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483A -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483A
KR20100057483A KR1020090088229A KR20090088229A KR20100057483A KR 20100057483 A KR20100057483 A KR 20100057483A KR 1020090088229 A KR1020090088229 A KR 1020090088229A KR 20090088229 A KR20090088229 A KR 20090088229A KR 20100057483 A KR20100057483 A KR 2010005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lumn
optical sheet
column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887B1 (ko
Inventor
허종욱
노성우
이주원
김용남
이강식
한미진
이준환
권종태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PCT/KR2009/0068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58999A2/ko
Priority to TW098139734A priority patent/TWI434075B/zh
Publication of KR2010005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액정 표시장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광학 시트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광학 시트는 베이스층과,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패턴층 상에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광학 시트의 구성에 의하면, 다른 광학 시트와 적층될 때, 스크래치 및 패턴층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휘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광학 시트를 적어도 하나 구비한다.
광학, 시트, 백라이트, 액정 디스플레이

Description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판 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발광형으로는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으며, 수광형으로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있다. 이처럼 액정 표시장치는 그 자체가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형이므로, 외부 광원으로서 백라이트 유닛(BLU)을 필요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와,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램프는 광을 발산하는 광원으로서 기능한다. 확산 시트는 광을 산란시켜 골고루 확산시키게 하며, 프리즘 시트는 광을 굴절시켜 모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 외에, 휘도나 균일성 개선 또는 모아레(moire) 현상 방지 등을 위한 광학 시트가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기도 한다.
그런데, 프리즘 시트는 광을 굴절시키고 모을 수 있게 액정 패널을 향한 면에 삼각 기둥이 눕혀진 형상의 돌출부가 반복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광학 시트가 적층되면, 돌출부의 뾰족한 끝에 의해 광학 시트의 하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스크래치로 인해 돌출부가 손상될 수 있다. 돌출부와 같은 패턴의 손상이나 이로 인한 상부 시트에서의 스크래치는 프리즘 시트만이 아니라 렌즈 형상의 패턴이나 렌티큘라 시트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치 현상이나, 돌출부 손상에 의해 광학적 간섭이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리즘 시트가 뿌옇게 보이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광학 시트의 하면에 코팅 처리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공정 수 증가와,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램프가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경우, 즉, 에지 방식(edge type)의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 시트와 도광판(Light Guide Plate)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반사 시트는 램프에서 발산된 광을 액정 패널의 화면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광판은 램프에서 발산된 광과 반사 시트에서 반사된 광을 액정 패널의 화면 전체로 안내하고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광판의 상부에 전술한 광학 시트들이 적층된다.
그런데, 도광판의 상부에 광학 시트가 적층되는 과정에서 도광판과 광학 시트 사이에 침윤(wet ou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침윤 현상이란 수분이 스며들어 젖는 현상을 일컫는 것으로, 침윤 현상에 의해 광학적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를 방지하기 위해, 광학 시트의 하면에 코팅 처리를 하기도 하는데, 이는 공정 수 증가와,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직하 방식(direct type)의 백라이트는 도광판 대신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을 구비하게 되는데, 확산판의 상부에 광학 시트가 적층되는 과정에서도 전술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액정 패널의 화면에 전달되는 광의 휘도가 낮으면 밝은 색 표현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휘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광학 시트가 적층될 때, 스크래치 및 패턴층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휘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침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산하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한 광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거나 모으기 위해 상기 도광판에 적층되는 것으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한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에 적층되는 제2 광학 시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산하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한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거나 모으기 위해 상기 확산판에 적층되는 것으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한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에 적층되는 제2 광학 시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안내하는 도광판 및/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 상기 도광판 또는 확산판에 적층되는 것으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되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한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광학 시트와 적층시 패턴층의 돌출 부위가 다른 광학 시트에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다른 광학 시트의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 나, 스크래치로 인해 패턴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패턴층의 돌출 부위와 다른 광학 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휘도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 또는 확산판에 광학 시트가 적층되는 과정에서 도광판과 광학 시트 사이 또는 확산판과 광학 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침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휘도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스크래치나 침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되는 광학 시트의 하면에 코팅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팅 처리에 따른 공정 수 증가와 원가 상승 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시트의 일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100)는 베이스층(110)과, 패턴층(120), 및 칼럼(130)들을 구비한다.
베이스층(110)은 그 위에 패턴층(120)과 칼럼(130)들이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로서 기능한다. 베이스층(110)은 일정한 두께의 막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층(11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베이스 층(1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턴층(120)은 베이스층(110)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요철 패턴은 광을 굴절시켜 모을 수 있는 프리즘 패턴(121)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요철 패턴이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요철 패턴은 프리즘과 같은 집광 패턴, 렌즈와 같은 확산 패턴, 렌티큘라 패턴, 피라미드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효과를 갖는 패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 패턴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턴층(120)이 프리즘 패턴(121)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나, 전술한 다른 패턴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프리즘 패턴(121)은 광을 굴절시키고 모을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프리즘 패턴(121)은 삼각 기둥이 눕혀진 형상의 돌출부(121a), 즉 종단면이 삼각 형상인 돌출부(121a)가 반복 배열된 패턴일 수 있다. 프리즘 패턴(121)에서 돌출부(121a)의 꼭대기는 산이 되고, 이웃하는 돌출부(121a)가 만나는 지점은 골이 된다. 그리고 이 산과 골을 잇는 선은 빗면이 된다. 패턴층(120)은 소정의 굴절률과 투과율을 갖는 접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패턴층(120)은 베이스층(110)을 이루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칼럼(130)들도 패턴층(1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칼럼(130)들은 복수 개(130a, 130b, 130c)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칼럼(130) 은 패턴층(120) 상에 패턴층(120)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패턴층(120)의 높이는 돌출부(121a)의 높이로 정의된 것이다. 상기 칼럼(130)들은 패턴층(120) 위에 다른 광학 시트(10), 예컨대 확산 시트나 보호 시트 등이 적층될 때 이들을 지지한다. 그리고 칼럼(130)들 각각의 돌출된 상면이 다른 광학 시트(10)의 하면에 맞닿아서 패턴층(120)이 다른 광학 시트(1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칼럼(130)들은 패턴층(120)의 돌출부(121a)의 뾰족한 끝에 의해 다른 광학 시트(10)의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스크래치로 인해 돌출부(121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다른 광학 시트(10)의 하면에 코팅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팅 처리에 따른 공정 수 증가와 원가 상승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칼럼(130)들은 돌출부(121a)들과 다른 광학 시트(1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광이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공기층을 통과해서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다른 광학 시트(10)로 이동하면서, 광 재순환과 광 굴절에 의해 다른 광학 시트(10)의 출사면으로 모아짐으로써, 휘도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칼럼(130)들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불규칙적으로 랜덤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칼럼(130)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던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던, 칼럼(130)의 밀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럼(130)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될 경우에는 미세하지만 광학적인 영향을 미 쳐서 휘도를 나쁘게하거나 전체적으로 휘도 분포가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규칙적으로 배열된 칼럼(130)들은 관찰자가 칼럼(130)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반면, 칼럼(130)들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면 이러한 휘도 열화나 휘도 불균일의 문제가 나타나지 않으며, 모아레 현상 등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불규칙하게 배열된 칼럼(130)들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감지되지도 않는다.
이 경우에, 칼럼(130)들은 프리즘 패턴(121)의 산, 골, 빗면 모두에 분포할 수도 있고, 또는 산, 골, 빗면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한정되어 분포하거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 분포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리즘 패턴의 '산'이란 각 프리즘 형상에서 꼭지점이 있는 부분을 가리키며, '골'이란 이웃한 프리즘과 프리즘 사이에 있는 오목부를 가리키며, '빗면'이란 프리즘의 '산'과 '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가리킨다. 도 3은 이러한 칼럼(130)들의 분포를 예시적으로 보여 주는 것으로서, (a)는 칼럼(130)들이 프리즘 패턴(121)의 산, 골, 빗면 모두에 분포하는 경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고, (b) 내지 (d)는 각각 칼럼(130)들이 프리즘 패턴(121)의 산, 빗면, 그리고 골에만 분포하는 경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다만, 스크래치 현상 등은 프리즘 패턴(121)의 돌출부(121a)인 산에서 발생하므로, 칼럼(130)들이 프리즘 패턴(121)의 산에 형성될 경우에 더 효과가 좋다. 이는 패턴층(120)이 프리즘 패턴이 아닌 다른 형태의 패턴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칼럼(130)들은 돌출된 단부가 각각 평탄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칼럼(130)들에 의해 다른 광학 시트(10)의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스크래치 로 인해 칼럼(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에, 칼럼(130)들은 단부의 전면(entire surface)이 평탄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평탄 면의 가장자리만이 라운딩질 수 있다. 칼럼(130)들의 단부의 전면이 평탄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평탄 면의 일부가 가장자리가 라운딩지는 형상의 일례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칼럼(130)의 단부의 전면이 평탄 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고, (b)는 칼럼(130)의 단부의 일부 면은 평탄 면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의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반경(R)을 갖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의 (b)의 경우에, 반경(R)은 0.4㎛에서 15㎛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칼럼(130)들의 돌출된 단부는 평탄 면과 그 상부에 추가로 형성된 광학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되는 광학적 구조물은 평탄면과 일체를 이루거나 또는 분리될 수도 있다. 도 1의 참조 번호 130a 및 130b를 참조하면, 광학적 구조물은 마이크로 렌즈 형상일 수 있다. 하지만, 광학적 구조물이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것 이외에도 스캐터링 구조물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칼럼의 단부는, 그 돌출된 단부가 평탄 면일 뿐만 아니라, 도 1의 참조 번호 103c와 같이, 그 단부 자체가 반구형 렌즈 등과 같은 광학적 구조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단부의 형태를 갖는 칼럼이 도 1과 같이 혼재해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칼럼(13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 등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칼럼(130) 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패턴층(110) 상에 횡단면이 원형인 칼럼과 다각형인 칼럼이 혼재해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130)의 형상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칼럼(130)은 원기둥 형상이 아니라 바아(bar) 타입이다. 바아 타입의 칼럼(130)도 프리즘 패턴(121)의 산, 골, 빗면에만 각각 분포하거나 또는 둘 이상에 혼재하여 분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아 타입의 칼럼(130)은 전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바아 타입의 칼럼(130)도 상단면이 평탄 면이거나 또는 평탄 면의 상부에 광학적 구조물이 추가로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아 타입의 칼럼(130)의 길이(L), 즉 바아의 길이(L)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바아의 길이(L)는 프리즘 패턴(121)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하나의 프리즘 패턴(121)에 소정의 길이(L)를 갖는 칼럼(130)은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여러 개가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든 칼럼(130)의 길이(L)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길이가 다른 바아가 섞여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바아 타입의 칼럼(130)인 경우에도, 칼럼의 전체 밀도는 후술하는 범위 이내에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칼럼(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기둥 형상(즉, 상단부의 횡단면과 하단부의 횡단면의 넓이가 동일함)일 수도 있지만, 상단부의 횡단면이 넓이가 하단부의 횡단면의 넓이보다 작은 형상, 즉 피라미드나 원뿔 등과 같이 측면 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형상일 수도 있다. 도 6은 이와 같이 측면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칼럼의 형상을 보여 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칼럼(130)이 상부가 절단된 피라미드 형상인 경우이고, (b)는 상부가 절단된 원뿔 형상인 경우이다. 이와 같이, 측면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칼럼(130)의 경우에도, 상면의 가장자리는 라운딩지거나 및/또는 평탄 면의 상부에 광학적 구조물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칼럼의 형상은, 임프린팅(imprinting) 공정 시에 이형성이 우수하므로, 광학 시트(100)의 공정 속도를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칼럼(130)은 그 높이가 낮아질수록, 스크래치 방지 효과 등이 떨어지게 된다. 반면, 칼럼(130)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광학 시트(100)와 다른 광학 시트(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적층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표 1은 이와 같이, 칼럼(130)의 높이에 따른 산강도와의 관계를 보여 주는 자료이다. 표 1을 참조하면, 격벽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산 강도가 증가하는데, 적층 두께를 고려할 경우에 칼럼(130)의 높이는 패턴층(120)의 높이보다 0.5㎛ ~ 50㎛의 범위 내로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럼의 높이 0.5-2(㎛) 2-6(㎛) 6-8(㎛) 8-10(㎛) 10-20(㎛) 20-50(㎛)
산강도 15(g) 20(g) 100(g) 180(g) 230(g) 300(g)
그리고,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가 낮아질수록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이 떨어지게 되며,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가 커질수록 휘도가 떨어질 수 있다.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는 패턴층(120)의 전체 면적에 대해 칼럼(130)들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정의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100)에 있어서,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와 휘도의 상관 관계는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G' = 1+(G-1)ㅧ(1-d) = G-(G-1) ㅧd
여기서, d는 칼럼의 분포 밀도, G는 칼럼이 없는 경우의 광학 시트의 휘도 향상율(Gain)을 나타내며, G'는 분포 밀도가 d인 칼럼을 갖는 광학 시트의 휘도 향상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G가 1.5인 광학 시트에 있어서 칼럼의 분포 밀도(d)가 1%이면, G'는 1.495가 되고, 분포 밀도(d)가 3%이면 1.485가 된다. 이러한 칼럼의 분포 밀도(d)와 휘도 향상율과의 상관 관계를 적절히 이용하면,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최적의 칼럼의 분포 밀도를 결정할 수 있다.
표 2와 표 3은 각각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와 산강도, 분포 밀도와 휘도의 관계를 보여 주는 것이다(표 3에서 휘도는 칼럼(130)이 없는 경우의 광학 시트와 비교한 상대 휘도이다). 표 2를 참조하면,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가 증가할수록 산강도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3을 참조하면,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가 증가할수록 전반적으로 휘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는 이러한 산강도의 증가분과 휘도의 감소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럼의 밀도 0.05(%) 0.2(%) 0.55(%) 1.1(%) 2(%) 2.5(%) 20(%) 35(%)
산강도 70 100 180 610 630 655 670 700
칼럼의 밀도 0.05(%) 0.2(%) 0.55(%) 1.1(%) 2(%) 2.5(%) 20(%) 35(%)
휘도(%) 99.94 99.86 99.63 99.26 98.66 98.33 93.33 76.66
본 발명인은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가 0.05% 이하일 경우에는 산강도가 충분하지 않아서 칼럼(130)이 지지층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며, 반대로,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가 일정한 수준, 예컨대 35% 이상일 경우에는 휘도가 급격히 감소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실험에 기초할 경우에, 칼럼(130)들의 분포 밀도는 0.05% ~ 35%의 범위 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칼럼의 분포 밀도란 "광학시트의 전체 면적"에 대한 "광학시트에 배치되어 있는 칼럼들의 면적"의 비율을 가리킨다.
그리고 칼럼(130)의 최대 폭은 패턴층(120)의 돌출부(121a)들 간의 피치와 대비해서 0.5%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턴층(120)의 피치에 대한 칼럼(130)의 폭의 최대치는 완성된 제품(BLU)에서 칼럼(130)의 시인 유무와 관계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칼럼(130)의 폭이 상기 패턴층(120)의 피치의 500%를 넘으면, 칼럼(130)에 의한 스파클링 현상이 발생하여 외관상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칼럼(130)의 폭이 상기 패턴층(120)의 피치의 0.5% 아래로 내려가면, 칼럼의 종횡비(aspect ratio)가 높아져서 제조 공정 상에 문제(칼럼 전사시에 이형 문제 등)를 야기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칼럼(130)의 최대 폭은 0.2㎛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되고, 칼럼(130)들 간의 피치는 10㎛ ~ 1000㎛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패턴층(120)과 칼럼(130)들은 베이스층(110) 위에 수지 용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면을 마스터 몰드(master mold)로 가압하면서 수지 용액을 경화시키는 과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몰드가 베이스 기판에 칼럼용 성형 틀을 패턴층용 성형 틀 위에 다시 적층시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동시에 형성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과 비교하여, 칼럼용 성형 틀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몰드에 의해 칼럼(130)들을 성형할 때, 칼럼(130)들을 보다 균일하게 성형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칼럼(130)의 돌출된 단부에는 확산용 패턴(131)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확산용 패턴(131)은 앞에서 설명한 광학적 구조물의 일례이다. 확산용 패턴(131)은 칼럼(130)을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켜, 그 위에 적층된 다른 광학 시트(10)로 최대한 고르게 입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을 갖는 광학 시트(100)는 백라이트 유닛에 채용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광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확산용 패턴(131)은 다양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다른 광학 시트(10)의 하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고 스크래치로 인한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볼록 렌즈 형상의 볼록부가 다수 배열된 패턴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학 시트의 일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 중에서 본질상 그 적용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200)는 베이스층(210) 상에 형성된 패턴층(220)의 요철 패턴이 마이크로 렌즈 패턴(221)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층(210)은 일정한 두께의 막 형태로 이루어지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층(2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221)은 광을 산란시켜 골고루 확산시킬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마이크로 렌즈 패턴(221)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221a)가 반복 배열된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렌즈(221a)란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 크기를 갖는 렌즈를 의미한다. 마이크로 렌즈(221a)는 횡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나, 타원형도 가능하다.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 패턴(221)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들이 배열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들이 혼재된 패턴으로 이루어져 확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패턴층(22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패턴층(12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굴절률과 투과율을 갖는 접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패턴층(220)은 베이스층(210)과 다른 재질뿐 아니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칼럼(230)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칼럼(230)은 패턴층(220) 상에 패턴층(220)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패턴층(220)의 높이는 마이크로 렌즈(221a)들 중에서 최대 높이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의 높이로 정의된 것이다. 칼럼(230)의 돌출된 단부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칼럼(130)과 같이 확산용 패턴(231)과 같은 광학적 구조물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 본 실시예의 칼럼(23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칼럼(1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칼럼(230)들은 패턴층(220) 위에 다른 광학 시트(20), 예컨대 프리즘 시트 등이 적층될 때, 각각의 돌출된 상면이 다른 광학 시트(20)의 하면에 맞닿아서 패턴층(220)이 다른 광학 시트(20)와 접촉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칼럼(230)들은 마이크로 렌즈(221a)에 의해 다른 광학 시트(20)의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스크래치로 인해 마이크로 렌즈(221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칼럼(230)들은 상부에 다른 광학 시트(20)로서 프리즘 시트가 적층된 경우, 프리즘 시트로 입사되는 광 경로를 변화시켜, 프리즘 시트에서 집광되는 광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비교예에 따른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는 본 실시예에서 칼럼(230)들이 생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비교예에서 프리즘 시트를 거치면서 전반사되는 광과 프리즘 시트의 출사면으로부터 기울어져 발산되는 광은, 본 실시예에 의할 때 칼럼(230)에 의해 프리즘 시트로 입사되는 각도가 변경되어, 프리즘 시트의 출사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발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비교예와 비교해서 프리즘 시트에서 집광되는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칼럼(230)들에 의해 필 팩터(Fill Factor) 효과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광 효율이 높아질 수도 있다. 여기서, 필 팩터는 광학 시트(200)의 전체 면적에서 마이크로 렌즈(221a)들과 칼럼(230)들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를 의미한다.
이러한 광학 시트(200)가 액정 표시장치에 채용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액정 패널의 화면에 전달되는 광의 휘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광학 시트(200)는 밝은 색 표현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단면도로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은 램프(1100)와, 도광판(1200)과, 제1광학 시트(1300), 및 제2 추가 광학 시트(1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000)의 최하단부에는 반사 시트(1500)가 구비된다.
램프(1100)는 광원으로서 광을 발산한다. 도광판(1200)은 램프(1100)가 백라이트 유닛(1000)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경우, 램프(1100)에서 발산된 광을 안내하고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백라이트 유닛(1000)이 액정 표시장치에 채용되는 경우, 도광판(1200)은 램프(1100)에서 발산된 광을 액정 패널의 화면 전체로 안내하고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반사 시트(1500)가 더 구비되어, 램프(1100)에서 발산된 광을 액정 패널의 화면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300)는 도광판(12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거나 모으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광학 시트(1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100)와 같이 구성되거나,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200)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광학 시트(1300)의 요철 패턴은 프리즘과 같은 집광 패턴, 렌즈와 같은 확산 패턴, 렌티큘라 패턴, 피라미드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효과를 갖는 패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 패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학 시트(1300)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100)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200)와 같이 구성되면, 제1 광학 시트(1300) 위에 제2 추가 광학 시트(1400)가 적층될 때, 앞서 제1, 2 실시예에서 설명한 효과들이 발휘될 수 있다. 한편, 제2 추가 광학 시트(1400)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보호 시트, 마이크로렌즈 시트, 또는 렌티큘러 시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시트(1300)는 도광판(12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거나 모아서 액정 패널로 제공할 수 있게 도광판(1200) 위에 적층된다. 여기서, 도광판(1200)은 제1 광학 시트(1300)가 적층되는 면에 스페이서(spacer, 1210)들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페이서(1210)들은 도광판(1200)에 제1 광학 시트(1300)가 적층되는 과정에서 도광판(1200)과 제1 광학 시트(1300) 사이에 침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페이서(12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칼럼'과는 명칭만 달리할 뿐이며, 그 기능은 칼럼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침윤 현상에 의한 광학적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침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제1 광학 시트(1300)의 하면에 코팅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팅 처리에 따른 공정 수 증가와 원가 상승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210), 즉 칼럼들은 제1 광학 시트(1300)와 도광판(12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즉, 도광판(1200)에서 입사된 광이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공기층을 통과해서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제1 광학 시트(1300)로 이동하면서, 광 재순환과 광 굴절에 의해 제1 광학 시트(1300)의 출사면으로 모아짐으로써, 휘도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스페이서(1210), 즉 칼럼의 형상, 크기, 높이, 분포 등은 전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200) 대신 램프(1100)로부터 발산한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을 구비하고, 확산판의 직하방에 램프(1100)가 설치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도 있다. 그리고, 확산판은 제1 광학 시트(1300)가 적층되는 면에 전술한 실시예처럼 스페이서(1210), 즉 칼럼들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시트 적층 구성과 이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시트들의 적층 구조를 위주로 설명하는데,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과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e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P)과 백라이트 유닛(BLU)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P)은 백라이트 유닛(BLU)으로부터 광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자체 발광형 장치가 아닌 비발광형 장치, 예컨대 LCD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LCD 패널은 물론 장래에 사용될 LCD 패널이 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광원(L)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이거나 또는 광원(L)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하부에 위치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도 있다. 광원의 종류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램프는 물론 발광 다이오드(LED)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광원이 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광원(L)이 패널(P)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은 그 하부로부터 반사 시트(S5), 도광판(S4), 제2 추가 광학 시트(S3), 및 제1 광학 시트(S2)를 포함하며, 제1 광학 시트(S2)의 상부에는 패널(P)이 위치한다. 그리고 도 12b를 참조하면, 도 12a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제1 광학 시트(S2)와 패널(P) 사이에 반사형 편광 시트 및/또는 제 3 추가 광학 시트(S1)를 추가로 포함된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제1 광학 시트(S2)와 제2 추가 광학 시트(S3)의 요철 패턴은 프리즘과 같은 집광 패턴, 렌즈와 같은 확산 패턴, 렌티큘라 패턴, 피라미드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효과를 갖는 패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 패턴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광학 시트(S2)와 제2 추가 광학 시트(S3)는 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시트만 본원 발명의 칼럼 또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두 개의 시트 모두 칼럼 또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적이지만, 도광판(S4) 또한 칼럼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광판(S4)은 확산판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확산판이 추가될 수도 있다. 확산판 또한 도광판과 같이 칼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광학시트(S2)와 제2 광학시트(S3)의 배치 순서는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와 같이 제2 광학시트(S3)가 제1 광학시트(S2)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제2 광학시트(S3)가 제1 광학시트(S2)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추가 광학 시트(S1)은 제1 및 제2 광학시트와 마찬가지로, 프리즘과 같은 집광 패턴, 렌즈와 같은 확산 패턴, 렌티큘라 패턴, 피라미드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효과를 갖는 패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 패턴을 갖는 시트가 될 수 있다.
한편, 제3 추가 광학 시트 또는 반사형 편광 시트가 제1 및 제2 추가 광학시트와 같이 배치해야 될 경우, 그 배치 순서는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다.
도 12c, 도 12d, 및 도 12e는 광원(L)이 패널(P)의 하부에 위치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2c를 참조하면, 광원(L)의 하부에는 반사 시트(S5)가 위치하며, 광원(L)의 위쪽으로는 순차적으로 확산판(S4), 제2 추가 광학 시트(S3), 및 제1 광학 시트(S2)를 포함하며, 제1 광학 시트(S2)의 상부에는 패널(P)이 위치한다. 도 12d 및 도 12e를 참조하면, 도 12c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제1 광학 시트(S2)와 패널(P) 사이에 각각 반사형 편광 시트(S1)와 또 하나의 제2 추가 광학 시트(S3)가 추가로 포함된다. 도 12c 내지 도 12e에서도, 제1 광학 시트(S2)와 제2 추가 광학 시트(S3)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마이크로렌즈 시트, 또는 렌티큘라 시트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적 기능을 하는 시트이거나, 또는 이들 중에서 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학 시트(S2)와 제2 추가 광학 시트(S3)는 두 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시트만 본원 발명의 칼럼을 포함하거나 또는 두 개의 시트 모두 본원 발명의 칼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적이지만 확산판(S4) 또한 칼럼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확산판(S4)은 도광판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도광판이 추가될 수도 있다. 확산판 또한 도광판과 같이 칼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시트의 일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에서 칼럼들의 분포를 예시적으로 보여 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단부 형상의 예들을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에서 바아 타입의 칼럼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측면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칼럼의 형상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학 시트의 일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학 시트에 따른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광 경로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에 따른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에서 시트의 적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210..베이스층 120.220..패턴층
121..프리즘 패턴 121a..돌출부
130,230..칼럼 131..확산용 패턴
221..마이크로 렌즈 패턴 221a..마이크로 렌즈
1100..광원 1200..도광판
1210..스페이서

Claims (63)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되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칼럼들;
    을 구비하는 광학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돌출된 단부는 평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평탄 면에는 확산용 패턴, 반구형 렌즈, 또는 마이크로 렌즈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평탄 면의 가장자리가 라운딩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면의 가장자리는 반경(R)이 0.4㎛에서 15㎛ 사이의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돌출된 단부 자체가 광학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높이는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0.5㎛ ~ 50㎛의 범위 내로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분포 밀도는 0.05% ~ 35%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최대 폭은 상기 패턴층의 피치와 대비해서 0.5%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최대 폭은 0.2㎛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간의 피치는 10㎛ ~ 10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광을 굴절시켜 모을 수 있는 프리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상기 프리즘 패턴의 산, 골, 및 빗면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리즘 패턴의 산, 골, 및 빗면에 랜덤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횡단면이 원형인 것과 다각형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집광 패턴, 확산 패턴, 렌티큘라 패턴, 및 피라미드 패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패턴이 혼합된 복합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하단부에서의 횡단면의 면적이 상단부에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바아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9. 광을 발산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측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되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한 제1 광학 시트;
    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안내하는 도광판 및/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도광판 또는 상기 확산판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또는 확산판도 자신의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2. 제19항에 있어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을 갖는 적어도 한 개의 추가 광학 시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광학 시트는 자신의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칼럼들은 불규칙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5.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칼럼의 단부는 평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평탄 면의 가장자리가 라운딩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면의 가장자리는 반경(R)이 0.4㎛에서 15㎛사이의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8.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칼럼의 단부는 평탄 면과 상기 평탄 면 상에 형성된 확산용 패턴, 반구형 렌즈, 또는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9.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돌출된 단부 자체가 광학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0.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높이는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0.5㎛ ~ 50㎛의 범위 내로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1.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분포 밀도는 0.05% ~ 35%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2.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최대 폭은 상기 패턴층의 피치와 대비해서 0.5%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최대 폭은 0.2㎛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4.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간의 피치는 10㎛ ~ 10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5.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광을 굴절시켜 모을 수 있는 프리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들은 상기 프리즘 패턴의 산, 골, 및 빗면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리즘 패턴의 산, 골, 및 빗면에 랜덤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7.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8. 제19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들은 횡단면이 원형인 것과 다각형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9. 제19항 및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하단부에서의 횡단면의 면적이 상단부에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0. 제19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와 추가 광학시트의 요철 패턴은 집광 패턴, 확산 패턴, 렌티큘라 패턴, 피라미드 패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패턴이 혼합된 복합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1. 제19항에 있어서,
    반사형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2. 광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측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되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한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디스플레이 패널;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안내하는 도광판 및/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도광판 또는 상기 확산판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또는 확산판은 자신의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요철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층을 갖는 적어도 한 개의 추가 광학 시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광학 시트도 자신의 패턴층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복수의 칼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7.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칼럼의 단부는 평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평탄 면의 가장자리가 라운딩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면의 가장자리는 반경(R)이 0.4㎛에서 15㎛사이의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0.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칼럼의 단부는 평탄 면과 상기 평탄 면 상에 형성된 확산용 패턴, 반구형 렌즈, 또는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1.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돌출된 단부 자체가 광학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2.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높이는 상기 패턴층의 높이보다 0.5㎛ ~ 50㎛의 범위 내로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3.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분포 밀도는 0.05% ~ 35%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4.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최대 폭은 상기 패턴층의 피치와 대비해서 0.5%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최대 폭은 0.2㎛ ~ 5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6.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간의 피치는 10㎛ ~ 1000㎛의 범위 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7.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광을 굴절시켜 모을 수 있는 프리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들은 상기 프리즘 패턴의 산, 골, 및 빗면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리즘 패턴의 산, 골, 및 빗면에 랜덤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9.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0.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들은 횡단면이 원형인 것과 다각형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1. 제42항 및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하단부에서의 횡단면의 면적이 상단부에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2.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와 추가 광학시트의 요철 패턴은 집광 패턴, 확산 패턴, 렌티큘라 패턴, 피라미드 패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패턴이 혼합된 복합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3. 제42항에 있어서,
    반사형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88229A 2008-11-21 2009-09-17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62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6872 WO2010058999A2 (ko) 2008-11-21 2009-11-20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TW098139734A TWI434075B (zh) 2008-11-21 2009-11-23 光學平板及具該光學平板之背光單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07 2008-11-21
KR20080116507 2008-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83A true KR20100057483A (ko) 2010-05-31
KR101629887B1 KR101629887B1 (ko) 2016-06-14

Family

ID=4228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229A KR101629887B1 (ko) 2008-11-21 2009-09-17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9887B1 (ko)
TW (1) TWI434075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91B1 (ko) * 2010-10-07 2013-01-0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백라이트 도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53555B1 (ko) * 2012-11-12 2013-04-11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복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및 복합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297902B1 (ko) * 2013-01-30 2013-08-22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핀 형상의 돌기를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복합 광학 시트
KR101369491B1 (ko) * 2012-04-16 2014-03-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높이가 상이한 미세 렌즈를 배열한 광학시트
KR20150080208A (ko) 2013-12-31 2015-07-09 미래나노텍(주) 확산 시트 및 이를 적용한 표시 장치
WO2016195300A1 (ko) * 2015-06-04 2016-12-08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패턴을 가지는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WO2021149700A1 (ja) * 2020-01-20 2021-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採光装置及び採光装置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7736B (zh) 2011-11-16 2016-09-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複合光學膜及應用其之背光模組
CN105093365A (zh) * 2015-08-04 2015-11-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扩散片及其制造方法
WO2018164462A1 (ko) * 2017-03-06 2018-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JP6870815B2 (ja) 2017-03-06 2021-05-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装飾部材および装飾部材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333A (ja) * 2002-05-21 2003-11-28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80006970A (ko) * 2006-07-14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조절 조립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333A (ja) * 2002-05-21 2003-11-28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80006970A (ko) * 2006-07-14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조절 조립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91B1 (ko) * 2010-10-07 2013-01-0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백라이트 도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69491B1 (ko) * 2012-04-16 2014-03-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높이가 상이한 미세 렌즈를 배열한 광학시트
KR101253555B1 (ko) * 2012-11-12 2013-04-11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복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및 복합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297902B1 (ko) * 2013-01-30 2013-08-22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핀 형상의 돌기를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복합 광학 시트
KR20150080208A (ko) 2013-12-31 2015-07-09 미래나노텍(주) 확산 시트 및 이를 적용한 표시 장치
WO2016195300A1 (ko) * 2015-06-04 2016-12-08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패턴을 가지는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US10502886B2 (en) 2015-06-04 2019-12-10 Lms Co., Ltd Reflective polarizing module having diffusion pattern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same
WO2021149700A1 (ja) * 2020-01-20 2021-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採光装置及び採光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887B1 (ko) 2016-06-14
TW201027137A (en) 2010-07-16
TWI434075B (zh) 201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887B1 (ko)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US10386567B2 (en)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28996B1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090075666A (ko) 광 확산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KR20060110990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80019541A (ko) 광학 필름
US10191321B2 (en) Reflective polarizing module having particle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same
JP2007003852A (ja) 拡散シート、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90123418A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180077076A (ko) 액정 표시 장치용 광학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CN108254818B (zh) 液晶显示装置用光学片及液晶显示装置用背光单元
JP6975197B2 (ja) 突起部を有する光学板、光学構造、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0287546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2097667B1 (ko) 백라이트 유닛용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20054765A (ko)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방법
JP2015191686A (ja) 導光体、エッジライト型照明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879949B1 (ko) 마이크로 원통형 패턴을 이용한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KR100855248B1 (ko) 광학필름
KR101385482B1 (ko)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도광판을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KR101008030B1 (ko) 복합 광학 시트
KR20090035373A (ko) 시야각 특성이 향상된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10058999A2 (ko)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CN107515437B (zh) 背光单元用棱镜片及液晶显示装置用背光单元
KR20100006501A (ko) 고확산 집광 렌즈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10078693A (ja) 光学素子、それを備えた光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