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184A -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184A
KR20100056184A KR1020080115239A KR20080115239A KR20100056184A KR 20100056184 A KR20100056184 A KR 20100056184A KR 1020080115239 A KR1020080115239 A KR 1020080115239A KR 20080115239 A KR20080115239 A KR 20080115239A KR 20100056184 A KR20100056184 A KR 2010005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voltage
electro
optic modulator
intensity
tr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036B1 (ko
Inventor
김민석
임창환
고광훈
홍성기
김영원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0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07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001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by monitoring or controlling, e.g. attenuating, the input sign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53Frequency conversion, i.e. wherein a light beam is generated with frequency componen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incident light be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 H01S3/1301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in optical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는,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출력빔 신호를 변조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태양광 검출기(Photovoltaic Detector), 및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광학 변조기, Modulation, 태양광 검출기, 바이어스 전압

Description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Optical sensor control circuit for optimization of Electro-Optic Modulator in high power laser faciliti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에서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출력 레이저 시설(high power laser facilities)에서는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소스 레이저 출력을 변조시켜 원하는 형태의 레이저빔을 만들 수 있다. 전기 광학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는 소스 레이저 출력을 변조시키고, 변조된 소스 레이저 출력의 일부는 부분투과미러를 거쳐 태양광 검출기로 입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광학 변조기는 변조 특성상 온도와 같은 주변 환경에 불규 칙하게 영향을 받아, 최적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바이어스 전압이 자주 변동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주변 환경(온도, 습도, 변조)에 의해 자주 변동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수시로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광학 변조기는 바이어스 전압의 안정화를 위하여, 온도 조절기를 이용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이 있으나, 효과가 미진하고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달리, 변조 신호를 동기하여,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소스 레이저 출력을 검출한 후,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회로가 복잡하고 변조 장치의 변경 시, 새로운 장치와의 동기문제가 발생하여 장치 운용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에서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전기 광학 변조기에서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입력 추세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하는 상승 추세일 경우,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가 최적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바이어스 전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입력 추세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켜 입력하는 하강 추세일 경우,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는,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출력빔 신호를 변조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태양광 검출기(Photovoltaic Detector), 및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제어회로 제공 방법은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출력빔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전기 광학 변조기에서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입력 추세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하는 상승 추세일 경우,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가 최적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바이어스 전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입력 추세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켜 입력하는 하강 추세일 경우,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센서 제어회로(100)는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발생되는 출력빔 신호를 변조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120),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태양광 검출기(130), 및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발생기(Laser Generator, 110)는 출력빔 신호(110-1)를 발생하고, 발생된 출력빔 신호는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된다. 레이저 발생기(110)는 신호 발생기(Signal Generator)와 같은 개념으로, 출력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기 광학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 120)는 상기 발생된 출력빔 신호를 변조한다. 일반적으로, "변조"라 함은 신호에 변화를 주는 것으로, 일례로, 음성,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반송파(carrier wave)의 주파수(frequency), 위상(phase) 등에 변형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부터 출력되는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일부는 부분투과미러(150)로 입력되고,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다른 일부는 레이저 증폭기(170)로 입력될 수 있다.
레이저 증폭기(Laser Amplifier, 170)는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를 증폭하 여 고출력 레이저빔(170-1)을 출력할 수 있다.
태양광 검출기(Photovoltaic Detector, 130)는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120-1)의 세기를 검출한다.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Electro-Optic Modulator Controller, 140)는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140-1)을 조정한다. 예컨대,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과 연관된 입력 추세를 더 고려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하는 상승 추세일 경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또는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하는 하강 추세일 경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1)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또는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200)는 A/D 컨버터(210), 마이크로컨트롤러(220),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230), 바이어스 전압 설정 볼륨(240), D/A 컨버터(250), 및 콘덴서(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240)는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정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240)가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 바이어스 전압 설정 볼륨(230)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최초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광센서 제어회로(100)를 구동할 때, 전기 광학 변조기(120)를 최적화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리자는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240)를 수동으로 선택하고, 바이어스 전압 설정 볼륨(230)을 통해 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최초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관리자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최초 전압을 설정한 후,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240)를 다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240)가 자동으로 전환된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상기 설정된 바이어스 전압을, 일정 단위 레벨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D/A 컨버터(Digital Analog Converter, 250)를 거쳐,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될 수 있다.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A/D 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er, 210)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130-1)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을 비교하여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변조 신호 발생기(Modulation Signal Generator, 160)는 변조 신호를 발생하여,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제어회로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광센서 제어회로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광센서 제어회로(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310에서, 전기 광학 변조기(120)는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발생되는 출력빔 신호를 변조한다.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일부는 부분통과미러(150)로 입력되고, 나머지 일부는 레이저 증폭기(170)로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태양광 검출기(130)는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한다.
단계 S330에서,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들을 비교한다. 일례로,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를 비교할 수 있 다.
단계 S340에서,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전기 광학 변조기(120)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한다.
일례로,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하는 상승 추세일 경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또는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켜 입력하는 하강 추세일 경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140)는 (1)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또는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광학 변조기(120)가 최적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바이어스 전압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제어회로에 포함된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제어회로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광센서 제어회로
110: 레이저 발생기
120: 전기 광학 변조기
130: 태양광 검출기
140: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
150: 부분투과미러
160: 변조 신호 발생기
170: 레이저 증폭기

Claims (10)

  1.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출력빔 신호를 변조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태양광 검출기(Photovoltaic Detector); 및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과 연관된 입력 추세를 더 고려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하는 상승 추세일 경우,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는,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 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2)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켜 입력하는 하강 추세일 경우,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는,
    (1)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2) 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빔 신호를 입력받는 부분투과미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는,
    상기 부분투과미러에 의해 입력된 출력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최초 전압을 설정하는 바이어스 전압 설정 볼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일정 단위 레벨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조정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8.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출력빔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
    상이한 복수의 시점에, 상기 변조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출력빔 신호의 세기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광학 변조기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하는 상승 추세일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승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추세가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켜 입력하는 하강 추세일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검출된 제1 세기가, 상기 제1 시점과 상이한 이전의 제2 시점에 검출된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세기가, 상기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하강 추세가 중단되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회로 제공 방법.
KR1020080115239A 2008-11-19 2008-11-19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099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39A KR100997036B1 (ko) 2008-11-19 2008-11-19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39A KR100997036B1 (ko) 2008-11-19 2008-11-19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184A true KR20100056184A (ko) 2010-05-27
KR100997036B1 KR100997036B1 (ko) 2010-11-26

Family

ID=4228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239A KR100997036B1 (ko) 2008-11-19 2008-11-19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00A (ko) 2015-01-08 2016-07-18 양아름 온도와 용량측정 보온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00A (ko) 2015-01-08 2016-07-18 양아름 온도와 용량측정 보온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036B1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5334B2 (en) Laser power control with automatic compensation
US9503195B2 (en) Working poin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MZ modulator
KR100621216B1 (ko) 아날로그/디지탈 혼합 방식 온도보상 기능을 구비한 광송신 장치
JP2005202400A (ja) バイアス制御装置を備えた光変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バイアス制御方法
ATE176098T1 (de) Lasermodulationsregler unter verwendung eines additions- und eines amplitudenmodulationssteuerungstones
KR20090067085A (ko) 전력 증폭 장치
JP2677234B2 (ja) 光変調装置
JP2008039929A (ja) 光送信システム及び光送信器,光送信方法、光送信用プログラム
JPH09232662A (ja) レーザ光発生装置
JP2012257164A (ja) 半導体光変調器の駆動制御装置
KR100445910B1 (ko) 광신호 세기의 변동에 관계없이 최적의 수신 성능을 갖는광신호 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997036B1 (ko) 고출력 레이저 시설에서의 전기 광학 변조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센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JP5020187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23107B2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transmission device
KR100449744B1 (ko)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화면 밝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72663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bias voltage for pulse generating modulator
KR100534595B1 (ko) 광변조기의 바이어스 전압 최적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광송신 시스템
JPWO2009078435A1 (ja) 外部変調器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EP1182807A3 (en) Method and system for first-order RF amplitude and bias control of a modulator
JP4940705B2 (ja) 光送信器およびバイアス制御方法
JP2005091517A (ja) 光変調素子のバイアス電圧制御方法及び安定化光変調器
JP2004301965A (ja) 光変調器のバイアス制御装置および該バイアス制御装置を用いた光変調装置
JP2004140707A (ja) 光送信装置、光受信装置、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JPH1023089A (ja) 送信出力制御回路
JPH1168669A (ja) 光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