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525A -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525A
KR20090126525A KR1020080052657A KR20080052657A KR20090126525A KR 20090126525 A KR20090126525 A KR 20090126525A KR 1020080052657 A KR1020080052657 A KR 1020080052657A KR 20080052657 A KR20080052657 A KR 20080052657A KR 20090126525 A KR20090126525 A KR 2009012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igital content
playback
list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772B1 (ko
Inventor
김광혁
안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5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772B1/ko
Priority to US12/237,508 priority patent/US8971686B2/en
Publication of KR2009012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 및/또는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입력받아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재생 위치가 수록된 재생 위치 목록을 생성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충돌 없이 재생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방송, 재생 위치, PVR, DPI

Description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 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contents using playback posi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관리 및 실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고자 하는 재생 위치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관리 및 실행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방송 기술이 IT 기술과 더불어 발전하면서,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 MHP(Multimedia Home Product) 와 같은 대표적인 데이터 방송 기술은 PVR(Personal Video Recorder)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집에서 각종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이 구성하는 홈 네트워크로 활용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데이터 방송 기술이 확장됨에 따라 데이터 방송을 통하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가 접하는 컨텐츠도 방송 컨텐츠로부터 녹화 컨텐츠로 발전하고,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리모트(remote) 컨텐츠로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도 1a 은 종래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일례를 도시한다.
종래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방송용 디지털 컨텐츠(100)가 프로그램 컨텐츠(110,114), 광고 컨텐츠(112)를 포함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100)의 현재 시청 위치(120)까지 시청하는 경우, 현지 시청 위치(120) 이전의 컨텐츠 부분(122)은 더 이상 접근할 수 없으며 현재 시청 위치(120)의 컨텐츠 부분(124)만이 정해진 시간이 되면 접근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과거 시점의 컨텐츠(122)를 다시 재생하고 싶어도 종래 디지털 방송에서는 이미 지나간 컨텐츠에 접근할 수 없다.
도 1b 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술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보고 싶은 방송 컨텐츠를 임의의 시간에 볼 수 있도록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이 기술은 현재 PVR 기술의 형태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도 1b 에서, PVR 기술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100)가 녹화되고 녹화된 디지털 컨텐츠(100)가 재생된다면 시작 위치(120)에서부터 재생되게 된다.
이 경우 녹화된 컨텐츠(100)를 현재 시청 위치(140)까지 시청하다가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고, 다시 녹화된 컨텐츠(100)를 시청하려는 경우 시청 위치(140)부터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 위치(130)부터 다시 재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은 재생 위치를 고려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a 및 1b 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재생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재생 시작 위치는 디지털 컨텐츠 상의 미디어 타임을 설정하는 형식에 의해 데이터 방송용 어플리케이션에게 제공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210, 214) 및 광고 컨텐츠(212)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200)를 녹화하다가 재생 시작 위치(220)를 지정하고 방송 컨텐츠(200)의 재생을 중단했다가, 다시 방송 컨텐츠(200)를 재생하고 싶다면 재생 시작 위치(220)로부터 재생함으로써 방송 컨텐츠(200)를 연이어 다시 시청할 수 있다.
도 3 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재생 시작 위치를 녹화 컨텐츠의 미디어 타임으로 설정함으로써, 녹화 컨텐츠의 재생 시작 위치가 설정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런 식으로 재생 시작 위치를 설정하고자 하는 주체가 하나 이상이라면 원하는 재생 시작 위치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DVR(Digital Video Recorder) 어플리케이션(320)은 디지털 컨텐츠(300) 상의 프로그램(310) 부분에 재생 시작 위치를 설정하기를 원하고, DPI(Digital Program Insertion) 어플리케이션은 광고 컨텐츠를 재생 시작 위치(330)에 삽입하기 원한다.
도 4 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충돌 현상을 도시한다.
재생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현재 기술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재생 시작 위치를 설정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면 하나의 재생 위치만으로는 모든 정보를 수용할 수가 없다. 즉, DVR 어플리케이션(410)이 먼저 재생 위치를 설정해놓았는데 DPI 어플리케이션(420)이 원하는 재생 위치를 설정한다면 미리 DVR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재생 위치가 DPI 어플리케이션이 원하는 재생 위치로 갱신되게 된다. 마 찬가지로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430)도 재생 위치를 설정하고자 한다면, DVR 어플리케이션(410) 또는 DPI 어플리케이션(420)에 의해 설정되었던 재생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에 하나 이상의 재생 위치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또는 재생 위치 간에 충돌이 발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상의 재생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고,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데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자 할 때,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따로 저장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통합적으로 관리되는 재생 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재생 위치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재생 위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별개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재생 위치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록된 재생 위치 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위 치 목록으로부터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상기 검색된 재생 위치에 대한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각각의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의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별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재생 위치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입력받는 디지털 컨텐츠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입력받는 재생 위치 입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재생 위치 목록을 생성하는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 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별개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해 재생 위치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록된 재생 위치 목록을 추출하는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위치 목록으로부터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재생 위치 검색부;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상기 검색된 재생 위치에 대한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접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각각의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상기 어플리 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의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별개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재생 위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재생 위치를 분류함으로써 정확한 재생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재생 위치가 설정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의 각종 속성 정보에 따라 재생 위치를 기록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디지털 컨텐츠를 처리하더라도 각각의 재생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재생 위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 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분류된 재생 위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재생 위치의 디지털 컨텐츠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자 할 때,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따로 저장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기록됨으로 인해, 다양한 재생 위치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 및 이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14 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고, 그 디지턴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상술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500)는 디지털 컨텐츠 입력부(510), 재생 위치 입력부(520) 및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530)를 포함한다.
디지털 컨텐츠 입력부(510)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입력받아, 재생 위치 입력부(520)로 출력한다.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가 다수일 수 있으며, 제공된 디지털 컨텐츠도 다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는 녹화 및 재생을 위한 컨텐츠 뿐만 아니라 일반 인터넷 컨텐츠 및 기타 VOD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등 종류가 한정되지 않는다.
재생 위치 입력부(520)는, 디지털 컨텐츠 입력부(510)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입력받고, 입력된 재생 위치를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530)로 출력한다. 재생 위치란 디지털 컨텐츠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작업을 수행하기 원하는 시점 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기록된 데이터 상의 위치를 의미한다. 재생 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미디어 타임, 재생 시작 위치 등의 소정 시간적 위치일 수도 있다.
디지털 컨텐츠 입력부(510)로 입력된 디지털 컨텐츠가 다수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먼저 선택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가 결정된다. 각각의 재생 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번호, 종류, 기능, 사용자, 제공자 등에 따라 각각의 재생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530)는 재생 위치 입력부(520)로부터 재생 위치를 입력받아,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따라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재생 위치 목록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생성된 재생 위치 목록은 해당 디지털 컨텐츠와 같은 데이터 단위에 기록될 수 있으며, 또한 별개의 데이터 단위로 기록될 수도 있다.
재생 위치 목록은 재생 위치를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수록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는, 각각의 재생 위치에 접근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500)는 한 디 지털 컨텐츠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구별되는 재생 위치를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600)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부(610),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620), 재생 위치 검색부(630) 및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를 포함한다.
디지털 컨텐츠 선택부(610)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620)로 출력한다.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620)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부(610)로부터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위치 목록을 추출하여 재생 위치 검색부(630)로 출력한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재생 위치 목록은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재생 위치를 수록하고 있다.
재생 위치 목록은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별개로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재생 위치 검색부(630)는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620)로부터 재생 위치 목록을 입력받아,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이용하여 재생 위치 목록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고자 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재생 위치를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로 출력한다.
재생 위치 검색부(630)는 재생 위치 목록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부합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고 결정하기 위해, 먼저 현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속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미리 제공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위치 목록 중 부합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재생 위치 목록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부합하는 재생 위치에 관한 항목이 검색된다면, 그에 매칭되는 재생 위치가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위치 목록 중 소정 정보와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는 재생 위치 검색부(630)로부터 입력된 재생 위치에 기반하여,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에 대한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한다. 원하는 재생 위치에 접근한 어플리케이션은 각자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은 디지털 컨텐츠에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디지털 방송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700)는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702, 706) 및 방송 프로그램 사이에 삽입된 광고 컨텐츠(704)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전에 동일 디지털 컨텐츠를 처리하다가 차후에 다시 처리할 때 바로 접근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 상의 소정 위치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주체에 의해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도록 권장되는 디지털 컨텐츠 상의 소정 위치로써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디지털 컨텐츠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DVR 어플리케이션(710)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702)를 녹화하고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재생 시점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700)에 대해 재생 위치를 설정하려고 한다. DPI 어플리케이션(720)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702) 및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706) 사이에 광고 컨텐츠(704)를 삽입하여 광고 컨텐츠(704)를 재생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700)에 대해 재생 위치를 설정하려고 한다.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730)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706)를 이용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700)에 대해 재생 위치를 설정하고자 한다.
이렇게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수의 재생 위치가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700)에 대해 정확히 설정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재생 위치가 소정 기준에 의해 식별되어야 한다.
도 8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의 항목을 도시한다.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어플리케이션 속성 등에 의해 분류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ID(802),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공자 ID(804),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따른 제반 종류를 나타내는 기능(806)이 있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ID(802), 제공자 ID(804) 및 어플리케이션 기능(806)에 따라 분류된 재생 시작 위치(808)가 설정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의 항목(800)은 어플리케이션 ID(802), 제공자 ID(804), 기능(806) 및 이들에 따라 분류된 재생 시작 위치(808)가 있을 수 있다.
도 8b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의 항목을 도시한다.
또한, 재생 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장치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ID(856)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의 항목(850)은 어플리케이션 ID(852), 제공자 ID(854), 장치 ID(856), 기능(858) 및 이들에 따라 분류된 재생 시작 위치(860)가 있을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900)은 어플리케이션 ID(910), 제공자 ID(920), 기능(930) 및 재생 시작 위치(940)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구성된 목록이다. 즉, 어플리케이션 ID가 '1000'이고, 제공자 ID가 '50'이고 기능 값이 '없음'인 어플리케이션이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위치 '100'에 재생 시작 위치를 설정하였음을 나타낸다.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500)의 재생 위치 입력부(520)는 어플리케이션 ID가 '1000'이고, 제공자 ID가 '50'이고 기능 값이 '없음'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 위치 '100'에 재생 시작 위치를 설정하도록 재생 위치를 입력받고,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530)는 어플리케이션의 각종 속성 항목들(910, 920, 930)에 따른 어플 리케이션 정보 및 재생 시작 위치(900)를 이용하여 재생 위치 목록(900)을 생성한다.
반면에,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600)의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620)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관된 재생 위치 목록(900)을 추출하고, 재생 위치 검색부(630)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를 재생 위치 목록(900) 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항목들(910, 920, 930)의 정보들과 비교하여, 원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는 앞서 검색된 재생 위치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0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을 도시한다.
재생 위치 목록(1000)은 기능(1030) 항목이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ID가 '1000'이고 제공자 ID '30'인 어플리케이션이 재생 시작 위치 '100'에 대해 "DPI" 기능, 즉 광고 삽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재생 위치를 설정하고자 하고, 재생 시작 위치 '1000'에 대해서는 "DVR" 기능, 즉 녹화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재생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ID가 '100'이고 제공자 ID '30'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1'에 의해 재생 시작 위치 '5000'에 대해 재생 위치를 설정하고, '사용자 2'에 의해 재생 시작 위치 '5000'에 대해 재생 위치를 설정한다. 즉,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라도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다수 있다면, 각각의 사용자에 따라 재생 위치가 별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 가 설정된 디지털 컨텐츠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1100)에는 프로그램 컨텐츠(1102) 상의 소정 위치에 DVR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1110)가 설정되고, 광고 컨텐츠(1104)의 시작 위치에 DPI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1120)가 설정되며, 프로그램 컨텐츠(1106) 상의 소정 위치에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1130)가 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600)의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는 DVR 어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컨텐츠(1102)의 재생 위치(1110)로부터 녹화된 컨텐츠를 재생하게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는 DPI 어플리케이션이 광고 컨텐츠를 재생 위치(1120)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는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컨텐츠(1106) 상의 재생 위치(1130)로부터의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 목적을 위해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디지털 컨텐츠의 소정 재생 위치로 접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600)에 대해 DVR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녹화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입력된다(1210). 재생 요청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600)의 디지털 컨텐츠 중 녹화 컨텐츠가 선택된다(1220). DVR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속성 정보로써 어플리케이션 ID '1000', 제공자 ID '30', 기능 값 "DVR"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해당 녹화 컨텐츠가 선택되면,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620)는 해당 녹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 목록을 추출한다.
재생 위치 검색부(630)는 DVR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속성 정보를 획득한다(1230). 즉, DVR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ID '1000', 제공자 ID '30', 기능 값 "DVR"의 속성 정보가 추출된다.
재생 위치 검색부(630)는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 재생 위치를 재생 위치 목록으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한다. 즉, 재생 위치 목록(100)에서 어플리케이션 ID '1000', 제공자 ID '30', 기능 값 "DVR"의 속성 정보에 매치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여 DVR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시작 위치가 '1000'임을 추출하여 결정한다.
어플리케이션 접근부(640)는 재생 위치 '1000'으로의 DVR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여, DVR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플레이어는 재생 위치 '1000'을 지정하고 재생 위치 '1000'로부터 녹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1250).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310 에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가 입력된다.
단계 1320 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가 입력된다.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마다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재생 위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입력된 재생 위치는 여러 개일 수 있다.
단계 1330 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재생 위치 목록이 생성된다.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식 별 정보,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장치의 식별 정보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410 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디지털 컨텐츠가 선택된다.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미리 재생 위치가 설정된 디지털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단계 1420 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록된 재생 위치 목록이 추출된다. 재생 위치 목록은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계된 다른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단계 1430 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이용하여 추출된 재생 위치 목록으로부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가 결정된다.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여 재생 위치 목록으로부터 현재 어플리케이션에 부합하는 재생 위치가 검색된다.
단계 1440 에서, 디지털 컨텐츠 상의 검색된 재생 위치에 대한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이 허용된다.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디지털 처리 장치가 상기 검색에 의해 결정된 재생 위치를 지정하여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은 종래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b 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술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도시한다.
도 2 은 재생 위치를 고려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 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4 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충돌 현상을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디지털 컨텐츠에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의 항목을 도시한다.
도 8b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의 항목을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을 도시한다.
도 10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위치 목록을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 가 설정된 디지털 컨텐츠를 도시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디지털 컨텐츠의 소정 재생 위치로 접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Claims (30)

  1.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재생 위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별개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
  8.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록된 재생 위치 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위치 목록으로부터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상기 검색된 재생 위치에 대한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각각의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의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 단계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별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
  15.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입력받는 디지털 컨텐츠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를 입력받는 재생 위치 입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재생 위치 목록을 생성하는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위치 목록에 상기 재생 위치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별개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 장치.
  22.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디지털 컨 텐츠를 선택하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재생 위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록된 재생 위치 목록을 추출하는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위치 목록으로부터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재생 위치 검색부;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상의 상기 검색된 재생 위치에 대한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접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각각의 재생 위치에 대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검색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의 재생 위치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목록 추출부는,
    상기 재생 위치 목록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별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0.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컨텐츠 실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80052657A 2008-06-04 2008-06-04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2657A KR101486772B1 (ko) 2008-06-04 2008-06-04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2/237,508 US8971686B2 (en) 2008-06-04 2008-09-2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digital contents according to playback pos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2657A KR101486772B1 (ko) 2008-06-04 2008-06-04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525A true KR20090126525A (ko) 2009-12-09
KR101486772B1 KR101486772B1 (ko) 2015-02-04

Family

ID=4140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2657A KR101486772B1 (ko) 2008-06-04 2008-06-04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71686B2 (ko)
KR (1) KR101486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269B1 (ja) * 2011-10-31 2013-02-13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出力装置、及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US20150089564A1 (en) * 2012-04-23 2015-03-26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3d service
KR101964927B1 (ko) * 2012-07-17 2019-04-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캐싱 프록시 방법 및 장치
KR102609363B1 (ko) * 2016-10-18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콘텐트 재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6970641B1 (en) * 2000-09-15 2005-11-29 Opentv, Inc. Playback of interactive programs
JP2003085321A (ja) * 2001-09-11 2003-03-20 Sony Corp コンテンツ利用権限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権限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40008970A1 (en) * 2002-07-09 2004-01-15 Junkersfeld Phillip Aaron Enhanced bookmarks for digital video playback
TW200518070A (en) * 2003-10-10 2005-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WO2005104558A1 (en) * 2004-04-21 2005-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 playback device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7664786B2 (en) * 2005-12-12 2010-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context
JP2007329833A (ja) * 2006-06-09 2007-12-20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再生装置、再生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23800B2 (en) * 2006-06-23 2011-09-20 Steve Concotelli Media playback system
US9602774B2 (en) * 2007-12-28 2017-03-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hannels
US20090235312A1 (en) * 2008-03-11 2009-09-17 Amir Morad Targeted content with broadcas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04363A1 (en) 2009-12-10
KR101486772B1 (ko) 2015-02-04
US8971686B2 (en)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922B1 (ko) 시리즈 컨텐츠의 시청 포인트를 기초로 컨텐츠를재생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US84901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user profile on the basis of playlists
CN101099210B (zh) 再现用于存储提供增强的搜索功能的元数据的存储介质的装置和方法
CN102844812B (zh) 媒体内对象的社交上下文
JP396651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35024B2 (ja) コンテンツのシーン出現を通知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228800A1 (en) Display device
US10014029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155384A (ja) 映像コメント入力・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20090132074A1 (en) Automatic segment extraction system for extracting segment in music piece, automatic segment extraction method, and automatic segment extraction program
JP445917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70157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broadcasting contents
JP2010514302A (ja) サマリ及びレポートを既に含んでいる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文書について新たなサマリを作成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使用する受信機
KR101486772B1 (ko) 재생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및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TWI301268B (en) Storage medium including meta information for search and device and method of playing back the storage medium
US8352985B2 (en)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broadcast contents and apparatus therefor
WO2014103374A1 (ja) 情報管理装置、サーバ及び制御方法
JP2009147775A (ja) 番組再生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媒体
JP4256401B2 (ja) 映像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情報記録媒体、映像情報処理方法、映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1015012B (zh) 再现av数据的设备
CN104871245A (zh) 基于时间信息为内容编索引的方法、装置和系统
TWI497959B (zh) Scene extraction and playback system, method and its recording media
JP2006332765A (ja) コンテンツ検索・再生方法、コンテンツ検索・再生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088119B2 (ja)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Huet et al. Automatic video summa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