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750B1 -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750B1
KR102066750B1 KR1020120145891A KR20120145891A KR102066750B1 KR 102066750 B1 KR102066750 B1 KR 102066750B1 KR 1020120145891 A KR1020120145891 A KR 1020120145891A KR 20120145891 A KR20120145891 A KR 20120145891A KR 102066750 B1 KR102066750 B1 KR 10206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recording
information
recor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287A (ko
Inventor
이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4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7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종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와,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에서 상기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상기 녹음의 종류 또는 상기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명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 FI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녹음된 레코드 파일 저장시, 레코드 파일의 파일명에, 녹음의 종류, 개인식별정보 또는 스케줄 정보를 이용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 분류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은 통화 중에 녹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통화 내용이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은 통화 중이 아닐 때에도 녹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음성이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레코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파일 리스트에 나열된 각 레코드 파일의 파일명은 일반적으로, 녹음 순서대로 넘버링된 숫자로 구별되어 표시 됨에 따라, 사용자가 레코드 파일의 속성(예컨대, 녹음의 종류(통화 녹음, 음성 녹음), 녹음 시각, 녹음 위치, 녹음 내용, 녹음 참여자 등)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레코드 파일의 속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파일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녹음된 레코드 파일 저장시, 레코드 파일의 파일명에, 녹음의 종류(예컨대, 통화 녹음, 음성 녹음), 개인식별정보 또는 스케줄 정보를 이용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 분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일 검색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개인식별 정보,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 녹음된 파일의 내용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종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와,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에서 상기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상기 녹음의 종류 또는 상기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명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녹음 파일 제어 방법은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종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획득하는 단계와,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에서 상기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상기 녹음의 종류 또는 상기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명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녹음된 레코드 파일 저장시, 레코드 파일의 파일명에, 녹음의 종류(예컨대, 통화 녹음, 음성 녹음), 개인식별정보 또는 스케줄 정보를 이용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 분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 검색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개인식별 정보,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 녹음된 파일의 내용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 저장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에 대한 텍스트 정보 제공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 재생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 저장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100)는 정보 획득부(101), 파일 생성부(103), 위치 획득부(105), 프로세서(107) 및 데이터베이스(109)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01)는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예컨대, 통화 녹음, 음성 녹음)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종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획득부(101)는 예컨대, 녹음 시작 명령과 연관하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이용하여, 녹음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획득부(101)는 녹음의 종류가 '통화 녹음'일 경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통화'와 연관된 상대방의 발신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인식별 정보(예컨대, 성명)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획득부(101)는 녹음의 종류가 '음성 녹음'일 경우, 일정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상기 제1 시점(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시점) 및 제2 시점(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시점)과 연관된 스케줄 정보(예컨대, 회의 명칭, 회의 참여자)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획득부(101)는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녹음된 레코드 파일 저장시, 정보 획득부(101)는 상기 레코드 파일(예컨대, 시작 5초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 중에서 일부 핵심어를 획득하여, 프로세서(107)로 제공 함으로써, 상기 핵심어를 파일명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정보 획득부(101)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또는, 텍스트 정보 요청이 입력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07)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텍스트 정보는 프로세서(107)에 의해, 표시 됨에 따라,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지 않고도 레코드 파일의 일부 내용 정보를 통해, 레코드 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한다.
파일 생성부(103)는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에서 녹음을 시작하고,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에서 녹음을 종료하여,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위치 획득부(105)는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일 수 있으며,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7)는 파일 생성부(103)에 의해,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에서 상기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상기 녹음의 종류 또는 상기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명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7)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11)에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발신자 정보를 파일명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7)는 상기 키워드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녹음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키워드를 파일명에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07)는 녹음 시각(예컨대, 녹음 날짜) 또는 녹음 시간을 파일명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7)는 위치 획득부(105)에 의해,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될 경우, 상기 파일명에 상기 위치정보를 더 포함시킬 수 있고, 정보 획득부(101)에 의해, 레코드 파일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 중에서 일부 핵심어가 획득될 경우, 상기 파일명에 상기 핵심어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7)는 파일명 수정 요청에 따라, 파일명 편집 기능(예컨대, 삽입, 삭제)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07)는 레코드 파일 저장시, 레코드 파일에 대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발신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개인식별 정보(예컨대, 성명),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예컨대, 녹음시 작성하여 저장된 메모의 파일명), 녹음된 레코드 파일의 내용 정보(예컨대, 레코드 파일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속성을 함께 저장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에 대한 파일명 뿐만 아니라, 상기 속성을 이용하여 레코드 파일을 검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프로세서(107)는 파일 검색 요청에 따라, 레코드 파일(예컨대, 파일 리스트)을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7)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파일 검색 요청으로부터 추출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개인식별 정보,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 녹음된 레코드 파일의 내용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되는 레코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115)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7)는 상기 파일 리스트에서 레코드 파일이 선택되면, 정보 획득부(101)에 의해, 상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지 않고도 레코드 파일의 일부 내용 정보를 통해, 레코드 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107)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또는, 재생 요청이 입력된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레코드 파일의 데이터량에 기초한 파일 재생 위치바를 표시하되, 상기 재생 위치바에 대한 재생시점 이동에 따라, 상기 레코드 파일의 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7)는 재생 위치바에 대한 재생시점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레코드 파일의 텍스트 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레코드 파일 내 포인트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베이스(109)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11), 일정 데이터베이스(113) 및 파일 데이터베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11)는 주소록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성명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일정 데이터베이스(113)는 날짜별 스케줄 정보(예컨대, 회의 명칭, 회의 참여자)를 저장할 수 있다.
파일 데이터베이스(115)는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파일명, 레코드 파일에 대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발신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개인식별 정보(예컨대, 성명),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예컨대, 녹음시 작성하여 저장된 메모의 파일명), 녹음된 레코드 파일의 내용 정보(예컨대, 레코드 파일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 저장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예컨대, 통화 녹음, 음성 녹음)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종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또는 일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녹음의 종류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명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통화 중에 녹음 시작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녹음의 종류가 '통화 녹음'으로 구별되는 경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화'와 연관된 상대방의 발신자 정보(예컨대, 010-8899-11XX)에 대응하는 개인식별 정보(예컨대, 이세연 과장)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할 수 있다.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녹음의 종류('통화 녹음') 및 개인식별 정보('이세연 과장')를 포함하는 파일명(201)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시작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녹음의 종류가 '일반 녹음'으로 구별되는 경우, 일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시점(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시점) 및 제2 시점(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시점)과 연관된 스케줄 정보(예컨대, 개발팀 회의)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할 수 있다.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녹음의 종류('음성 녹음') 및 스케줄 정보(예컨대, 개발팀 회의)를 포함하는 파일명(203)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상기 키워드로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식별 정보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발신자 정보(예컨대, 010-1234-1234)를 파일명(205)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키워드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녹음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키워드(예컨대, 기타 1)를 파일명(207)에 포함시킬 수 있다.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녹음된 전체의 레코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레코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에 대한 텍스트 정보 제공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리스트(301) 중에서 '이세연 과장'의 레코드 파일(303)이 선택되면, '이세연 과장'의 레코드 파일(303)에 대한 일부 즉, 초기 5초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예컨대, '검수 일정이 일주일 당겨지게 될 듯합니다')(305)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레코드 파일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지 않고도 레코드 파일의 일부 내용 정보를 통해, 레코드 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 재생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재생되는 레코드 파일의 데이터량에 기초한 파일 재생 위치바를 표시하되, 상기 재생 위치바에 대한 재생시점 이동에 따라, 상기 레코드 파일의 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리스트(401) 중에서 '이세연 과장'의 레코드 파일(403)이 선택되면, '이세연 과장'의 레코드 파일(403)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레코드 파일의 데이터량에 기초한 파일 재생 위치바(40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재생 위치바에 대한 재생시점(407) 이동에 따라, '이세연 과장'의 레코드 파일(403)의 텍스트 정보(409)를 제공 함으로써, 원하는 내용 정보가 녹음된 포인트를 용이하게 검출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에서의 레코드 파일 저장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레코드 파일 저장시, 레코드 파일에 대한 속성으로서, 녹음의 종류(예컨대, '통화 녹음', '음성 녹음')(Rec.Type)(501), 녹음 날짜(Rec.Date)(503), 녹음 환경(Rec.Environment)(505), 녹음 시간(Rec.Time)(507) 및 녹음 파일 주소(Rec File URI)(509)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녹음의 종류(501)는 예컨대, '통화 녹음' 또는 '음성 녹음' 일 수 있다.
녹음 날짜(503)는 레코드 파일이 생성된 날짜이다.
녹음 환경(505)은 녹음 파트너(Rec.Partner)(511), 녹음 위치(Rec.Location)(513), 녹음 메모(Rec.Memo)(515) 및 녹음 텍스트(Rec.Speech-To-Text)(517)를 포함할 수 있다.
녹음 파트너(511)는 예컨대, 개인식별 정보(예컨대, 성명), 스케줄 정보일 수 있다.
녹음 위치(513)는 녹음을 수행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일 수 있다.
녹음 메모(515)는 녹음을 진행하는 동안 생성된 메모의 파일명일 수 있다.
녹음 텍스트(517)는 녹음 초기 레코드 파일의 일부를 변환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녹음 시간(507)은 레코드 파일을 녹음하는 시간이다.
녹음 파일 주소(509)는 레코드 파일이 위치하는 경로일 수 있다.
즉,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레코드 파일 저장시, 레코드 파일에 대한 속성을 함께 저장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에 대한 파일명 뿐만 아니라, 상기 속성을 이용하여 레코드 파일을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종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의 종류가 '통화 녹음'일 경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화'와 연관된 상대방의 발신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인식별 정보(예컨대, 성명)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의 종류가 '음성 녹음'일 경우, 일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시점(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시점) 및 제2 시점(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시점)과 연관된 스케줄 정보(예컨대, 회의 명칭, 회의 참여자)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603에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명에 매칭하여, 레코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상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에서 상기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파일명에 상기 위치정보를 더 포함시키거나, 또는 상기 레코드 파일과 연관된 핵심어(즉, 레코드 파일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 중에서 획득한 핵심 키워드)를 상기 파일명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 605에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녹음된 전체의 레코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레코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파일 검색 요청으로부터 레코드 파일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속성에 대응하는 레코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즉,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레코드 파일에 대한 속성으로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개인식별 정보,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 녹음된 레코드 파일의 내용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속성과 매칭되는 레코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계 607에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리스트에서 레코드 파일이 선택되면(또는, 텍스트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예컨대, 초기 5초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 함)하여 표시 함으로써,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지 않고도 레코드 파일의 일부 내용 정보를 통해, 레코드 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파일 리스트에서 레코드 파일이 선택되면(또는,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레코드 파일의 데이터량에 기초한 파일 재생 위치바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생 위치바에 대한 재생시점 이동에 따라, 상기 레코드 파일의 텍스트 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레코드 파일 내 포인트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101: 정보 획득부 103: 파일 생성부
105: 위치 획득부 107: 프로세서
109: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녹음의 종류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종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에서 상기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녹음 시작 명령과 연관하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녹음의 종류를 구별하고,
    상기 녹음의 종류가 '통화 녹음'일 경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화'와 연관된 상대방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식별 정보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녹음의 종류가 '음성 녹음'일 경우, 일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과 연관된 스케줄 정보를, 상기 키워드로서 획득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녹음의 종류와 상기 키워드로 구성되는 파일명에, 상기 레코드 파일을 매칭하여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일명에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시키는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 중에서 일부 핵심어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일명에 상기 핵심어를 포함시키는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파일 검색 요청으로부터 추출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개인식별 정보,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 녹음된 레코드 파일의 내용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되는 레코드 파일을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레코드 파일의 데이터량에 기초한 파일 재생 위치바를 표시하되, 상기 재생 위치바에 대한 재생시점 이동에 따라, 상기 레코드 파일의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8. 녹음 시작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녹음 시작 명령과 연관하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이용하여, 녹음의 종류를 구별하는 단계;
    상기 녹음의 종류가 '통화 녹음'일 경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화'와 연관된 상대방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식별 정보를, 키워드로서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녹음의 종류가 '음성 녹음'일 경우, 일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녹음 시작 명령이 발생한 제1 시점 및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한 제2 시점과 연관된 스케줄 정보를, 키워드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녹음 종료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2 시점 동안 녹음된 레코드 파일을, 상기 녹음의 종류와 상기 키워드로 구성되는 파일명에 매칭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녹음 파일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명에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녹음 파일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 중에서 일부 핵심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명에 상기 핵심어를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녹음 파일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파일 검색 요청으로부터 추출된, 녹음의 종류, 녹음 날짜, 개인식별 정보, 스케줄 정보, 현재의 위치정보, 메모에 대한 파일명, 녹음된 레코드 파일의 내용 정보 또는 녹음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되는 레코드 파일을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녹음 파일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녹음 파일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파일 검색 요청에 연동하여 파일 리스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파일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레코드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레코드 파일의 데이터량에 기초한 파일 재생 위치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위치바에 대한 재생시점 이동에 따라, 상기 레코드 파일의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녹음 파일 제어 방법.
KR1020120145891A 2012-12-14 2012-12-14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206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91A KR102066750B1 (ko) 2012-12-14 2012-12-14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91A KR102066750B1 (ko) 2012-12-14 2012-12-14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287A KR20140077287A (ko) 2014-06-24
KR102066750B1 true KR102066750B1 (ko) 2020-01-15

Family

ID=5112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91A KR102066750B1 (ko) 2012-12-14 2012-12-14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6589B (zh) * 2017-06-14 2020-10-3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遥晕终端定位业务的方法和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199A (ja) * 2000-02-28 2001-09-07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KR100829583B1 (ko) * 2006-12-0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메모하는 방법 및 장치, 통화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6618A1 (en) * 2004-10-29 2006-05-1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text to speech
KR101135222B1 (ko) * 2010-07-27 2012-04-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199A (ja) * 2000-02-28 2001-09-07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KR100829583B1 (ko) * 2006-12-0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메모하는 방법 및 장치, 통화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287A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75829A1 (en) Voice searching metadata through media content
US9396760B2 (en) Song flow methodology in random playback
JP4347223B2 (ja) マルチメディア文書における多モード特性に注釈を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9085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landmark identification
US8942549B2 (en) Resume point for digital media playback
US20140282138A1 (en) Dynamic generation of user interface placeholder templates
US10694222B2 (en) Generating video content items using object assets
US20160217109A1 (en) Navigable web page audio content
CN104349173A (zh) 视频复读方法及装置
CN110046263B (zh) 多媒体推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066750B1 (ko)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US20120284267A1 (en) Item Randomization with Item Relational Dependencies
TWI299466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sentation files for an embedded system
KR101442355B1 (ko) 미디어 요약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84577B1 (ko)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9724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stories with related referents
KR20090126525A (ko)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2500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Metadata With Media Using Metadata Placeholders
CN114979743A (zh) 视听作品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7084235A (ja) 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方法
TWI450113B (zh) 使用者模型產生技術
KR101715966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88623B1 (ko) 영상 컨텐츠에 대한 합성음 실시간 생성에 기반한 컨텐츠 편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1593608B1 (ko)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US81663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luding customized CDA attributes for searching and retrie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