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376A - 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 Google Patents

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376A
KR20100059376A KR1020080118126A KR20080118126A KR20100059376A KR 20100059376 A KR20100059376 A KR 20100059376A KR 1020080118126 A KR1020080118126 A KR 1020080118126A KR 20080118126 A KR20080118126 A KR 20080118126A KR 20100059376 A KR20100059376 A KR 2010005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ulture
container
kit
lower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68268B1 (en
Inventor
강시용
이긍주
김동섭
김진백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68B1/en
Publication of KR2010005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plant culturing container kit is provided to easily observe a plant growing process for children, and to easily perform a sprouting and a growing experiments of a seed with a space experiment. CONSTITUTION: A lower container(20) includes a storage space inside. An upper cover(10) is detachably combined to the lower container. A hole(12) is formed on the top of the upper cover, and includes a cap(14). A plant culturing container(1) includes a germinating and growing medium(30) which is arranged o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A first unit box surrounds the entire surface of the plant culturing container. A second unit box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ing container. A kit box accepts the plant culturing container wrapped by the first unit box and the second unit box.

Description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본 발명은 우주환경에서 식물의 생장을 관찰하는 과학실험 임무 중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어린이들과 청소년들도 손쉽게 종자의 발아 및 생장을 관찰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ure container kit that can be used during the scientific experiment mission of observing the growth of plants in space, as well as children and adolescents can easily observe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seeds.

20세기 중반 이후 강대국을 중심으로 한 경쟁적인 우주개발 노력에 따라 우주선 및 우주정거장에서 인간이 체류하는 빈도와 기간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머지않은 장래에는 달과 화성 등에 장기간 인류가 거주하는 우주기지 건설의 계획도 추진되고 있다.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with the competitive space development efforts centered on the great powers,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human dwelling on spacecraft and space station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in the near future, the construction of space bases where humans live on the moon and Mars Plan is also being promoted.

우주에서 인류가 장기간 체류하기 위해서는 우주선 및 우주기지 등의 폐쇄공간 내에 자급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우주에서의 식물재배 필요성은 자체 식량공급 차원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한 가공식품이 아닌 미각 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선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우주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In order for humans to stay in space for a long time, there is a need to build a self-sustaining plant cultivation system in a closed space such as a spaceship and a space base. The necessity of plant cultivation in space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ace life by providing fresh food that can satisfy the taste, not processed food stored for a long time, as well as its own food supply.

그리고 폐쇄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우주인의 정서불안을 해소하고, 폐쇄공간 내의 물, 영양물질 및 가스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생명-환경 순환생태계의 구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emotional instability of astronauts, which are likely to occur in the closed space, and to establish a sustainable life-environmental ecosystem including water, nutrients and gases in the closed space.

또한 우주환경에서의 우주선은 미소중력, 우주방사선, 진공 및 약한 지구자기장 등 지구상과는 다른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이러한 우주환경에 적합한 식물재배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구환경에서 수억년 동안 적응 진화해 온 생명체가 이러한 우주환경에 노출될 경우 생리적 및/또는 유전적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spacecraft in the space environment is exposed to different environments than the Earth, such as microgravity, space radiation, vacuum and weak earth magnetic field, it is necessary to build a plant cultivation system suitable for this space environment. There is also the potential for physiological and / or genetic changes in living organisms that have been adapted and evolved over millions of years in the global environment.

이에 따라 미국, 러시아, 유럽국가 및 일본에서는 유·무인 우주선을 이용하여 우주환경에서의 식물체의 생장특성 규명과 함께 우주공간에서의 생활을 위한 생물-생태계 유지시스템, 우주에서의 식량 및 생물자원 생산시스템 개발에 관련된 연구 등도 진행해 오고 있다. 중국 연구진은 육종연구용 우주선을 활용한 식물체의 우주환경 노출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식물의 돌연변이 품종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Accordingly, in the United States, Russia,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human and unmanned spacecraft are used to characterize the growth of plants in space, and to produce bio-ecosystem maintenance systems for living in space, and to produce food and biological resources in space. Research on system development has also been conducted. Researchers in China are pushing for the development of mutant varieties of various plants by experimenting with the exposure of plants to space environments using breeding spacecraft.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러시아 모듈(즈베즈다)에는 라다온실이라는 소형 식물생장챔버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챔버에는 챔버 내의 온도, 습도 및 광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고 뿌리 배지 내의 수분센서로 수분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급수하는 수경재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JAXA에서도 이와 같은 환경자동조절장치 및 CCD 카메라를 부착한 생장챔버를 개발하여 우주실험에 활용한 바가 있다.The Russian module (Zvezda) of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is equipped with a small plant growth chamber called Radaon Room,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in the chamber and monitors the moisture state with a moisture sensor in the root medium. It is equipped with a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that detects and supplies water automatically. JAXA of Japan also developed a growth chamber equipped with such an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a CCD camera and used it for space experiments.

그러나 이와 같은 식물생장챔버는 무게가 많이 나가고 개발비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ISS 내에 전용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나라의 우주인이 단기간 체류하면서 실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 쓰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현재까지 37개국이 우주인을 배출하였는데, 최근 과학실험 임무 우주인이 우주에서 실시하는 단기간의 종자 발아 실험의 경우 간단한 발아 키트를 만들어 사용한 사례가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plant growth chamber is heavy and requires a lot of development costs, it is difficult to make it for the purpose of experimenting by astronauts in countries that do not have a dedicated module in the ISS for a short period of time. To date, 37 countries have produced astronauts. In recent years, short-term seed germination experiments conducted by space astronauts have made simple germination kits.

2004년도 Delta Mission으로 수행된 네덜란드 우주인 실험에서는 로케트 모양의 용기 챔버 안에 구획을 나누어 빛 조건과 암 조건을 각각 주고 종자 발아실험을 수행한 경우가 있었으며, 2006년도 브라질 최초 우주인 Marcos C. Pontes는 ISS 러시아 모듈에서 브라질 콩과식물(Astronium fraxinifolium) 씨앗의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각 5개의 씨앗을 사각의 펼쳐진 필터페이퍼 위 중간에 1열로 배치하고, 비닐 팩으로 밀봉한 평면상의 키트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In 2004, a Dutch astronaut conducted a Delta Mission in which a compartment was divided into a rocket-shaped container chamber to give light and dark conditions, respectively, and seed germin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2006, Brazil's first astronaut Marcos C. Pontes The germination test of the seeds of the Brazilian legume (Astronium fraxinifolium) was carried out in the module. Each of the five seeds was placed in a row in the middle of the square spread filter paper, and a flat kit sealed with a plastic pack was used.

현재 우리나라 우주개발사에 한 획을 긋고, 국민의 과학마인드 확산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한국인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에 따라 최종 선발된 한국 우주인이 2008년도에 러시아의 유인우주선 소유즈에 탑승하여 ISS로 가서 1주일간 과학실험을 수행한 후 귀환할 예정이다. 따라서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이 ISS에서 수행할 종자 발아실험을 위한 키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과학의 꿈을 심어 줄 수 있도록 우주환경에서의 종자 발아실험과 동시에 지구에서도 동일한 종자 발아실험을 진행할 예정인데, 고도로 훈련된 우주인은 물론 일반 청소년들도 쉽 게 종자 발아실험을 할 수 있는 개량된 식물 배양용기 키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A Korean astronaut, who has been selected for the Korean space development company and is currently selected for the "Korea's First Space Emission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to spread the scientific mind of the people, boarded the Russian manned spaceship Soyuz in ISS in 2008. They will return home after a week of scientific experi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it for seed germination experiments to be performed by the first Korean astronaut at the ISS. In particular, the seed germination experiment in the space environment will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as the seed germination experiment in the earth so that youths can dream scienc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mproved plant culture kit.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인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에 따라 최종 선발된 한국 우주인이 2008년도에 ISS에서 체류하며 수행할 과학실험 중에 지상의 학생들도 동시에 이와 동일한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same plant seed germination and growth experiments at the same time during the scientific experiment to be performed by the Korean astronauts who were fin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Korea's first astronaut discharge project" in ISS in 2008.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ure container kit.

특히 상기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청소년들도 쉽게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할 수 있도록 발명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우주실험의 종료 후에는 일반적인 학습용의 식물 배양용기로도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In particular, the plant culture container kit should be invented so that even adolescents can easily carry out plant seed germination and growth experiments.

그리고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실험군을 구성할 수 있도록 크기, 무게 및 기능적 특성 등을 고려하고, 청소년들도 쉽게 실험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제작되어야 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size, weight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 number of plant culture vessels to form a variety of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it should be conveniently produced so that adolescents can easily experi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 또는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제1 단위상자;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되 그 상면의 일부에 창이 형성된 제2 단위상자; 및 상기 제1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제2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를 수용하는 키트상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lant culture vessel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wer container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and the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plant culture container including an upper cover including a stopper and a pedestal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on a germination growth medium or an upper surface thereof disposed in a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plurality of plants. Some plant culture vessels of the culture vessel, the first unit box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e vessel; and the remaining plant culture vessels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e vessel is wrapped A second unit box having a window formed on a portion of its upper surface; And a kit box accommodating the plant culture container packaged in the first unit box and the plant culture container packaged in the second unit box.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 또는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그 내부에 배치된 격벽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되,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모서리 각각에 제1 덮개와 제3 덮개 및 제2 덮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식물 배양용기 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lant culture container k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is formed therein storage space,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ant culture container including an upper cover and a pedestal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on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or an upper surface thereof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The first cover, the third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sequentially formed in each of the three consecutive edges of the open upper surface, respectively, in the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s disposed therein, and the first cover includes the plurality of A plant culture container bag having at least one window for exposing the upper surface of some plant culture containers to the outside of the plant culture container; By made.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는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와 상부 덮개의 결합은 상기 상부 덮개의 개방된 하부의 측면에 형성된 확장개구부가 상기 하 부 컨테이너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plant culture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upper cover,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upper cover is the expansion opening formed on the side of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It can be made by fitting in the lower container.

여기에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wer container and the upper cover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in particular a polycarbonate material.

또한 상기 홀의 직경은 주사기 주입구 직경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홀을 상기 상부 덮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마개를 상기 돌출 형성된 홀과 스트랩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hole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yringe inle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form the hol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to interconnect the plug with the protruding hole and the strap.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는 암면이나 스펀지 또는 플로랄 폼(floral foa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의 상면에는 식물의 씨앗이 안치될 수 있는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rock wool, sponge or floral foam (floral foam), the groove on which the seed of the plant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At least one may be formed.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내측면 중 대향하는 두 면의 표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또는 상기 하부 컨테이너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은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s formed on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the two opposite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or respectively formed along the four corner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It can be supported by the hook,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may be formed to form a grid.

또한 상기 키트상자는, 그 전면이 노출되도록 양 측면에 사선으로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의 절취선을 잇는 절취선이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키트상자의 양 측면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에는 절취가능한 눈금자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t box, the perforated line is formed on both sides with a diagonal line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the perforated line connecting the perforated line of both sides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wing parts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of the kit box A cuttable ruler may be form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는 "한국인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에 따라 최종 선발된 한국 우주인이 2008년도에 ISS에서 체류하며 수행할 과학실험 중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는 우주선 및 우주기지 등의 폐쇄공간 내에 자급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의 구축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 직접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선식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폐쇄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우주인의 정서불안을 식물 재배과정을 통하여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우주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게 되며, 폐쇄공간에서도 자급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의 구축은 폐쇄공간 내의 물, 영양물질 및 가스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생명 환경 순환생태계의 구축에 이용된다.The plant culture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used during a scientific experiment to be performed by a Korean astronaut who was fin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Korean first astronaut discharge project" in 2008. Therefore, the plant cultur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useful for constructing a self-sustainable plant cultivation system in a closed space such as a spaceship and a space base, but also to obtain fresh food that can satisfy the taste by allowing the plant to be grown directly in space. To help.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space life by solving the emotional instability of astronauts in the closed spaces through the plant cultivation process. It is used to build a sustainable ecosystem of life environment, including the like.

그리고 상기 식물 배양용기는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도 쉽게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할 수 있도록 발명됨에 따라 우주실험과 동시에 이와 동일한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우주실험의 종료 후에는 일반적인 학습용의 식물 배양용기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키트로 구성하여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실험군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And the plant culture vessel is invented so that children or adolescents can easily perform plant seed germination and growth experiments, so that the same plant seed germination and growth experiments can be easily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space experiment, and also the end of the space experiment. Later, it can be used as a general plant culture vessel for learning, it was produced to configure a variety of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 as a k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들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에 사용된 도면번호는, 실시예가 다른 경우에도,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lant culture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reference numerals used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bove embodiments, even if the embodiment is differ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에 사용되는 식물 배양용기(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lant culture vessel (1) used in the plant culture vessel k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식물 배양용기(1)는 그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20)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12)과 상기 홀(12)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14)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10)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lant culture container 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20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20, and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12 and the hole 12 formed at an upper surface thereof. It comprises a top cover 10 including a stopper 14 and a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20.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1)는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가 결합되어 그 내부에서 배양될 식물 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서 발아, 성장하는 종자를 보다 자세히 관찰하거나 또는 발아생장용 배지(30)를 새로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의 결합이 상부 덮개(10)의 개방된 하부의 측면을 따라 확장개구부(11)를 형성하고 여기에 하부 컨테이너(20)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식물 배양용기(1) 내부의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는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의 결합부위에 존재하는 미세한 틈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수분의 유지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The plant culture contai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to form a case to protect the plant seeds to be cultured therein. At this time,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are detachably coupled so that the germination and growing seeds can be observed in more detail as necessary, or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can be newly replaced. It is desirable to.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is formed in such a way to form an expansion opening 11 along the side of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10 and to fit the lower container 20 therein. It is preferable that this is, in order to maintain the moisture in the surface of the micro-gap existing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which can escape the moisture inside the plant culture vessel (1) toward the ground This is because it is more advantageous.

여기에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의 단면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그 단면의 형상을 정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를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실험군을 구성할 경우 제한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1) can be efficiently arranged in a limited space when configuring a variety of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또한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및 상부 덮개(10)는, 외부에서 종자의 발아 및 성장 과정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좋은데, 이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매우 뛰어나 그 내부에 있는 암면 배지(30)나 종자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germination and growth process of the seed can be easily observed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the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eferably a polycarbonate, because it is not only excellent transparency of the polycarbonate material but also excellent impact resistance to effectively protect the rock wool medium 30 or seeds therein.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안의 저장공간에 넣어지는 발아생장용 배지(30)는 종자가 발아 및 생장할 수 있는 토양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암면(岩綿, rock wool)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면은 암석섬유라고도 하며, 안산암·현무암 등의 암석이나 니켈·망간의 광재(鑛滓, 슬래그) 등의 혼합물에 석회석을 섞은 것을 원료로 하여 전기로에서 1,500∼1,600℃의 고열로 용융하여 노(爐) 하부의 노즐에서 흘러나온 것을 압축공기로 세게 불어서 만든 섬유이다. 이러한 발아생장용 배지(30)는 그 내부에 충분한 공극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자가 발아하고 생장하는데 필요한 수분을 오랜 시간 동안 보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구비되는 발아생장용 배지(30)는 반드시 암면 재질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충분한 공극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스펀지나 꽃꽂이용 받침대로 널리 쓰이는 플로랄 폼(floral foam, 상표명은 오아시스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Germination growth medium 30 to be put in the storage space in the lower container 20 is to play a role of soil in which seeds can germinate and grow, it is preferably made of rock wool (岩 綿, rock wool) material Do. Rock wool is also called rock fiber, and it is made of rock mixed with andesite and basalt, limestone mixed with nickel and manganese slag, and melted at high temperature of 1,500 ~ 1,600 ℃ in an electric furnace. ) It is a fiber made by blowing air from the nozzle at the bottom with compressed air. Since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has sufficient voids therein, the seeds can retain moisture necessary for germination and growth for a long time. However,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made of a rock wool material, and a material having a sufficient pore to hold moisture, for example, a floral foam (floral) widely used as a support for sponges or flower arrangements. foam, trade name oasis).

그리고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30)의 상면에는 식물의 종자가 안치될 수 있는 오목한 홈(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다수개의 홈들(32)이 바둑판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종자의 생육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ncave groove 32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in which seeds of a plant may be placed. Particularly, the plurality of grooves 32 are regularly arranged in a checkered shape. To help maintain the seed's growth density uniformly.

상기 상부 덮개(10)의 상면에는 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홀(12)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1)는 상기 홀(12)을 통하여 물을 주입하게 되는데, 물을 주입할 경우 주로 주사기를 이용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홀(12)의 직경은 주사기 단부의 주입구 직경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0 is formed with a hole 12 for injecting water or for supplying air, and a stopper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12 is provided. Plant culture vesse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ject water through the hole 12, when the water is injected mainly to use a syring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hole 12 and the inlet diameter of the syringe end It is preferable to be equal or larger.

또한 상기 홀(12)을 개폐하는 마개(14)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12)을 상부 덮개(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마개(14)를 상기 돌출 형성된 홀(12)과 유연성이 있는 스트랩(16)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stopper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12, the hole 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stopper 14 is protruded hole 12 It is more desirable to interconnect with a flexible strap 16).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기 상부 덮개(10)의 일측면에는 눈금(18,18')이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를 서로 분리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쉽게 육안으로 종자가 생장한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특히 복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를 사용하여 비교 실험하는 경우 비교군 사이의 성장량 차이를 확인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다.In addition, scales 18 and 18 ′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respectively. This is to make it easy to check the length of the seed growth with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without separating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ver 10, in particular using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 (1) In this case, it is very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difference in growth amount between the comparison groups.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식물 배양용기(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20)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12)과 상기 홀(12)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14)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10)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되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2)이 형성된 받침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culture vessel (1 ') is a lower container 20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the lower container 20 is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 and the upper cover 10 including a stopper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12,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20) 42 is formed, including the base 40 is formed.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1')는, 다른 모든 구성은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일실시예에 사용된 발 아생장용 배지(30) 대신에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2)이 형성된 받침대(40)를 사용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받침대(40)는 하부 컨테이너(20)의 내측면 중 대향하는 두 면의 표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44)에 의해 지지되며,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2)은 발아된 종자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관통구멍(42)은 다수개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받침대(40) 위에서 자라나는 종자의 생육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발아생장용 배지(30) 위에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한 홈(3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Plant culture contai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used in the embodiment The difference is that instead of using a pedestal 40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42 on the upper surface. The pedestal 40 is supported by the locking projections 4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lower container 20 on two opposite surfaces,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4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 The through hole 42 is used as a space in which the roots of germinated seeds can exten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which is a checkerboard shape on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in that it helps to keep the growth density of seeds growing on the pedestal 40 uniformly. It is the same as the case of the concave groove 32 formed by this.

상기 받침대(40)와 걸림턱(44)에 관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40 and the locking step 44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식물 배양용기(1')는 걸림턱(44)의 구성을 다르게 구성한 변형된 식물 배양용기(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된 식물 배양용기(1")는 상기 걸림턱(44)의 구성 대신에,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살(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살(4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걸림턱(44)이 형성된 높이 정도에 이르는 길이로 미소하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걸림살(46)의 상단부에 걸쳐져서 지지 된다.In addition, the plant culture vessel 1 ′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odified plant culture vessel 1 ″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of the hooking jaw 44. The modified plant culture vessel 1 ″. Instead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step 44, may include a hook 46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four corner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20, respectively. As illustrated in FIG. 5, the hook 46 is minutely protruded to a height up to a height at which the hooking jaw 44 is formed along four corner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20. Thus, the pedestal 40 is supported across the upper end of the hook 46.

상기와 같은 걸림살(46)의 구성을 채택하는 식물 배양용기(1")의 장점은 받침대(40) 대신에 이를 발아생장용 배지(30)로 대체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걸림살(46)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20)는 발아생장용 배지(30)와 받침대(40)를 사용하는 경우 모두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An advantage of the plant culture vessel 1 "adop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ok 46 is that it is easy to replace it with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instead of the pedestal 40. In other words, the hook The lower container 20 in which the 46 is formed can be used in common for both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30 and the pedestal 40.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여러 개, 특히 네 개로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를 구성할 수 있다.One plant culture vessel kit 100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1, 1 ′, 1 ″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fou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는, 각각의 식물 배양용기(1, 1', 1")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단위상자(110', 110")와, 상기 단위상자(110', 110")로 포장된 네 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수용하는 키트상자(120)로 이루어진다.Plant culture container k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ox (110 ', 110 ")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each plant culture container (1, 1', 1") and the unit box It consists of a kit box 120 for receiving four plant culture containers 1, 1 ', 1 "packed in (110', 110").

상기 단위상자(110', 110")는 보편적인 상자의 형태를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분지 재질의 종이상자로 만들어진다. 상기 단위상자(110', 110")는 두 종류로 이루어지는데, 제1 단위상자(110')는 육면이 모두 폐쇄된 형태의 상자이고, 제2 단위상자(110")는 상면의 일부에 창(112)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상자이다. 이와 같이 단위상자를 두 종류의 단위상자(110', 110")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1 단위상자(110')는 암구(no-light) 실험을 위해서, 그리고 제2 단위상자(110")는 광구(light) 실험을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에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제1 단위상자(110')와 두 개의 제2 단위상자(110")가 포함되기 때문에, 두 종류의 식물 종자에 대해서 암구 및 광구 실험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The unit boxes 110 ′ and 110 ″ have a universal box shap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oxes 110 ′ and 110 ″ are made of cardboard paper. The unit boxes 110 ′ and 110 ″ are made of two types. The first unit box 110 ′ is a box in which all six faces are closed, and the second unit box 110 ″ is a box in which a window 112 is form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two types of unit boxes 110 'and 110 "is that the first unit box 110' is for a no-light experiment, and the second unit box 110" is a light bulb. Since the plant culture container k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two first unit boxes 110 ′ and two second unit boxes 110 ″, two types of plant seeds may be used. The dark and dark experiment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상기 네 개의 단위상자(110',110")를 수용하는 키트상자(120)도 일반적인 상자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상자(110', 110")와 마찬가지로 마분지 재질의 종이상자로 만들어진다. 상기 키트상자(120)는 하나의 실험군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실험군과의 구별을 쉽게 하는 동시에 보관과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Kit box 120 to accommodate the four unit boxes (110 ', 110 ") also has a general box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cardboard box of cardboard material similar to the unit boxes (110', 110"). The kit box 120 is for forming one experimental group, and easy to distinguish from other experimental groups,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storage and managemen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트상자(120)가 식물 배양 실험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편의적인 구성이 추가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kit box 120 is added to the convenient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more suited to the plant culture experiment.

첫째는, 키트상자(120)의 전면 및 측면의 일부를 절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위상자(110', 110")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트상자(120)의 양 측면을 전면이 노출되도록 사선으로 절취하고 상기 양 측면의 절취된 끝단에 이어서 전면을 절취함으로써, 상기 키트상자(120)의 거의 절반 정도를 노출시킨다. 따라서 키트상자(120) 안에 수용된 단위상자(110', 110")의 취급과 관찰이 용이해진다. 이때 키트상자(120)의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122)이 미리 만들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manage the unit boxes (110 ', 110 ") by cutting a part of the front and side of the kit box 120. As shown in Figure 7, the kit box Both sides of the 120 are cut diagonally to expose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side is subsequently cut off along the cut ends of both sides, thereby exposing approximately half of the kit box 120. Thus, within the kit box 120 The handling and observation of the received unit boxes 110 'and 110 "becomes eas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line 122 is made in advance so that the kit box 120 can be easily cut.

그리고 상기 키트상자(120)의 상면, 즉 단위상자(110', 110")를 키트상자(120)에 투입하는 덮개면은, 위와 같은 절취에 의하여 같이 떨어지지 않도록 키 트상자(120)의 후면에 붙어 있다. 상기 키트상자(120)의 상면을 절반으로 접어 후면에 끼워 넣으면 상면의 절반이 위쪽으로 솟아있게 되는데, 여기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다른 실험군과의 혼동을 피할 수 있게 된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kit box 120, that is, the cover surface for putting the unit boxes (110 ', 110 ") into the kit box 120, the rear of the kit box 120 so as not to fall off by the above cut When the top surface of the kit box 120 is folded in half and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half of the top surface rises upwards, so that confusion with other experimental groups can be avoided by filling in the necessary information.

둘째는, 키트상자(120)의 양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124)를 활용하여, 상기 날개부(124)에 절취가능한 눈금자(126)를 만들어 놓는 것이다. 상기 눈금자(126)는, 위에서 설명한 식물 배양용기(1, 1', 1")에 형성된 눈금(18,18')과 마찬가지로, 식물의 생장 정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보조도구로 사용되는 것이다.Second, by utilizing the wing portion 124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kit box 120, to create a cuttable ruler 126 on the wing portion 124. The ruler 126, like the scales 18, 18 'formed on the plant culture vessels 1, 1', 1 "described above, is used as an auxiliary tool that can easily measure the degree of plant growth.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여러 개, 특히 네 개로 조합하고 식물 배양용기 백(200)에 수용시킴으로써 하나의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ation of several, especially four, plant culture vessels (1, 1 ', 1 ")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one by receiving in the plant culture vessel bag 200 Plant culture vessel kit (100 ') may be configured.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의 특징은, 위에서 설명한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와 같이 단위상자(110', 110")와 키트상자(120)를 각각 만들지 않고, 하나의 식물 배양용기 백(200)이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직접 수용한다는 것이다.Features of the plant culture vessel k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uch as the plant culture vessel kit 100 described above, without making the unit box 110', 110 "and the kit box 120, respectively, One plant culture container bag 200 directly receives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containers 1, 1 ', 1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배양용기 백(200)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를 그 내부에 배치된 십자 형상의 격벽(210)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며, 그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모서리 각각에 제1 덮 개(220)와 제3 덮개(240) 및 제2 덮개(2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plant culture container bag 200 includes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containers 1, 1 ′, and 1 ″ in a space divided by a cross-shaped partition wall 210 disposed therein. The first cover 220, the third cover 240, and the second cover 230 are sequentially formed at each of three consecutive edges of the open upper surface.

이때 상기 제1 덮개(220)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1, 1', 1")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2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덮개(230)에는 아무런 창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1 덮개(220)에 형성된 창(222)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된 일부 식물 배양용기(1, 1', 1")는 광구 실험의 대상이 되며, 그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1, 1', 1")는 암구 실험의 대상이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ver 220 has a window 222 for exposing the upper surface of some of the plant culture vessel (1, 1 ', 1 ")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 (1, 1', 1") to the outside At least one is formed, and no window is formed on the second cover 230. Therefore, some of the plant culture vessels 1, 1 ′, 1 ″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window 222 formed on the first cover 220 are subjected to photosphere experiments, and the remaining plant culture vessels 1, 1. ', 1 ") is the subject of cancer experiments.

상기 제3 덮개(240)는 상기 제1/제2 덮개(220, 230)를 덮는 것으로서, 실험을 수행하지 않고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를 보관할 때에 식물 배양용기 백(200)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제1/제2 덮개(220, 230)의 일부에 구비된 벨크로(250)들은 상기 덮개들(220, 230) 상호간을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3 덮개(240)와 식물 배양용기 백(200)의 일부에 구비된 벨크로(250)들은 제3 덮개(240)를 식물 배양용기 백(20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third cover 240 covers the first and second covers 220 and 230, and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e container bag 200 when the plant culture container kit 100 ′ is stored without performing an experiment. It is prepared to cover. Velcros 250 provided 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ds 220 and 230 are for detachably fixing the lids 220 and 230 to each other, and the third lid 240 and the plant culture container bag. Velcros 250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200 are for detachably fixing the third cover 240 to the plant culture container bag 2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it is conventiona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knows the knowledge of is easy to kn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culture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식물 배양용기에 대한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ure vessel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culture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식물 배양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lant culture vessel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를 다수개 수용하는 키트상자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에 대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ure vessel kit comprising a kit box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키트상자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전면과 양 측면의 일부를 절취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part of the front and both sides are cut along the cut line formed in the kit box of FIG. 6;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를 다수개 수용하는 식물 배양용기 백을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에 대한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ure vessel kit comprising a plant culture vessel bag containing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1": 식물 배양용기 10: 상부 덮개1,1 ', 1 ": Plant culture vessel 10: Top cover

11: 확장개구부 12: 홀11: extension opening 12: hole

14: 마개 16: 스트랩14: stopper 16: strap

18,18': 눈금 20: 하부 컨테이너18,18 ': Scale 20: Lower Container

30: 발아생장용 배지 32: 홈30: germination growth medium 32: home

40: 받침대 42: 관통구멍40: base 42: through hole

44: 걸림턱 46: 걸림살44: jam jaw 46: jam

100, 100': 식물 배양용기 키트 110': 제1 단위상자100, 100 ': Plant culture container kit 110': the first unit box

110": 제2 단위상자 112: 창110 ": Second unit box 112: Window

120: 키트상자 122: 절취선120: kit box 122: perforation

124: 날개부 126: 눈금자124: wing 126: ruler

200: 식물 배양용기 백 210: 격벽200: plant culture container bag 210: partition wall

220: 제1 덮개 222: 창220: first cover 222: window

230: 제2 덮개 240: 제3 덮개230: second cover 240: third cover

250: 벨크로250: Velcro

Claims (17)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An upper cover including a lower contain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removable cover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a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and a germination growth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comprising a medium for the preparation;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제1 단위상자;A first unit box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e vessel, for some plant culture vessels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되 그 상면의 일부에 창이 형성된 제2 단위상자; 및A second unit box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e container, wherein a window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containers; And 상기 제1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제2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를 수용하는 키트상자;A kit box accommodating the plant culture container packaged in the first unit box and the plant culture container packaged in the second unit box; 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vessel kit comprising a.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되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A lower contain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 upper cover including a ho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and a ca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and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the upper container being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 including a pedestal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in the;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제1 단위상자;A first unit box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e vessel, for some plant culture vessels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되 그 상면의 일부에 창이 형성된 제2 단위상자; 및A second unit box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lant culture container, wherein a window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containers; And 상기 제1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제2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를 수용하는 키트상자;A kit box accommodating the plant culture container packaged in the first unit box and the plant culture container packaged in the second unit box; 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vessel kit comprising a.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및An upper cover including a lower contain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removable cover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a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and a germination growth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comprising a medium for the preparation; And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그 내부에 배치된 격벽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되,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모서리 각각에 제1 덮개와 제3 덮개 및 제2 덮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식물 배양용기 백;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are each accommodated in a space divided by a partition wall disposed therein, wherein a first cover, a third cover, and a second cover are sequentially formed at each of three consecutive edges of the open upper surface. The first cover may include a plant culture container bag having at least one window for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some plant culture containers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containers to the outside; 을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vessel kit comprising a.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되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및A lower contain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 upper cover including a ho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and a ca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and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the upper container being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ontainer A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 including a pedestal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in the; And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그 내부에 배치된 격벽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되,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모서리 각각에 제1 덮개와 제3 덮개 및 제2 덮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식물 배양용기 백;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vessels are each accommodated in a space divided by a partition wall disposed therein, wherein a first cover, a third cover, and a second cover are sequentially formed at each of three consecutive edges of the open upper surface. The first cover may include a plant culture container bag having at least one window for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some plant culture containers of the plurality of plant culture containers to the outside; 을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vessel kit comprising 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upper cover is squar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The lower container and the upper cover is a 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The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is a 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carbona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상부 덮개의 개방된 하부의 측면을 따라 확장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개구부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The expansion opening is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plant expansion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ntain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by fitt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는 암면이나 스펀지 또는 플로랄 폼(floral foa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is a 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rock wool, sponge or floral foam (floral foa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의 상면에는 식물의 씨앗이 안치될 수 있는 오목한 홈 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The 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ncave groove in which the seeds of the plant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ermination growth medium.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받침대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vessel k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formed in a grid shap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내측면 중 대향하는 두 면의 표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the two opposite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하부 컨테이너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container kit further comprises a hook formed to protrude along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ontain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홀은 상기 상부 덮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돌출 형성된 홀과 스트랩으로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The hole i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the stopper is 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interconnected with the protruding hole and the strap.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상부 덮개의 일측면에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dua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upper cov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키트상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양 측면에 사선으로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의 절취선을 잇는 절취선이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A cut lin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kit box so that the front of the kit box is exposed, and a cut line connecting the cut lines of both sides is formed on the front sid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키트상자의 양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에 절취가능한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Plant culture container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ruler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both sides of the kit box.
KR1020080118126A 2008-11-26 2008-11-26 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KR1010682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26A KR101068268B1 (en) 2008-11-26 2008-11-26 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26A KR101068268B1 (en) 2008-11-26 2008-11-26 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376A true KR20100059376A (en) 2010-06-04
KR101068268B1 KR101068268B1 (en) 2011-09-28

Family

ID=4236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126A KR101068268B1 (en) 2008-11-26 2008-11-26 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6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5820A (en) * 2017-09-22 2018-01-05 天津航天机电设备研究所 A kind of portable space teaching aid based on USB
WO2018203692A3 (en) * 2017-05-04 2019-03-28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Culture vessel using iot-based led and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321B1 (en) * 2017-12-29 2019-05-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est apparatus for arching
EP3993606A4 (en) * 2019-07-01 2023-07-12 Borroughs, LLC Integrated horticultural grow rack k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331A (en) 1977-03-22 1979-01-23 Stewart Lamlee Seedling sprouter
KR19990013664U (en) * 1997-09-27 1999-04-15 김광출 Culture box structure for plant cultivation
JPH11155381A (en) 1997-11-26 1999-06-15 Seiwa:Kk Tray for culturing new root
JP2000209950A (en) 1999-01-22 2000-08-02 Kobayashi Hardware Kk Plant cultivation kit for indoor u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92A3 (en) * 2017-05-04 2019-03-28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Culture vessel using iot-based led and sensor
CN107545820A (en) * 2017-09-22 2018-01-05 天津航天机电设备研究所 A kind of portable space teaching aid based on USB
CN107545820B (en) * 2017-09-22 2024-02-02 天津航天机电设备研究所 Portable space teaching aid based on US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268B1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47470B2 (en) A holder for plants and a plant cultivation method
CA2473590A1 (en) Seed germination and plant supporting utility
KR20150130898A (en) Appliance for the production of seedings
KR101079849B1 (en) Packaging case for raising seedling plant
KR102080750B1 (en) Pot for ginseng
KR101068268B1 (en) 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US10874063B2 (en) Self watering bottle planter insert
JP3192278U (en) Plant growing equipment
CA2835468C (en) Container and method for raising a plant
WO2018062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ng plant material
JP2010029115A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WO2017104703A1 (en) Open-field hydroponic kit, open-field hydroponic system, and plant manufacturing method
US3331154A (en) Plant cultivating device
JPS63287478A (en) Box for cultivating biological tissue
JPH1029A (en) Pot for raising plant
Kahn et al. No evidence of adverse effects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fruit yield due to space exposure of tomato seeds
KR102262002B1 (en) Vegetation Fixture For Water Culture
KR102466290B1 (en) Box for safe delivery of plant seedlings
JP3055811U (en) Indoor plant cultivation kit
WO2008156265A1 (en) Culture dish and culture method of a potato trunk using the culture dish
KR20170004111U (en) Pot type ornament for planting seed
Salisbury et al. Preparations for CELSS flight experiments with wheat
JPH055881Y2 (en)
JPH0531896Y2 (en)
JP2000209950A (en) Plant cultivation kit for indoor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