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338A - 회전 열펌프 - Google Patents

회전 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338A
KR20100060338A KR1020080118905A KR20080118905A KR20100060338A KR 20100060338 A KR20100060338 A KR 20100060338A KR 1020080118905 A KR1020080118905 A KR 1020080118905A KR 20080118905 A KR20080118905 A KR 20080118905A KR 20100060338 A KR20100060338 A KR 2010006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ylinder
piston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조
Original Assignee
채수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수조 filed Critical 채수조
Priority to KR102008011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338A/ko
Priority to CN2009801477725A priority patent/CN102227553A/zh
Priority to US13/131,862 priority patent/US20110225966A1/en
Priority to PCT/KR2009/007037 priority patent/WO2010062134A2/ko
Publication of KR2010006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1/00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 F02G1/04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 F02G1/043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the engine being operat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mass of working gas which is heated and cool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nstantly communicating expansible chambers, e.g. Stirling cycle typ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1/00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 F02G1/04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 F02G1/043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the engine being operat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mass of working gas which is heated and cool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nstantly communicating expansible chambers, e.g. Stirling cycle type engines
    • F02G1/053Component parts or details
    • F02G1/055Heaters or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9/00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groups
    • F01B9/02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groups with crank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2243/00Stirling type engines having closed regenerative thermodynamic cycles with flow controlled by volume ch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2250/00Special cycles or special engines
    • F02G2250/09Carnot cycles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이상적인 카르노 사이클(Carnot cycle)과 스터링 사이클(Stirling cycle)의 중간 형태를 따르면서 외부 동력에 의한 기체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한 열사이클로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이동시키며 열효율이 높은 회전 열펌프가 개시된다. 회전 열펌프는, 내부에 작동기체가 수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상기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상기 작동기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열흡수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작동기체가 상기 열방출부 또는 상기 열흡수부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열펌프(Heat pump), 실린더, 피스톤, 열방출부(heat source), 열흡수부(heat sink), 카르노(Carnot), 스터링(Stirling)

Description

회전 열펌프{ROTARY HEAT PUMP}
본 발명은 열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상적인 카르노 사이클(Carnot cycle)과 유사하게 외부에서 주어지는 동력에 의한 기체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한 열사이클로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이동시키는 회전 열펌프에 관한 것이다.
카르노 엔진(Carnot engine)은 열손실이 없는 이상적인 열효율 엔진으로서, 실제적인 모든 엔진은 카르노 엔진의 열효율을 넘을 수 없다. 일반적인 내연기관과는 달리 외연기관은 높은 열효율을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스터링 엔진(Stirling engine)은 상기 카르노 사이클과 유사한 높은 열효율을 가지며, 진동과 소음이 적다.
상기 카르노 엔진 및 스터링 엔진 등과 같은 모든 열기관(Heat engine)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는 열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다. 반대로, 이러한 열기관에 역방향 사이클로 외부 동력을 제공하여 기체를 압축 및 팽창시키면 열을 이동시키는 열펌프(Heat pump)가 된다. 이러한 실질적인 열펌프의 예로는 스터링 냉각기(Stirling refregerator)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터링 냉각기는 전체적인 장치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며, 유지보수의 어려움으로 인해 극히 제한된 분야에서만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냉각기는 냉매를 써서 고압 응축시켜 만든 액체의 기화열로 냉각하는 것으로 콤프레서 등과 같은 복잡한 열 순환을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매의 환경적인 문제, 냉매에 따른 냉각 온도의 제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르노 사이클과 스터링 사이클의 중간 형태의 열사이클을 유사하게 따르면서 높은 열효율을 지닌 회전 열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프레서/냉각기 등을 거치면서 상변환을 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열순환 구조를 가지는 기존의 냉각기와 달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보수가 쉬운 회전 열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열펌프는, 내부에 작동기체가 수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상기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상기 작동기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열흡수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작동기체가 상기 열방출부 또는 상기 열흡수부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도록 상기 피스톤 에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열방출부와 상기 열흡수부의 사이에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단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부는 상기 작동기체의 최대 압축 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열방출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과 이격된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피스톤과 대향되는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방출부 및 열흡수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방출부에는 상기 열방출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형성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각핀에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권선되는 냉각튜브, 및 상기 냉각튜브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흡수부에는 상기 열흡수부에 의해 냉각되는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순환부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열흡수부를 경유하도록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경로챔버, 및 상기 순환경로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에너지를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진동을 위한 역학적 기계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크랭크암,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암을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이 직선 왕복 진동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른 동력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카르노 사이클과 스터링 사이클의 중간 형태의 열사이클을 유사하게 따름으로써, 종래의 스터링 냉각기 보다 높은 열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콤프레서 등과 같은 복잡한 열순환 구조를 가지는 기존의 냉각기와 달리 특별한 냉매가 필요없이 기체의 압축 및 팽창만으로 냉각이 가능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쉽다.
셋째, 기존의 콤프레서와 달리 냉매를 액화시킬 필요가 없이 상대적인 고압 압축이 필요없어 소음이나 압축이 용이하다.
넷째, 밀폐된 실린더 내에서 자유 피스톤이 진동하는 에어 타이트한 구조로 고압의 기체로 가동하는 것이 용이하여 체적당 높은 냉각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 열펌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열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 중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실린더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 중 피스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피스톤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열펌프(10)는 실린더(100), 피스톤(200), 열방출부(300), 열흡수부(400) 및 회전 구동부(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소나 헬륨 등과 같은 작동기체가 수용된다.
실린더(100)는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가 개방되고,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개방면(111a)을 밀폐하도록 체결수단, 예컨대 볼트(125), 리벳, 용접 등에 의해 실린더 헤드부(120)가 결합된다. 여기서,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에는 볼트(125)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122)이 다수 개 형성된다.
실린더 헤드부(120)는 헤드커버(121) 및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커버(121)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가지며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볼트구멍(112)과 대응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볼트구멍(122)이 다수 개 형성되어 볼트(125) 등으로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에 결합된다. 이때, 헤드 커버(121)와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 사이에는 원형의 씰링부재(130), 예컨대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실린더(100) 내부의 작동기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씰링부재(130)는 중앙에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중공부(130a)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볼트(125)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132)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헤드커버(121)의 일면에 피스톤(200)과 대향되게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개방면(111a)에 삽입된다. 돌출부(123)는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내경과 이격된 공간, 바람직하게는 피스톤(200)의 전단부(211) 벽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 공간(G)을 제공하여 피스톤(200)의 전단부(2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4)을 형성한다. 이때, 돌출부(123)의 길이, 즉 가이드홈(124)의 길이는 작동기체의 최소 체적 시, 최대 진동에 의한 압축 시 피스톤(200)의 개구부(212)가 열방출부(300)에 위치하도록 피스톤(200)의 선단부위에서 개구부(212)의 선단부위까지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100)는 피스톤(20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후단부(113)에 개방면(113a)이 형성된다.
실린더(100)는 후술할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의 사이에 열을 차폐하기 위해 단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지고,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는 세라믹(ceramic)이나 실리카(silica)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와 피스톤(200) 사이에 밀봉되는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기 위해 후술할 회전 구동부(500)의 회전 운동에 따른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 몸체(110)의 내부에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유 피스톤(200)을 적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피스톤 몸체(210)가 실린더 몸체(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는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 또는 세라믹 등과 같은 단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200)은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에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가 삽입되도록 개방면(211a)이 형성되고, 후술할 개구부(212)의 후방부위부터 내부가 밀폐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피스톤(200)은 개구부(212)의 후방부위에 단열부재(21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200)은 작동기체가 열방출부(300) 또는 열흡수부(400)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21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212)가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에 외경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2)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는 실린더 몸체(110)의 내벽과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24)의 간격(G)에 대응되는 두께(t)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는 작동기체 의 최대 최적 시, 즉 피스톤(200)의 진동 폭이 최대가 될 때 열방출부(300)에 작동기체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열방출부(300), 단열부(140), 열흡수부(400) 세 영역의 길이가 동일하다고 할 때 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서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 길이, 즉 가이드 홈(124)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200)은 실린더 몸체(110)의 내벽과 접하는 부위가 밀봉되도록 피스톤 몸체(210)의 후단부(213)의 외경에 피스톤링(220)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 몸체(210)의 외경에는 피스톤링(220)을 안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피스톤링 안착홈(215)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링(220)은 피스톤(200)의 직선 왕복 운동시 실린더(100)의 열흡수부(400) 안족에 위치하므로 테프론링과 같은 저온 영역에서 작동되는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링(220)을 적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스톤 링(220) 대신에 실린더 몸체(110)의 내벽에 고정링을 수직 베어링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피스톤(200)은 피스톤 몸체(210)의 후단부(213)에 후술할 커넥팅로드(530)의 일단(531)이 힌지(531a)로 결합된다.
열방출부(heat source)(300)는 실린더(100)의 전단부(111)에 위치하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열방출부(300)는 열전달이 잘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실린더(100) 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형태로 선택 가능하다.
열방출부(heat sink)(300)에는 열방출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부(310,3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310)는 실린더(100)의 열방출부(300)의 외경에 형성되는 냉각핀(311)과, 냉각핀(311)에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는 냉각팬(312) 등을 포함하여 공랭식 냉각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핀(311)은 대기하에서 보다 냉각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320)는 실린더(100)의 열방출부(300)의 외경에 권선되는 냉각튜브(321)와, 냉각튜브(321)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펌프(322) 등을 포함하여 수냉식 냉각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열흡수부(400)는 실린더(100)의 후단부(113)에 위치하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외부로부터 작동기체에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열흡수부(400)는 실린더 몸체(110)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형태로 선택 가능하다.
열흡수부(400)에는 열흡수부(400)에 의해 냉각되는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순환부(410)는 외부의 공기가 열흡수부(400)를 경유하도록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경로챔버(411)와, 순환 경로챔버(411)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412)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경로챔버(411)는 하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11a)가 형성되고, 상부에 열흡수부(400)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배출되는 토출구(411b)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00)는 피스톤(200)이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도록 피스톤(200)에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회전 구동부(5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에너지를 피스톤(200)의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한 기계에너지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모터(510), 크랭크암(520) 및 커넥팅로드(53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510)는 실린더(100)의 외부에 고정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모터(510)의 회전축(511)은 후술할 크랭크암(520)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면서 후술할 커넥팅로드(530)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커넥팅로드(530)에 연결된 피스톤(200)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된 바 없지만, 실린더(100)를 다수 개 구비하는 회전 열펌프에서는 크랭크암(520)의 방향을 서로 다른 각도만큼 어긋나게 형성할 수 있다.
크랭크암(Crank arm)(520)은 모터(510)의 회전축(511)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축(5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커넥팅로드(Connecting rod)(530)는 피스톤(200)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모터(510)의 회전에 따른 동력을 피스톤(20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커넥팅로드(530)는 일단(531)이 피스톤(200)의 하단부(213)에 베어링을 포함하여 힌 지(531a)로 결합되고, 타단(532)이 크랭크암(520)에 베어링을 포함하여 힌지(532a)로 결합된다. 커넥팅로드(530)는 압축 및 인장 하중을 받으므로 이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굵기여야 하고,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커넥팅로드(530)의 길이는 보통 크랭크암(520) 길이의 3~4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열펌프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열펌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열펌프의 냉동 사이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10), 크랭크암(520) 및 커넥팅로드(530)로 구성되는 회전 구동부(500)의 외부 회전 구동력을 통해 실린더(100)와 피스톤(200) 사이의 공간에 밀봉되는 작동기체의 최적이 최소가 될 때까지 피스톤(200)을 실린더(100)의 전단부(111)쪽으로 이동시키면(도면에서 좌측방향), 작동기체는 고온 압축 상태가 된다. 이때, 작동기체는 피스톤(200)의 개구부(212)를 통해 열방출부(300)에 직접 접촉하면서 열에너지(Q1)를 방출하게 된다(도 10a의 ② -> ① 고온 압축 과정). 열방출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Q1)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 와 같은 냉각부(310,32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의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140)에 의해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간 열전달이 차폐된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을 실린더(100)의 후단부(113)쪽으로 점차 이동시키면(도면에서 우측방향), 열방출부(300)에 노출된 작동기체는 냉각 팽창하면서 온도가 내려간다. 이때, 작동기체는 열방출부(300)를 통해 열에너지(Q4)를 방출하게 된다(도 10a의 ① -> ④ 고온 팽창 과정).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0)와 피스톤(200) 사이의 공간에 밀봉되는 작동기체의 체적이 최대가 될 때까지 피스톤(200)을 실린더(100)의 후단부(113)쪽으로 이동시키면(도면에서 우측방향), 작동기체는 저온 냉각 팽창 상태가 된다. 이때, 피스톤(200)의 개구부(212)가 열흡수부(400)에 직접 접촉하면서 작동기체 내부로 열에너지(Q3)가 흡수된다(도 10a의 ④` -> ③ 저온 냉각 팽창 과정). 따라서, 작동기체가 열흡수부(400) 주변의 열에너지(Q3)를 흡수함에 따라 냉각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열흡수부(400)에 의해 냉각되는 냉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각순환부(410)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팽창한 작동기체는 계속해서 열에너지(Q3)를 흡수하게 되며, 열방출부(300)가 차단되고 열흡수부(400)만 접촉하면서 작동기체는 가열 압축된다. 이때에도 작동기체의 내부로 열에너지(Q2)의 일부가 흡수된다(도 10a의 ③ -> ②` 저온 냉각 압축 과정).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를 포함하는 실린더(100)의 축 방향 길이가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길이보다 길면 순간적으로 단열(adiabatic) 구간(도 10a의 ② -> ②`, ④` -> ④ 과정)이 존재하여 전체적인 열사이클은 도 10a의 ① -> ② -> ②` -> ③ -> ④` -> ④ -> ① 의 과정의 사이 클이 완성된다.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를 포함하는 실린더(100)의 축 방향 길이가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길이와 같으면 단열구간이 없는(② = ②`, ④ = ④`) 도 10b와 같은 이상적인 열사이클을 따른다.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를 포함하는 실린더(100)의 축 방향 길이가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길이보다 짧으면 개구부(212)가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를 동시에 접하므로 작동기체의 가열과 냉각이 동시에 일어나 단열 효과와 비슷한 효과를 가져와 이 때의 열사이클은 도 10a의 ① -> ② -> ②` -> ③ -> ④` -> ④ -> ① 의 과정과 유사한 사이클이 완성된다(미도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열펌프(10)는 실린더(100)와 피스톤(200)으로 이루어진 공간 내에 수소나 헬륨 등 작동기체를 밀봉하고,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통해 외부로부터 |-W|의 일을 작동기체에 제공함으로써, 도 9a 내지 9d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흡수부(400)로부터 Q2 및 Q3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열방출부(300)에 Q1 및 Q4의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열흡수부(400)의 주변에 냉각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열펌프(10)의 열효율은 아래의 수학식1과 같다.
Figure 112008081916771-PAT00001
수학식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열펌프(열펌프)(10)는 이상적인 카르노 엔진과 스터링 엔진의 중간 형태에 거의 유사하므로 높은 열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10)는 기존의 콤프레서 등과 같은 복잡한 열순환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냉각기와는 달리 특별한 냉매가 필요없이 기체의 압축 및 팽창만으로 냉각이 가능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열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 중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린더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 중 피스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피스톤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 중 열방출부에 구비되는 냉각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 열펌프 중 열흡수부에 구비되는 냉각순환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열펌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열펌프의 냉동 사이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 열펌프 100 : 실린더
110 : 실린더 몸체 120 : 실린더 헤드부
121 : 헤드커버 123 : 돌출부
124 : 가이드홈 140 : 단열부
200 : 피스톤 210 : 피스톤 몸체
212 : 개구부 220 : 피스톤링
300 : 열방출부 310,320 : 냉각부
400 : 열흡수부 410 : 냉각순환부
500 : 회전 구동부 510 : 모터
520 : 크랭크암 530 : 커넥팅로드

Claims (12)

  1. 내부에 작동기체가 수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상기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상기 작동기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열흡수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작동기체가 상기 열방출부 또는 상기 열흡수부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 열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열방출부와 상기 열흡수부의 사이에 단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열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열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과 이격된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피스톤과 대향되는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열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 및 열흡수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열펌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에는 상기 열방출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열펌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형성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각핀에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회전 열펌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권선되는 냉각튜브; 및
    상기 냉각튜브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펌프를 포함하는 회전 열펌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흡수부에는 상기 열흡수부에 의해 냉각되는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열펌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순환부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열흡수부를 경유하도록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경로챔버; 및
    상기 순환경로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회전 열펌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에너지를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진동을 위한 역학적 기계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열펌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크랭크암;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암을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이 직선 왕복 진동하 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른 동력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회전 열펌프.
KR1020080118905A 2008-11-27 2008-11-27 회전 열펌프 KR20100060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905A KR20100060338A (ko) 2008-11-27 2008-11-27 회전 열펌프
CN2009801477725A CN102227553A (zh) 2008-11-27 2009-11-27 热泵
US13/131,862 US20110225966A1 (en) 2008-11-27 2009-11-27 Heat pump
PCT/KR2009/007037 WO2010062134A2 (ko) 2008-11-27 2009-11-27 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905A KR20100060338A (ko) 2008-11-27 2008-11-27 회전 열펌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414A Division KR101060647B1 (ko) 2011-04-11 2011-04-11 회전 열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338A true KR20100060338A (ko) 2010-06-07

Family

ID=4236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905A KR20100060338A (ko) 2008-11-27 2008-11-27 회전 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3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61974A (ja) スターリング冷凍システム及び冷却装置
KR101021584B1 (ko) 선형 열펌프
KR101045871B1 (ko) 선형 열기관
KR101060647B1 (ko) 회전 열펌프
KR20100060338A (ko) 회전 열펌프
US20110225966A1 (en) Heat pump
JP2010196910A (ja) 冷凍機ユニット付き保冷容器
KR100283156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예냉기 구조
KR101045872B1 (ko) 회전 열기관
KR100304575B1 (ko) 맥동관 냉동기
JP2004163038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KR100393791B1 (ko) 극저온 냉동기의 방열 장치
RU2298690C1 (ru) Тепловой компрессор
JP3878924B2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JP3717812B2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のオイルシールベローズ
JP3643762B2 (ja) スターリング熱機器
JP3643761B2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KR100343737B1 (ko) 맥동관식 극저온 냉동기의 냉각장치
KR100871189B1 (ko) 쿨러의 외측 열교환기
JP3615408B2 (ja) ガス圧縮膨張機
JP2004003784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KR930000942B1 (ko) 프리 피스톤형 스터링 싸이클 머신
CN116480486A (zh) 斯特林发电机
RU2480623C1 (ru) Теплоиспользующий компрессор
JP2013174394A (ja) 極低温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