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74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744A
KR20100061744A KR1020107008809A KR20107008809A KR20100061744A KR 20100061744 A KR20100061744 A KR 20100061744A KR 1020107008809 A KR1020107008809 A KR 1020107008809A KR 20107008809 A KR20107008809 A KR 20107008809A KR 20100061744 A KR20100061744 A KR 20100061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etection
cage
switch
displ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830B1 (ko
Inventor
미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Abstract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피검출체를 검출가능한 위치 스위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는, 위치 스위치에 의한 피검출체의 검출의 유무에 의해서, 소정의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쉬브 연동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변위되는 변위체를 가지고 있다. 변위체를 검출가능한 과속도 검출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값이 소정의 제 1 기준값일 때에 변위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의 값이 제 1 기준값보다 높은 제 2 기준값일 때에 변위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과속도 검출 스위치는, 자계 변위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영역에 있을 때에 제 1 검출 위치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제 2 검출 위치로 변위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로 내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소정의 설정 속도를 넘었을 때에 안전 장치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여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라 상기의 설정 속도를 바꾸게 되어 있다. 설정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가 승강로의 종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낮아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피트부에 설치된 완충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승강로 전체의 높이를 짧게 할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3-104646호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가 회전체의 회전량으로부터 구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 회전체의 회전량과의 관계를 건물의 승강로의 높이마다 개별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작업에 어려움이 있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승강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피검출체가 설치되며 승강로 내를 이동하는 엘리베이커 칸,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피검출체를 검출 가능한 위치 스위치를 가지며, 위치 스위치에 의한 피검출체의 검출의 유무에 의해서, 승강로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존재의 유무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 조속기 쉬브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변위되는 변위체를 가지는 쉬브 연동 장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의 값이 소정의 제 1 기준값일 때 변위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의 값이 제 1 기준값보다 높은 제 2 기준값일 때 변위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과속도 검출 스위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서,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영역에 있을 때 제 1 검출 위치로 과속도 검출 스위치를 변위시켜서,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제 2 검출 위치로 과속도 검출 스위치를 변위시키는 전자 변위 장치, 및 과속도 검출 스위치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승강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 모두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각 하부 위치 스위치, 각 상부 위치 스위치 및 전자 마그넷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각 하부 위치 스위치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 모두가 캠의 검출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운전 속도 및 운전 정지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2) 내에는, 구동 쉬브(3)를 가지는 권상기(구동장치)(4)와, 구동 쉬브(3)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디플렉션 쉬브(5)와,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3) 및 디플렉션 쉬브(5)에는 공통의 메인 로프(7)가 감겨 걸려져 있다. 메인 로프(7)에는 승강로(1)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가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구동 쉬브(3)의 회전에 의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가 승강로(1) 내를 승강할 때는, 엘리베이터 칸(8)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되고, 균형추(9)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된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낙하를 저지하는 비상 멈춤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0)에는 조작 암(11)이 설치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0)는, 조작 암(11)의 조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파지한다.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은 비상 멈춤 장치(10)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파지에 의해 저지된다.
기계실(2) 내에는 조속기(12)가 설치되고,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텐션 쉬브(13)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2)는, 조속기 본체(14)와, 조속기 본체(14)에 설치된 조속기 쉬브(15)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 쉬브(15) 및 텐션 쉬브(13) 사이에는 조속기 로프(16)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6)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조작 암(11)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15)및 텐션 쉬브(13)는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된다.
조속기 본체(14)는, 조속기 쉬브(15)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비상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조속기 로프(16)를 파지한다. 조작 암(11)은 조속기 로프(16)가 조속기 본체(14)에 의해 파지되어 엘리베이터 칸(8)이 조속기 로프(16)에 대해서 변위되는 것에 의해서 조작된다.
엘리베이터 칸(8)의 측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 방향을 따른 캠(피검출체)(17)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승강로(1)의 하단부(종단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하단부 영역과, 승강로(1)의 상단부(종단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상단부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은,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영역이다. 또한, 승강로(1) 내에는, 하단부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존재의 유무를 검출하는 하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8)와, 상단부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존재의 유무를 검출하는 상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하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8)는, 캠(17)을 검출 가능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하부 위치 스위치(18a,18b,18c)를 가지고 있다.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는 승강로(1)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는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9)는, 캠(17)을 검출 가능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상부 위치 스위치(19a,19b,19c)를 가지고 있다.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는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에 있을 때는,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캠(17)에 의해 조작된다. 엘리베이터 칸(8)이 상단부 영역에 있을 때는,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캠(17)에 의해 조작된다.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는 캠(17)에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캠(17)을 검출한다.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의 각각으로 부터 벗어나서 승강로(1) 내의 중간부에 있을 때는,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모두에 대한 캠(17)에 의한 조작이 해제된다.
즉, 하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8)는,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의 각각에 의한 캠(17)의 검출의 유무에 의해서, 하단부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존재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한, 상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9)는,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의 각각에 의한 캠(17)의 검출의 유무에 의해서, 상단부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존재의 유무를 검출한다.
캠(17)의 길이는,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사이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사이의 각각의 간격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을 이동할 때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모두가 캠(17)을 검출하지 않게 되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8)이 상단부 영역을 이동할 때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모두가 캠(17)을 검출하지 않게 되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는 전선(20)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의 저부(피트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21)와 균형추(9)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균형추 완충기(22)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21)는 엘리베이터 칸(8)의 충돌을 받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8)에게 주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균형추 완충기(22)는 균형추(9)의 충돌을 받았을 때에 균형추(9)에 주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도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에 존재하여, 2개의 하부 위치 스위치(18a 및 18b)가 동시에 캠(17)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12)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의 모두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의 조속기(12)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조속기(12)는 지지체(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23)에는, 조속기(12)와 함께,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연동하는 쉬브 연동 장치(24)와, 쉬브 연동 장치(24)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을 받는 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하는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과속도 검출 스위치(25)와,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를 변위시키는 전자 변위 장치(26)가 지지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5)의 쉬브 축(27)은 베어링(28)을 통하여 조속기 본체(14)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쉬브 축(27)의 단부에는 구동 베벨기어(29)가 고정되어 있다.
쉬브 연동 장치(24)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종동축(30)과, 종동축(3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구동 베벨기어(29)에 서로 맞물리는 종동 베벨기어(31)와, 종동축(30)에 설치되어 종동축(30)을 따른 방향(소정의 방향)으로 종동축(30)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변위체(32)와, 종동축(30)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위체(32)를 변위시키는 원심 변위 장치(33)를 가지고 있다.
종동축(30)은 베어링(34)을 통하여 지지체(23)에 지지되어 있다. 쉬브 축(27)의 회전은 구동 베벨기어(29) 및 종동 베벨기어(31)를 통하여 종동축(30)에 전달된다. 따라서, 종동축(30)은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원심 변위 장치(33)는 종동축(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심 변위 장치(33)는 종동축(30)과 일체로 회전된다. 더욱이, 원심 변위 장치(33)는, 종동축(30)의 상단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암(35)과, 각 암(35)의 선단부에 설치된 플라이 볼(fly ball)(36)과, 종동축(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시켜진 슬라이드 통(37)과, 각 암(35)과 슬라이드 통(37)을 연동시키는 링크 부재(38)와, 슬라이드 통(37)을 하부로 가압하는 평형 스프링(39)를 가지고 있다.
각 플라이 볼(36)은 종동축(30)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원심력을 받고, 받은 원심력에 따라서 변위된다. 슬라이드 통(37)은 각 플라이 볼(36)의 변위에 따라서, 종동축(30)을 따른 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종동축(3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할 때에는, 각 플라이 볼(36)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슬라이드 통(37)이 평형 스프링(39)의 가압력(付勢力)에 반하여 윗쪽으로 변위된다. 또한, 종동축(30)의 회전 속도가 저하할 때는, 각 플라이 볼(36)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슬라이드 통(37)이 평형 스프링(39)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로 변위된다.
변위체(32)는 슬라이드 통(37)과 함께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변위체(32)는 조속기 쉬브(15)의 회전 속도에 따라 종동축(30)을 따른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변위체(32)는 슬라이드 통(37) 및 종동축(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변위체(32) 상태는 슬라이드 통(37) 및 종동축(30)이 회전되어도, 회전되지 않은 채 유지된다. 더욱이, 변위체(32)는 종동축(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시켜진 종동통(40)과, 종동통(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부(41)를 가지고 있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종동통(40)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지지체(23)에 설치된 안내 부재(42)의 안내에 의해서, 변위체(32)가 변위되는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소정의 제 1 검출 위치(도 2)와, 제 1 검출 위치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 2 검출 위치(도 3)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스위치 본체(43)와, 스위치 본체(43)에 설치되고 변위체(32)측으로 돌출하는 스위치 레버(44)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41)는, 변위체(32)의 과속도 검출 스위치(25)에 대한 변위에 의해서, 스위치 레버(44)를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스위치 레버(44)가 조작부(41)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변위체(32)를 검출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신호는, 과속도 검출 스위치(25)에 의한 변위체(32)의 검출에 의해서 스위치 본체(43)로부터 출력된다.
제어장치(6)는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장치(6)는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로부터의 정지 신호를 받는 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판정을 실시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변위체(32)를 검출할(즉, 정지 신호를 출력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운전 정지 속도)의 값은,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제 1 검출 위치에 있을 때(도 2),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의 값보다 낮은 소정의 제 1 기준값이 되고,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제 2 검출 위치에 있을 때(도 3),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보다 높은 소정의 제 2 기준값(예를 들면, 정격 속도의 1.3배의 속도)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 2 기준값은, 비상 멈춤 장치(10)가 동작하는 비상 과속도의 값보다 낮은 값으로 되어 있다.
전자 변위 장치(26)는 제 1 검출 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가압체)(45)과, 스위치 본체(43)에 맞닿게 된 플런저(46)와, 급전을 받는 것에 의해서 가압 스프링(45)의 가압력에 반하여,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제 2 검출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플런저(46)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7)을 가지고 있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전자 마그넷(47)으로의 급전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서 제 1 검출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전자 마그넷(47)으로의 급전을 하는 것에 의해서, 가압 스프링(45)의 가압력에 반하여 제 2 검출 위치로 변위된다.
도 4는, 도 1의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및 전자 마그넷(47)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모두가 캠(17)의 검출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또한, 도 4는 2개의 하부 위치 스위치(18a 및 18b)만이 캠(17)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및 전자 마그넷(47)의 코일은, 직류 전원(48)과 함께 전선(20)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는, 캠(17)의 검출의 유무에 따라 개폐하는 접점을 각각 가지고 있다.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의 접점은, 캠(17)의 검출에 의해서 열리고, 캠(17)의 검출의 정지에 의해 닫힌다.
이것에 의해,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모두가 캠(17)의 검출을 정지하고 있을 때는, 모든 접점이 닫혀서 전자 마그넷(47)의 코일로의 급전이 직류 전원(48)으로부터 행해진다. 또한,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의 적어도 하나가 캠(17)을 검출하고 있을 때는, 일부의 접점이 열리고, 전자 마그넷(47)의 코일로의 급전이 정지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모두가 캠(17)의 검출을 정지하고 있을 때(즉,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의 모두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전자 변위 장치(26)에 의해 제 2 검출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의 적어도 하나가 캠(17)을 검출하고 있을 때(즉,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의 어느 쪽인가에 있을 때), 전자 변위 장치(26)에 의해 제 1 검출 위치로 변위된다. 즉, 전자 변위 장치(26)는, 하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8) 및 상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9)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서, 제 1 검출 위치와 제 2 검출 위치와의 사이에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를 변위시킨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8)의 통상 운전 속도 및 운전 정지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8)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은, 엘리베이터 칸(8)이 이동하는 모든 위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8)의 통상 운전 속도(52)보다 높은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의 어느 쪽인가에 있을 때에는,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제 1 검출 위치로 변위되어(도 2),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이 제 1 기준값 Vos1로 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 모두로부터 벗어나서 승강로(1) 내의 중간부에 있을 때에는,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제 2 검출 위치로 변위되며(도 3),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이 제 1 기준값 Vos1보다 높은 제 2 기준값 Vos2로 된다. 제 1 기준값 Vos1는 정격 속도의 값 Vo보다 낮고, 제 2 기준값 Vos2는 정격 속도의 값 보다 높게 되어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8)이 통상 운전 속도(52)로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가 운전 정지 속도(51)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로부터의 정보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정지되는 일은 없다.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가 상승하여, 운전 정지 속도(51)에 도달했을 때에는, 과속도 검출 스위치(25)로부터 제어장치(6)로 정지 신호가 보내진다. 제어장치(6)가 정지 신호를 받으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제어장치(6)에 의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그 후에, 제어장치(6)에 의한 운전 정지의 제어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비상 과속도에 도달할 때에는, 조속기 로프(16)가 조속기(12)에 의해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16)의 이동이 정지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조속기 로프(16)에 대해서 변위된다.
엘리베이터 칸(8)이 조속기 로프(16)에 대해서 변위되면, 조작 암(11)이 조작되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동작이 비상 멈춤 장치(10)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제동력이 직접 주어진다.
다음,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을 바꿀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로(1) 내의 중간부에 있을 때는, 각 하부 위치 센서(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센서(19a~19c) 모두가 캠(17)의 검출을 정지하고 있다. 이때에는, 전자 마그넷(47)으로의 급전을 행하여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제 2 검출 위치로 변위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이 제 2 기준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이동하여 승강로(1)의 중간부로부터 상단부 영역 및 하단부 영역의 어느 쪽에 진입하면, 각 하부 위치 센서(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센서(19a~19c)중 한쪽이 캠(17)을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47)으로의 급전이 정지되어서, 과속도 검출 스위치(25)가 제 2 검출 위치로부터 제 1 검출 위치로 변위된다.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은 과속도 검출 스위치(25)의 제 1 검출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서 제 1 기준값으로 전환된다.
엘리베이터 칸(8)이 상단부 영역 및 하단부 영역의 어느쪽으로부터 승강로(1)의 중간부로 진입할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에 의해서,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이 제 1 기준값으로부터 제 2 기준값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1) 내에 각각 설치된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에 의한 캠(17)의 검출의 유무에 의해서,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존재의 유무가 검출되고,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존재의 유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가 비정상인가 아닌가의 판정 기준이 되는 운전 정지 속도(51)의 값이 전환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8)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에 있을 때의 운전 정지 속도의 값을 정격 속도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의 종단부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가 정격 속도보다 낮은 단계에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의 감속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21) 및 균형추 완충기(2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1)의 높이 치수의 축소화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를 승강로(1) 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위치와 엘레베이터 칸(8)의 이동량과의 관계를 승강로(1) 마다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승강로(1) 마다 높이가 차이가 나도, 하부 위치 스위치나 상부 위치 스위치의 위치나 개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써 엘리베이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의 간격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의 간격보다 캠(17)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8)이 상단부 영역 및 하단부 영역에 있을 때, 각 하부 위치 스위치(18a~18c) 및 각 상부 위치 스위치(19a~19c) 모두가 캠(17)을 검출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단부 영역 및 상단부 영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존재의 유무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기준값 Vos1이 정격 속도의 값 Vo보다 낮게 되어 있지만, 제 1 기준값 Vos1을 정격 속도의 값 Vo보다 높게 하여도 괜찮다.
1: 승강로, 3:구동 쉬브, 5: 디플렉션 쉬브, 8: 엘리베이터 칸, 10: 비상 멈춤 장치, 12: 조속기, 14: 조속기 본체, 16: 조속기 로프, 17: 캠, 18a∼18c: 하부 위치 검출 장치, 19: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19a∼19c: 상부 위치 검출 장치

Claims (2)

  1. 피검출체가 설치되며 승강로 내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피검출체를 검출 가능한 위치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위치 스위치에 의한 상기 피검출체의 검출의 유무에 의해서, 상기 승강로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존재의 유무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위되는 변위체를 가지는 쉬브 연동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의 값이 소정의 제 1 기준값일 때 상기 변위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의 값이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높은 제 2 기준값일 때 상기 변위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과속도 검출 스위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검출 위치로 상기 과속도 검출 스위치를 변위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상기 제 2 검출 위치로 상기 과속도 검출 스위치를 변위시키는 전자 변위 장치, 및
    상기 과속도 검출 스위치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위치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피검출체의 길이는, 각 상기 위치 스위치의 간격보다 길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07008809A 2008-01-25 2008-01-25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44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1080 WO2009093330A1 (ja) 2008-01-25 2008-01-25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744A true KR20100061744A (ko) 2010-06-08
KR101044830B1 KR101044830B1 (ko) 2011-06-28

Family

ID=4090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809A KR101044830B1 (ko) 2008-01-25 2008-01-2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33423A4 (ko)
JP (1) JP5264786B2 (ko)
KR (1) KR101044830B1 (ko)
CN (1) CN101878175B (ko)
WO (1) WO20090933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582A (ko) 2019-12-13 2021-06-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공력 개선 케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4498A1 (en) * 2009-09-02 2012-07-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CN102695666A (zh) * 2010-01-07 2012-09-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12017549A1 (ja) * 2010-08-06 2012-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456403B1 (ko) 2010-11-01 2014-10-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2367124A (zh) * 2011-06-28 2012-03-07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限位撞弓架
CN102344065A (zh) * 2011-06-28 2012-02-08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极限限位装置
JP5753072B2 (ja) * 2011-12-21 2015-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4395220B (zh) 2012-06-19 2016-08-3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15078859A1 (en) * 2013-11-29 2015-06-04 Inventio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vators
CN106132861B (zh) * 2014-04-09 2019-09-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46Y2 (ko) * 1974-04-08 1980-03-26
JPS5513346A (en) 1978-07-15 1980-01-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openign of building
JP4306014B2 (ja) * 1999-05-17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調速装置
JP2001354372A (ja)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3104646A (ja) * 2001-09-28 2003-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29669B2 (ja) * 2004-04-20 2011-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システム
ES2520866T3 (es) * 2005-03-30 2014-11-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censor
JP2008007322A (ja) * 2006-06-30 2008-01-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終端階減速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582A (ko) 2019-12-13 2021-06-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공력 개선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8175A (zh) 2010-11-03
JP5264786B2 (ja) 2013-08-14
WO2009093330A1 (ja) 2009-07-30
CN101878175B (zh) 2012-09-26
EP2233423A1 (en) 2010-09-29
EP2233423A4 (en) 2014-04-30
KR101044830B1 (ko) 2011-06-28
JPWO2009093330A1 (ja)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83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8261886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KR10103339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US8069956B2 (en) Elevator speed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EP1749784B1 (en)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JP49948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8869945B2 (en) Supplemental elevator safety system
EP2636626B1 (en) Elevator device
US9637348B2 (en) Elevator apparatus
CN1950286B (zh) 电梯装置
EP1749785B1 (en) Elevator controller
WO2005066058A2 (en) Elevator arrangement
EP2522613A1 (en) Elevator device
CN101602457B (zh) 电梯装置
KR20120030568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4205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7838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093728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