루어져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파일의 이름으로 확인하고자 할 때 파일의 이름만으로는 파일이 담고있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바로 인지할 수 없다. 또한, 원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찾으려 할 때, 파일 이름으로 신속하게 해당 파일을 찾기 어렵다.
또한 Exif 정보를 활용한다고 하여도 Exif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같은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Exif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특정한 프로그램을 다시 사용해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할 수 있다고 해도 사진의 Exif정보의 대부분은 카메라의 촬영시 하드웨어(카메라)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파일 사용자가 실제로 자신이 시각이나 청각을 사용해야 확인할 수 있는 생성된 파일의 내용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 또는 촬영자가 설정하는 정보는 Exif 정보를 통해서도 알 수 없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후 생성된 파일을 실제적으로 인화를 할 것인지 또는 생성된 파일이 보정되어야 하는 파일인지 여부와 같은 실제적으로 파일을 관리할 때 필요한 여러 정보를 촬영 당시의 판단에 따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정보로 기록해놓을 수 없어 편리하게 파일을 관리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같은 피사체에 대해 연속 촬영 모드를 사용하여 유사한 구성의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한 경우 그 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을 찾기 위해서는 촬영자 또는 파일 사용자가 수십 장의 사진을 다시 봐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촬영 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의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마음에 들지 않는 사진을 삭제하고 마음에 드는 사진을 우선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예를 들면, 사진의 중요도와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 내용이나 촬영자 또는 사용자가 정하는 정보 등을 설정하여 기록 또는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파일을 쉽게 관리할 수 없다. 여기서 인화라는 표현은 필름사진을 인화하는 경우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지털 음성, 오디오, 사진, 비디오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향후 보관 또는 저장, 인쇄, 재생 등의 모든 또는 그 중 하나 또는 일부의 처리를 통틀어 "인화"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뿐만 아니라, 일정한 목적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때, 예를 들어 위치정보를 얻기 위한 사진만을 촬영하는 경우 또는 특정한 연구목적을 이유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생성된 파일에 또는 그 이름에 부가적인 정보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촬영 후 파일을 분류하고 관리할 시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된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된 부가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위치정보, 고도정보, 움직임정보, 방향정보, 시간정보, 기상정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음성정보, 소리정보, 접촉정보, 압력정보, 움직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실행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정보, 숫자정보, 인물정보, 건물정보, 생태정보, 색채정보, 명암정보, 크기정보, 위치정보, 고도정보, 움직임정보, 방향정보, 가격정보, 소리정보,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는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외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로 입력된 멀티미디어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사용자의 설정이 없을 경우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기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기본 방법이 아닌 경우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방법이 아닌 경우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더 포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 센서모듈, 및 사용자 입력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는 문자 정보 처리부, 숫자 정보 처리부, 인물 정보 처리부, 건물 정보 처리부, 생태 정보 처리부, 색채 정보 처리부, 명암 정보 처리부, 크기 정보 처리부, 위치 정보 처리부, 고도 정보 처리부, 움직임 정보 처리부, 방향 정보 처리부, 가격 정보 처리부, 소리 정보 처리부, 기상 정보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위치 정보 처리부, 고도 정보 처리부, 장치 움직임 정보 처리부, 방향 정보 처리부, 시간 정보 처리부 및 기상 정보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는 단말기 터치 처리부, 단말기 압력 처리부, 화면 터치 처리부, 사용자 움직임 처리부, 음성 처리부 및 소리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정보 생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정보 생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명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는 입력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제공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행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 후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자가 파일을 검색할 때 멀티미디어 파일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찾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등,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에 용이하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로 생성된 사진의 Exif정보를 컴퓨터의 특정한 프로그램을 통해 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 후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로 생성된 사진의 일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에 포함될 특정 부가 정보가 선택되어 활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센서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 입력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정보 생성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 후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로 생성된 사진의 일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에 포함될 특정 부가 정보가 선택되어 활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센서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 입력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정보 생성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주로 영상촬영장치(예를 들어 ,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 휴대폰 등 영상촬영기능이 있는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영상촬영장치에 한정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함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본질이 회손되지 않는 한 기타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에 제한이 없이 적용될 수 있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MP3 파일과 같은 음성 파일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될 수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생성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뿐 아니라 캠코더, 음성녹음기, 휴대폰, 스마트폰, 넷북, 랩탑 컴퓨터, 셋탑박스 및 기타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의미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직접적으로 생성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제외한 다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소정의 입력부를 통해 제공받아 이를 가공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또한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라는 용어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 그 자체, 녹음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자,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200). 단계 200은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직접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관리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예를 들어 영상촬영장치(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핸드폰, 스마트폰)의 경우 영상촬영장치에 포함된 일정한 버튼이나 휠과 같은 종류의 입력부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방법을 결정하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방법을 설정하는 메뉴가 영상촬영장치에 존재하는 스크린에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관리방법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의 방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때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가 부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부가적 정보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자체에서 생성된 부가 정보일 수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된 부가 정보일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로부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부가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정보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부가 정보가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듯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생성된 부가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가 정보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외한 정보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또는 파일명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자체에서 생성된 부가 정보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때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가 위치한 위치정보, 고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때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가 위치한 위치정보 및 고도정보를 파악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된 위치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위치정보 및 고도정보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고도 측정 장치를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예를 들어, 셀 포지셔닝)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및 고도정보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움직임에 관한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시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내부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와 같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제공받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시 하나의 정보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가 위치한 방향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자나침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고 신호의 방향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내에 구비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장치에서 방향정보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된 시간정보와 매칭하여 촬영당시 태양의 위치와 방향을 분석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보정에 활용할 수 있는 부가 정보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에서 예를 들어, 특정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소리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소리의 방향에 관한 부가 정보를 활용하여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가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시간에 관한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전달해주는 특정한 구성부를 통해 제공받아 이를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구비된 기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온도계, 습도계 등과 같은 구성부를 통하여 기상정보를 제공받아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위치정보, 고도정보, 움직임 정보, 방향정보, 시간정보, 기상정보 및 기타의 정보들은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부를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 외부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외부 통신부를 통해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는 RF 모듈을 통해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위치 및 현재 기상정보, 시간정보 및 기타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위치정보, 고도정보, 움직임정보, 방향정보, 시간정보, 기상정보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저장시 사용되는 파일의 이름정보와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상기 여러 정보는 그 각각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멀티미디어 파일 이름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찍은 이미지 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스마트폰내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시간정보, 움직임 정보를 활용하여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찍은 위치가 강남구 역삼동이고 촬영한 날짜가 2010-04-08이고 촬영시 흔들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이미지파일의 이름을 강남구 역삼동_2010_04_08_보정불요.jpg와 같은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형된 형태의 파일의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생성 장치로부터 생성된 부가 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이름뿐만이 아니라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타 정보에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된 기타의 멀티미디어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혹은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의 기본적인 설정에 따라, 예를 들어, 촬영당시 스마트 폰의 RF모듈로 제공된 기상정보(예를 들어, 온도 습도 광량정보 등)를 파일의 이름 정보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타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정보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낸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좋아하는 향수"라는 촬영자의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이러한 음성정보를 파일의 부가 정보(예를 들어, 좋아하는 향수.jpg)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 후 촬영한 이미지 파일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촬영자에 의해 제공된 음성정보(예를 들어 "보정 필요")와 같은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가 생성 장치에 구비된 인체의 일부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생성장치의 센서를 접촉함으로써 생성된 정보 역시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의 일정한 부분을 접촉하는 동작이 있을 때,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 인화가 필요한 이미지 파일임을 접촉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촬영 후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소정 횟수만큼(예를 들자면, 두 번) 치는 동작을 통해(예를 들어, 다섯 단계를 설정하고 다섯 번을 치는 동작을 할 경우 가장 중요한 파일임을 의미한다고 하자) 촬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중요도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하여 후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 전자 칠판 같이 사용자에 의해 문자정보를 제공받아 인식할 수 있는 구성부가 포함된 경우 이를 활용하여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사진을 촬영한 후 문자를 인지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구성부에 "샤넬 No.5"라는 단어를 쓰면,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하여 파일의 이름 또는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 일부분에 사용자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압력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기에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가한 압력의 정도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고 별의 개수를 통해 압력의 정도를 표시한다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구비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부를 사용하여 구성부에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는 별의 개수를 표시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가 만약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 당시 촬영자가 움직인 정도를 수치화하여 촬영된 영상의 보정여부에 대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사용자가 특정한 행동 패턴(예를 들어, 카메라를 흔든 횟수)을 보인 경우 이를 활용하여 촬영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활용한다 함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이름으로 사용하거나, 멀티미디어 메타데이터로 사용 또는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자체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이미지 파일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경우, 화면상에 표시된 향수병의 문자정보, 숫자정보, 색채정보, 명암정보, 크기정보, 가격정보 등이 파일의 데이터로서 멀티미디어 파일이름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향수병에 적힌 로고인 "CHANEL NO.5"에서 문자정보인 "CHANEL NO", 숫자정보인 "5"를 얻을 수 있고 색채정보와 명암정보를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일정한 색채 스펙트럼과 명암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구비된 일정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피사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구성부를 활용하여 촬영자와의 피사체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크기를 측정하여 피사체의 크기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인물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를 생성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는 인물의 수를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파일의 이름이 "네사람사진.jpg"가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자주 촬영되는 인물의 형태를 분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인물의 형태정보와 비교하여 촬영된 인물이 저장된 형태정보와 동일한 인물로 판단되는 경우 그 인물의 정보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파일 이름이"홍길동.jpg"가 된다).
예를 들어, 촬영 빈도수에서 상대적으로 피사체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가족들의 사진을 촬영할 때, 피사체인 가족의 형태정보와 이에 매칭된 가족들의 이름에 관한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어 있다면, 가족의 이름을 활용하여 이미지 파일의 부가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파일의 이름이 "큰아들.jpg"가 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아이폰의 스캔서치), 도 5의 이미지파일을 활용해 책의 정보(가격정보, 저자정보, 책이름 정보 등)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파일의 이름이 "스물입곱제목책.jpg"가 된다).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 폰뿐만 아니라 외부의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 파일의 정보를 수신받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를 활용하는 또 다른 예로서, 도 3의 이미지 파일의 경우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화면상의 건물의 위치정보, 건물내의 상가정보등을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파일의 이름 또는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건물을 촬영한 경우, 그 건물의 정보를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서 제공받고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파일의 이름이 "용산전자상가1층.jpg"이 된다). 종전 기술인 Exif 정보로는 위치정보를 Exif 정보로 파일에 포함하는 것은 가능하나, 사용자가 이를 쉽게 확인하기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위치 정보 또는 이에 의하여 유추되는 건물 이름을 파일 이름으로 사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을 촬영할 때 촬영된 동물 또는 식물의 생태정보를 외부의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전달받고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으로 활용하거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끼리의 사진을 찍은 경우 코끼리의 학명, 분류, 식성, 크기, 분포지의 정보와 같은 생태정보가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제공되고 이를 활용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시켜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시의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서 받아들여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기상정보를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이미지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시 기상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 정보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후 멀티미디어 파일을 보정할 때 사용하거나 기상정보가 요구되는 학술적인 용도의 촬영을 한 경우 파일을 분류할 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소리정보 역시 부가 정보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기를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로 활용할 경우, 재생시 처음 나오는 음성을 분석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MP3파일과 같은 음악파일은 처음에 나오는 가수의 음성 중 일부로 파일의 이름을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자체에서 생성된 부가 정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부가 정보,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자체에서 생성된 부가 정보,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제공된 부가 정보가 생성되고 활용되는 예들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어 멀티미디어 파일과 관련된 정보가 생성되어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파일과 관련된 정보는 위에 언급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되고 또 활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과 관련된 부가 정보들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부가 정보 중 일부만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로서 활용될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 설정된 기본적인 부가 정보만을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시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 200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어떠한 방법으로 관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단계 200에서 기본방법, 즉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기본적인 부가 정보만을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시킬 것이지, 또는 기본적인 부가정보 외의 부가적인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시켜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 방법은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파일 생성과 저장 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이 없을 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파일 이름 또는 파일 정보 생성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xif 정보와 같은 카메라에서 영상 촬영 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전술한 기본 방법의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200 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210)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210은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일정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분류하는 장치인 박스(예, 멀티미디어 장치)에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단계의 진행순서에 있어, 단계 200 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210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후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파일의 정보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기 전에 미리 파일의 관리방법을 설정하여 이를 통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210이 진행된 후,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이 기본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니면 사용자에 의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의해 설정된 방법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단계 220).
기본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저장방법이 선택되어 있다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서 설정된 기본 방법을 적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기본 방법에 따른 정보를 적용한다(단계 230).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날짜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PB117256.JPG"를 파일의 이름정보로 활용하고 기타 Exif정보를 메타데이터 정보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기본 방법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관리방법이 있는 경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24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도 6과 같은 설정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내에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키워드 설정(600),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중요도 설정(610),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인화유무 설정(620),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보정유무 설정(630),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인물유무 설정(640)이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로 기록될 정보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키워드 설정(610)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의 문자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키워드로 하고, 멀티미디어 파일의 중요도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에 구비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부위를 터치하는 횟수 또는 특정 부위를 터치하는 위치로 중요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며, 인화유무는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가 일정한 패턴(예를 들어, √표시)을 표시하여 또는 특정 횟수의 접촉을 통해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등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의 촬영자가 촬영시 입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보정유무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의 떨림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멀티미디어 파일이 보정이 필요한지 유무에 대해 자동적으로 판단한다고 가정한다.
위의 가정을 바탕으로 도 4의 이미지파일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 정보 "CHANEL NO"가 데이터 키워드로서 파일 정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촬영 후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일정 부분을 3회 접촉시키고 디지털 카메라의 액정에 "√"표시를 함으로써 생성된 사진이 "별 3"의 중요도를 가지고 인화를 해야하는 사진이라는 정보를 디지털 카메라에 전달한다. 또한 촬영시 손떨림이 없음을 감지해 "보정 불요"라는 정보를 이미지 파일에 추가적으로 저장하고, 인물이 없다는 정보를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사물의 형태를 통해 감지하여 인물수"0"이라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이나 메타데이터에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이름을 "CHANEL NO"로 그 외의 정보를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있고 그 외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이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기본 방법으로 설정된 정보 외의 부가정보들을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240에서도 기본 방법으로 설정된 정보가 더 포함되어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Exif 정보와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설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의 문자 정보를 모두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정보가 복수의 인덱스(예를 들어, 복수개의 파일 이름으로)로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 방법으로 설정된 정보 외의 부가정보들을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240, 또는 기본방법에 따른 부가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거친 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파일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단계 25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이하 단말기라고 한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700), 파일 정보 생성부(705), 입력부(710), 사용자 인터페이스(720), 메모리부(730), 출력부(740), 통신부(750), 제어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부는 단말기의 목적 및 기타 특성에 따라 구성부 중 일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와 통신을 하여 파일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면 통신부(750)는 단말기 내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만약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만 생성하여 분류하는 장치이고 출력은 다른 재생장치를 이용한다고 가정한다면 출력부(740)를 구비하지 않고 박스의 형식으로 단말기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단말기내의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단말기내의 각각의 구성부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서 단말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7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700-1), 센서 모듈(700-2), 사용자 입력 처리부(70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700)는 위의 구성을 모두 구비하지 않고 일부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기능상 각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700)는 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70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과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여러 가지의 부가 정보를 처리하는 각 구성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정보 처리부(700-1-1), 숫자 정보 처리부(700-1-2), 인물 정보 처리부(700-1-3), 건물 정보 처리부(700-1-4), 생태 정보 처리부(700-1-5), 색채 정보 처리부(700-1-6), 명암 정보 처리부(700-1-7), 크기 정보 처리부(700-1-8), 위치 정보 처리부(700-1-9), 고도 정보 처리부(700-1-10), 움직임 정보 처리부(700-1-11), 방향 정보 처리부(700-1-12), 가격 정보 처리부(700-1-13), 소리 정보 처리부(700-1-14), 기상 정보 처리부(700-1-15)로 구성될 수 있다.
위의 구성부들은 구성부 중 일부만을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분리된 각 부들 역시 필요에 따라 하나의 부로서 통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정보 처리부(700-1-1), 숫자 정보 처리부(700-1-2)는 하나의 부로 통합하여 구비될 수 있고 단말기에 특수한 목적에 따라(예를 들어, 가격정보 조회 전용 단말기)의 경우 가격 정보 처리부 문자 정보 처리부(700-1-1), 숫자 정보 처리부(700-1-2)와 같이 일부의 처리부만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통신부(750)를 통해 전해진 정보를 처리하여 처리된 개별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문자 정보 처리부(700-1-1)은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사용하거나, 기타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부품을 문자 정보 처리부(700-1-1)에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난 향수병의 경우 문자 정보 처리부(700-1-1)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CHANEL NO"이라는 문자가 추출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신부(750)를 통해 외부 기기 또는 서비스의 도움으로 처리한 결과를 전달받아 추출될 수도 있다.
숫자 정보 처리부(700-1-2)는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에 포함된 숫자를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숫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문자인식 방법과 동일하게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사용하거나, 기타 숫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구성부을 숫자 정보 처리부(700-1-2)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난 향수병의 경우 숫자 정보 처리부(700-1-2)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5'라는 문자가 추출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신부(750)를 통해 외부 기기 또는 서비스의 도움으로 처리한 결과를 전달받아 추출될 수도 있다.
인물 정보 처리부(700-1-3)는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인물을 인식하는 기능을 가진 구성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인물의 수를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자주 촬영되는 인물의 형태를 분석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정보와 동일한 인물로 판단되는 경우 그 인물의 정보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건물 정보 처리부(700-1-4)는 예를 들어, 건물의 위치정보와 형태정보를 인식하는 단말기 내에 구비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구성부를 활용하여 건물의 위치정보 또는 건물내의 상가정보를 처리하여 건물을 촬영한 사진의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생태 정보 처리부(700-1-5)는 예를 들어, 동물 또는 식물을 촬영한 경우 형태정보를 분석하여 부가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내에 구비된 구성부 또는 형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외부의 통신망을 이용해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촬영된 동물 또는 식물의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활용할 수 있다.
색채 정보 처리부(700-1-6)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인 구성부 또는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화면으로 입력된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색채를 분석하여 이에 따른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미술관에서 그림을 촬영한 후 가장 원래의 색채값에 유사한 색상으로 사진을 보정을 하기 위한 정보로 색채를 일정한 수치의 정보값으로 표현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명암 정보 처리부(700-1-7)는 예를 들어, 광량을 분석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명암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보정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명암의 정보를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크기 정보 처리부(700-1-8)은 예를 들어, 화면에 촬영된 물체의 실제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실제 촬영자와 피사체의 거리를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거나, 단말기에 구비된 크기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특정한 구성부를 활용하여 근접하여 촬영하기 어려운 물체의 크기정보를 처리해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처리부(700-1-9)는 예를 들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단말기 내에 구비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구성부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를 처리하거나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된 위치를 분석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의 한 건물을 촬영한 사진일 경우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촬영된 위치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고도 정보 처리부(700-1-10)는 예를 들어,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지면과의 촬영각도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처리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부가정보로서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 처리부(700-1-11)는 예를 들어, 움직이는 물체의 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정보로서 활용하는 목적의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만약 달리는 자동차의 사진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화면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부를 활용하여 촬영된 자동차의 속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처리해 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부가정보로서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방향 정보 처리부(700-1-12)는 지자계 센서 등으로부터 얻은 방향정보 또는 예를 들어, 음향을 녹음하는 장치의 경우, 음향이 발생된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얻어 이를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처리하여 특정 방향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음향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격 정보 처리부(700-1-13)는 예를 들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촬영된 화면의 피사체의 가격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특수한 목적의 촬영 장치로서 이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미술품을 경매할 경우, 자신이 경매할 물건의 이미지를 촬영하면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촬영된 피사체의 최저 낙찰가 정보, 현제 시세 정보 등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부가 정보로서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
소리 정보 처리부(700-1-14)는 청각적인 신호를 분석 및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음성 중 가장 첫 번째로 나오는 음성을 인식하여 파일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기상 정보 처리부(700-1-15)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파일에 구비된 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활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 및 처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처리하여 기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700-1)의 각 실시예들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설명된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성부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센서 모듈(700-2)은 단말기 내에 포함되거나 연결되어 구비되거나 외부에서 일정한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으로 단말기로 송신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센서 모듈(7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위치 정보 처리부(700-2-1), 고도 정보 처리부(700-2-2), 장치 움직임 처리부(700-2-3), 방향 정보 처리부(700-2-4), 시간 정보 처리부(700-2-5), 기상 정보 처리부(700-2-6)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구성부는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 하나의 구성부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현상 모든 개별 구성부가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특정한 기능에 따라 수행하는 일부의 구성부만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 정보 처리부(700-2-1)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단말기내에 구비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기에 구비된 통신부(750)을 사용해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얻어진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고도 정보 처리부(700-2-2)는 단말기의 고도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단말기내에 구비된 고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성부를 통해 고도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처리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통신부(750)을 통해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얻어진 고도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장치 움직임 처리부(700-2-3)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단말기내에 구비된 경우, 움직임을 토대로 보정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에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단말기의 움직임을 하나의 신호로 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중요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후 3회 흔드는 동작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중요도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방향 정보 처리부(700-2-4)는 단말기가 위치한 방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나침반과 같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단말기 내에 구비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얻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정보에 포함하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녹음기와 같은 음향장비를 테스트함에 있어 음향이 발생한 위치 정보를 음향 파일의 하나의 정보로 포함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시간 정보 처리부(700-2-5)는 단말기에 구비된 시계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보를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생성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통신부(75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서 들어오는 신호를 통해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정보로 포함하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기상 정보 처리부(700-2-6)는 단말기에 구비된 기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온도계, 습도계, 광량 측정 시스템)를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토대로 기상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통신부(75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얻어진 기상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하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위에 센서 모듈(700-2)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의 실시예들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설명된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성부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처리부(700-3)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받아들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처리부(700-3)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입력 처리부(700-3)는 단말기 터치 처리부(700-3-1), 화면 터치 처리부(700-3-2), 단말기 압력 처리부(700-3-3), 사용자 움직임 처리부(700-3-4), 음성 처리부(700-3-5), 소리 처리부(700-3-6)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구성부는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 하나의 부로서 결합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현상 모든 개별 부가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 부가 단말기 내에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 터치 처리부(700-3-1)은 단말기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터치 처리부(700-3-1)은 단말기의 버튼에 구비될 수 있고, 휠과 같은 형태에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형태로도 구현되어 터치에 의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특정부분에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센서를 구비하여 단말기의 이 부분을 접촉하였을 때 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에 의한 정보를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다.
화면 터치 처리부(700-3-2)는 단말기 화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여 화면이 터치된 경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이러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패턴을 감지하거나(예를 들어, √, ○, ㅧ와 같은 패턴)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쓴 문자(예를 들어, 도3의 경우"향수"라는 글씨를 화면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펜을 이용하여 입력)를 인식하여 이를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 압력 처리부(700-3-3)는 단말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압력정도를 감지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는 물리적인 압력정보가 필요한 연구용 목적을 가진 단말기의 경우 압력정보를 처리하여 이를 생성된 파일의 부가 정보로 포함시킬 수 있다.
사용자 움직임 처리부(700-3-4)는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가지고 이동을 하면서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처리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저장하여 후에 이미지 파일을 보정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여 이를 일정한 신호정보로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의 부가 정보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처리부(700-3-5)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향수병을 촬영한 후 "보정 필요" 또는 "좋아하는 향수"라는 음성정보를 발생시키면 이를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부가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소리 처리부(700-3-6)는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여 이를 처리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을 녹음하는 장비의 경우, 일정 양의 노이즈보다 많은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이를 처리하여 파일의 데이터에 보정 필요라는 정보를 입력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특정 소리(예를 들어, 단말기를 두드리는 소리, 마찰음)등을 하나의 신호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하여 부가 정보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 정보 생성부(705)는 상기 전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700-1), 센서 모듈(700-2), 사용자 입력 처리부(700-3)에서 발생한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파일 정보 생성부(705)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제어부에 포함되는 형태와 같이 다른 부와 합쳐져서 구현될 수 있다.
파일 정보 생성부(705)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7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파일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760)로부터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700-1), 센서 모듈(700-2), 사용자 입력 처리부(700-3)에서 발생한 부가 정보 중 일부를 선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정보 생성부(705)를 나타낸다. 파일 정보 생성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705-1), 파일의 이름을 생성하는 파일명 생성부(70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터데이터 생성부(705-1)과 파일명 생성부(705-2)는 설명의 편의상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구성부로서 합쳐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의 구성부만으로 파일 정보 생성부(705)를 구현할 수 있다.
입력부(710)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폰에 설치된 영상촬영장치의 경우 카메라 또는 캠코더의 렌즈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7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말기의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 입/출력부, 예를 들어 USB 포트,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입력받는 구성도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20)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버튼으로 구성되거나 그 외의 사용자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에 GUI 형태로 구현되거나 단말기의 펌웨어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메뉴의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730)는 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파일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경우, 스피커나 LCD화면 또는 LED화면이 단말기의 출력부에 해당할 수 있고 녹음기의 경우 스피커가 출력부에 해당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자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통해서, 보정유무, 인화유무, 중요도와 같은 정보를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750)은 외부의 통신망에서 정보를 받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의 정보를 무선으로 받을 수 있는 RF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선으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모뎀과 같은 구성을 활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76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추출부(700), 파일 정보 생성부(705), 입력부(710), 사용자 인터페이스(720), 메모리부(730), 출력부(740), 통신부(750)에서 전송된 정보 또는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설정이 없을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설정이 있을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적인 정보, 사용자의 추가 입력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설정이 없을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생성되는 기본적인 파일 이름 또는 파일에 관련된 정보와 사용자의 추가적인 설정이 있을 경우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부가적인 정보, 사용자의 추가 입력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복수의 파일 인덱스 정보로서(예를 들어, 복수개의 파일이름으로) 활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동영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에 관련된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미디어 파일의 경우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를 특수한 목적에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 형태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해 그림을 촬영을 할 수 있는 미술관에서 그림을 촬영할 경우,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그림에 관한 소정의 정보(그림 제목 정보, 작가 정보 등)를 텍스트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고, 그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텍스트는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텍스트 파일의 이름이나 부가적인 정보는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의료 장비에서 소정의 인체 정보(혈액 샘플, 타액 샘플, 유전자 정보)등을 이용해 소정의 진단 행위를 위한 정보를 추출 할 수 있다. 의료장비를 통한 정보 추출 결과를 의사가 진료 행위시 볼 수 있는 텍스트 형태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의사가 진료시 참조하는 텍스트 파일의 이름 또는 관련된 부가정보는 환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생성하거나 검사 결과에 관련된 정보를 텍스트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생성하는 경우, 의사가 환자를 진료시 텍스트 파일의 이름 또는 부가정보를 기초로 빠르게 진료에 필요한 텍스트 파일을 찾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환자의 인체 정보를 파일의 부가정보로서 부가한 경우, 환자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어 병원의 환자 관련 데이터 베이스 구현시 효율적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에 따른 파일의 이름을 가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된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된 부가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위치정보, 고도정보, 움직임정보, 방향정보, 시간정보, 기상정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음성정보, 소리정보, 접촉정보, 압력정보, 움직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실행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정보, 숫자정보, 인물정보, 건물정보, 생태정보, 색채정보, 명암정보, 크기정보, 위치정보, 고도정보, 움직임정보, 방향정보, 가격정보, 소리정보,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는,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에 따른 파일의 이름을 가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외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장치로 입력된 멀티미디어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에 따른 파일의 이름을 가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서 사용자의 설정이 없을 경우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기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방법이 아닌 경우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방법이 아닌 경우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더 포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 및
상기 부가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정보 생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명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추출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 센서모듈, 및 사용자 입력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부는,
문자 정보 처리부, 숫자 정보 처리부, 인물 정보 처리부, 건물 정보 처리부, 생태 정보 처리부, 색채 정보 처리부, 명암 정보 처리부, 크기 정보 처리부, 위치 정보 처리부, 고도 정보 처리부, 움직임 정보 처리부, 방향 정보 처리부, 가격 정보 처리부, 소리 정보 처리부, 기상 정보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위치 정보 처리부, 고도 정보 처리부, 장치 움직임 정보 처리부, 방향 정보 처리부, 시간 정보 처리부 및 기상 정보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는
단말기 터치 처리부, 단말기 압력 처리부, 화면 터치 처리부, 사용자 움직임 처리부, 음성 처리부 및 소리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정보 생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는 입력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제공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행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2545A KR101135222B1 (ko) | 2010-07-27 | 2010-07-27 |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2545A KR101135222B1 (ko) | 2010-07-27 | 2010-07-27 |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0892A KR20120010892A (ko) | 2012-02-06 |
KR101135222B1 true KR101135222B1 (ko) | 2012-04-12 |
Family
ID=4583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2545A KR101135222B1 (ko) | 2010-07-27 | 2010-07-27 |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52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85724B2 (en) | 2014-04-09 | 2019-0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sorting medi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750B1 (ko) * | 2012-12-14 | 2020-01-15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908A (ja) * | 1997-06-20 | 1999-01-22 | Hitachi Ltd | 情報処理装置 |
KR20010039845A (ko) * | 1999-08-27 | 2001-05-15 | 가시오 가즈오 | 전자카메라 및 화상데이터로의 정보부가방법 |
JP2002344867A (ja) | 2001-05-18 | 2002-11-29 | Fujitsu Ltd | 画像データ格納システム |
KR20110015159A (ko) * | 2009-08-07 | 2011-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
2010
- 2010-07-27 KR KR1020100072545A patent/KR1011352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908A (ja) * | 1997-06-20 | 1999-01-22 | Hitachi Ltd | 情報処理装置 |
KR20010039845A (ko) * | 1999-08-27 | 2001-05-15 | 가시오 가즈오 | 전자카메라 및 화상데이터로의 정보부가방법 |
JP2002344867A (ja) | 2001-05-18 | 2002-11-29 | Fujitsu Ltd | 画像データ格納システム |
KR20110015159A (ko) * | 2009-08-07 | 2011-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85724B2 (en) | 2014-04-09 | 2019-0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sorting medi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0892A (ko) | 2012-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2095738A (ja) | デジタル画像撮影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905837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descriptive metadata to digital content | |
US8761523B2 (en) | Group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 |
EP2471254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n IMAGE PICKUP APPARATUS | |
CN109189879B (zh) | 电子书籍显示方法及装置 | |
US20130130729A1 (en) | User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 |
US20130128038A1 (en) |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 |
US9953221B2 (en) | Multimedia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936113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and selecting processed content information | |
US10095713B2 (en) | Information device, server, recording medium with image file recorded thereon, image file generating method, image fil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9973649B2 (en) |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hotographing control program | |
JP2005190155A (ja) |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TWI556640B (zh) | 媒體檔案管理方法及系統、及電腦可讀媒體 | |
JP2010079788A (ja) |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8719329B2 (en) |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image management server, image communication system, imaging method, and image management method | |
KR20170054868A (ko) |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US11163822B2 (en) | Emotional experience metadata on recorded images | |
KR101871779B1 (ko) | 사진 촬영 및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단말기 | |
KR101135222B1 (ko) |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 |
KR20100101960A (ko) | 디지털 카메라, 사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 |
JP5517895B2 (ja) | 端末装置 | |
KR20120072033A (ko) | 영상 컨텐츠의 자동 태깅 방법 및 장치 | |
KR20110013073A (ko) | 얼굴인식을 이용한 디지털 촬영기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자동 태깅 시스템 | |
JP2010187119A (ja) |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 |
JP2011205518A (ja) | 画像閲覧装置、カメラ、画像閲覧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