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880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880A
KR20100055880A KR1020080114772A KR20080114772A KR20100055880A KR 20100055880 A KR20100055880 A KR 20100055880A KR 1020080114772 A KR1020080114772 A KR 1020080114772A KR 20080114772 A KR20080114772 A KR 20080114772A KR 20100055880 A KR20100055880 A KR 20100055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frame
interpolation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451B1 (ko
Inventor
김정원
유봉현
이준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1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451B1/ko
Priority to US12/499,386 priority patent/US8508554B2/en
Publication of KR2010005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04N7/013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being multiplied by a positive integer, e.g. for flicker redu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09G5/39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o the screen simultaneously, e.g. for mixing or over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각 보간 프레임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각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이고, 각 보간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이며, 제1 감마 곡선은 제2 감마 곡선과 상이하다.
표시 장치, 보간 프레임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and driving method sameof}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된 제1 표시판과, 공통 전극이 형성된 제2 표시판, 제1 및 제2 표시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 분자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은 액정 분자들의 응답 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액정 분자들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와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구동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래의 프레임(Origianl Frames)들 사이에 물체의 움직임이 보상된 보간 프레임(Interpolated Frames)을 삽입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는 초당 60장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제공 받아, 초당 120장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프레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여 액정 분자들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 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향상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향상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각 보간 프레임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각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이고, 각 보간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이며, 제1 감마 곡선은 제2 감마 곡선과 상이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 및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제1 또는 제2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제1 영상 신호는 원시 영상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신호이며, 제2 영상 신호는 이전 프레임 및 현재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보간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신호이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각 보간 프레임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각 프레임에서 원시 감마 곡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감마 곡선은 제2 감마 곡선과 상이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 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300), 신호 제어부(600), 게이트 구동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300)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G1~Gn),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m) 및 다수의 화소(PX)를 포함하며,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DA)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부(PA)로 구분된다. 여기서, 표시 패널(300)은 다수의 화소(PX)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표시 블록(DB)을 다수개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A)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1~Gn),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m), 스위칭 소자(미도시) 및 화소 전극(미도시)이 형성된 제1 기판(미도시)과, 컬러 필터(미도시)와 공통 전극(미도시)이 형성된 제2 기판(미도시), 제1 기판(미도시)과 제2 기판(미도시)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게이트 라인(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 라인(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그리고, 비표시부(PA)는 제1 기판(100)이 제2 기판(200)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한 화소(PX)에 대해 설명하면, 제1 기판(100)의 화소 전극(PE)과 대향하도록 제2 기판(200)의 공통 전극(CE)의 일부 영역에 색필터(CF)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번째(i=1~n) 게이트 라인(Gi)과 j번째(j=1~m) 데이터 라인(Dj)에 연결된 화소(PX)는 신호선(Gi, Dj)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와 이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liquid crystal capacitor, Clc) 및 유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를 포함한다. 유지 커패시터(Cst)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는 a-Si(amorphous - silicon)으로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a-Si TFT'라 함)이다.
신호 제어부(6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RGB),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를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제어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생성부(601) 및 영상 신호 처리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601)는 예컨대, 수직 동기 신호(Vsi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럭 신호(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게이트 구동부(400)에 제공되어, 게이트 구동부(400)의 동작 개시, 게이트 구동부(400)에서 제공되는 게이트 온 신호의 출력 시기 또는 펄스 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되어,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 개시 또는 데이터 구동부(500)에서의 데이터 신호의 출력 지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602)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기초로 생성된 영상 신호(RGB)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영상 신호(RGB)는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1 영상 신호(RGB_1), 및 각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영상 신호(RGB_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프레임은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 또는 그러한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일 수 있으며, 보간 프레임은 영상 신호 처리부(602)에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 또는 그러한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602)는 각 프레임에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레벨이 보정된 제1 영상 신호(RGB_1)를 제공하여, 표시 패널(300) 상에 원시 감마 곡선(예, 도 7a의 aa 곡선)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예, 도 7a의 bb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영상 신호 처리부(602)는 보간 프레임에서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이 보정된 제2 영상 신호(RGB_2)를 제공하여, 표시 패널(300) 상에 원시 감마 곡선(예, 도 7a의 aa 곡선)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예, 도 7a의 cc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되지 않은 원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은 원시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일 수 있으며, 또한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또는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은 디지털 신호의 계조(gray)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측면 시인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영상의 잔상(motion blur)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보간 프레임에서 잘못 계산된 인공 영상(artifact image)에 의한 화질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신호 처리부(602)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 등을 제공받아, 다수의 게이트 라인(G1~Gn)에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400)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비표시부(PA) 상에 형성되어 표시 패널(300)과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IC(Integrated Circuit)로써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표시 패널(300)의 일측에 게이트 구동부(400)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게이트 구동부가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로 구성되어 표시 패널(300)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0)는 구동 전압(AVDD) 및 원시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감마 기준 전압(GV)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0)에서 제공되는 기준 계조 전압(GV)는 영상 신호(RGB)가 원시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서로 다른 레벨의 다수의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0)는 예컨대, 다수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전압 분배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다수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0)의 내부 회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기준 계조 전압(GV), 영상 신호(RGB)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를 제공받아, 영상 신호(RGB)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각 데이터 라인(D1~Dm)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구동부(500)는 각 프레임에서 제1 영상 신호(RGB_1) 및 기준 계조 전압(GV)을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각 데이터 라인(D1~Dm)에 제공하며, 보간 프레임에서는 제2 영상 신호(RGB_2) 및 기준 계조 전압(GV)을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각 데이터 라인(D1~Dm)에 제공할 수 있 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부(500)는 IC로써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형태로 표시 패널(300)과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300)의 비표시부(PA)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60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영상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상 보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602)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제1 영상 신호(RGB_1) 및 제2 영상 신호(RGB_2)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RGB)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602)는 각 프레임의 원시 영상(original image)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제1 영상 신호(RGB_1) 및 각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제2 영상 신호(RGB_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RGB)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레벨이 보정된 제1 영상 신호(RGB_1), 및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이용하여 생성된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이 보정된 제2 영상 신호(RGB_2)를 포함하므로,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주파수(예, k Hz)에 비해 높은 주파수(예, 2k Hz)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신호 처리부(6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정부(620), 영상 보간부(630), 제2 보정부(640) 및 선택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정부(62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레벨을 보정하여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RGB_1)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정부(62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원시 영상 신호(RGB_org)보다 높은 레벨로 보정된 제1 영상 신호(RGB_1)로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보정부는 원시 영상 신호보다 낮은 레벨로 보정된 제1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0)는 각 프레임에서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높은 감마 전압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D1~Dm)에 제공하여,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대응되는 영상보다 높은 휘도를 가지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정부(620)는 예컨대,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대응하는 보정 값을 포함하는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정부(62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입력받고 제1 룩업 테이블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제공받아,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레벨을 보정하여 제1 영상 신호(RGB_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룩업 테이블은 제1 보정부(620) 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영상 보간부(630)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이용하여, 보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보간 신호(RGB_ip)를 생성한다. 이러한 보간 프레임은 원래의 프레임들 사이에 삽입되어 물체의 움직임을 보상하여, 표시 장치(10)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러한, 영상 보간부(6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색차 분리부(631), 모션 벡터 디텍터(633) 및 보간 영상 생성부(635)를 포함할 수 있다.
휘도/색차 분리부(631)는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와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를 각각 휘도 성분(br(j-1), br(j))과 색차 성분으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휘도/색차 분리부(631)는 그래픽 제어기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를 제공받고 프레임 메모리(미도시)로부터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를 제공받아, 각 원시 영상 신호(RGB_org frm(j-1), RGB_org frm(j))를 휘도 성분(br(j-1), br(j))과 색차 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휘도 성분은 밝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색차 성분은 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벡터 디텍터(633)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동일한 물체의 모션 벡터(MV)를 산출한다. 여기서, 모션 벡터(MV)는 영상에 포함된 어떤 물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물리량일 수 있다. 이러한, 모션 벡터 디텍터(633)는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의 휘도 성분(br(j-1))과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의 휘도 성분(br(j))을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물체의 모션 벡터(MV)를 산출할 수 있다.
보간 영상 생성부(635)는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제공받은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를 모션 벡터 디텍터(633)로부터 제공받은 모션 벡터(MV) 및 소정의 가중치(α)를 이용하여 보간 신호(RGB_ip)를 생성한다. 구체적으 로, 보간 영상 생성부(635)는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에 소정의 가중치(α)를 반영한 모션 벡터(MV×α)를 부여하여 보간 신호(RGB_ip)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간 영상 생성부(635)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 포함된 물체의 위치가 추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보간 신호(RGB_ip)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보정부(640)는 보간 신호(RGB_ip)를 제공받아,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을 보정하여 보간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RGB_2)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 보정부(640)는 보간 신호(RGB_ip)를 제공받아, 보간 신호(RGB_ip)보다 낮은 레벨로 보정하여 제2 영상 신호(RGB_2)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보정부는 보간 신호보다 높은 레벨로 보정된 제2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0)는 각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보간 프레임에서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낮은 감마 전압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D1~Dm)에 제공하여,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하는 영상보다 낮은 휘도를 가지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보정되지 않은 보간 신호(RGB_ip)와 원시 영상 신호(RGB_org)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시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정부(640)는 예컨대,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하는 보정 값을 포함하는 제2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정부(640)는 보간 신호(RGB_ip)를 입력받고 제2 룩업 테이 블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제공받아,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을 보정하여 제2 영상 신호(RGB_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룩업 테이블은 제2 보정부(640) 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부(650)는 제1 영상 신호(RGB_1) 또는 제2 영상 신호(RGB_2)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선택부(650)는 제1 및 제2 보정부(620, 640)로부터 제1 및 제2 영상 신호(RGB_1, RGB_2)를 제공받아,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제1 영상 신호(RGB_1) 또는 제2 영상 신호(RGB_2)를 영상 신호(RGB)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신호(SEL)는 제어 신호 생성부(601)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선택부(650)를 MUX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에서는 각 프레임 사이에 하나의 보간 프레임이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두개의 보간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다.
우선, 도 3, 도 4, 도 6 및 도 7a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각 프레임(frm(j-1), frm(j))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레벨이 보정된 제1 영상 신호(RGB_1)를 이용하여, 각 프레임(frm(j-1), frm(j))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10)의 제1 보정부(620)는 각 프레임(frm(j-1), frm(j))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원시 영상 신호(RGB_org)보다 소정의 레벨(예, a)만큼 높은 레벨을 가지는 제1 영상 신호(RGB_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bb)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의 투과율이 높아져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대응되는 영상보다 소정의 레벨(예, b)만큼 높은 휘도를 가지는 영상을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 및 도 7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이 보정된 제2 영상 신호(RGB_2)를 이용하여, 보간 프레임(frm(ip))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간 프레임(frm(ip))은 각 프레임(frm(j-1), frm(j)) 사이에 적어도 하나 삽입될 수 있다.
먼저, 영상 표시 장치(10)의 영상 보간부(630)는 이전 프레임(frm(j-1)) 및 현재 프레임(frm(j))에 각각 대응되는 원시 영상 신호들(RGB_org_ frm(j-1), RGB_org_ frm(j))을 이용하여, 보간 프레임(frm(ip))에서의 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보간 신호(RGB_ip)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보간부(630)는 이전 프레임(frm(j-1))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 및 현재 프레임(frm(j))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를 각각 휘도 성분(br(j-1), br(j))과 색차 성분으로 분리하고, 모션 벡터 디텍터(633)에서 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물체의 모션 벡터(MV)를 산출할 수 있다. 모션 벡터 디텍터(633)는 이전 프레임(frm(j-1))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의 휘도 성분(br(j-1))과 현재 프레임(frm(j))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의 휘도 성분(br(j))을 분석하여 휘도 분포가 가장 일치하는 영역에 동일한 물체가 표시된다고 판단하고, 이전 프레임(frm(j-1))과 현재 프레임(frm(j))에서의 상기 물체의 움직임으로부터 모션 벡터(MV)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전 프레임(frm(j-1))과 현재 프레임((frm(j))에서 물체의 동일성 여부를 인식하는 것은 예컨대, 각 표시 블록(DB)에 대응되는 이전 프레임(frm(j-1))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와, 현재 프레임(frm(j))에 대응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를 비교하여 물체의 동일성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간 영상 생성부(635)에서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제공받은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RGB_org_frm(j-1))를 모션 벡터 디텍터(633)로부터 제공받은 모션 벡터(MV)와 소정의 가중치(α)를 이용하여 보간 신호(RGB_ip)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표시 장치(10)의 제2 보정부(640)에서 보간 신호(RGB_ip)를 제공받아, 보간 신호(RGB_ip)보다 소정의 레벨(예, c)만큼 낮은 레벨을 가지는 제2 영상 신호(RGB_2)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0)는 보간 신호(RGB_ip)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cc)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의 투과율이 낮아져서,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되는 영상보다 소정의 레벨(예, b)만큼 낮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대응하는 영상을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표시할 뿐만 아니라,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이용하여 생성된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가적으로 생성된 보간 프레임(frm(ip))에서 표시한다. 또한,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bb)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며, 보간 프레임(frm(ip))에서는 보간 신호(RGB_ip)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cc)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또는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하는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1 및 제2 감마 곡선(bb, cc)에 대응하는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므로, 표시 장치(10)의 측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낮은 감마 계수를 가지는 제2 감마 곡선(cc)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여 표시 장치의 측면 시인성이 향상되면서도, 이와 교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감마 계수를 가지는 제1 감마 곡선(bb)에 대 응하는 영상을 표시하여, 이들 영상이 시간적으로 평균되어 원시 감마 곡(aa)선에 대응하는 영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시 영상 신호(RGB_org)의 주파수(예, k Hz)보다 더 높은 주파수(예, 2k Hz)의 영상 신호(RGB)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각 프레임(frm(j-1), frm(j))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frm(ip))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의 영상을 표시하므로, 영상의 잔상이 저감되어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frm(j-1), frm(j))보다 더 많은 수의 영상 프레임(frm(j-1), frm(ip), frm(j))을 1초당 표시할 뿐만 아니라, 각 프레임(frm(j-1), frm(j))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frm(ip))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의 영상을 표시하므로, 사람의 눈에 인지되는 빛의 누적값이 감소하여 잔상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서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감마 계수를 가지는 제2 감마 곡선(cc)에 대응하는 영상이므로, 인위적으로 생성된 보간 신호(RGB_ip)의 오류에 의한 화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보간 프레임(frm(ip))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낮은 휘도를 가지므로, 보간 프레임(frm(ip))에서의 화질 불량이 상대적으로 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이전 프레임(frm(j-1)) 및 이전 프레임(frm(j-1))과 현재 프레임(frm(j))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frm(ip))에서는 제1 극성(예, 정극성)의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300)에 제공 하며, 현재 프레임(frm(j))에서는 제2 극성(예, 부극성)의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프레임(예, 각 프레임(frm(j-1))과 연속되는 각 보간 프레임(예, frm(ip))마다 극성이 반전된 데이터 신호를 각 화소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300)에 포함된 액정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리커에 의한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화소 단위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다른 것('도트 반전')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 프레임 단위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다르거나('프레임 반전'), 신호 라인 단위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다를 수 있다('라인 반전').
이하, 도 9 내지 도 11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픈 표시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감마 전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의 영상 신호 처리부(60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와 달리 영상 신호 처리부(603)에서 보정되지 않은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및 보정되지 않은 보간 신호(RGB_ip)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의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와 달리 제1 기준 감마 전압(GV_1) 또는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데이터 구동부(500)에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의 영상 신호 처리부(603)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및 보간 신호(RGB_ip)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RGB)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하며, 영상 보간부(630) 및 선택부(650)를 포함한다. 즉, 영상 신호 처리부(603)는 선택 신호(SEL)에 따라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영상 신호(RGB')로서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하며,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는 보간 신호(RGB_ip)를 영상 신호(RGB')로서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1)는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 또는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701)는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제1 감마 곡선(예, 도 13a의 b 곡선)에 대응하는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을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하며,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는 제2 감마 곡선(예, 도 13a의 c 곡선)에 대응하는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1)는 예컨대, 도 11과 같이 메모리(710), 선택부(720) 및 감마 전압 생성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10)는 제1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제1 룩업 테이블 및 제2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제2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부(650)는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제1 룩업 테이블에 대응하는 제1 변환 데이터(G_1) 또는 제2 룩업 테이블에 대응하는 제2 변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부(650)는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제1 변환 데이터(G_1)를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1)에 제공하며,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 제1 변환 데이터(G_1)를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1)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선택부(650)는 영상 신호 처리부(602)에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또는 보간 신호(RGB_ip)를 선택적으로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변환 데이터(G_1) 또는 제2 변환 데이터(G_2)를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1)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701)는 제공받은 제1 변환 데이터(G_1) 또는 제2 변환 데이터(G_2)를 이용하여,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 또는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은 제1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서로 다른 레벨의 다수의 전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은 제2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이용되는 서로 다른 레벨의 다수의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및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frm(j-1), frm(j))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보간 신호(RGB_ip) 및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이용하여 각 보간 프 레임(frm(ip))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와 보간 신호(RGB_ip)의 레벨이 동일할 경우,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1 데이터 신호가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2 데이터 신호보다 레벨이 더 높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0)는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및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을 이용하여 제1 감마 곡선(예, 도 13a의 bb) 상에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며,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는 보간 신호(RGB_ip) 및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이용하여 제2 감마 곡선(예, 도 13a의 cc) 상에서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각 프레임(frm(j-1), frm(j))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RGB_org) 및 제1 감마 기준 전압(GV_1)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frm(j-1), frm(j))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는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bb)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의 투과율이 높아져서,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원시 영상 신호(RGB_org)에 대응되는 영상보다 소정의 레벨(예, b)만큼 높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각 보간 프레임(frm(ip))에 대응하는 보간 신호(RGB_ip) 및 제2 감마 기준 전압(GV_2)을 이용하여, 각 보간 프레임(frm(ip))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는 보간 프레임(frm(ip))에서 보간 신호(RGB_ip)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cc)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의 투과율이 낮아져서,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보간 신호(RGB_ip)에 대응되는 영상보다 소정의 레벨(예, b)만큼 낮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 프레임(frm(j-1), frm(j))에서 원시 영상 신호(RGB_org)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bb)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며, 각 보간 프레임(frm(ip))에서는 보간 신호(RGB_ip)를 제공받아 원시 감마 곡선(aa)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cc)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시인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영상의 잔상(motion blur)이 저감될 수 있 다. 또한, 보간 프레임에서 잘못 계산된 인공 영상(artifact image)에 의한 화질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상 보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픈 표시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감마 전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프레임 및 각 보간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정 표시 장치 100: 제1 기판
200: 제2 기판 300: 표시 패널
400: 게이트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신호 제어부 601, 603: 영상 신호 처리부
602: 제어 신호 처리부 620: 제1 보정부
630: 영상 보간부 640: 제2 보정부
700, 701: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

Claims (20)

  1.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각 보간 프레임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상기 각 프레임 및 각 상기 보간 프레임에서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각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이고,
    상기 각 보간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이며,
    상기 제1 감마 곡선은 상기 제2 감마 곡선과 상이한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은 상기 원시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이고,
    상기 제1 감마 곡선은 원시 감마 곡선보다 높은 감마 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2 감마 곡선은 상기 원시 감마 곡선보다 낮은 감마 계수를 가지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원시 영상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제1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보정부와
    이전 프레임 및 현재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보간부와
    상기 보간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보간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제2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보다 높은 레벨로 보정된 신호이며,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보간 신호보다 낮은 레벨로 보정된 신호인 표시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기준 계조 전압 또는 제2 기준 계조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와
    상기 원시 영상 신호 및 상기 제1 기준 계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보간 신호 및 상기 제2 기준 계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보간 각 보간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영상 신호 및 상기 보간 신호의 레벨이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2 데이터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는
    제1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제1 룩업 테이블 및 제2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제2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에 대응하는 제1 변환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에 대응하는 제2 변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선택부와
    상기 제1 변환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준 계조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원시 영상 신호 또는 상기 보간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 계조 전압 제공부의 상기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변환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변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이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 및 현재 프레임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물체의 모션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모션 벡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보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다수의 표시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각 표시 블록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보간부는 상기 각 표시 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이전 프레임의 상기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원시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동일한 물체를 인식하는 표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프레임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두개 삽입되는 표시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 및 상기 이전 프레임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는 제1 극성을 가지며,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1 극성과는 상이한 제2 극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
  14.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 및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보간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신호이며,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이전 프레임 및 상기 현재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보간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신호인 표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원시 영상 신호의 레벨을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보정부와
    상기 이전 프레임 및 상기 현재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보간부와
    상기 보간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보간 신호의 레벨을 보정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제2 보정부와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보다 높은 레벨로 보정된 신호이며,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보간 신호보다 낮은 레벨로 보정된 신호인 표시 장치.
  17.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각 보간 프레임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프레임에서 원시 감마 곡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1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보간 프레임에서 상기 원시 감마 곡선에서 보정된 제2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감마 곡선은 상기 제2 감마 곡선과 상이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마 곡선은 상기 원시 감마 곡선보다 높은 감마 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2 감마 곡선은 상기 원시 감마 곡선보다 낮은 감마 계수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시 영상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제1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각 보간 프레임에서 상기 제2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보간 신호의 레벨이 보정된 제2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제1 기준 계조 전압 또는 제2 기준 계조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준 계조 전압 및 상기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각 보간 프레임에서 상기 제2 감마 곡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준 계조 전압 및 상기 보간 신호를 이용하여 제2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080114772A 2008-11-18 2008-11-1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49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4772A KR101494451B1 (ko) 2008-11-18 2008-11-1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2/499,386 US8508554B2 (en) 2008-11-18 2009-07-08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4772A KR101494451B1 (ko) 2008-11-18 2008-11-1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880A true KR20100055880A (ko) 2010-05-27
KR101494451B1 KR101494451B1 (ko) 2015-02-16

Family

ID=4217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14772A KR101494451B1 (ko) 2008-11-18 2008-11-1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8554B2 (ko)
KR (1) KR1014944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311A (ko) * 2012-07-23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47965A (ko) * 2013-10-25 2015-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230511B2 (en) 2013-08-01 2016-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044166A (ko) * 2014-10-14 2016-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4225B (zh) * 2009-10-13 2013-12-1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JP5574830B2 (ja) * 2010-06-03 2014-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TW201234074A (en) * 2011-02-08 2012-08-1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LCD and driving method applicable thereto
KR102024852B1 (ko) * 2013-04-16 2019-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5355181A (zh) * 2015-12-03 2016-02-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液晶显示面板
CN109599055B (zh) * 2019-02-20 2022-09-13 重庆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装置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7483A (en) * 1985-09-27 1987-06-30 Rca Corporation Interpolation filter with motion compensation
JP2578859B2 (ja) * 1987-12-25 1997-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方式変換装置
KR100870487B1 (ko) * 2001-07-04 2008-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시야각을 위한 액정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 및 장치
JP3999081B2 (ja) * 2002-01-30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072080B2 (ja) 2002-12-03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579493B1 (ko) * 2003-06-16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벡터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754388B1 (ko) * 2003-12-27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지듀 영상 다운/업 샘플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05241787A (ja) 2004-02-25 2005-09-08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表示装置
JP2005300695A (ja) * 2004-04-07 2005-10-27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表示装置及び該プラズマ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方法
JP2007538268A (ja) * 2004-05-19 2007-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液晶テレビ及び液晶モニタ
US7545421B2 (en) * 2004-10-28 2009-06-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gamma curves for digital image devices
KR20060065956A (ko) * 2004-12-11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1142995B1 (ko) 2004-12-13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4768344B2 (ja) * 2005-05-11 2011-09-07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KR20060128450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JP2007108439A (ja) * 2005-10-13 2007-04-26 Renesas Technology Corp 表示駆動回路
KR100782826B1 (ko) * 2005-12-10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US20070147510A1 (en) * 2005-12-27 2007-06-28 Islam Asad Method and module for altering color space parameters of video data stream in compressed domain
KR20080011854A (ko) 2006-08-0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18367B1 (ko) 2006-09-26 201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5542297B2 (ja) * 2007-05-17 2014-07-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0953143B1 (ko) * 2007-05-21 2010-04-1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신호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표시 방법
KR101504750B1 (ko) * 2007-06-13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4587186B2 (ja) * 2008-04-22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パルス型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311A (ko) * 2012-07-23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230511B2 (en) 2013-08-01 2016-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50047965A (ko) * 2013-10-25 2015-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44166A (ko) * 2014-10-14 2016-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451B1 (ko) 2015-02-16
US8508554B2 (en) 2013-08-13
US20100123739A1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755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luminance depending on operating frequency
KR10149445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624936B2 (en) Display panel control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liance,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102246262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1003776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dot inversion thereof
JP5110788B2 (ja) 表示装置
US970442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70115151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08030960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1890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 quality of flat panel display
JP2006343706A (ja) 表示装置
US918999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080246784A1 (en) Display device
US99783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80044104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87366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80246709A1 (en) Display device
KR2007008029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JP2009058784A (ja) 表示装置
US20080068395A1 (en) Display device
JP2009237594A (ja) 画像処理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60094513A (ko)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US20080309686A1 (en) Display Device
JP5301644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10010341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