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44B1 - 롤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롤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44B1
KR101796644B1 KR1020160000235A KR20160000235A KR101796644B1 KR 101796644 B1 KR101796644 B1 KR 101796644B1 KR 1020160000235 A KR1020160000235 A KR 1020160000235A KR 20160000235 A KR20160000235 A KR 20160000235A KR 101796644 B1 KR101796644 B1 KR 10179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curvature
guide
roll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328A (ko
Inventor
김수용
Original Assignee
김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용 filed Critical 김수용
Priority to KR102016000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의 철판을 절입시켜 설정 곡률의 커브편을 제조하는 것으로, 다양한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의 간편한 교체를 통해 다양한 곡률의 커브편의 성형이 가능하고, 또 커브 성형된 커브편의 곡률 계측을 통해 불량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 가능하도록 한 롤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 벤딩장치{Roll b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롤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의 철판을 절입시켜 설정 곡률의 커브편을 제조하는 것으로, 다양한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의 간편한 교체를 통해 다양한 곡률의 커브편의 성형이 가능하고, 또 커브 성형된 커브편의 곡률 계측을 통해 불량 여부를 자동으로 실시간 검사 가능하도록 한 롤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롤 벤딩장치는 평면의 철판을 롤 성형과정을 통해 설정 곡률로 절곡시켜 설정곡률을 갖는 커브편을 제조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롤 벤딩장치는, 지지 베이스에 지지롤러와 가압롤러가 상하 교차되게 배치되어, 이들 상하 교차된 지지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에 평면의 철판을 통과시켜 설정된 곡률로 절곡한다.
그런데, 종래 롤 벤딩장치는 가압롤러의 위상을 변경시켜 절곡되는 철판의 곡률을 변경하고 있으나, 가압롤러의 위상 변경만으로는 철판의 곡률의 설정에 따른 한계성이 있다.
즉, 보다 다양한 곡률의 커브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철판의 두께나 곡률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이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를 수시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롤 벤딩장치에는 승강레일이 형성된 지지대가 용접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 관계로 가압롤러를 수시로 교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 10-1446755호에서는 지면 또는 지지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는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의 일측에 설치판이 구비된 타측부에는 양측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는 힌지축에 결속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판과 고정판과, 가이드판은 다수개의 철판을 서로 겹쳐서 밀착 고정되고, 상기 설치판과, 가이드판은 중앙부에 하부가 개방되고, 내측에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제 1, 제 2높이조절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벤딩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판과 가이드판, 및 설치판의 분해 및 조립을 통해 가압롤러, 및 승강 가이드의 교환 설치가 가능하므로, 적합한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를 장착하여 철판을 설정곡률로 절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압롤러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가이드판과 설치판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요소들을 분해 및 재조립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많은 시간과 인력의 소모되므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철판의 롤 성형과정에 지지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에 진입되는 철판에 의해 가압롤러를 지지대에 승강구조로 고정한 승강 가이드에 강한 충격이 순간적으로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가압롤러를 통해 승강 가이드에 제공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완충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승강 가이드의 잦은 파손이 야기되고, 또 승강 가이드를 승강구조로 설치한 지지대는 용접 등을 통해 폐쇄된 관계로 승강 가이드의 교환을 통한 유지 보수가 어려워, 당 분야에서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지지대 전체를 교체하여 수리하고 있으며 이는 과도한 비용 발생을 야기한다.
또한, 종래 롤 벤딩장치에는 롤 성형된 커브편의 곡률을 계측하는 전용의 수단이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롤 성형과정을 통해 복수의 커브편을 제조한 다음, 작업자가 설정 곡률을 갖는 계측지그를 통해 제작된 각 커브편의 곡률을 일일히 계측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번거롭고 인력과 시간의 소모를 야기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의 철판을 절입시켜 설정 곡률의 커브편을 제조하는 것으로, 다양한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의 간편한 교체를 통해 다양한 곡률의 커브편의 성형이 가능하고, 또 커브 성형된 커브편의 곡률 계측을 통해 불량 여부를 실시간 검사 가능하도록 한 롤 벤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 벤딩장치는,
좌우 양편에 지지대가 형성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의 지지대에 양단을 각각 회동구조로 고정시켜, 좌우 이격된 지지대 사이에 상호 평행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들의 상부에 상하 교차되게 배치되어, 지지롤러에 지지된 상태로 절입되는 철판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절곡하는 가압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하 교차된 지지롤러들과 가압롤러 사이에 철판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설정 곡률의 커브편을 제조하는 롤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의 각 지지대에는 승강레일이 형성된 보조 지지대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보조 지지대의 승강레일에는 승강 가이드가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와 보조 지지대 사이에는 조절 볼트축이 직립되게 배치되어 조절 볼트축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승강 가이드의 위상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롤러는 양단에 각각 베어링 부쉬가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각 승강 가이드에는 양단에 베어링 부쉬가 마련된 가압롤러를 좌우 관통시켜 고정하는 롤러 압입공이 좌우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 압입공을 통해 양단에 베어링 부쉬가 설치된 가압롤러의 치환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롤러 압입공의 내벽에는 가압롤러의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 부쉬를 탄력적으로 견착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견착링이 형성되어, 롤러 압입공 내에 삽입된 베어링 부쉬의 좌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 가이드와 조절 볼트축 사이에는 탄지 스프링이 배치되어 승강 가이드는 탄지 스프링에 의해 하향 탄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롤러의 일측에는 환형의 지지 가이드림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롤러의 타측에는 일측으로 탄지된 환형의 탄지 가이드림을 진퇴구조로 배치하며, 상기 탄지 가이드림이 관통되게 배치된 지지롤러의 타측에는 조절너트를 체결을 통해 고정하고, 상기 조절너트와 탄지 가이드림 사이에는 지지 스프링을 배치하여서, 커브 성형을 요하는 철판의 폭에 따라 조절너트를 좌우 이동시켜 탄지 가이드림의 형성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지지대에 형성된 승강레일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된 보조 지지대에는 조절관부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지지편이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되어서, 상기 지지편을 보조 지지대에서 분리시켜 개방된 승강레일의 상부를 통해 승강 가이드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일편에는 지지롤러와 가압롤러를 통과하면서 커브 성형된 철판의 곡률을 계측하는 곡률 계측편을 포함하는 커브 계측부가 형성되어, 커브 성형된 철편의 곡률을 계측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압롤러의 간편한 치환 설치구조를 마련하여, 요하는 철판의 규격 및 곡률에 따라 가압롤러의 치환 설치를 통해 다양한 곡률을 갖는 커브편의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압롤러를 지지한 승강 가이드와 조절 볼트축 사이에는 완충구조를 형성하여 철판의 진입에 따른 승강 가이드의 충격을 완화하므로, 상기 충격에 의한 승강 가이드의 파손 발생이 억제되고, 또 보조 가이드에 형성된 승강레일의 신속한 개방을 통해 파손된 승강 가이드의 교환을 통한 신속한 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브편이 배출되는 배출구간에 지지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설정곡률로 커브 성형된 커브편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하나 이상의 곡률 계측편을 포함하는 곡률 계측부를 부가하고 있다.
따라서, 롤 성형된 커브편은 곡률 계측편에 의해 실시간으로 곡률의 계측이 이루어져 작업자는 각 커브편의 불량 발생을 신속히 인지할 수 있고, 또 곡률 계측편의 탄력적인 진퇴에 의해 불량 여부를 감지, 불량 발생시 실시간으로 후속조치를 취하여 불량 발생요인을 해소함으로써, 추가적인 불량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보조 가이드와 승강 가이드 및 가압롤러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승강 가이드에 가압롤러를 탈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지지롤러에 형성된 위치 정렬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지지롤러와 가압롤러를 통한 철판의 커브 성형과정과, 커브 성형에 의해 제조된 커브편의 곡률 계측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곡률 계측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보조 가이드와 승강 가이드 및 가압롤러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승강 가이드에 가압롤러를 탈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지지롤러에 형성된 위치 정렬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지지롤러와 가압롤러를 통한 철판의 커브 성형과정과, 커브 성형에 의해 제조된 커브편의 곡률 계측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에서, 곡률 계측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 벤딩장치(1)는, 평면의 철판(P)을 롤 성형하여 설정된 곡률의 커브편(C)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상기 롤 벤딩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양편에 지지대(11)가 형성된 지지 베이스(10)와; 상기 지지 베이스(10)의 지지대(11)에 양단을 각각 회동구조로 고정시켜 좌우 이격된 지지대(11) 사이에 상호 평행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롤러(20)와; 상기 지지롤러(20)들의 상부에 상하 교차되게 배치되어 지지롤러(20)에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철판(P)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30); 및 상기 지지롤러(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롤러(20)의 단부에는 스프라켓(미도시)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들 스프라켓(미도시)에는 체인(미도시)이 견착되어서, 이들 각 지지롤러(20)들은 구동부(40)를 구성하는 핸들이나 단일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브 성형을 요하는 철판(P)의 이송을 도모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베이스(10)의 일편에서 진입된 평면의 철판(P)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교차된 지지롤러(20)와 가압 지지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설정된 곡률의 커브편(C)으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롤러(30)의 위상을 조절하는 위상 조절구조와 독특한 가압롤러(30)의 치환 설치구조를 마련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 평면의 철편(P)을 요하는 설정 곡률로 절곡시킨 커브편(C)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베이스(10)의 각 지지대(11)에 승강레일(12a)이 형성된 보조 지지대(12)를 각각 배치하며, 상기 보조 지지대(12)는 지지대(11)의 외측에 고정볼트를 통해 체결을 통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 보조 지지대(12)의 승강레일(12a)에는 승강 가이드(13)를 승강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13)와 보조 지지대(12) 사이에는 조절 볼트축(14)을 직립되게 설치하여, 조절 볼트축(14)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승강 가이드(13)의 위상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 가이드(13)와 조절 볼트축(14) 사이에는 탄지 스프링(15)이 배치되어 승강 가이드(13)는 탄지 스프링(15)에 의해 하향 탄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지지롤러(20)와 가압롤러(30) 사이로 진입되는 철판(P)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승강 가이드(13)의 충격이 완충되고, 결과적으로 철판(P)과의 간섭에 의해 승강 가이드(13)가 순간적으로 상승함에 따른 승강 가이드(13)와 조절 볼트축(14)의 변형 발생이나 파손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대(12)에 형성된 승강레일(12a)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된 보조 지지대(12)에는 조절관부(12b-a)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지지편(12b)이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되며, 작업자는 지지편(12b)을 보조 지지대(12)에서 분리시켜 승강레일(12a)의 상부를 개방하고, 개방된 승강레일(12a)의 상부를 통해 승강 가이드(13)를 교환한 다음, 지지편(12b)을 보조 지지대(12)에 재조립하여 개방된 승강레일(12a)을 폐쇄하도록 한다.
따라서, 승강 가이드(13)의 파손 등의 손상시 작업자는 지지편(12b)의 해체 및 재조립을 통해 승강 가이드(13)의 간편한 교환 설치하여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유지 보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승강 가이드(13)에 양단에 베어링 부쉬(31)가 마련된 가압롤러(30)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롤러 압입공(13a)을 좌우 관통되게 형성하여, 절곡을 요하는 철판의 두께나 곡률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30)를 승강 가이드(13)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요하는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30)의 치환설치나 가압롤러(30)의 위상 조절을 통해, 상하 교차된 지지롤러(20)와 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는 철판(P)의 절곡률을 변경시켜서 설정된 곡률을 갖는 커브편(C)으로 성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20)에 철판(P)의 좌우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구조를 마련하여, 철판(P)은 좌우 정렬된 상태로 지지롤러(20)와 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철판(P)의 좌우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롤러(20)의 일측에는 환형의 지지 가이드림(21)을 고정되게 형성하고, 지지롤러(20)의 타측에는 일측으로 탄지된 환형의 탄지 가이드림(22)을 진퇴구조로 배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탄지 가이드림(22)이 관통되게 배치된 지지롤러(20)의 타측에는 조절너트(23)를 체결을 통해 고정하고, 상기 조절너트(23)와 탄지 가이드림(22) 사이에는 지지 스프링(24)을 배치하여서, 작업자는 커브 성형을 요하는 철판(P)의 폭에 따라 조절너트(23)를 좌우 이동시켜 탄지 가이드림(22)의 형성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20)와 가압롤러(30) 사이에 투입되는 철판(P)은 탄지 가이드림(22)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져 지지 가이드림(21)에 지지된 상태로 좌우 정렬하여 이동하며, 작업자는 조절너트(23)를 좌우 변위시켜 탄지 가이드림(22)의 형성 위치를 변경시켜서, 다양한 폭을 갖는 철판(P)을 공용하여 좌우 정렬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지지롤러(20)들과 가압롤러(30)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철판(P)은 좌우 이탈하는 현상 없이 지지 가이드림(21)과 탄지 가이드림(22)에 의해 좌우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형화된 곡률의 커브편(C)으로 성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브편(C)이 배출되는 지지 베이스(10)의 배출구간에, 지지롤러(20)와 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설정곡률로 커브 성형된 커브편(C)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하나 이상의 곡률 계측편(54)을 포함하는 곡률 계측부(50)를 부가하여, 롤 성형과정을 통해 성형된 커브편(C)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도록 한다.
상기 곡률 계측부(5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퇴로드(51)와; 상기 진퇴로드(51)를 통해 지지 베이스(10)에 진퇴구조로 배치되는 곡률 계측편(54)과; 상기 곡률 계측편(54)을 지지 베이스가 형성된 내측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53)와; 상기 곡률 계측편(54)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55); 및 상기 감지센서(55)에 의해 커브 성형된 커브편(C)의 곡률 이상 유무를 알림하는 알림유닛(56)을 포함하며, 상기 알림유닛은 경음기나 경광등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률 계측부(50)를 구성하는 곡률 계측편(54)은 커브편(C)이 배출되는 지지 베이스(10)의 배출구간에 진퇴로드(51)를 통해 진퇴구조로 배치된 캐리어(52)에 탑재되어, 도 6a와 같이 동일곡률을 갖는 커브편(C)이 진입되면 커브편(C)은 내벽에 밀착되고, 도 6b와 같이 곡률이 다른 커브편(C)이 진입하면 캐리어(52) 및 캐리어(52)에 탑재된 곡률 계측편(54)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캐리어(52)에 의해 곡률 계측편(54)이 탄력적으로 진퇴하도록 구성하면, 도 6b와 같이 곡률의 불량이 발생된 커브편(C)이 곡률 계측편(54)에 진입하더라도, 곡률 계측편(54), 또는 불량이 발생된 커브편(C)이 과다하게 간섭되어 손상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곡률의 커브편(C)이 아닌 설정 곡률과 상이한 커브편(C)이 곡률 계측편(54)에 진입되어 캐리어(52) 및 이를 탑재한 곡률 계측편(54)이 외측으로 이동시, 감지센서(55)는 이를 감지하고 알림유닛(56)을 통해 불량 발생을 작업자에게 현장 알림한다.
따라서, 상기 곡률 계측부(50)는 지지롤러(20)와 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설정 곡률로 커브 성형된 커브편(C)의 곡률을 계측하고, 계측된 커브편(C)의 불량이 발생되면 현장에 알림하여 작업자가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리어(52)에 연결암(52b)들이 등각으로 배치된 등각 회전축(52a)을 설치하고, 상기 등각 회전축(52a)의 각 연결암(52b)에는 곡률이 서로 다른 곡률 계측편(54)들을 배치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등각 회전축(52a)을 등각 회전시켜 롤 성형과정을 통해 성형된 커브편(C)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률 계측편(54)을 지지 베이스(10)의 후방에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롤 성형에 의해 제작된 커브편(C)의 곡률을 검사하게 된다.
그리하여, 작업자는 롤 성형구간을 통과하면서 다양한 곡률로 성형되는 커브편(C)의 곡률에 따라 곡률 계측편(54)을 캐리어(52)에 일일이 탈착하는 번거로움 없이, 등각 회전축(52a)의 등각 회전을 통해 해당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률 계측편(54)을 커브편(C)의 배출구간에 배치하여서 커브편(C)의 곡률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롤 벤딩장치
10. 지지 베이스 11. 지지대
12. 보조 지지대 12a. 승강레일
12b. 지지대 13. 승강 가이드
13a. 롤러 압입공 13b. 탄성 견착링
14. 조절 볼트축 15. 탄지 스프링
20. 지지롤러 21. 지지 가이드림
22. 탄지 가이드림 23. 조절너트
24. 지지 스프링
30. 가압롤러 31. 베어링 부쉬
40. 구동부
50. 곡률 계측부 51. 진퇴로드
52. 캐리어 52a. 등각 회전축
52b. 연결암 53. 탄지부재
54. 곡률 계측편 55. 감지센서
56. 알림유닛

Claims (4)

  1. 좌우 양편에 지지대가 형성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의 지지대에 양단이 각각 회동구조로 고정되어, 좌우 이격된 지지대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들의 상부에 상하 교차되게 배치되어, 지지롤러에 지지된 상태로 절입되는 철판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절곡하는 가압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하 교차된 지지롤러들과 가압롤러 사이에 철판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설정 곡률의 커브편을 제조하는 롤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의 각 지지대에는 승강레일이 형성된 보조 지지대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보조 지지대의 승강레일에는 승강 가이드가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와 보조 지지대 사이에는 조절 볼트축이 직립되게 배치되어 조절 볼트축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승강 가이드의 위상이 조절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압롤러는 양단에 각각 베어링 부쉬가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각 승강 가이드에는 양단에 베어링 부쉬가 마련된 가압롤러를 좌우 관통시켜 고정하는 롤러 압입공이 좌우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양단에 베어링 부쉬가 설치된 가압롤러는 롤러 압입공에 진출입하여, 치환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롤러 압입공의 내벽에는 가압롤러의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 부쉬를 탄력적으로 견착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견착링이 형성되어, 롤러 압입공 내에 삽입된 베어링 부쉬의 좌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 가이드와 조절 볼트축 사이에는 탄지 스프링이 배치되어 승강 가이드는 탄지 스프링에 의해 하향 탄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롤러의 일측에는 환형의 지지 가이드림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롤러의 타측에는 일측으로 탄지된 환형의 탄지 가이드림을 진퇴구조로 배치하며, 상기 탄지 가이드림이 관통되게 배치된 지지롤러의 타측에는 조절너트를 체결을 통해 고정하고, 상기 조절너트와 탄지 가이드림 사이에는 지지 스프링을 배치하여서, 커브 성형을 요하는 철판의 폭에 따라 조절너트를 좌우 이동시켜 탄지 가이드림의 형성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벤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대에 형성된 승강레일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된 보조 지지대에는 조절관부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지지편이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되어서, 상기 지지편을 보조 지지대에서 분리시켜 개방된 승강레일의 상부를 통해 승강 가이드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벤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편에는 지지롤러와 가압롤러를 통과하면서 커브 성형된 철판의 곡률을 계측하는 곡률 계측편을 포함하는 커브 계측부가 형성되어, 커브 성형된 철편의 곡률을 계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벤딩장치.
KR1020160000235A 2016-01-04 2016-01-04 롤 벤딩장치 KR10179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35A KR101796644B1 (ko) 2016-01-04 2016-01-04 롤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35A KR101796644B1 (ko) 2016-01-04 2016-01-04 롤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28A KR20170081328A (ko) 2017-07-12
KR101796644B1 true KR101796644B1 (ko) 2017-11-10

Family

ID=5935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235A KR101796644B1 (ko) 2016-01-04 2016-01-04 롤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942B1 (ko) 2023-05-26 2023-10-25 (주)대한이엔지 롤 밴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911B1 (ko) * 2018-04-09 2020-12-30 한재형 프레스 소재 오일도포장치
KR102191320B1 (ko) * 2020-06-17 2020-12-15 (주)히트웍스 롤링된 금속판재 배출이 가능한 금속판재용 롤링장치
CN113680861B (zh) * 2021-10-27 2022-01-07 南通航力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防变形的数控卷板机
CN114309163B (zh) * 2021-12-30 2024-03-19 江苏沪运制版有限公司 一种印刷版辊的辊筒自动弯折装置及其弯折方法
KR102593429B1 (ko) * 2023-05-02 2023-10-24 젠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변 곡률 및 가변 너비 기반 금속 판재 벤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55B1 (ko) * 2012-10-29 2014-10-06 오승민 롤 벤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55B1 (ko) * 2012-10-29 2014-10-06 오승민 롤 벤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942B1 (ko) 2023-05-26 2023-10-25 (주)대한이엔지 롤 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28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644B1 (ko) 롤 벤딩장치
US6016695A (en)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CN105127248B (zh) 一种汽车传动轴矫直装置
CN110449540B (zh) 一种钢筋笼焊接成型机
CN110480219B (zh) 一种自动焊接机构及钢筋笼成型机
KR101549682B1 (ko) 타이어 균일성 측정장치
WO2004106802A1 (en) Ultrasonic testing of pipe
JP5975232B2 (ja) 鋼管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JP2001511254A (ja) タイヤ検査システム用のロードホイール組立体
CN103231420A (zh) 卧式带锯机
CN109115981B (zh) 一种钢管自动探伤装置的工作方法
CN101085457A (zh) 一种金属线材调直机
CN113751545A (zh) 一种用于板材焊缝的折弯机
CN111071292A (zh) 变轨距轮对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20761573U (zh) 吸附辊内置轴拆装治具
KR101060955B1 (ko) 지석 자동 센터링 교정장치
JP2009095860A (ja) クイックシフト式圧延設備及びその調整方法
JP2016193646A (ja) 車輪着脱用治具
CN114310135B (zh) 一种信号杆与法兰的焊接检测工装
CN220055632U (zh) 一种制袋机的料卷安装结构
CN216560568U (zh) 一种辊面检查装置
CN219520086U (zh) 一种水平轴的水平调整装置
WO2022158330A1 (ja) 車両の検査装置
CN217251692U (zh) 钢板校平机构
CN218925737U (zh) 一种更换矫直机不同辊距辊系的万向接轴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