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165A -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165A
KR20100061165A KR1020080120067A KR20080120067A KR20100061165A KR 20100061165 A KR20100061165 A KR 20100061165A KR 1020080120067 A KR1020080120067 A KR 1020080120067A KR 20080120067 A KR20080120067 A KR 20080120067A KR 20100061165 A KR20100061165 A KR 20100061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wheel
pressing
weight
fram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청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1165A/ko
Publication of KR2010006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1/00Apparatus or 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8Wheel-ballasting weights; Thei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24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the rotating body being a vehicl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휠의 내면에 부착되는 웨이터를 일정한 압력으로 보다 견고하고 부착시킬 수 있고, 휠에 부착되는 웨이트에 대한 가압 작업을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타이어휠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타이어휠 내면에 부착된 웨이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필요시 타이어휠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를 제공한다.
프레임, 가압실린더, 가압롤러, 수직실린더, 구동모터

Description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DEVICE FOR PRESSING WEIGHT IN WHEEL}
본 발명은 타이어휠에 부착되는 웨이트를 휠에 가압하여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웨이트 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가 장착된 휠의 웨이트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자동차의 주행중 떨림이 발생한다. 즉, 웨이트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타이어의 반경방향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이 타이어의 전체 원주면에서 균일하지 않아서 타이어의 고속 회전시 차축에 떨림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심력의 차이는 도로면을 두드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되어 소음을 발생시킨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타이어가 장착된 휠의 언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 언밸런스양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웨이트를 휠과 타이어의 사이에 끼웠다.
상기와 같이 휠과 타이어의 사이에 웨이트를 억지로 끼워 넣는 것은 작업성이 불량하여 최근에는 휠의 내측면에 접착할 수 있는 스티커형태의 웨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웨이트는 충분한 가압력으로 휠에 압착되지 못하면, 차량의 주행중 떨어지게 될 염려가 많다.
이에 휠의 내면에 부착되는 웨이터를 일정한 압력으로 보다 견고하고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휠에 부착되는 웨이트에 대한 가압 작업을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타이어휠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타이어휠 내면에 부착된 웨이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필요시 타이어휠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프레임 중앙에 설치되는 수직실린더와, 이 수직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수직실린더가 구동되면 가압부가 상하로 이동되어 타이어휠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부는 지지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된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설치되는 지지대, 이 지지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가압실린더, 이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웨이트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실린더는 두 개가 180도 각도로 대향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돌출 설치되는 도그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그부재가 걸리도록 된 스토퍼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회동축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타이어휠의 내면 곡률에 따라 가압롤러의 각도가 가변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압롤러가 설치된 유동브라켓이 힌지축을 매개로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유동브라켓 사이에는 유동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가압롤러는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타이어휠의 내면의 경사각도에 관계없이 완전 밀착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끼워지는 시트부재가 고정브라켓에 대해 나사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타이어휠 내면에 부착된 웨이터의 가압 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어휠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타이어휠에 대해 웨이트 가압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가압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장치는 타이어휠(100)이 고정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타이어휠(100) 내면에 부착된 웨이트(도 9의 110 참조)를 가압하는 가압부(20),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필요시 타이어휠(100)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타이어휠(100)의 웨이트(110) 가압이 이루어지는 작업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복수개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결합된 박스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프레임(10)의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로는 타이어휠(100)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2)가 연결 설치된다. 이에 타이어휠(100)은 컨베이어(12)를 따라 프레임(10)으로 공급되고 웨이트(110) 가압작업 후 컨베이어(12)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는 프레임(10) 내부로 이송된 타이어휠(100)의 작업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센터정렬구(14)가 설치된다. 상기 센터정렬구(14)는 이송된 타이어휠(100) 중앙으로 하강하여 타이어휠(100)의 중심을 작업 위치에 일치시키게 된다.
상기 센터정렬구(14)는 프레임(10) 상단 중앙에 수직설치되는 구동실린더(16)와, 구동실린더(16)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타이어휠(100)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중심축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정렬구는 상기한 구조 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부(30)와 이동부(30)에 설치되는 가압부(20)는 프레임(10) 하부에 설치되어 타이어휠(100)에 대해 하부에 위치한다.
도 2는 상기 이동부와 가압부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30)는 프레임(10) 중앙에 설치되는 수직실린더(32)와, 이 수직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34)를 포함한다. 이에 수직실린더(32)가 구동되면 가압부(20)가 상하로 이동되어 타이어휠(100)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휠(100)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2)는 프레임(10) 내부에서 하부와 연통되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틈새를 통해 컨베이어(12) 하부에 위치한 가압부(20)가 컨베이어(12) 위쪽으로 상승하여 타이어휠(10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작업 후에는 상기 틈새를 통해 다시 가압부(20)가 하강함으로써 가압 부(20) 간섭없이 타이어휠(100)이 컨베이어(12)를 따라 프레임(10)의 출측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부(20)는 지지플레이트(34)에 연결설치된 플레이트(2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와, 구동모터(24)의 회동축에 설치되는 지지대(26), 이 지지대(26)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가압실린더(28), 이 가압실린더(28)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웨이트(11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2)는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플레이트(34) 상에 다수개의 지지바(36)를 매개로 이격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2) 하단에는 구동모터(24)가 고정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34)와 플레이트(2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플레이트(22) 위쪽으로 돌출된 구동모터(24)의 회전축(25)에는 지지대(26)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6) 상에 두 개의 가압실린더(28)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두 개의 가압실린더(28)는 구동모터(24)의 회전축(25)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으로 대향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된다. 이에 가압실린더(28)가 신장작동되면 두 개의 가압롤러(4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타이어휠(100) 내면에 부착된 웨이트(110)를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20)는 구동모터(24)의 회전축(25)의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가압실린더(28)가 설치된 지지대(26)를 180도의 각도 범위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 각도 한정은 언급한 바와 같이 직선형태로 배치된 가압실린더(28)와 가압롤러(40)가 컨베이어(12)와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4)의 회동축에는 도그부 재(42)가 방사방향으로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 상에는 상기 도그부재(42)가 걸리도록 된 스토퍼부재(44)가 180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4)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25)이 돌게 되면 도그부재(42)가 스토퍼부재(44)에 걸리면서 회전축(25)의 회동각도를 180도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20)는 타이어휠(100)의 내면 곡률에 따라 가압롤러(4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가압실린더(28)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50)과, 상기 가압롤러(40)가 설치된 유동브라켓(52)이 힌지축(54)을 매개로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0)과 유동브라켓(52) 사이에는 유동브라켓(52)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6)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실린더(28)의 피스톤로드 선단에는 가압롤러(40) 설치를 위한 고정브라켓(50)이 설치된다. 이 고정브라켓(50)의 수직면에 힌지축(54)을 매개로 가압롤러(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동브라켓(52)이 축결합된다. 이에 상기 유동브라켓(52)은 고정브라켓(50)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성스프링(56)이 탄력설치된다.
따라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브라켓(52)은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되며 탄성스프링(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면이 + 경사면인 경우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유동브라켓(52)이 위로 회동되어 가압롤러(40)가 경사면에 밀착된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휠(100)의 내면이 - 경사면인 경우 유동브라켓(52)이 아래로 회동되어 가압롤러(40)가 경사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롤러(4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타이어휠(100)의 내면의 경사각도에 관계없이 완전 밀착가능하게 된다. 이에 타이어휠(100)의 내면에 부착된 웨이트(110)를 고르게 가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스프링(56)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브라켓(52)과 고정브라켓(50)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시트부재(60,62)가 돌출 설치된다. 이에 상기 시트부재(60,62)에 탄성스프링(56)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본 장치는 상기 탄성스프링(56)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스프링(56)이 끼워지는 시트부재(60)가 고정브라켓(50)에 대해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0)으로 돌출된 시트부재(60)의 선단에는 고정 너트(64)가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브라켓(50)에 대해 시트부재(60)를 회전시키게 되면 시트부재가 고정브라켓(50)에 대해 이동되면서 유동브라켓(52)에 설치된 시트부재(62)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에 두 시트부재(60,62) 사이에 끼워진 탄성스프링(56)의 가압력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시트부재(60)를 이동하여 탄성스프링(56)의 가압력을 조절한 후에는 고정 너트(64)를 조여줌으로써 시트부재(60)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2)를 따라 타이어휠(100)이 프레임(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클램프(19)가 타이어휠(100)을 클램핑하고, 센터정렬구(14)가 구동되어 타이어휠(100)을 중심을 정렬하여 작업위치에 맞추게 된다.
타이어휠(100)이 작업 위치에 고정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실린더(32)가 신장작동되어 가압부(20)를 위로 상승시키게 된다.
즉, 수직실린더(32)가 신장작동되면 수직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4)가 위로 상승된다. 이에 지지플레이트(34) 상에 설치된 가압부(20)가 타이어휠(100)쪽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20)를 이루는 가압실린더(28)와 가압실린더(28)에 연결된 가압롤러(40)가 타이어휠(1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도 9는 상기와 같이 가압실린더(28)가 타이어휠(100) 내부로 진입한 후 가압롤러(40)가 타이어휠(100)의 내면에 접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실린더(28)가 신장작동되면 가압실린더(28)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가압롤러(40)가 양쪽으로 이동되면서 타이어휠(100)의 내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타이어휠(10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타이어휠(100)의 내면의 형태나 경사각도가 달라지게 되나,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롤러(40)는 자체적으로 상하로 회동되어 내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타이어휠(100)의 내면에 가압롤러(40)가 밀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4)가 회전작동된다.
구동모터(24)가 작동됨에 따라 구동모터(24)의 회전축(25)에 설치된 지지대(26)가 회동되어, 이 지지대(26)에 설치된 가압실린더(28)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가압실린더(28)에 연결된 가압롤러(40)가 타이어휠(1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타이어휠(10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롤러(40)는 타이어휠(100)의 내면을 가압한 상태로 타이어휠(10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가압롤러(40)는 타이어휠(100)에 대해 180도 이동하면서 내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타이어휠(100)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웨이트(110)가 가압롤러(40)의 가압력에 의해 눌려져 타이어휠(100) 내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가압롤러(40)가 타이어휠(100)의 내면을 따라 180도 회동되어 이동되면 수직실린더(32)는 다시 수축작동된다. 수직실린더(32)가 수축작동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20)는 타이어휠(100) 내부로부터 빠져나와 컨베이어(12) 밑으로 이동된다. 가압부(20)가 완전히 하강되면 타이어휠(100)은 컨베이어(12)를 따라 프레임(10) 출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가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가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구성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가압장치의 회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가압장치의 일부 구성 상세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가압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가압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2 : 컨베이어
20 : 가압부 24 : 구동모터
25 : 회전축 28 : 가압실린더
32 : 수직실린더 40 : 가압롤러
42 : 도그부재 44 : 스토퍼부재
50 : 고정브라켓 52 : 유동브라켓
54 : 힌지축 56 : 탄성스프링
60,62 : 시트부재

Claims (7)

  1. 타이어휠이 이송되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타이어휠 내면에 부착된 웨이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필요시 타이어휠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를 포함하는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프레임 중앙에 설치되는 수직실린더와, 이 수직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지지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된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설치되는 지지대, 이 지지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가압실린더, 이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웨이트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는 두 개가 180도 각도로 대향 설치되는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돌출 설치되는 도그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그부재가 걸리도록 된 스토퍼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회동축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압롤러가 설치된 유동브라켓이 힌지축을 매개로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유동브라켓 사이에는 유동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구조의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끼워지는 시트부재가 고정브라켓에 대해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KR1020080120067A 2008-11-28 2008-11-28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KR20100061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067A KR20100061165A (ko) 2008-11-28 2008-11-28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067A KR20100061165A (ko) 2008-11-28 2008-11-28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165A true KR20100061165A (ko) 2010-06-07

Family

ID=4236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067A KR20100061165A (ko) 2008-11-28 2008-11-28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11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65B1 (ko) * 2011-12-12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웨이트 가압장치
CN107053041A (zh) * 2017-02-17 2017-08-18 智奇铁路设备有限公司 一种弹性车轮的定位预紧方法及其装置
WO2017201149A1 (en) * 2016-05-17 2017-11-23 Android Industries Llc Weight applicator head providing improved wet out
CN108099495A (zh) * 2017-12-22 2018-06-01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轮装配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65B1 (ko) * 2011-12-12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웨이트 가압장치
WO2017201149A1 (en) * 2016-05-17 2017-11-23 Android Industries Llc Weight applicator head providing improved wet out
US20170335922A1 (en) * 2016-05-17 2017-11-23 Android Industries Llc Weight Applicator Head Providing Improved Wet Out
CN109196244A (zh) * 2016-05-17 2019-01-11 安德罗伊德工业有限公司 提供改进的浸润的配重施加器头部
US10975932B2 (en) * 2016-05-17 2021-04-13 Android Industries Llc Weight applicator head providing improved wet out
CN107053041A (zh) * 2017-02-17 2017-08-18 智奇铁路设备有限公司 一种弹性车轮的定位预紧方法及其装置
CN108099495A (zh) * 2017-12-22 2018-06-01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轮装配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21501U (zh) 横梁端部法兰焊接工装
KR20100061165A (ko) 타이어휠 부착 웨이트 가압 장치
KR101796644B1 (ko) 롤 벤딩장치
CN110576079A (zh) 一种钢板校平装置
KR101190787B1 (ko) 타이어 마운터
CN201998549U (zh) 餐巾纸印刷机印前处理装置
US5615775A (en) High-intensity magnetic separator
CN212449487U (zh) 板材自动对齐装置
CN112808601A (zh) 一种包装设备、分选机及分选机构
CN104625925B (zh) 一种用于封头表面抛光的自动抛光机
CN204093879U (zh) 顶盖横梁自动预弯装置
KR101327065B1 (ko) 차량의 휠 웨이트 가압장치
CN204382774U (zh) 一种纸箱印刷机辊压调整机构
CN2644159Y (zh) 输纸压力调节装置
CN106862883B (zh) 割草机机头部分组装机的轴承上料机构
KR101910613B1 (ko) 자동차 휠 밸런스 웨이트용 편평도 성형장치
CN210293718U (zh) 梯级挠度测试工装
CN108674044B (zh) 一种旋转自重来回弹性滚印装置
CN209601784U (zh) 移动式展平工作台
CN106429241A (zh) 膜片盘簧上料机的膜片盘簧出料机构
CN207876936U (zh) 布料转向机构
CN201980903U (zh) 起重机支腿及其调节装置
CN220004752U (zh) 一种阻水带烘干张紧调节装置
CN106624838B (zh) 一种板材加工装置
CN205803299U (zh) 定型炉物料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