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276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276A
KR20100056276A KR1020080115363A KR20080115363A KR20100056276A KR 20100056276 A KR20100056276 A KR 20100056276A KR 1020080115363 A KR1020080115363 A KR 1020080115363A KR 20080115363 A KR20080115363 A KR 20080115363A KR 20100056276 A KR20100056276 A KR 20100056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otographing apparatus
user notification
imag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276A/ko
Publication of KR20100056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06V40/175Static ex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또는 피사체가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피사체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얼굴 영역의 표정을 판단하여 찡그림 표정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촬영을 행하거나 또는 찡그림 표정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 찡그린 얼굴의 영상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115363
디지털 촬영 장치, 얼굴 검출, 표정 인식, 찡그림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또는 피사체가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얼굴 영역 뿐만 아니라 웃는 얼굴(smile) 까지 인식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웃는 얼굴은 입 모양에 근거하여 촬영하는 것으로, 활짝 웃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유용할 수 있다. 얼굴의 표정 중에는 웃는 표정 이외에 다양한 표정들이 있으며, 이러한 표정들 중에는 촬영에 대체로 적합하지 않는 표정이 있다. 대표적으로 찡그린 표정의 얼굴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찡그린 표정의 얼굴 촬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찡그린 얼굴 표정의 촬영을 방지하여 사용자 또는 피사체가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촬상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영역 검출부와,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을 인식하는 얼굴 표정 인식부와, 상기 찡그림 표정의 인식 여부에 따라 하는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을 인식하지 않는 경우 캡쳐 신호를 생성하는 캡쳐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캡쳐 신호에 의해 캡쳐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알림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사용자 알림 제어부로부터 제공한 알림 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사용자 알림 제어부로부터 제공한 알림 신호에 의해 경고 표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이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찡그림 표정의 인식 여부에 따라 촬영을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찡그림 표정이 인식된 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에 동기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찡그림 표정이 인식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에 동기하여 경고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찡그림 표정이 인식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캡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캡쳐 신호에 동기하여 캡쳐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촬상 영상에 대해 얼굴의 찡그림 표정을 인식함으로써 찡그린 얼굴이 촬영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상부(10), 촬상 신호 처리부(20), 영상 입출력 제어부(30), 표시 영상 처리부(40), 디스플레이부(50), 저장부(60), 조작부(70), 오디오부(80), 시스템 제어부(90)를 구비할 수 있다.
촬상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입력하는 광학부(11), 상기 광학 부(10)를 통과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촬상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11)로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하는 구동계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촬상 소자(12)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11)와 촬상 소자(12)는 촬상 제어부(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촬상 제어부(13)는 시스템 제어부(9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부(10)와 촬상 신호 처리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제어부(13)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광학부(11)의 구동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 제어부(13)는 타이밍 제너레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밍 제너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타이밍 신호에 의해 촬상 소자(12)의 신호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2)에서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고, 이에 대응하여 촬상 신호를 출력한다. 촬상 소자(12)로부터 제공받은 촬상 신호에 대해 촬상 신호 처리부(20)에 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촬상 신호 처리부(20)는 게인(gain) 조정이나 파형 정형을 행하는 샘플 홀드/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와 A/D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신호 처리부(20)에서 노이즈 저감 처리,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이펙트 처리로서 촬상 신호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영상의 생성, 혹은 축소 영상의 생성, 모자이크 영상/휘도 반전 영상/소프트 포커스/영상 내의 일부의 강조 표시/영상 전체의 색 분위기 변환 등의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이 있다.
촬상 신호 처리부(20)는 촬상 제어부(13)의 타이밍 제너레이터의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해당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10), 시스템 제어부(90)로 부터 제공된 정보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영상 입출력 제어부(30)는 시스템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상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제공되는 RAW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RAW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즉, 촬상 표시 영상 처리부(40), 저장부(60)로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입출력 제어부(30)는 시스템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상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제공된 RAW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저장부(60)로 전송하고, 표시부(5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표시 영상 처리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출력 제어부(30)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을 위하여 표시 영상 처리부(4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표시 영상 처리부(40)는 시스템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입출력 제어부(30)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표시를 위한 신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화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표시 구동부(51), 표시부(52), 표시 제어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51)는 표시 영상 처리부(40)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를 표시부(52)에 표시하기 위하여 화소 구동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2)가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구동부(51)는 스캔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시스템 제어부(90)에 의해 촬상 신호 처리부(20)에서 영상 처리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곳이다. 상기 저장부(60)로 HDD(Hard Disk Driver),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고체 메모리를 내장한 메모리 카드,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홀로그램 메모리 등이 있다. 상기 저장부(60)는 시스템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촬상 신호 처리부(20)에서 처리된 RAW 데이터를 적절한 형식의 영상 데이터로 압축하는 압축처리를 행할 수 있다. 화상의 압축형식은 가역형식 또는 비 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형식으로 변환해도 된다. 또한, 저장부(60)로부터 상기 파일을 출력할 때에서는 상기 압축을 해제하여 영상 입출력 제어부(30)로 제공할 수 있다.
조작부(70)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조작을 행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스 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라이브 뷰 모드를 실행하거나, 찡그림 인식 모드를 설정하거나, 캡쳐 신호를 입력하는 등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부(8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81)와 마이크(82) 스피커(83)를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81)는 잡음 제거, A/D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한다. 마이크(82)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곳이며, 스피커(83)는 내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곳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피사체의 찡그림 인식의 경우 경고음을 상기 마이크(82)로 출력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9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불휘발성 메모리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90)는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해당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90)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관한 시스템 제어부(90a)는 얼굴 영역 검출부(91), 얼굴 표정 판단부(92), 캡쳐 제어부(93a)를 구비한다.
얼굴 영역 검출부(91)는 아다부스팅(Adaboosting) 알고리즘 또는 피부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상기 얼굴 영역 검출부(91)에서 검출한 얼굴 영역에 대해 얼굴 표정 판단부(92)에서 얼굴 표정을 인식한다. 본 발명에서는 얼굴 표정 중 얼굴의 찡그림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검출한 상기 얼굴 영역으로부터 눈과 입 부위의 영역으로부터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SVM(Support Vector Mechine),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HMM(Hidden Markov Model), KNNC(L-nearest Neighbor Classifier) 등의 패턴 분류(Pattern Classidication) 알고리즘을 통해 얼굴의 찡그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얼굴 표정 판단부(92)에서 얼굴의 찡그림으로 판단하는 제1 경우, 상기 제1 경우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캡쳐 제어부(93a)로 전송하고 상기 캡쳐 제어부(93a)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캡쳐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얼굴 표정 판단부(92)에서 얼굴의 찡그림으로 판단하지 않은 제2 경우, 상기 제2 경우에 대응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캡쳐 제어부(93a)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쳐 제어부(93a)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캡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캡쳐 신호에 의해 캡쳐 영상을 입력 및 생성할 수 있다.
도 1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시스템 제어부(90b)는 얼굴 영역 검출부(91)와 얼굴 표정 판단부(92)를 구비한다. 상기 얼굴 영역 검출부(91)와 얼굴 표정 판단부(92)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관한 시스템 제어부(90a)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 관한 시스템 제어부(90b)는 상기 얼굴 표정 판단부(92)에서 얼굴의 찡그림을 인식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알림 제어부(93b)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굴 표정 판단부(92)에서 얼굴의 찡그림을 인식하는 제1 경우, 상기 제1 경우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사용자 알림 제어부(93b)에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알림 제어부(93b)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표시부에 경고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얼굴 표정 판단부(92)에서 얼굴의 찡그림을 인식하지 않는 제2 경우, 상기 제2 경우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사용자 알림 제어부(93b)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알림 제어부(93b)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캡쳐 신호 입력을 기다리는 촬영 대기 모드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와 3에 도시된 시스템 제어부를 합하여, 얼굴 표정 판단부에서 얼굴의 찡그림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알림 제어부에서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얼굴 표정 판단부에서 얼굴의 찡그림을 인식하지 않는 경우 캡쳐 제어부에서 캡쳐 신호를 생성하여 캡쳐 영상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 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얼굴의 찡그림 표정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촬영을 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촬상 영상을 실시간으로 입력한다(S11).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촬상 영상에 대해 얼굴 영역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2).
얼굴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한 얼굴 영역에 찡그림 표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3). 찡그림 표정을 검출하지 않으면 캡쳐 신호를 생성한다(S14). 그리고 상기 캡쳐 신호에 따라 캡쳐 영상을 입력한다(S15).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찡그림 표정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실시간으로 촬상 영상을 입력한다(S11). 얼굴 영역의 검출, 찡그림 표정 검출은 상술한 실시 예들의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찡그린 얼굴의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얼굴의 찡그림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5에 따르면, 우선, 실시간으로 촬상 영상을 입력한다(S21). 촬상 영상에 대해 얼굴 영역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22).
얼굴 영역이 검출된 경우, 검출된 상기 얼굴 영역에서 찡그림 표정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23).
그리고 찡그림 표정이 검출되면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S24).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에 동기하여 경고음을 출력한다(S25). 본 실시 예에서 는 사용자에게 피사체가 얼굴을 찡그림을 경고음을 통해 알리는 방법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에 동기하여 경고 메시지 등을 더 표시하는 방법 등도 있을 수 있다.
경고음 출력 후, 계속하여 촬상 영상을 입력한다(S21).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거나, 찡그림 표정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눌러 캡쳐 신호가 입력되고(S26), 따라서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27).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이 피사체(P)의 얼굴 정면에 비췄을 때 얼굴의 찡그림(Scowl)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태양의 위치를 판단하여 얼굴의 찡그림 인식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이의 위도 경도와 같은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GPS, 시각(time)을 카운팅하는 시각 정보 제공부, 상기 GPS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태양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데이터 베이스, 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가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PS, 시각 정보 제공부, 통신부 등을 이용하여 태양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태양이 피사체의 얼굴 정면에 비춤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얼굴의 찡그림 인식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태양의 위치 정보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찡그림 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얼굴 영역의 찡그림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예시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71), 전원 버튼(72)이 배치되고, 배면에는 다양한 기능 버튼들(75)과 광각-줌 버튼(73) 및 망원-줌 버튼(7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에는 표시부(52)가 장착되어 라이브 뷰 모드 동안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피사체(P)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얼굴 인식을 통해 상기 피사체의 얼굴 영역(F)의 인식을 점선 박스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얼굴의 찡그림 표정은 대표적으로 눈 부위의 주름, 미간의 주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눈 깜빡임(blink)을 인식하는 경우 눈 깜빡임 동작이 100msec 이하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눈 깜빡임 동작은 먼저 촬영을 행하고 캡쳐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눈 깜빡임 동작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기록 여부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의 찡그림 표정 판단은 실시간으로 인식 가능 하므로 찡그린 얼굴의 촬영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방법들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여 기록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 예 또는 수정 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것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사용하는 환경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사용하는 찡그림 표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0)

  1. 촬상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영역 검출부;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을 인식하는 얼굴 표정 인식부;
    상기 찡그림 표정의 인식 여부에 따라 하는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을 인식하지 않는 경우 캡쳐 신호를 생성하는 캡쳐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캡쳐 신호에 의해 캡쳐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알림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알림 제어부로부터 제공한 알림 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알림 제어부로부터 제공한 알림 신호에 의해 경고 표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7. 촬상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 영역의 찡그림 표정이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찡그림 표정의 인식 여부에 따라 촬영을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찡그림 표정이 인식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에 동기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찡그림 표정이 인식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에 동기하여 경고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찡그림 표정이 인식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캡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캡쳐 신호에 동기하여 캡쳐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115363A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056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63A KR20100056276A (ko)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63A KR20100056276A (ko)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76A true KR20100056276A (ko) 2010-05-27

Family

ID=4228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63A KR20100056276A (ko)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2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3915B2 (ja) 撮像装置
KR100821801B1 (ko)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JP4274233B2 (ja) 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5361528B2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00363B1 (ko) 적절한 밝기를 갖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2360150B (zh) 焦点控制设备、图像感测设备及其控制方法
JP512968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537948B1 (ko) 얼굴 포즈 추정을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JP2005348181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用プログラム
US114385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JP20101039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594000B1 (ko)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KR20120080376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885792B2 (ja) ガイド装置及びガイド方法
KR101630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14067315A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1659268B2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apturing imag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122978A (ja) 撮像装置、音声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301161A (ja) 画像処理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処理方法
JP642785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56276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2111196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40226023A1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826873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測距制御方法
JP200912435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