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255A -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255A
KR20100058255A KR1020080117003A KR20080117003A KR20100058255A KR 20100058255 A KR20100058255 A KR 20100058255A KR 1020080117003 A KR1020080117003 A KR 1020080117003A KR 20080117003 A KR20080117003 A KR 20080117003A KR 20100058255 A KR20100058255 A KR 2010005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oute
search
path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김창모
조동관
Original Assignee
(주)프랜즈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랜즈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프랜즈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8011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8255A/ko
Publication of KR2010005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도상의 위치를 선택하여 주변 명소를 사진 파일로 검색하고 사용자가 사진 파일을 경유지로 선택하면, 선택된 경유지를 방문하는 최적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그 경로 스케쥴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검색 요청에 따라서 검색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의 주변 검색 요청에 따라서 검색 위치에 인접하는 주변 명소를 사진 파일로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 파일을 방문지로 선택받는 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출발지로부터 방문지를 경유하는 최적 경로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생성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 파일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경로 검색시 방문지의 사진을 보고 맘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당해 위치를 경유지로 방문하는 최적 경로를 스케쥴링 한다.

Description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Path scheduling system using picture file having coordinates on picture's obje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로를 검색하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선택받으면 목적지 인근의 명소, 관광지, 주변 정보의 사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들의 위치를 경유지로 포함하는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ㄱ)대한민국 등록특허 10-845056(발명의 제목 : 피사체의 위치 좌표를 내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지리정보 안내 시스템과 그 지리정보 안내 방법, 사진 파일 단말 및 사진 파일 생성 방법)과 ㄴ)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8-0116922(사진 속 피사체 위치 좌표를 지정하는 위치 좌표 지정 시스템 및 그 위치 좌표 지정 방법)에 기반하여 응용한 기술이다.
전술한 양자의 특허는 위치 정보 수신 기능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시 사진 파일 속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다만, 전자의 기술은 사진기가 촬영시 수신된 사진기 위치로부터 실시간으로 피사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피사체 위치 좌표를 사진 파일에 저장하는 기술이고, 후자의 기술은 전자의 기술에서 위치 정보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사진 파일이 사진기 위치를 먼저 저장하고, 이 사진기 위치로부터 방향각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예측하여 정확한 피사체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그 선택된 피사체의 정확한 위치를 사진 파일에 다시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상의 2개 기술은 사진 파일에 피사체의 위치 좌표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치 검색을 할 때 사진 파일을 입력하여 위치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사진 파일의 선택은 당해 피사체의 위치 선택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피사체 위치 정보가 저장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검색한 위치에 근접하는 주변의 유명 명소를 사진 파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개 사진 파일로부터 사진속 피사체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피사체 위치를 방문지로서 순서적 방문하는 최적 경로를 스케쥴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속 피사체에 대응하는 방문지들의 최적 경로는 최단 거리 및 이전 사용자들의 선호 경로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에 따르면, 위치 정보 수신 기능의 사진기가 촬영하여 저장한 사진기 위치 좌표와 피사체에 대한 방향각을 포함하는 사진 파일을 전송받고, 사진 파일의 피사체 위치 좌표를 지정하여 사진 파일에 저장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진 파일을 전송받고 저장하는 수단; 상기 사진 파일에 저장된 사진기 위치 좌표와 방향각을 이용하여 피사체 위치를 예측하는 수단; 예측된 피사체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검색된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는 수단; 제공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정확 한 피사체 위치를 선택받는 수단; 선택된 상기 피사체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수단; 생성한 피사체 위치 좌표를 상기 사진 파일에 저장하는 수단; 및 피사체의 위치 좌표를 저장한 상기 사진 파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위치 좌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좌표 서버는, 사진기 위치 좌표에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적용하여 오차 범위 내의 사진기 위치 좌표들을 고려하여 상기 피사체 위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 파일을 선택받아 선택된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피사체 위치를 선택받는 기능;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파일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미지상의 특정 위치를 직접 선택받아 당해 선택된 위치를 피사체 위치로 선택받는 기능; 및 상기 사진 파일을 전송받은 후 사진기 위치 좌표를 지도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지도상에서 피사체 위치를 선택받는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 위치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위치 좌표 서버는, 사진기 위치로부터 방향각에 대응하는 위치를 조망하는 파노라마 사진의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파노라마 이미지상에서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연결되는 위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추가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파노라마 이미지상의 특정 위치를 직접 피사체 위치로 선택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좌표 서버는, 피사체의 위치 좌표를 저장한 상기 사 진 파일을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이미지 파일마다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피사체 위치로 선택받은 회수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는 수단은 예측된 피사체 위치에 대응하는 기 저장한 상기 사진 파일을 이미지 파일로 검색하고, 사용자의 선택 회수로 개별 이미지 파일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사진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위치 수신 수단; 피사체를 향한 사진기의 방향각을 실시간 측정하는 각도 측정 수단; 및 촬영시 이미지 정보, 사진기 위치 좌표 및 방향각을 포함하는 사진 파일을 생성하는 사진 파일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에 따르면, 위치 정보 수신 기능의 사진기가 촬영하여 저장한 사진기 위치 좌표와 피사체에 대한 방향각을 포함하는 사진 파일을 전송받고, 사진 파일의 피사체 위치 좌표를 지정하여 사진 파일에 저장하는 위치 좌표 서버가 실행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 (S41)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진 파일을 전송받고 저장하는 단계; (S42)상기 사진 파일에 저장된 사진기 위치 좌표와 방향각을 이용하여 피사체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S43)예측된 피사체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검색된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는 단계; (S44)제공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피사체 위치를 선택받는 단계; (S45)선택된 상기 피사체 위치에 대응 하는 피사체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S46)생성한 피사체 위치 좌표를 상기 사진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 및 (S47)피사체의 위치 좌표를 저장한 상기 사진 파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그 경로 스케쥴링 방법은, 사진 파일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진을 보고 맘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당해 위치를 경유지로 방문하는 최적 경로를 스케쥴링 한다.
본 발명의 최적 경로는 최단 경로는 물론이고 타 사용자가 선호한 경로를 고려하여 스케쥴링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최적 경로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은 사용자의 위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당해 검색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지도 제공 수단(11), 사용자의 위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 위치의 주변 명소를 사진 파일로 제공하는 주변 사진 파일 제공 수단(12),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 파일을 방문지로 선택받는 방문지 선택 수신 수단(13),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최적 경로를 생성하 는 최적 경로 생성 수단(14) 및 생성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최적 경로 제공 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도 제공 수단(11)은 사용자로부터 검색 위치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서 ㄱ)검색어 입력 기능, ㄴ)지도 위치 입력 기능 및 ㄷ)사진 파일 입력 기능을 갖는다.
ㄱ)검색어 입력 기능은 사용자에게 검색창을 제시하고, 검색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명칭을 검색 위치로 입력받는 것이다. ㄴ)지도 위치 입력 기능은 사용자에게 지도를 제공하고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를 검색 위치로 입력받는 것이다. 그리고 ㄷ)사진 파일 입력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진 파일로부터 피사체 위치를 검색 위치로 입력받는 것이다. 이상의 3개의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검색은 지도상에서 당해 검색 위치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검색 위치가 결정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검색 위치 인근의 주변 명소가 피사체로 촬영된 사진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사용자에게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경로상의 방문지를 선택받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사진 파일은 방문지 모습이 피사체로 촬영되어 그 피사체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사진 파일이다. 여기서, 주변 명소는 유명한 곳을 말하는 것으로서 관광지, 식당, 주유소, 정비소, 은행, 숙박 업소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 기재하는 "주변 명소"의 용어는 반드시 유명한 곳을 지칭하는 한정된 의미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사람이 그 위치를 인지하여 방문할 수 있는 정도의 특정 장소를 지칭하는 광의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 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검색 위치를 방문한다고 가정할 때, 그 검색 위치에서 소문난 곳, 관광지, 유명 음식점 등을 안내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치에 대한 사진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면, 사용자가 관광지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주변 관광지에 대응하는 사진 파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방문을 유도한다. 물론, 사진 파일과 더불어 관광지 소개 내용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유소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주변 주유소가 촬영된 사진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개별 주유소에 대한 설명으로 할인 카드 정보, 이벤트 행사, 실시간 주유 가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주유 가격을 제공하는 예는 사용자가 가장 저렴한 주유소를 안내받는 것으로서 현재 www.opinet.co.kr에서 제공하는 주유 가격 정보를 참조하면 가능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식당의 설명에는 메뉴 및 음식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원일 경우 입장료 정보, 할인 정보, 입장 가능 시간 등을 안내할 수 있다.
나아가, 사진 파일의 설명 데이터로서 지금까지 사용자가 방문지로 선택한 회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연히 회수가 높을수록 많은 사용자가 방문지로서 다녀갔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선택 회수가 높은 사진 파일을 방문지로서 고려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회수에 추가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 점수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가 방문 여부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은 사진 파일 DB를 구축하여 사진 파일, 설명 정보, 선택 회수, 만족도 점수를 저장하는 것이 요구된다. 물론, 만족도 점수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제공 한 경로 정보의 방문지를 실제로 방문한 후 당해 방문지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한 것이다.
사용자가 사진 파일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문지(경유지)를 선택한 후 경로 제공을 요청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출발지로부터 선택된 방문지를 경유하는 최적 경로를 제공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여행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여행 스케쥴링을 제공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서 최적 경로는 최단 거리 경로 검색 및 선호도 경로 검색으로부터 얻어지는 경로를 말한다. "최단 거리 경로 검색"은 사전적 의미대로 목적지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문지를 포함하는 전체 이동 경로가 최단 거리일 것을 기준으로 검색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선호도 경로 검색"은 사용자가 당해 방문지를 모두 방문할 때 추천한 방문지 순서를 기준으로 검색한 것을 말한다. 이 역시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제공한 경로 정보의 방문지를 실제로 방문한 후 당해 방문지에 방문 순서를 설정한 것을 이용한다. "최단 거리 경로 검색"은 사용자가 빠른 시간에 모든 방문지를 방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선호도 경로 검색"은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경험 정보에 근거하여 유익한 방문 스케쥴링을 계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은 다음의 3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제 1실시예는 경로 제공 서버(2)가 사용자 단말(3)로 지도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제 2실시예는 경로 제공 서버(2)가 경로 정보를 제공하며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3)이 자체 내장된 지도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그리 고 제 3실시예는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3)이 단독으로 자체 내에서 지도를 표시하며 경로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이 3가지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서 경로 제공 서버(2)와 사용자 단말(3)로 구성된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3)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로서 경로 제공 서버(2)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지도 정보의 제공 및 경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 경로 제공 서버(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1)의 구성 요소들(11~15)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하여 사진 파일을 경로 제공 서버(2)로 사진 파일을 전송하여 검색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서 경로 제공 서버(2)와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3)로 구성된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지도 제공 수단(11)은 사용자 단말(3)에 구비되고 나머지 구성 요소들(12~15)은 경로 제공 서버에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3)의 지도 제공 수단(11)은 전술한 ㄱ)검색어 입력 기능, ㄴ)지도 위치 입력 기능 및 ㄷ)사진 파일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검색 위치를 특정받는다. 즉, 사용자가 사진 파일을 입력하는 경우, 지도 제공 수단(11)은 사진 파일로부터 피사체 위치를 추출하여 내장된 지도 파일로부터 당해 위치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변 정보의 사진 파일을 요청하면 당해 위치를 경로 제공 서버(2)로 전송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의 대표적인 예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홈페이지 접속이 가능한 내비게이션 단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서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3)로 단독 구성된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구성 요소들(11 ~ 15)은 사용자 단말(3)에 모두 구비된다.
이상의 3가지 실시예를 구성하는 경로 제공 서버(2)와 사용자 단말(3)을 구성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의 상세한 기능과 동작은 후술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을 통하여 설명한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은 전술한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1)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경로 스케쥴링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다. 참고로, 제 1실시예의 구성은 도 2를 통하여 기 설명한 바 있다.
사용자 단말(3)은 경로 제공 서버(2)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서비스 정책에 따라서 회원제 또는 비회원제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또한 유료 또는 무료 서비스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사용자 단말(3)은 전술한 ㄱ)검색어 입력 기능, ㄴ)지도 위치 입력 기능 및 ㄷ)사진 파일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요청한다.
경로 제공 서버(2)는 사용자의 지도 정보 요청에 대하여 당해 검색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11). 예를 들어, ㄱ)검색어 입력 기능일 경우,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검색어를 전송받고 당해 위치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제공한다. ㄴ)지도 위치 입력 기능일 경우,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 지도 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검색 위치를 특정하면 사용자 단말(3)로부터 사용자의 선택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ㄷ)사진 파일 입력 기능일 경우,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사진 파일을 전송받아 피사체 위치를 추출한 후 그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다시 사용자 단말(3)로 응답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주변 명소의 검색을 요청하면, 주변 사진 파일 제공 수단(12)은 사용자의 검색 위치에 대응하는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을 사진 파일 DB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사진 파일을 사용자 단말(3)로 응답한다(S12). 검색의 효율을 위하여 사용자가 주변 명소의 검색 영역(예 : 검색 위치로부터 반경 10km 이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주변 명소의 검색을 요청할 때 검색 카테고리별(예 : 관광지, 식당, 주유소, 정비소, 은행, 숙박 업소 및 기타 등등)로 요청할 수 있음을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서버(2)는 사진 파일과 더불어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사진 파일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 파일을 선택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박 2일로 A장소에 여행하는 경우, A장소의 주변 관광지, 레저 시설, 식당, 주유소, 숙박시설(호텔, 펜션, 민박지) 등에 대응하는 사진 파일들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사진 파일을 보고 맘에 드는 방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별 사진 파일의 설명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방문 회수, 비용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문지에 대응하는 사진 파일을 선택하면, 방문지 선택 수신 수단(13)은 사용자의 방문지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한다(S22).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방문지의 사진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 방문 회수를 1씩 증가한다.
이후 사용자의 경로 검색 요청에 따라서, 최적 경로 생성 수단(14)은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로부터 당해 사진 파일의 장소를 모두 경유지로부터 방문하는 최적 경로를 생성한다(S14). 최적 경로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가 디폴트 값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경로 검색 요청시마다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판단 기준으로서 최단 거리 경로 검색 및 선호도 경로 검색이 있으며 각각의 장점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마지막으로, 최적 경로 제공 수단(15)은 사용자 단말(3)로 실시간 경로 탐색한 최적 경로를 제공한다(S15). 이후 사용자 단말(3)은 전송받은 최적 경로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전송받은 최적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3)에 케이블 접속한 내비게이션 단말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단말을 이용하여 주행시 당해 최적 경로의 실시간 안내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경로 스케쥴링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다. 참고로, 제 2실시예의 구성은 도 3을 통하여 기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의 경로 스케쥴링 방법에서 이미 설명한 동일한 내용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3)의 지도 제공 수단(11)은 사용자로부터 전술한 ㄱ)검색어 입력 기능, ㄴ)지도 위치 입력 기능 및 ㄷ)사진 파일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 요청을 받고 화면에 검색 위치가 표기된 지도를 표시한다(S11).
이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에서 주변 명소의 검색을 요청하면, 서버(2)는 당해 요청을 수신하고 주변 사진 파일 제공 수단(12)은 사용자의 검색 위치에 대응하는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을 사진 파일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사진 파일을 사용자 단말(3)로 응답한다(S12).
사용자 단말(3)은 사진 파일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 파일을 선택받는다.
사용자가 방문지에 대응하는 사진 파일을 선택하면, 방문지 선택 수신 수단(13)은 사용자의 방문지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한다(S22).
이후 사용자의 경로 검색 요청에 따라서, 최적 경로 생성 수단(14)은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로부터 당해 사진 파일의 장소를 모두 경유지로부터 방문하는 최적 경로를 생성한다(S14).
마지막으로, 최적 경로 제공 수단(15)은 사용자 단말(3)로 실시간 경로 탐색한 최적 경로를 제공한다(S15). 이후 사용자 단말(3)은 전송받은 최적 경로의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주행시 당해 최적 경로의 실시간 안내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 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구성 요소의 존재를 반드시 전제하고, 전술한 제 1, 2실시예에 따른 경로 스케쥴링 방법을 참조할 때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 적용할 수 있는 것이기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화면을 예시한다.
도 7은 경로 제공 서버(2)의 홈페이지 화면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진 파일을 전송하여 사진 속 피사체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피사체 주변에 위치하는 명소들의 사진 파일을 제공받는 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사진 파일을 선택하여 경유지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을 검색할 때 "음식점", "숙박", "주유소", "은행" 등과 같은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상세 검색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서 경로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로 구성된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서 경로 제공 서버와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로 구성된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서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로 구성된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경로 스케쥴링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경로 스케쥴링 방법의 순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화면의 예시도.

Claims (14)

  1. 사진 속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사진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검색 요청에 따라서 검색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의 주변 검색 요청에 따라서 상기 검색 위치에 인접하는 주변 명소를 사진 파일로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 파일을 방문지로 선택받는 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출발지로부터 방문지를 경유하는 최적 경로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생성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검색 위치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받는 기능;
    사용자에게 지도를 제공하여 지도상에서 특정 위치를 검색 위치로 입력받는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사진 파일을 입력받고 상기 사진 파일의 피사체 위치를 추출하 여 검색 위치로 입력받는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파일로 제공하는 수단은,
    관광지, 식당, 주유소, 정비소, 은행, 숙박 업소를 포함하는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과 설명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경로를 생성하는 수단은,
    최단 경로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기능; 및
    기존 사용자의 방문지 순서의 정보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로 구현되어 로컬 환경에서 스탠드 얼론(stand-alone)방식으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경로 제공 서버로 구현되어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서버(client-server) 방식으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내비게이션 기능을 가지며, 지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진 파일을 입력받아 피사체 위치를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고, 피사체 위치를 서버로 전송한 후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사진 파일 선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로부터 최적 경로를 제공받아 내비게이션 경로로 자동 설정한 후 경로 안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8. 사진 속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사진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
    (S21)사용자의 위치 검색 요청에 따라서 검색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
    (S22)사용자의 주변 검색 요청에 따라서 상기 검색 위치에 인접하는 주변 명소를 사진 파일로 제공하는 단계;
    (S23)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 파일을 방문지로 선택받는 단계;
    (S24)사용자가 선택한 출발지로부터 방문지를 경유하는 최적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S25)생성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1)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위치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받는 기능;
    사용자에게 지도를 제공하여 지도상에서 특정 위치를 검색 위치로 입력받는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사진 파일을 입력받고 상기 사진 파일의 피사체 위치를 추출하여 검색 위치로 입력받는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2)는,
    관광지, 식당, 주유소, 정비소, 은행, 숙박 업소를 포함하는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과 설명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4)는,
    최단 경로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기능; 및
    기존 사용자의 방문지 순서의 정보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케쥴링 방법은,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용자 단말의 로컬 환경에서 스탠드 얼론(stand-alone)방식으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
  13.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케쥴링 방법은,
    사용자 단말 및 경로 제공 서버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서버(client-server) 방식으로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 쥴링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내비게이션 기능을 가지며, 지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진 파일을 입력받아 피사체 위치를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고, 피사체 위치를 서버로 전송한 후 주변 명소의 사진 파일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사진 파일 선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로부터 최적 경로를 제공받아 내비게이션 경로로 자동 설정한 후 경로 안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케쥴링 방법.
KR1020080117003A 2008-11-24 2008-11-24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 KR20100058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003A KR20100058255A (ko) 2008-11-24 2008-11-24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003A KR20100058255A (ko) 2008-11-24 2008-11-24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255A true KR20100058255A (ko) 2010-06-03

Family

ID=4235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003A KR20100058255A (ko) 2008-11-24 2008-11-24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8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1988A (zh) * 2020-02-27 2020-06-02 苏李明洲 一种针对模特和摄影基地的搜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1988A (zh) * 2020-02-27 2020-06-02 苏李明洲 一种针对模特和摄影基地的搜索方法
CN111221988B (zh) * 2020-02-27 2023-08-22 苏李明洲 一种针对模特和摄影基地的搜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0567B2 (en) Displaying a map having a close known location
CN107532920B (zh) 获得兴趣点数据的方法
JP6580703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現在の地理的ロケーションに関連付けられたロケーションエンティティの曖昧性解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526972B2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terminal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erminal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60147052A (ko) 스트리트 뷰 목적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34299B2 (en) Geo-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1821747B2 (en) Displaying personalized landmarks in a mapping application
JP2012527053A (ja) 向きに基づいた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EP1659368A1 (en)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US20240044665A1 (en) Navigation directions with a familiar location as an intermediate destination
WO20050321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data search service
JP458795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50323341A1 (en) Guidance system for attractions
JP200220784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00058255A (ko) 피사체 위치 좌표를 저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는 경로 스케쥴링 시스템 및 경로 스케쥴링 방법
KR102200464B1 (ko) 지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230168101A1 (en) Navigation Directions Preview
JP2002277277A (ja) 地図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地図データ提供装置
WO20120721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ormatting maps
KR20020082622A (ko) 지아이에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생활정보 시스템과 그제어방법
US11526569B2 (en) Generating directions and routes with personalized landmarks
JP2018031649A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201224396A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JP2005134519A (ja) 地図表示装置、汎用サーバー、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機
WO201207211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