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029A -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029A
KR20100061029A KR1020080119899A KR20080119899A KR20100061029A KR 20100061029 A KR20100061029 A KR 20100061029A KR 1020080119899 A KR1020080119899 A KR 1020080119899A KR 20080119899 A KR20080119899 A KR 20080119899A KR 20100061029 A KR20100061029 A KR 2010006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movable
fixed
mova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931B1 (ko
Inventor
김창남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5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acting on the movable end, e.g. front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9Control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가 유연한 차양막으로 차폐되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과 이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가동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차양막의 선단 부분이 구부러지면서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입사각이 다른 햇빛을 차양막의 각도를 달리하면서 차단할 수 있는 차양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80119899
건물, 계절, 입사각, 차양, 창호, 햇빛

Description

차양 장치{Shading device}
본 발명은 햇빛이나 눈비가 창과 문을 통하여 건물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내부(실내)를 외부와 구분 짓는 벽을 포함하는데, 이 벽에는 출입을 위한 문, 조망과 환기를 위한 창문이 설치되고, 이러한 창호의 상측에는 햇빛을 가리고 눈비가 실내로 쳐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차양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양 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 장치는 외벽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식으로 설치된 차양(1), 이 차양(1)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2)로 구성된다. 이때, 와이어(2)의 양단 중 한쪽은 차양(1)의 선단 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양(1)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하도록 외벽에 연결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차양 장치는 태양의 고도가 계절에 따라 변화되어 창호에 입사되는 햇빛의 각도가 계절별로 다른 것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동절기에는 태양의 고도가 하절기에 비하여 낮아 햇빛의 입사각이 작기 때문에, 이 빛이 실내로 그대로 입사되고는 하였던 것이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의 고도에 따라 입사각이 변화되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호의 상측에 좌우로 배치되도록 건물 외벽에 캔틸레버 형식으로 장착된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적어도 한 개씩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 힌지 수단에 의하여 하측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펴지거나 구부러지며 이 고정 프레임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동 프레임,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가 차폐되도록 이 사이드 프레임에 의하여 양옆이 지지된 차양막,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슬라이드 수단에 의하여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이나 가동 프레임에 위치되는 슬라이더, 실내에 구비되고 로크 유닛을 가지며 이 로크 유닛에 의한 위치 고정이 가능한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와 양 슬라이더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방향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이 조작 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양 슬라이더에 동시에 전달하며 이것이 가능한 강성을 가지는 작동 라인,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작동 라인을 긴장시키는 텐션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차양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호의 상측에 좌우로 배치되도록 건물 외벽에 캔틸레버 형식으로 장착된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적어도 한 개씩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 힌지 수단에 의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동 프레임,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가 차폐되도록 이 사이드 프레임에 의하여 양옆이 지지된 차양막, 상기 양 가동 프레임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 가동 프레임의 각도를 변경하는 프레임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힌지 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펴진 때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동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차양막의 선단 부분이 구부러져 각도가 변경되므로 계절에 따라 차양막의 각도를 달리하면서 햇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옆에 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가동 프레임(14)과 제2 가동 프레임(16)을 각각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 이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양막(3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10)의 제1, 제2 가동 프레임(14,16)을 회전시키는 프레임 작동 기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사이드 프레임(10)이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은 창호(5)(이하, 도면 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의 상측에 좌우로 위치되고 서로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10)은 그 구성요소로서 각각 고정 프레임(12)을 더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2)은 일직선형으로 형성되고 건물 외벽에 이 외벽에 대하여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캔틸레버 형식으로 장착된다. 고정 프레임(12)의 선단에는 제1, 제2 가동 프레임(14,16)이 각각 일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고정 프레임(12)의 선단에는 제1 가동 프레임(14)이 연결되고, 이 제1 가동 프레임(14)의 선단에는 제2 가동 프레임(16)이 연결되는 것이다.
제1, 제2 가동 프레임(14,16)의 연결은 힌지 수단(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제1, 제2 가동 프레임(14,16)은 이 힌지 수단(20)에 의하여 상하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서는 힌지 수단(20)에 의한 고정 프레임(12)과 제1 가동 프레임(14)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겠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 확대도로서 힌지 수단(20)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수단(20)은 힌지 핀(22)을 포함하므로, 제1 가동 프레임(14)은 이 힌지 핀(2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힌지 수단(20)은 또, 제1 가동 프레임(14)의 상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상측 스토퍼(24)와 하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하측 스토퍼(26)를 더 포함한다.
상측 스토퍼(24)는 제1 가동 프레임(14)이 고정 프레임(12)과 일직선을 이룬 때 제1 가동 프레임(14)을 상측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마련된다. 하측 스토퍼(26)는 제1 가동 프레임(14)이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10 ~ 20도) 회전된 때 제1 가동 프레임(14)을 더 이상 하측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 가동 프레임(14)은 정하여진 범위 이내에서 각운동을 하고,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 프레임(12)에 대하여 구부러지거나 펴진다.
제1 가동 프레임(14)과 제2 가동 프레임(16)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서는 위의 고정 프레임(12)과 제1 가동 프레임(14)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2 가동 프레임(16)이 제1 가동 프레임(14)에 대하여 구부 러지거나 펴진다는 점만이 상이한 것이다.
차양막(30)은 사이드 프레임(10) 사이 전체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프레임(10)에 의하여 양옆이 지지되며, 제1, 제2 가동 프레임(14,16)이 회전되어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것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차양막(30)을 구조적으로 개선, 제1, 제2 가동 프레임(14,16)과 함께 구부러지고 펴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겠다.
프레임 작동 기구는 슬라이더(40), 마운팅 케이스(90), 조작 레버(60), 작동 라인(70), 텐션 유지 수단(80)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슬라이더(40)는 두 개가 구비되고, 각각 슬라이드 수단(50)에 의하여 사이드 프레임(10)의 하측에 이 사이드 프레임(10)의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수단(50)은 가이드 홈(52) 및 이 가이드 홈(52)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활주 유닛(54)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52)은 사이드 프레임(10)의 하부에 고정 프레임(12)의 한 지점 및 제2 가동 프레임(16)의 한 지점을 각각 그 양 끝으로 하고, 제1 가동 프레임(14)을 경유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고정 프레임(12), 제1 가동 프레임(14) 및 제2 가동 프레임(16)에 각각 마련된 세 개의 단위 가이드 홈(52a,52b,52c)으로 구성되고, 이 세 단위 가이드 홈(52a,52b,52c)이 서로 이어져 일련의 이동로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활주 유닛(54)은 두 개가 구비되는바, 각각 가이드 홈(52) 안에서 구름 운동을 하며, 이것이 가능하게끔 각각 슬라이더(40)와 체결된다. 물론, 가이드 홈(52)의 경우에는 활주 유닛(54)이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참고로, 활주 유닛(54)으로는 휠, 롤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슬라이드 수단(50)에 따르면, 슬라이더(40)는 사이드 프레임(10)을 따라 이동, 고정 프레임(12), 제1 가동 프레임(14), 제2 가동 프레임(16)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다.
슬라이더(40)는 사이드 프레임(10)의 선단 측을 향하여 튀어나온 돌출부(42)를 가진다.
마운팅 케이스(90)는 사이드 프레임(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 이격된 곳에 위치하도록 건물 벽에 매설된다. 또, 마운팅 케이스(90)는 이렇게 매설된 때 바람직하게는 건물 내, 외벽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조작 레버(60)는 레버(62)와 손잡이(64)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작 레버(60)는 마운팅 케이스(90)에 레버(62)와 손잡이(64) 사이가 힌지 수단에 의하여 상하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레버(62)가 마운팅 케이스(90) 안에 위치된다. 손잡이(64)는 마운팅 케이스(9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슬롯(92)을 통하여 실내로 돌출된다. 물론, 조작 레버(60)는 이에 따라 실내에서 조작 가능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64)에는 레버(6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로크 유닛(66)이 장착되는데, 이 로크 유닛(66)은 손잡이(64)에 나사 결합된 슬리브이며, 회전시키면 손잡이(64)의 길이를 따라 이동, 마운팅 케이스(90)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된다. 물론, 로크 유닛(66)은 마운팅 케이스(90)의 외측에 밀착된 때 밀착력에 의하여 레버(64)를 구속하는바, 마운팅 케이스(90)와 접촉되는 부분은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작동 라인(70)은 와이어나 로프로 구성된다. 작동 라인(70)은 양쪽 중 한편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이 갈라진 두 가닥의 끝은 슬라이더(40)에 각각 연결된다. 작동 라인(70)의 나머지 한쪽 끝은 마운팅 케이스(90)에 실외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가이드 관(94)을 통하여 마운팅 케이스(90) 내부에 위치한 레버(62)의 끝에 연결된다.
이에 따르면, 작동 라인(70)은 조작 레버(60)를 조작, 상하로 회전시키면 이 조작 레버(60)의 조작 방향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리는바, 이와 같은 조작 레버(60)의 조작력(특히, 미는 힘)을 슬라이더(40)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수준의 강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작동 라인(70)으로는 와이어나 로프 대신 롤러 체인이 이용될 수도 있다.
작동 라인(70)을 긴장시키는 텐션 유지 수단(80)은 풀리(82) 및 그 커버(84)를 포함한다. 풀리(82)는 마운팅 케이스(90)에 내장되고, 작동 라인(70)은 이 풀리(82)에 걸린다. 풀리 커버(84)는 풀리(82)에 걸린 작동 라인(70)이 자체의 강성에 의하여 걸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풀리(82)의 둘레 일부를 감싼다.
텐션 유지 수단(80)은 적소에서 풀리(82) 및 그 커버(84)와 함께 작동 라인(70)을 긴장시키는 텐션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유지 수단(80)의 구성은 반드시 이와 같을 이유가 없는 것인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작동 라인(70)의 긴장을 유지시켜 조작 레버(60)의 힘을 슬라이더(4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만 있다면 다른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 레버(60)의 구속을 해제한 후 이 조작 레버(6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작동 라인(70)이 당겨지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40)가 고정 프레임(12)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40)를 제1 가동 프레임(14)에 위치시키면, 제2 가동 프레임(16)은 작동 라인(70)에 의한 지지 상태가 해제되어 그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회전, 구부러지게 된다.
또한, 조작 레버(60)를 상측으로 더욱 회전시켜 슬라이더(40)를 고정 프레임(12)에 위치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동 프레임(16)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 가동 프레임(14)도 구부러지게 된다.
반면,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조작 레버(6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작동 라인(70)이 밀리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40)가 제2 가동 프레임(16)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슬라이더(40)는 그 돌출부(42)가 구부러진 제1, 2 가동 프레임(14,16)을 밀어 이 제1, 2 가동 프레임(14,16)을 펴지도록 회전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양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양 장치의 문제점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4에 도시된 사이드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프레임 12 : 고정 프레임
14, 16 : 가동 프레임 20 : 힌지 수단
30 : 차양막 40 : 슬라이더
50 : 슬라이드 수단 60 : 조작 레버
70 : 작동 라인 80 : 텐션 유지 수단

Claims (3)

  1. 창호의 상측에 좌우로 배치되도록 건물 외벽에 캔틸레버 형식으로 장착된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적어도 한 개씩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 힌지 수단에 의하여 하측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펴지거나 구부러지며 이 고정 프레임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동 프레임,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가 차폐되도록 이 사이드 프레임에 의하여 양옆이 지지된 차양막,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슬라이드 수단에 의하여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이나 가동 프레임에 위치되는 슬라이더,
    실내에 구비되고 로크 유닛을 가지며 이 로크 유닛에 의한 위치 고정이 가능한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와 양 슬라이더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방향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이 조작 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양 슬라이더에 동시에 전달하며 이것이 가능한 강성을 가지는 작동 라인,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작동 라인을 긴장시키는 텐션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차양 장치.
  2. 창호의 상측에 좌우로 배치되도록 건물 외벽에 캔틸레버 형식으로 장착된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적어도 한 개씩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 힌지 수단에 의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동 프레임,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가 차폐되도록 이 사이드 프레임에 의하여 양옆이 지지된 차양막,
    상기 양 가동 프레임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 가동 프레임의 각도를 변경하는 프레임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펴진 때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
KR1020080119899A 2008-11-28 2008-11-28 차양 장치 KR10145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99A KR101456931B1 (ko) 2008-11-28 2008-11-28 차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99A KR101456931B1 (ko) 2008-11-28 2008-11-28 차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029A true KR20100061029A (ko) 2010-06-07
KR101456931B1 KR101456931B1 (ko) 2014-11-03

Family

ID=4236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899A KR101456931B1 (ko) 2008-11-28 2008-11-28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20B1 (ko) * 2011-04-13 2013-08-19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연장차양이 구비된 차양
KR200477188Y1 (ko) * 2015-02-23 2015-05-19 구영희 안전장치를 구비한 차광 및 비가림막
KR102455082B1 (ko) * 2022-07-11 2022-10-13 문지영 파트별 자동 개폐식 지붕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220B1 (ko) * 2019-07-02 2020-03-03 (주)주원창호 접이식 어닝의 틸팅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4099B2 (ja) * 1997-05-19 2004-07-2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JP2002188377A (ja) * 2000-12-21 2002-07-05 Shinichi Hoki オーニングシャッター
JP2007205137A (ja) * 2006-02-06 2007-08-16 Kamimura Tekko Kk 可動庇装置
JP2007327322A (ja) * 2006-05-10 2007-12-20 Newtec Japan Co Ltd 日除け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20B1 (ko) * 2011-04-13 2013-08-19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연장차양이 구비된 차양
KR200477188Y1 (ko) * 2015-02-23 2015-05-19 구영희 안전장치를 구비한 차광 및 비가림막
KR102455082B1 (ko) * 2022-07-11 2022-10-13 문지영 파트별 자동 개폐식 지붕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931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3685U (ja) ブラインドシステム
US6682133B2 (en) Shade device for a transparent roof element
US9528313B1 (en) Non-intrusive, adaptive tracking and shading device
RU259485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окно
US9670721B2 (en) Guide arrangement for hangings
KR102167751B1 (ko) 차광막 개폐장치
KR102191247B1 (ko) 세차장 차광막 개폐장치
KR20100061029A (ko) 차양 장치
WO2015111590A1 (ja) 窓の日射遮蔽装置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200477536Y1 (ko) 상하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KR20190048325A (ko) 롤블라인드의 빛샘 방지장치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101133448B1 (ko) 옥외형 차광장치
FI105713B (fi) Kaksiosainen ikkunan varjostinlaite
KR101687696B1 (ko) 채광효율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KR20190063576A (ko)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JP2576354Y2 (ja) カーテン装置
KR20180033049A (ko) 자동개폐형 가림막
KR20180111301A (ko) 롤 블라인드
KR910000329B1 (ko) 접는 블라인드
KR200349165Y1 (ko) 블라인드
KR100577616B1 (ko) 셔터조립체
KR200340806Y1 (ko) 셔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