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248B1 -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248B1
KR100855248B1 KR1020080024956A KR20080024956A KR100855248B1 KR 100855248 B1 KR100855248 B1 KR 100855248B1 KR 1020080024956 A KR1020080024956 A KR 1020080024956A KR 20080024956 A KR20080024956 A KR 20080024956A KR 100855248 B1 KR100855248 B1 KR 100855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attern
optical film
peak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식
김영일
안준원
박정호
안정애
성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08002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크와 벨리 양측에 소정 각도의 광학면이 형성되도록 삼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광학패턴이 선형 배열되어 있는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양 광학면은 각도는 각 광학패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아레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긁힘 및 스크래치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광학필름이 제공된다.
광학필름, 광학패턴, 광학면, 각도 가변, 무아레, 피크, 벨리

Description

광학필름{Optics film}
본 발명은,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패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무아레와 스크래치 등에 의한 광학적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컴퓨터, LCD모니터, 평면 TV 등에 널리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이용하여 패널에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유닛 구성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발산된 빛을 면광원으로 출사시키는 도광판과, 도광판에서 출사된 빛을 패널소자로 집광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필름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 광학필름은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집광 굴절시켜서 패널소자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패널소자의 전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광학필름의 판면에는 빛을 집광 굴절시키기 위한 광학패턴이 형성되는데, 일반적인 광학필름의 광학패턴은 다수의 광학패턴들이 일정한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피크와 벨리가 상호 평행한 직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광학필름은 광학패턴들이 일정한 단면구조와 간격을 가지고 선형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소자의 픽셀 배열과의 광학적 결합에 의해서 무아레(Moire)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무아레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광학필름이 미국특허 US 6,354,709호와 미국특허 US 5,919,55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4410에 개시된 바 있다.
US 6,354,709호에 개시된 광학필름(10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턴(110)들의 배열을 피크 부분에서 비직선형 배열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무아레 현상을 방지한 것이며;
US 5,919,551호에 개시된 광학필름(2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턴(210)들의 상호 피치간격(P)을 불규칙적으로 하여 무아레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광학패턴들의 피크 높이(t) 및 벨리 깊이(D)는 불규칙한 피치에 의해 광학패턴(210)들 간에 상이한 높이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광학필름들은 US 6,354,709호에 개시된 광학필름(101)의 경우 피크 부분에서의 비직선형 배열을 제외하고는 광학패턴들의 벨리가 직선형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광학패턴들의 피크 높이와 벨리 깊이 및 각도 등의 나머지 광학적 구조가 규칙적이기 때문에, 규칙적인 구조적 요소에 의한 무아레 발 생의 여지를 남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각 광학패턴들의 피크영역에서 벨리영역으로 형성되는 광학면은 벨리영역에 인접할수록 광학패턴의 양면이 대칭을 이루면서 결과적으로는 무아레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US 5,919,551호에 개시된 광학필름(201)의 경우에는 광학패턴들이 직선형 배열되어 있는 광학적 구조에 의해 역시, 무아레 발생의 여지를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아레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긁힘 및 스크래치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피크와 벨리 양측에 소정 각도의 광학면이 형성되도록 삼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광학패턴이 선형 배열되어 있는 광학필름에 있어서, 상기 양 광학면은 각도는 각 광학패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학면의 각도 가변은 상기 피크가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는 다수회 굴곡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는,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다수회 굴곡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는 다수회 굴곡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는,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다수회 굴곡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벨리의 선형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학패턴들의 피크 높이는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각 광학패턴의 벨리 깊이는 불규칙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패턴들은 피크와 벨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정점으로부터 30% 이내의 높이 영역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미세요철, 미세 스크래치, 버(bur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결함보정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광학패턴 하부 영역에 형성되며 원호 형상의 광학적 단면을 갖는 다수의 마이크로렌즈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렌즈패턴은 돌출 형상 또는 함몰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렌즈패턴의 원호 반경과 상호 간격 및 돌출 높이 또는 함몰 깊이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패턴 형성 면의 반대 면에 마련되어 입사광에 대해 광학적 산란작용을 유도하는 산란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산란패턴은 샌드 블라스팅 또는 마이크로 블라스팅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 스크레치 또는 미세요철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산 입자를 광학 필름의 일부 영역에 분포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입사광에 대해 광학적 확산 작용을 유도하는 확산 구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산 입자는 투명 고체 입자인 아크릴 입자, 스티렌입자, 실리콘 입자, 합성실리카, 그래스비드, 다이아몬드, 백색 입자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클레이 또는 필름 내에 형성된 기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의해, 무아레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긁힘 및 스크래치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광학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광학필름의 광학패턴 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표시부 a 내지 c 영역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적어도 일면에 입사광에 대해 일련의 광학적 작용을 일으켜 출사시키는 다수의 광학패턴(10)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광학필름(1)은 가시광역에서 빛이 원활하게 투과될 수 있는 광투과성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 PVC, PP, PE, PS, PET, 아크릴계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패턴(10)은 광학필름(1)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술한 광학필름(1)의 재료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시트 상으로 마련하고 이 시트 상에 광학패턴(10)을 성형하여 광학필름(1)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광학필름(1)과 광학패턴(10)이 형성된 시트의 재질은 광학필름(1)의 제조여건 등의 제반 여건에 따라서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거나, 상호 상이한 재료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각 광학패턴(10)들은 법선 양측에 입사광을 집광 굴절시키는 광학면(10a,10b)을 갖는 거의 삼각형상의 광학적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광학패턴(10)의 양 광학면(10a,10b)은 길이방향을 따라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가변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양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가변되는 것은 각 광학패턴(10)의 피크가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광학패턴(10)의 양측 벨리 폭(W)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벨리의 폭(W)이 가변되는 것은 광학패턴(1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광학패턴(10)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가 직선인 피크 양측에 상호 대칭되는 다수회 굴곡된 곡선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학패턴(10)을 도 4의 표시부 a 내지 c와 같이, 길이 방향 임의의 영역에서 단면 투영하면,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학패턴(10)에서 양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벨리의 폭(W)이 가변되는 것은 광학패턴(1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광학패턴(10)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가 직선인 피크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다수회 굴곡된 곡선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광학패턴(10)을 도 6의 표시부 a 내지 c와 같이, 길이 방향 임의의 영역에서 단면 투영하면,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학패턴(10)에서 양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벨리의 폭(W)이 가변되는 것은 광학패턴(1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광학패턴(10)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가 직선인 피크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다수회 직선으로 굴곡된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광학패턴(10)을 도 8의 표시부 a 내지 c와 같이, 길이 방향 임의의 영역에서 단면 투영하면,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학패턴(10)에서 양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벨리의 폭(W)이 가변되는 것은 광학패턴(1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광학패턴(10)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가 직선인 피크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다수회 직선으로 굴곡된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광학패턴(10)을 도 10의 표시부 a 내지 c와 같이, 길이 방향 임의의 영역에서 단면 투영하면, 도 11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학패턴(10)에서 양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광학패턴(10)의 광학면(10a,10b) 각도(θ) 가변은 광학패턴(10)의 벨리의 선형구조가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굴곡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학패턴(10)의 벨리의 선형구조가 길이방향을 따라 불규칙적으로 굴곡된 비직선형 또는 곡선형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패턴(10)의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각 광 학패턴(10)의 광학면(10a,10b)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됨으로써, 광학필름(1)과 패널소자의 광학적 결합 상태에서 광학패턴(10)과 픽셀 배열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입사광에 대한 불규칙적인 집광 굴절의 광학적 작용을 유도하여 출사광을 산란시킴과 동시에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킨다.
이에 의해, 스트립 패턴(Strip Pattern)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무아레 발생원인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사광의 확산 및 산란 작용에 의해 빛의 굴절각도가 크게 형성되면서 넓은 영역으로 빛이 확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확대된다.
또한, 제조과정 및 타 부품과의 광학적 결합 과정에서 광학필름(1)에 긁힘이나 스크래치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여도 출사광의 확산 및 산란 작용에 의해 광학적 결함이 인간의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광학패턴(10)에서 빛이 집광 굴절 및 확산 산란됨으로써, 인접하는 광학부품과의 광학적 결합시 발생할 수 있는 침윤(Wet-Out)현상을 방지하면서, 시야각 확대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광학필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전술한 도 3 내지 도 5 및 도 6 내지 도 11의 광학필름(1)과 마찬가지로 광학패턴(10)의 광학면(10a,10b)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됨과 동시에, 광학패턴(10)들의 피크 높이(T)가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각 광학패턴(10)의 벨리 깊이(D)가 불규칙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광학패턴(10)들의 피크 높이(T)가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각 광학패턴(10)의 벨리 깊이(D)가 불규칙한 구조는 벨리 영역에 인접할수록 각 광학패턴(10)의 양 광학면(10a,10b)이 대칭을 이루는 것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아레 발생의 원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부분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광학패턴(10)의 피크 영역 및/또는 벨리 영역에 형성된 결함보정구조(20)를 제외한 광학패턴(10)의 광학면(10a,10b)의 각도(θ) 가변 구조 및 광학패턴(10)들의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피크 높이(T)와 상이한 벨리 깊이(D) 등의 광학적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본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의 광학패턴(10)에 형성된 결함보정구조(20)는 광학패턴(10)들의 피크 정점 및/또는 광학패턴(10)들의 벨리 정점으로부터 30% 이내의 높이 영역에 형성된다.
이때, 결함보정구조(20)는 광학패턴(10)의 피크 정점 및/또는 벨리의 정점을 비첨예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샌드 블라스팅 또는 마이크로 블라스팅 가공 등에 의해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미세요철이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세 스크래치(미도시), 버(burr)(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형성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함보정구조(20)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광학패턴(10)들의 피크에 결함보정구조(20)가 형성될 경우, 피크가 날카롭지 않게 형성되기 때문에, 광학필름(1)의 제조공정과 보관 관리과정 및 백라이트유닛 등의 조명장치 구성을 위한 타 광학부품과의 결합 공정 등에서 타 광학부품과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레치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광학필름(1)에 긁힘이나 스크래치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여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패턴(10)의 광 산란 및 확산 작용을 포함하여 결함보정구조(20)에서의 확산 및 산란 작용에 의해 광학적 결함이 더욱더 인간의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정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광학패턴(10)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마이크로렌즈패턴(30)들을 더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렌즈패턴(30)들은 평면 투영시 원 형상을 가지고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엠보싱 형태로 분포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면투영시에는 부분 원호 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볼록렌즈 형태의 광학적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 마이크로렌즈패턴(30)은 광학패턴(10)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렌즈패턴(30)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광학패턴(10)들은 마이크로렌즈패턴(30)의 돌출 구조에 의해 엠보싱 형태로 돌출된다.
여기서, 마이크로렌즈패턴(3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함몰된 구조나 돌출과 함몰의 복합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렌즈패턴(30)들의 돌출반경과 간격 및 높이(함몰 구조에서는 깊이)는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렌즈패턴(30)은 평면 투영시 전술한 원형의 구조 외에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구조가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3실시예의 결함보정구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렌즈패턴(30) 구조를 포함하는 본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입사광이 마이크로렌즈패턴(30)에서 산란 및 확산되고, 광학패턴(10)에서 집광 굴절 및 산란과 확산됨으로써, 인접하는 광학부품과의 광학적 결합시 발생할 수 있는 침윤(Wet-Out)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전술한 무아레 방지 및 시야각의 확대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또한, 빛의 산란 및 확산에 의해 광학필름(1)에 포함된 스크래치나 이물질 등이 더욱더 인간의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정단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5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광학패턴(10)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광학필름(1)의 광학패턴(10) 이면에 형성되어 입사광에 대해 광학적 산락작용을 유도하는 산란패턴(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산란패턴(40)은 부분 원호상의 광학적 단면으로 형성되며 평면 투영시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분 구 형상으로써, 광학필름(1)의 평면에서 볼 때 다수의 산란패턴(40)이 일정한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을 두고 엠보싱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이 산란패턴(40)은 광학필름(1)의 이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광학필름(1)의 외측으로 돌출 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산란패턴(40)은 돌출구조와 함몰구조가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산란패턴(40)의 단면형상은 전술한 부분 원호상의 광학적 단면 형상 외에도, 삼각형 단면 형상이나 다각 단면 형상 등 입사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서 다양한 단면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제5실시예와 같이, 광학필름(1) 이면에 산란패턴(40)을 포함하는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광학필름(1)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산란패턴(40) 구조를 포함하는 본 제5실시예의 광학필름(1)은 입사광이 산란패턴(40)에서 산란되고, 광학패턴(10)에서 집광 굴절 및 또 다시 산란됨으 로써, 빛의 산란작용이 극대화되어 광학필름(1)에 포함된 스크래치나 이물질 등이 인간의 육안으로 더욱더 관찰되지 않도록 하고, 전술한 무아레 방지 및 시야각의 확대 효과를 극대화한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부분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6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광학패턴(10)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광학필름(1) 내에 입사광에 대해 광학적 확산 작용을 유도하는 확산입자(50)를 더 포함하고 있다.
확산입자(50)는 투명 고체입자로서 아크릴입자, 스티렌입자, 실리콘입자, 합성실리카, 그래스비드, 다이아몬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거나, 백색입자로서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클레이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포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입자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확산입자(50)는 광학필름(1)의 원재료에 포함된 상태에서 광학필름(1)을 성형함으로써, 도 19와 같이, 광학필름(1) 내에 확산입자(50)가 전체적으로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입자(5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학필름(1)을 판상의 제1광학층과 광학패턴(10)이 형성되는 제2광학층의 적층구조로 하고, 제1광학층과 제2광학층 사이에 확산입자(50)층이 적층 개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확산입자(50) 는 광학패턴(10)의 광학면(10a,10b)에 인접한 내측에 분포됨으로써, 빛의 확산작용을 포함하여 광학패턴(1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제6실시예와 같이, 광학필름(1)에 확산입자(50)를 포함하는 구성은 전술한 제1 내지 제5실시예들의 광학필름(1)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확산입자(50)의 구성과 광학면(10a,10b)의 각도(θ)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광학패턴(10) 구조를 포함하는 본 제6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1)은 입사광이 확산입자(50)에서 확산되고, 광학패턴(10)에서 집광 굴절 및 산란됨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각 범위로 출사됨과 동시에, 전술한 무아레 방지 효과를 극대화한다.
그리고, 제조공정에서의 부주의에 의해 광학필름(1) 내에 스크래치나 먼지 등의 이물질 및 얼룩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빛의 확산 및 산란 작용에 의해서 결함이 더욱더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품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광학패턴들의 광학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됨으로써, 광학필름과 패널소자의 광학적 결합 상태에서 광학패턴과 픽셀 배열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광의 산란 확산 작용에 의해 무아레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광학패턴의 광학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구조와 함께, 벨리 깊 이의 불규칙적인 구조 및 마이크로렌즈와 산란패턴, 그리고 확산입자 등의 광학적 요소 등에 의해, 빛의 확산 및 산란 작용을 유도하여 시야각 증가와 광학적 결함이 관찰되지 않는 등의 광학적 성능이 현격하게 향상된다.
또한, 광학패턴에 결함보정구조를 추가하여 확산 산란 특성과 광학적 결함이 관찰되지 않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광학패턴의 광학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에 의해 입사되는 빛에 대해 확산 및 산란과 집광 및 굴절 등의 광학적 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확산필름 또는 도광필름이나 산란필름과 집광필름 등 다양한 형태의 광학필름으로 이용되며, 특히 LCD모니터나 LCD TV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소형 노트북의 LCD 모니터나 휴대폰 등의 LCD패널 등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백라이트유닛과 같은 조명장치에 광학부품으로 이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아레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긁힘 및 스크래치 등의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광학필름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광학필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광학필름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광학필름의 광학패턴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표시부 a 내지 c 영역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광학필름의 다른 예에 따른 광학패턴의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의 표시부 a 내지 c 영역의 단면도,
도 8은 도 3의 광학필름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학패턴의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표시부 a 내지 c 영역의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광학필름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학패턴의 확대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표시부 a 내지 c 영역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광학필름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부분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정단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필름 10 : 광학패턴
10a,10b : 렌즈패턴 20 : 결함보정구조
30 : 마이크로렌즈패턴 40 : 산란패턴
50 : 확산입자

Claims (14)

  1. 피크와 벨리 양측에 소정 각도의 광학면이 형성되도록 삼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광학패턴이 선형 배열되어 있는 광학필름에 있어서
    상기 양 광학면은 각도는 각 광학패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면의 각도 가변은 상기 피크가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폭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는 다수회 굴곡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다수회 굴곡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 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는 다수회 굴곡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의 양측 벨리의 선형구조는 평면 투영시 상기 피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다수회 굴곡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리의 선형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들의 피크 높이는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각 광학패턴의 벨리 깊이는 불규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들은 피크와 벨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정점으로부터 30% 이내의 높이 영역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미세요철, 미세 스크래치, 버(bur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결함보정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 하부 영역에 형성되며 원호 형상의 광학적 단면을 갖는 다수의 마이크로렌즈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패턴은 돌출 형상 또는 함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패턴의 원호 반경과 상호 간격 및 돌출 높이 또는 함몰 깊이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 형성 면의 반대 면에 마련되어 입사광에 대해 광학적 산란작용을 유도하는 산란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산란패턴은 샌드 블라스팅 또는 마이 크로 블라스팅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 스크레치 또는 미세요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확산 입자를 광학 필름의 일부 영역에 분포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입사광에 대해 광학적 확산 작용을 유도하는 확산 구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산 입자는 투명 고체 입자인 아크릴 입자, 스티렌입자, 실리콘 입자, 합성실리카, 그래스비드, 다이아몬드, 백색 입자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클레이 또는 필름 내에 형성된 기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KR1020080024956A 2008-03-18 2008-03-18 광학필름 KR100855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56A KR100855248B1 (ko) 2008-03-18 2008-03-18 광학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56A KR100855248B1 (ko) 2008-03-18 2008-03-18 광학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248B1 true KR100855248B1 (ko) 2008-08-29

Family

ID=3987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956A KR100855248B1 (ko) 2008-03-18 2008-03-18 광학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2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88B1 (ko) * 2009-07-31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44499B1 (ko) * 2009-07-31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069110B2 (en) 2009-07-31 2015-06-30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10767837B2 (en) 2013-11-15 2020-09-08 Lg Innotek Co., Ltd.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257A (ko) * 2005-11-29 2007-06-04 주식회사 코오롱 프리즘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257A (ko) * 2005-11-29 2007-06-04 주식회사 코오롱 프리즘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88B1 (ko) * 2009-07-31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44499B1 (ko) * 2009-07-31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069110B2 (en) 2009-07-31 2015-06-30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10767837B2 (en) 2013-11-15 2020-09-08 Lg Innotek Co., Ltd.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447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갖는 조명장치
KR100864321B1 (ko) 프리즘 계곡부위에 무정형의 돌기형상을 가지는 광확산체를포함하는 디퓨져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993383B1 (ko) 프리즘의 계곡부위에 형성된 광확산체를 포함하는 디퓨져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825904B1 (ko) 수분 배출성이 우수한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JP4659028B2 (ja) 光学フィルム
TWI434075B (zh) 光學平板及具該光學平板之背光單元
KR20110108316A (ko) 빛의 조준-확산 구조를 갖는 광학기판
JP5397572B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08026540A1 (fr) Feuille de diffusion de lumière et unité de rétroéclairage
WO201304777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
TW201841029A (zh) 液晶顯示裝置用光學片及液晶顯示裝置用背光單元
JP201021088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55248B1 (ko) 광학필름
JP2015191686A (ja) 導光体、エッジライト型照明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150077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57984A (ko) 광학필름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유닛
KR100553155B1 (ko) 광학필름
KR100512193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유닛
US20090161346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80496B1 (ko) 핫스팟 개선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867903B1 (ko) 그 미세굴곡부가 도광판을 향하고 있는 광학필름을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18033B1 (ko) 곡선형 능선을 가지는 수분 배출성이 우수한 프리즘 시트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038661B1 (ko) 곡선형 능선을 가지는 수분 배출성이 우수한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991814B1 (ko) 광학 시트 및 상기 광학 시트가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9258707A (ja)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