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823A -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823A
KR20100060823A KR1020080119581A KR20080119581A KR20100060823A KR 20100060823 A KR20100060823 A KR 20100060823A KR 1020080119581 A KR1020080119581 A KR 1020080119581A KR 20080119581 A KR20080119581 A KR 20080119581A KR 20100060823 A KR20100060823 A KR 2010006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ublic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center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엠
Priority to KR102008011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823A/ko
Publication of KR2010006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공공 정보를 발송 및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상태 정보, 인증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와, 비상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 공공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비상 상황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비상키를 포함한 입력부와, 공공 정보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하는 인증부와, 상기 비상 관제 센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부와, 슬립 모드로 동작 중에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검출될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비상관제센터로부터 공공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공공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비상키 입력이 있는 경우 비상 상황 발생 사실을 상기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공공, 정보, 비상, 긴급, 재난, 센터, 단말기

Description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Wireless terminal for publ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공공 정보를 발송 및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각 개인들이 공공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공공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재난 발생시에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비상 상황 전파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있는 일반 개인이 공공 정보를 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지방자치단체나 그에 준하는 기관의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공공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청을 하고 있을 경우 방송 등을 통해 일방적으로 비상 상황 등의 공공 정보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공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유무선 단말기를 일일이 부팅시킨 후 인터넷에 접속하여 공공 기관의 URL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만약, 유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공공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야만 필요한 공공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공 정보 획득 방식은 공공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지가 있어야만 가능하였다. 따라서 화재나 비상 사태와 같은 비상 시에 주택이나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비상 사태를 알리는 공공 정보를 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대기상태에서도 비상관제센터에서 제공하는 특정 공공 정보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댁내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전달받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위험상황이나 긴급 상황에서 비상관제센터 등에 비상 상황을 신속히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상태 정보, 인증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와, 비상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 공공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비상 상황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비상키를 포함한 입력부와, 공공 정보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하는 인증부와, 상기 비상 관제 센터와 무선 데이터 통 신을 하는 무선 통신부와, 슬립 모드로 동작 중에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검출될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비상관제센터로부터 공공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공공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비상키 입력이 있는 경우 비상 상황 발생 사실을 상기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해당 동작 모드 상황에 맞추어 비상관제센터로부터 공공 정보를 수신하는 제1과정과, 발신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되고 수신한 공공 정보가 긴급 정보로 판정된 경우에는 동작 모드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과, 수신한 공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모드 상태를 확인 후 이전의 동작 모드 상태로 복귀하는 제4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상 동작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비상키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된 경우 해당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비상관제센터로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모드 상태를 확인 후 이전의 동작 모드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정화면이 꺼져 있는 슬립 모드나 대기 중인 상태에서도 비상관제센터에서 제공하는 특정 공공 정보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댁내 어디에서나 편 리하게 전달받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과정을 거쳐 정보를 원하는 컴퓨터와는 달리 한두번의 조작만으로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험상황이나 긴급 상황에서 비상관제센터 등에 긴급정보 전달이나 긴급통화를 신속히 전달할 수 있는 간편한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 정보 단말기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 정보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댁내의 사용자들에게 공공 정보의 진위를 감별하여 알려주고, 댁내의 긴급 상황을 도시통합센터나 공공 기관에 편리하게 알려주기 위한 공공 정보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 기반의 통신 기능, 카메라, 액정디스플레이, 스피커와 이를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을 이용해서 유기적으로 동작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한 댁내용 무선 단말기로서, 단말기가 정지모드나 슬립모드 또는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무선랜을 통해 정보가 전송되면 단말기 내부적으로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무선랜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해독하여 긴급 공공 정보로 판단되면 사 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는, 상기의 메모리(150), 전원부(160), 표시부(120), 입력부(130), 무선 통신부(140), 신호 검출부(145),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이밖에도 카메라(170), 마이크(180), 스피커(190), 홈네트워크 통신부(200)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기억 장치로서,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현재 상태 정보 저장,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전원부(160)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각 기능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는 평소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유입받아 제공하지만, 그 내부에는 별도로 배터리(165)를 포함한다. 외부 전원이 제공 안 되어도 상기 배터리는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제공한다.
표시부(12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다양한 공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접속을 위한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키를 포함하며, 특히, 비상 사태 발생 시에 사용자로부터 비상 입력을 받는 비상 키(135)를 포함한다. 상기 비상키는 화재발생, 가스누출 등의 다양한 긴급 상황 발생을 알리는 다수의 비상 키를 포함한다.
인증부(210)는 공공 정보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하는 기능부로서, 비상관제센터로부터 공공 정보 수신될 경우 메모리에 저장돼 인증정보를 호출하여 발신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또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비상상황 등의 공공 정보를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할 때 발신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40)는 댁내의 홈게트웨이와 IEEE 802.11의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댁내의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비상관제센터(도시통합센터, 재난통합센터 등을 포함)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한다.
신호 검출부(145)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동작되면,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립 모드로 동작 중에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검출될 경우에, 신호 검출부는 무선 통신부(14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알리는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신호 검출부(145)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자체의 전원 오프 여부와 관련없이 전원부로부터 계속적으로 전원을 제공받아 구동되고 있어야 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각 기능부를 제어하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홈 가전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비상관제센터로부터 공공 정보가 수신될 경우,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될 시에 수신한 공공 정보를 표시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입력부의 사용자로부터 비상키 입력을 받은 경우, 해당 재난 발생 사실을 상기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전원을 아끼기 위한 슬립 모드로 동작하다가, 신호 검출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통보 받으면 각 기능부를 웨이크업시켜 공공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00)는 수신한 공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알람 발생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의 동작 알고리즘은 도 4 및 도 5의 플로차트와 함께 좀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는, 상기의 메모리(150), 전원부(160), 표시부(120), 입력부(130), 무선 통신부(140), 신호 검출부(145), 제어부(100) 이외에도, 홈네트워크 통신부(200), 카메라(170), 마이크(180), 스피커(190)를 더 포함한다.
홈네트워크 통신부(200)는 홈게이트웨이와 무선 통신부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홈네트워크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 기능부이다. 즉, 조명 제어장치, 보일러 제어장치와 같은 가정용 홈네트워크 장치들 중에서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이다. 홈네트워크 통신부는 RS-485통신 수단과 같이 홈게이트웨이와의 통신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 프로토콜이 제공된다.
카메라(170)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 모습을 촬상하는 장치로서, 비상 상황 발생 시에 주변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다. 비상 상황 발생 시에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무선 통신부를 통해 비상관제센터로 전송된다.
마이크(180)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 음향이나 사용자 목소리를 녹음하는 장치로서, 마찬가지로 녹음된 오디오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비상관제센터로 전송된다.
스피커(190)는 비상관제센터의 음성신호나 비상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밖에도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는, 거취시킬 때 단말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199)를 후면에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정상 모드로 동작할 때의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현재 어떤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즉, 현재 동작 상태를 판정(S401)한다.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슬립 모드 상태가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특정 동작 상태로서 정상 동작 모드(S402)로 사용(예컨대, 홈네트워크장치 제어 등)되고 있을 경우,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IEEE 802.11 등의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무선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정(S403)한다.
한편,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는 슬립 모드(S404)로 동작될 수 있다.
공공 정보 단말기는 전력 소모의 최소화를 위해 일정 시간 사용자 사용이 없을 때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슬립 모드로 동작할 경우 공공 정보 단말기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부 및 신호 검출부를 제외한 다른 기능부들은 구동 오프시킨다. 따라서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표시부, 입력부 등의 기능이 정지된다.
상기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제어부는, 신호 검출부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되는지를 판정(S405)한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신호 검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서, 신호 검출부는 무선 통신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다가 무선 통신부를 통해 무선 프로토콜상의 의미 있는 무선 신호가 수신될 대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있을 경우에, 제어부는 IEEE 802.11 등의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정상 동작 모드 또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무선 신호를 검출하거나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게 되어, 무선 신호를 수신(S406)하게 되면, 수신한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공공 정보의 발신자가 비상관제센터인지를 확인(S407)하고, 발신자가 비상관제센터이면 발신자에 대한 인증(S408)을 수행하며, 인증 성공될 경우 수신한 공공 정보가 긴급 정보인지를 확인(S409)하여, 긴급 정보일 경우 현재의 동작 모드의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S410)하고, 해당 공공 정보를 표시(S411)한다.
만약, 발신자가 비상관제센터가 아니거나, 또는 발신자 인증이 실패되거나, 또는 긴급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이전의 사용자 사용되고 있는 이전의 특정 동작 상태로 복원(S413)한다.
상기 발신자에 대한 정보, 인증 정보, 긴급 정보인지의 여부는 수신한 공공 정보의 메시지 내에 미리 약정된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긴급 정보는 비상 상황의 공공정보로서 미리 약정되어 있는 정보로서, 예컨대, 방범, 방재, 환경, 교통, 시설의 5대 공공관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긴급 정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스팸 정보나 사회 혼란을 목적으로 하는 유사 정보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공공 정보 표시(S411)는 표시부나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표시는 사용자의 확인(S412)이 있을 때까지 계속된다.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공공 정보 표시를 종료하고, 사용자가 이전에 동작시키고 있던 이전의 동작 상태를 메모리를 통해 확인하고, 정상 동작 모드 또는 슬립 모드의 이전 상태로 복원(S413)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비상 상황을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거나 슬립 모드로 동작(S501) 중에,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이나 긴급상황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해 입력부에 구비된 비상키를 누르기 때문에,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는 정상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동작 중에 비상키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S502)한다.
비상키 입력이 있을 경우, 현재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S503)하고 카메라 및 마이크를 작동(S506)시켜 촬영된 영상, 동영상, 오디오 등의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관제센터로 전송(S507)한다.
한편, 비상키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확인 설정이 안되어 있는 경우에만 무조건적으로 영상, 동영상, 오디오 등의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하지만, 만약, 사용자 확인이 요청되도록 설정(S504)되어 있다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예컨대,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 입력받거나 생체 인식)을 수행(하여, 인증이 성공될 경우(S505)에만 카메라, 마이크를 작동(S506)시켜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관제센터로 전송(S507)한다.
한편,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한 후, 비상관제센터로부터 정보 전송 확인(S508)을 받으면, 이전 상태로 복원(S509)하여 정상 동작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 정보 단말기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 정보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정상 모드로 동작할 때의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가 비상 상황을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Claims (8)

  1.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상태 정보, 인증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비상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 공공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비상 상황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비상키를 포함한 입력부;
    공공 정보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하는 인증부;
    상기 비상 관제 센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부;
    슬립 모드로 동작 중에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검출될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비상관제센터로부터 공공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공공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비상키 입력이 있는 경우 비상 상황 발생 사실을 상기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오디오를 녹음하는 마이크;
    상기 비상관제센터의 음성신호나 비상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증 성공이 이루어질 때에만, 수신한 공공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비상 상황 발생 사실을 상기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은, 인증 성공이 이루어질 때만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립 모드로 동작 중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입력될 경우 웨이크업되어 비상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 공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5.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해당 동작 모드 상황에 맞추어 비상관제센터로부터 공공 정보를 수신하는 제1과정;
    발신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되고 수신한 공공 정보가 긴급 정보로 판정된 경우에는 동작 모드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
    수신한 공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모드 상태를 확인 후 이전의 동작 모드 상태로 복귀하는 제4과정
    을 포함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과정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공공 정보가 수신될 경우, 웨이크업되어 공공 정보를 수신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정상 동작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비상키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된 경우 해당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과정;
    비상관제센터로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모드 상태를 확인 후 이전의 동작 모드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황 정보는 카메라, 마이크를 통해 주변의 영상, 오디오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080119581A 2008-11-28 2008-11-28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60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581A KR20100060823A (ko) 2008-11-28 2008-11-28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581A KR20100060823A (ko) 2008-11-28 2008-11-28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823A true KR20100060823A (ko) 2010-06-07

Family

ID=4236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581A KR20100060823A (ko) 2008-11-28 2008-11-28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8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6753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743049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70061403A1 (en) Priority email alert system
US20180069722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7920231B (zh) 一种视频通话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7020413A1 (zh) 网络接入方法、设备及系统
TWI607645B (zh) 門鈴觸發器及門鈴觸發方法
JP2009100334A (ja) 訪問者応対装置、訪問者応対携帯端末、及びそのシステム
JP5283196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安否確認方法
CN109922440B (zh) 数据同步方法、设备、移动终端和存储介质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5549060B2 (ja) 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及び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システム
KR20100060823A (ko) 공공 정보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0607645B1 (ko)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3974350B2 (ja) 情報発行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5846990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5597851B2 (ja) 伝言機能を有するドアホンシステム
CN107369279A (zh) 门铃触发器及门铃触发方法
KR100750198B1 (ko) 휴대단말의 화상통화기능을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US10887552B1 (en) Door-knocking for teleconferencing
JP2002223313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US20220353477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954966B1 (ko) 디지털 액자
JP2007097017A (ja) 携帯電話機
KR100594167B1 (ko) 외부메모리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