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814A -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814A
KR20100057814A KR1020107003652A KR20107003652A KR20100057814A KR 20100057814 A KR20100057814 A KR 20100057814A KR 1020107003652 A KR1020107003652 A KR 1020107003652A KR 20107003652 A KR20107003652 A KR 20107003652A KR 20100057814 A KR20100057814 A KR 20100057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polyolefin composition
mfr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9274B1 (ko
Inventor
파올로 고베르티
클리페라이르 요한 데
잠파올로 펠레가티
프리데리케 모르하르트
스테파노 스파타로
Original Assignee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0005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프로필렌 성분 (A) 8 내지 45 중량%, 탄성중합체성 성분 (B) 82 내지 45 중량%, 및 폴리부텐-1 및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를 포함하는 점도 감소제 (C) 10 내지 25 중량% 를 포함하는,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가공가능하고, 가공성이 비스브레이킹에 의해 개선된 조성물보다 인장 특성이 더욱 양호하다.

Description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본 발명은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특정 가공 보조제의 첨가에 의해 수득된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헤테로상 (heterophasic)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결정질 열가소성 분획과 탄성중합체성 분획을 배합시켜 수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결정질 분획이 탄성중합체성 상이 미세하게 분산되어 있는 매트릭스를 구성하기 때문에, 헤테로상이다. 연성 헤테로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반응기내 배합물을 제조하는 다중 반응기 중의 순차적 중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탄성을 가지나 열가소성 거동을 여전히 유지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압출 공정 및 사출 성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에 사용되는 동일한 제조 공정에 의해 성형품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적용에 사용된다.
결정질 분획이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에틸렌 및/또는 또다른 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를 상당량 포함하고 탄성중합체성 분획이 임의로 디엔을 함유하는 탄성중합체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PDM) 를 상당량 포함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WO 03/011962 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글러/나타 또는 메탈로센 촉매계의 존재 하에 2 이상의 반응기에서 순차적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고유 점도가 높은 탄성중합체성 분획을 상당량 포함하는 조성물은 매우 낮은 용융 흐름 속도 (MFR), 종종 1 미만 (230 ℃, 2.16 ㎏, ASTM D 1238, 조건 L) 의 용융 흐름 속도로 인해 용융 상태에서 가공하기에 곤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물질의 MFR 을 증가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비스브레이킹 (visbreaking) 이다.
폴리올레핀 물질의 비스브레이킹 공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분말 형태 또는 담체 상에 흡착된 형태의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어서, 폴리올레핀 조성물/과산화물 혼합물을 열가소화시키고 수송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어 압출기에 승온에서 상기 혼합물을 도입한다. 체류 시간 및 온도는 원하는 정도의 중합체 사슬 분해를 달성하도록 선택된 특정 과산화물에 대해 (즉, 압출기의 가공 온도에서의 과산화물의 반감기에 대해) 조절된다. 최종적인 결과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좁다는 것이고, 또한 전체적인 분자량을 감소시켜 상기 중합된 중합체에 대해 MFR 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분수의 MFR (즉, 1 미만) 을 갖는 중합체, 또는 0.5 내지 10 의 MFR 을 갖는 중합체는 과산화물 유형, 압출기 온도 및 압출기 체류 시간의 선택에 의해 15 내지 50 의 MFR 로 선택적으로 비스브레이킹될 수 있다. 에틸렌-함유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 가교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충분히 조심스럽게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과산화물 비스브레이킹은 점착성 물질을 종종 생성하고, 기계적 특성을 악화시킨다. 그러므로, 비스브레이킹에 의해 수득된 개선된 가공성은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보다 낮은 품질이라는 큰 단점을 갖게 한다.
특정 폴리올레핀 물질의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비스브레이킹 대신 용융 점도 감소제의 사용이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US 6,277,918 B1 에는 LLDPE 유형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상당량 (75 중량% 초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결정질 폴리부텐-1 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US 6,667,364 B2 에는 PE 가 연속 경질상이고 특정 EPDM 고무가 연질상인 PE-농축 TPV ("열가소성 가황물") 의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용융 점도 감소제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점도 감소제는 이소태틱 폴리(1-부텐) 및 특정 오일 또는 왁스를 포함한다. 높은 점도의 상기 조성물은 EPDM 고무와 PE 의 혼화성에 기인한다. PP 또는 고무가 다른 것보다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TPV 는 가공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컬럼 2, 51 내지 55 줄).
인용된 문헌에서는, 본질적으로 결정질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상당량의 에틸렌-프로필렌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용융 상태에서의 불량한 가공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계적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고/않거나 완성품의 표면에 점도 감소제로서 사용되는 오일의 점착성 또는 이동과 같은 원하지 않는 효과 ("분괴 (blooming)") 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용융 흐름 속도의 증가를 달성하는,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기 (A) 내지 (C) 를 포함하는, MFR 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인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또다른 α-올레핀과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성분 8 내지 45 중량% 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프로필렌을 85 중량% 이상 함유하고,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20 중량% 미만임;
(B) 에틸렌을 15 중량% 내지 40 중량%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중합체성 성분 82 내지 45 중량% 로서, 상기 고무는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60 중량% 초과임;
(C) 부텐-1 의 동종 또는 공중합체 및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를 포함하는 점도 감소제 10 내지 25 중량%.
본 발명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덜 가요성인 조성물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낮은, 즉 100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Pa 미만의 굴곡 계수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성분 (A) 8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 탄성중합체성 성분 (B) 82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72 중량%; 및 부텐-1 의 동종 또는 공중합체 및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를 포함하는 점도 감소제 1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 중량%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폴리프로필렌 성분 (A) 는 (i) 결정질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ii) 화학식 H2CH=CHR (식 중, R 은 H 또는 C2 -6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임) 의 하나 이상의 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결정질 공중합체이다.
"결정질"은 본원에서 결정도가 높고,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20 중량% 미만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동종중합체 (i) 는 실온에서 자일렌 중 바람직한 용해도가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미만이다. "실온"은 본원에서 약 25 ℃의 온도를 의미한다.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ii) 는 프로필렌을 8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함유하고, 실온에서 자일렌 중 바람직한 용해도가 1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미만이다. 상기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부텐-1, 펜텐-1,4-메틸펜텐, 헥센-1, 옥텐-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ii) 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
에틸렌 또는 또다른 α-올레핀 또는 이들의 조합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는 바람직한 (A) 성분인데, 이들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높은 투명도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 중 탄성중합체성 성분 (B) 는 에틸렌을 15 중량% 내지 40 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중합체성 성분은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60 중량% 초과이다.
상기 탄성중합체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1) 및 제 2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2) 를 포함한다.
"탄성중합체"는 본원에서 결정도가 낮거나 비결정질이고,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60 중량% 초과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제 1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1) 은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C4-C10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C4-C10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부텐-1, 헥센-1 또는 옥텐-1 이다. 에틸렌 함량은 15 내지 32 중량%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중량% 의 범위이다.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1) 은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5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초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초과이고; 자일렌 가용성 분획의 고유 점도는 3.0 내지 5.0 dl/g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dl/g 의 범위,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3 dl/g 의 범위이다. 제 2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2) 는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C4-C10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C4-C10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부텐-1, 헥센-1 또는 옥텐-1 이다. 에틸렌 함량은 32 중량% 초과 내지 4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중량% 의 범위이다.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2) 는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8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초과이고, 자일렌 가용성 분획의 고유 점도는 4.0 내지 6.5 dl/g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dl/g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7 dl/g 의 범위이다.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성 분획 (B) 의 공중합체 (1) 및 (2) 를 형성하기 위한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또는 또다른 α-올레핀 또는 이들의 조합의 공중합은 콘쥬게이트되거나 되지 않은 디엔, 예컨대 부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및 에틸리덴-노르보르넨-1 의 존재 하에 일어날 수 있다. 디엔은 존재하는 경우 분획 (B) 의 중량에 대해 0.5 내지 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탄성중합체성 공중합체 (1)/(2) 의 중량비는 1:5 내지 5:1 의 범위이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굴곡 계수가 100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Pa 미만이고; 쇼어 (Shore) A 경도가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 이며; 100 % 에서의 인장변형률 (tension set) 이 60 %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이다.
본 발명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본 발명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성분 (A) 및 탄성중합체성 성분 (B) 를 배합시키거나, 2 이상의 단계에서 순차적으로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순차적 중합은, 예를 들어 WO 03/01196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알킬알루미늄 화합물, 임의로 전자 공여체, 및 무수 염화마그네슘 상에 지지된 전자-공여 화합물 및 Ti 의 할로겐-알코올레이트 또는 할라이드를 포함하는 고체 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촉매계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폴리프로필렌 성분 (A) 및 탄성중합체성 성분 (B) 단독은, 즉 임의의 가공 보조제의 첨가 없이,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순차적 중합 공정으로부터 반응기내 배합물로서 수득되는 경우에, MFR 이 매우 낮고, 통상적으로는 분수의 MFR 이고, 특히 사출 성형이 필요한 적용에 대해, 용융 상태에서 용이하게 가공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은 점도 감소제 (C), 즉 임의의 마감 처리를 비롯하여 중합된 점도 감소제 (C) 와 배합될 수 있거나, 점도 감소제 (C) 와 배합되기 전에 제한된 비스브레이킹에 적용되어 MFR 의 부분 증가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도 감소제 (C) 는 결정질 폴리-1-부텐 성분 및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 성분을 포함한다.
폴리부텐-1 중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특히 내압성 및 내크리프성 (creep resistance) 에 대한 양호한 특성에 대해 잘 알려져 있다. 폴리부텐-1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특정 지글러/나타 촉매계의 존재 하에 부텐-1 을 중합시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점도 감소제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부텐-1 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체특이적 촉매와 부텐-1 의 중합에 의해 수득된, 반결정질이고, 고도로 이소태틱인 (특히 96 내지 99 % 의 이소태틱을 가짐, NMR 을 사용하여 mmmm 펜타드 (pentad)/총 펜타드로서 그리고 0 ℃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물질의 중량으로서 모두 측정됨) 선형 동종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폴리부텐-1 중합체는 결정질 형태 2 (형성되는 첫번째 것, 운동학적으로 바람직함) 의 융점이 81 내지 109 ℃이다.
부텐-1 의 적합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공단량체 (특히, 에틸렌 및 탄소수 5 내지 8 의 알파-올레핀) 를 30 몰% 이하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동종중합체 모두이다. 상기 중합체는, 예를 들어, 부텐-1 (및 임의의 공단량체) 과 TiCl3 기재 촉매, 또는 염화마그네슘 상에 지지된 티탄의 할로겐화 화합물, 및 적합한 조촉매 (특히 알루미늄의 알킬 화합물) 를 중합시켜, 부텐-1 의 저압 지글러-나타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높은 값의 용융 흐름 속도는 과산화물을 이용한 중합체의 연속 처리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MFR 이 100 초과인 폴리부텐-1 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바람직하다.
190 ℃/2.16 ㎏ 에서 용융 흐름 속도가 100 내지 500 g/10 분인 폴리부텐-1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도 감소제의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 성분은, 바셀린 그리스로도 알려진 탄화수소의 고체 또는 반고체 혼합물이다. 융점이 통상적으로 50 ℃ 초과인, 주위 온도에서 통상적으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소수성이고 매우 점성인 그리스이다.
폴리부텐-1 성분과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 성분은 5:1 내지 1:5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2 의 범위로 점도 감소제 (C) 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적용은 의학, 자동차, 패키징, 소비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발견된다. 완성품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적용에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가 특히 유리하다.
올레핀 중합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첨가제, 충전제 및 안료, 예컨대 핵제, 익스텐션 오일, 미네랄 충전제, 및 기타 유기 및 무기 안료가 첨가될 수 있다.
실시예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하기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 나타내는 특성을 측정하였다.
특성 방법
용융 흐름 속도 ISO 1133 (조건 "L")
100 % 에서의 인장변형률 ASTM D412
파단시 인장 강도 ISO 527 (500 ㎜/분에서 시험된 S-유형의 시편을 이용함)
파단시 연신율 ISO 527
23 ℃에서의 굴곡 계수 ISO 178
쇼어 경도 A ISO 868 (5 초 후 측정)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다양한 물리적-기계적 분석에 적용될 샘플을 ISO 8986-2 에 따라 제조하였다. 180 ℃에서 1 % 2,6-디-t-부틸-4-메틸 페놀 (BHT) 과 적절한 공중합체 샘플을 브라벤더 (Brabender) 에서 혼합하여 수득된 중합체 조성물의 압축 성형 (30 ℃/분의 냉각으로 200 ℃에서) 으로 12O × 120 × 2 ㎜ 두께의 판을 수득하였다.
시험 전에 2 ㎜ 두께의 판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200 bar 의 오토클레이브에 넣어, 존재하는 경우 PB 의 상 전이를 촉진시켰다. 상기 판으로부터, S-유형의 샘플을 절단하고, 500 ㎜/분의 헤드 속도로 인장 강도 시험을 하였다. 또한, 인장변형률, 굴곡 계수 및 경도 쇼어 A 를 위한 시편을 상기 판으로부터 절단하였다. 모든 시편을 진행 앞쪽에 평행하도록, 따라서 흐름 방향에 대해 수직이도록 절단하였다.
나선 유동 측정 시험
나선 유동 평가에는, 중공 나선 주형의 중심에 용융된 중합체를 사출하고, 응고된 수지의 총 길이를 측정하여 압력 및 온도의 특정 조건 하에서 응고되기 전에 어느 범위까지 물질이 유동할 것인지를 측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01
몇몇 상이한 압력에서 나선 유동 측정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2
주 - 60 bar 의 SANDRETTO 기계의 압력은 용융 물질에서는 600 bar 에 해당한다.
실시예 1
WO 03/011962 A1 의 실시예 3 의 조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물질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성분 (A) 는 WO 03/011962 A1 의 표 1 의 제 1 중합 단계에서 제조된 (공)중합체에 해당하고, 탄성중합체성 성분 (B) 는 WO 03/011962 A1 의 표 1 의 제 2 및 제 3 중합 단계에서 제조된 (공)중합체에 해당한다. (A + B) 의 총량에 대한 폴리프로필렌 성분 (A) 의 양은 15 중량% 였고, (A + B) 의 총량에 대한 탄성중합체성 성분 (B) 의 양은 85 중량% 였다. MFR 0.6 에 도달할 때까지 이축 압출기 Berstorff 에서 과산화물 (100 ppm Luperox 101) 을 이용하여 중합된 조성물을 비스브레이킹하였다.
점도 감소제 (C) 를 하기로 제조하였다:
- 하기에 나타낸 물성을 갖는 폴리부텐-1 동종중합체:
특성 ASTM 방법 값
용융 흐름 속도 D1238 175 g/10 분
밀도 D1505 0.915 g/㎤
파단시 인장 응력 D638 20 MPa
굴곡 탄성 계수 D638 487 MPa
용융 범위 DSC 124 내지 130 ℃; 및
- 주위 온도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60 ℃인, CONQORD OIL s.r.l 의 명칭 바셀린 BF 제약 등급 페트롤레이텀으로 시판되는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폴리부텐-1: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의 비가 1:2 인 점도 감소제 (C) 15 중량%, 및 상기와 같이 MFR 0.6 으로 비스브레이킹된 (A + B) 85 중량% 로 제조하였다. 성분 (A + B) 및 점도 감소제 (C) 를 브라벤더 실험실용 혼련기에 도입하고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연성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 표 1 에 나열한다.
실시예 2
폴리부텐-1 대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의 비가 2:1 인 점도 감소제 (C) 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부텐-1 대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의 비가 1:1 인 점도 감소제 (C) 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비교)
MFR 0.6 으로 과산화물 비스브레이킹된, WO 03/011962 A1 의 실시예 3 에 따라 수득된 성분 A + B 단독을 함유하고 임의의 점도 감소제를 첨가하지 않은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과 비교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5 (비교)
WO 03/011962 A1 의 실시예 3 에 따라 수득된 성분 A + B 단독을 함유하고 임의의 점도 감소제가 없는 조성물을 15 의 MFR 을 달성할 때까지 이축 압출기 Berstorff 에서 과산화물 (100 ppm Luperox 101) 로 비스브레이킹하였다. 최종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과 비교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6 (비교)
MFR 0.6 으로 과산화물 비스브레이킹된, WO 03/011962 A1 의 실시예 3 에 따라 수득된 A + B 를 85 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을 폴리부텐-1 15 중량% 와 혼합하였다. 최종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과 비교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7 (비교)
MFR 0.6 으로 과산화물 비스브레이킹된, WO 03/011962 A1 의 실시예 3 에 따라 수득된 A + B 를 85 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을 CONQORD OIL s.r.l 의 동일한 바셀린 BF 제약 등급 페트롤레이텀 15 중량% 와 혼합하였다. 최종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과 비교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3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조성물 (비교예 4 와 비교한 실시예 1 내지 3) 이 MFR 을 분수값에서 2 초과로 증가시키고, 100 bar 에서의 나선 길이를 120 에서 200 초과로 증가시켜, 용융 상태에서의 조성물의 가공성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을 유의하게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이러한 개선을 수득하였다. 또한, 쇼어 A 를 통해 측정된 연성이 향상되었다.
비교예 5 는 MFR 15 까지의 비스브레이킹에 의한 가공성 개선이 연성을 개선시키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기계적 특성을 악화시킨다는 것, 특히 가요성, 응력 및 파단시 연신율을 악화시킨다는 것에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점착성은 통상적으로 비스브레이킹의 정도와 관련된다.
비교예 6 은 기재 중합체 조성물에 대해 폴리부텐-1 단독이 가공성을 개선시키나 경도를 악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 7 은 유사한 양의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 단독이 MFR 및 나선 길이 값을 원하는 만큼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7)

  1. 하기 (A) 내지 (C) 를 포함하는, MFR 이 1 이상인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A)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또다른 α-올레핀과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성분 8 내지 45 중량% 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프로필렌을 85 중량% 이상 함유하고,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20 중량% 미만임;
    (B) 에틸렌을 15 중량% 내지 40 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중합체성 성분 45 내지 82 중량% 로서, 상기 고무는 실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가 60 중량% 초과임;
    (C) 부텐-1 의 동종 또는 공중합체 및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를 포함하는 점도 감소제 10 내지 25 중량%.
  2. 제 1 항에 있어서, 부텐-1 의 동종 또는 공중합체와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가 1:5 내지 5:1 의 비로 감소제 (C) 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MFR 이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부텐-1 의 동종 또는 공중합체가 100 이상의 MFR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점도 감소제 (C) 의 첨가 전에 폴리프로필렌 성분 (A) 와 탄성중합체성 성분 (B) 의 배합물이 분수의 MFR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파라핀 왁스 또는 그리스 1 이 50 ℃ 초과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
KR1020107003652A 2007-08-22 2008-07-29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1499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4770.6 2007-08-22
EP07114770 2007-08-22
US96592507P 2007-08-23 2007-08-23
US60/965,925 2007-08-23
PCT/EP2008/059906 WO2009024435A1 (en) 2007-08-22 2008-07-29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814A true KR20100057814A (ko) 2010-06-01
KR101499274B1 KR101499274B1 (ko) 2015-03-05

Family

ID=3983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652A KR101499274B1 (ko) 2007-08-22 2008-07-29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29455B2 (ko)
EP (1) EP2181155B1 (ko)
JP (1) JP5237376B2 (ko)
KR (1) KR101499274B1 (ko)
CN (1) CN101784603B (ko)
AT (1) ATE496095T1 (ko)
DE (1) DE602008004668D1 (ko)
WO (1) WO2009024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1087A1 (en) 2009-11-17 2011-05-26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EP2504393B1 (en) 2009-11-24 2014-04-16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ealability
JP5856159B2 (ja) * 2010-06-30 2016-02-09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架橋済み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CN104262785B (zh) * 2014-09-25 2016-08-24 广东银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气味、高流动性的软触感聚烯烃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3117512A1 (en) 2021-12-23 2023-06-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Soft polyolefi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2708A (en) * 1965-05-17 1967-05-30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olypropylene compositions
US4078020A (en) * 1976-04-02 1978-03-07 Ciba-Geigy Corporation Thermoplastic elastomers comprising ethylene-α-olefin copolymer, polypropylene and polybutene
US4677025A (en) * 1985-08-30 1987-06-30 Shell Oil Company Uniqu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butylene blend and film
JPH05140384A (ja) * 1991-11-18 1993-06-08 Chisso Corp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US5238635A (en) * 1992-04-16 1993-08-24 Himont Incorporated Process for treatment of particulate olefin polymer, resulting treated particles and method for using treating particles
DE69722352T2 (de) * 1996-11-26 2004-04-01 Basell North America Inc. Polyolefinzusammensetzung für die Herstellugn von Folien mit Vertiefungen mit verbesserter Erhaltung der Kornstruktur
IT1292027B1 (it) * 1997-05-29 1999-01-25 Montell North America Inc Miscela poliolefinica contenente poli(1-butene)
US6277918B1 (en) 1998-05-06 2001-08-21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Polyolefin compositions and films obtained therefrom
US6667364B2 (en) * 2000-12-29 2003-12-23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Processable polyethylene/EPDM thermoplastic vulcanizates
EP1279699A1 (en) * 2001-07-27 2003-01-29 Baselltech USA Inc.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CA2562429C (en) * 2004-05-05 2015-02-1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Scratch resistant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WO2006098142A1 (ja) 2005-03-15 2008-08-21 株式会社カネカ キャップライナー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4029A1 (en) 2010-07-08
US9029455B2 (en) 2015-05-12
JP2010536967A (ja) 2010-12-02
JP5237376B2 (ja) 2013-07-17
EP2181155A1 (en) 2010-05-05
EP2181155B1 (en) 2011-01-19
DE602008004668D1 (de) 2011-03-03
CN101784603B (zh) 2012-11-28
ATE496095T1 (de) 2011-02-15
CN101784603A (zh) 2010-07-21
WO2009024435A1 (en) 2009-02-26
KR101499274B1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1756B1 (en)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AU2002308130B2 (en)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US5286564A (en) Elast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EP2454298B1 (en)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s having high melt flow and izod ductility
US9758656B2 (en) Soft touch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EP1483327B1 (en) Polyolefin masterbatch for preparing impact-resistant polyolefin articles
AU2002308130A1 (en)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KR101499274B1 (ko) 가공성이 개선된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EP1477525B1 (en) Polyolefin composition
EP2414438B1 (en) Polyolefin masterbatch and composition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US7288598B2 (en) Polyolefin masterbatch for preparing impact-resistant polyolefin articles
US20230059380A1 (en) Polymer composition with a high heat deflection temperature
EP1428854A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balance of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WO2011076553A1 (en) Impact-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EP3497162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arbon fibers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EP1428853A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balance of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WO2011076555A1 (en) Impact-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CA2087417A1 (en) Impact-resistant polyolefin mold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