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814A -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814A
KR20100055814A KR1020080114692A KR20080114692A KR20100055814A KR 20100055814 A KR20100055814 A KR 20100055814A KR 1020080114692 A KR1020080114692 A KR 1020080114692A KR 20080114692 A KR20080114692 A KR 20080114692A KR 20100055814 A KR20100055814 A KR 2010005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tripper
retainer
base material
stripper
driv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5814A/ko
Publication of KR2010005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형홀더(50)에 설치되어 하형리테이너(2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형리테이너(60)로부터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75)와,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75)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 이동되는 이동형 스트리퍼(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는 모재(P)의 이동을 안내하고, 동시에 상기 성형펀치(80)가 모재(P)를 타격하기에 앞서 상기 구동바(75)에 의해 눌려 상기 모재(P)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홀더(10)에는 제1탄성부재(41)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에 상기 상형리테이너(6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바(75)가 이동형 스트리퍼(45)로부터 분리되면 이동형 스트리퍼(45)를 모재(P)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위치시키게 된다.
프레스 금형, 스트리퍼, 승강

Description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having movable stripper}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펀치에 의한 타격에 앞서 이동하여 모재를 고정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프로그레시브 금형에는 스트리퍼가 설치된다. 상기 스트리퍼는 상기 모재의 이동을 안내하고, 펀치가 모재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모재를 가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트리퍼에는 상기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고정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모재의 이동을 안내하고 모재가 펀치에 의해 딸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스트리퍼와, 상기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재를 눌 러 펀치가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스트리퍼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동스트리퍼와 고정스트리퍼는 별개물로서, 각각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와 고정스트리퍼는 모재가 펀치에 딸려가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부품수를 늘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동스트리퍼를 생략할 수도 있으나, 고정스트리퍼는 펀치가 모재를 타격하기에 앞서 모재를 눌러주는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므로 모재의 정확한 성형이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가동스트리퍼를 두고 고정스트리퍼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모재의 이동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측에 설치되는 스트리퍼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재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펀치의 타격에 앞서 모재를 고정하는 역할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형리테이너가 설치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이동되고 성형펀치가 구비된 상형리테이너가 설치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하형리테이너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를 향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모재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상형홀더와 하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성형펀치가 모재를 타격하기에 앞서 상기 구동바에 의해 눌려 상기 모재를 고정시키는 이동형 스트리퍼와,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에 상기 상형리테이너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바가 이동형 스트리퍼로부터 분리되면 이동형 스트리퍼를 모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며 양측에 쌍을 이루며 구비되어 모재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승강부와,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모재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형성된 승강제한턱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의 연결부에는 상기 성형펀치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의 제1승강부 또는 제2승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구동바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형스트리퍼와 상기 제1탄성부재 사이에는 푸시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동형 스트리퍼에 전달한다.
상기 푸시블록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블록의 이동행정을 제한한다.
상기 상형홀더에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에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크다.
상기 구동바에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바를 감싸는 펀치케이스에는 상기 돌출턱에 대응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바가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제한된다.
상기 구동바는 상기 성형펀치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형리테이너에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되어 모재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성형펀치에 의해 모재가 타격되기에 앞서 모재를 눌러 고정시켜주게 되어, 모재를 눌러주기 위한 별도의 가동스트리퍼를 상형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부품수 및 금형조립체의 무게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모재의 양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모재의 상면을 눌러 고정시키게 되므로 성형펀치에 의한 모재의 성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재를 안내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눌러주기 위한 기능이 이동형 스트리퍼에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하형측의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별도의 가동스트리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금형조립체의 전체 설계가 상대적으로 단순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금형조립체의 하형측에 대해 설명하면, 하형홀더(10)에는 제1설치공간(1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설치공간(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탄성부재(41)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상기 하형홀더(10)와 후술할 상형홀더(50)의 상대이동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형홀더(10)에는 취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취출구(12)는 모재(P)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스크랩(T)이 배출되기 위한 빈 공간으로 상기 제1설치공간(11)과 마찬가지로 상기 하형홀더(10)와 상형홀더(50)의 상대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형홀더(10)에는 백킹플레이트(15)가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백킹플레이트(15)에는 상기 제1설치공간(11)과 연통되는 연통공(16)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푸시블록(43)이 설치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5)에는 하형리테이너(20)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상기 연통공(16)과 연통되는 승강통공(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승강통공(2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가 삽입된다.
상기 승강통공(21)에는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제1승강부(46) 및 제2승강부(46')에 형성되는 걸림부(48)가 걸어지는 승강제한턱(22)이 구비되어,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통공(21)에는 단차부(23)가 구비되는데, 상기 단차부(23)에는 후술할 푸시블록(43)의 걸림턱(44)이 걸어져 푸시블록(43)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성형다이(30)가 설치된다. 상기 성형다이(30)는 상기 모재(P)가 안착되어 가공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성형펀치(80)와 협력하여 모재(P)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성형다이(30)에는 상기 하형홀 더(10)의 취출구(12)와 연통되는 통공(31)이 형성되어 모재(P)로부터 분리된 스크랩(T)이 이동된다.
상기 하형홀더(10)에는 스트리퍼조립체(40)가 설치된다. 상기 스트리퍼조립체(40)는 모재(P)의 이동을 안내하고 모재(P)를 눌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제1탄성부재(41)와 푸시블록(43), 그리고 이동형 스트리퍼(45)로 구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41)는 상기 하형홀더(10)의 제1설치공간(11)에 설치되어 이동형 스트리퍼(4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41)의 일단은 상기 푸시블록(43)에 접하고, 타단은 세트스크류(42)에 접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41)와 이동형 스트리퍼(45) 사이에는 푸시블록(43)이 구비된다. 상기 푸시블록(43)은 상기 제1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푸시블록(43)의 상면이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의 저면에 면접촉함으로써 제1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좀 더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푸시블록(43)의 교체를 통해 제1탄성부재(41)의 압축량을 조절함으로써 제1탄성부재(41)에 의한 탄성력을 변화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기 푸시블록(43)에는 걸림턱(44)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44)은 상기 하형리테이너(20)의 단차부(23)에 걸어져 푸시블록(43)의 이동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4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43)의 일부가 다른 부분과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푸시블록(43)에는 이동형 스트리퍼(45)가 연결된다.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재(P)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모재(P)를 선택적으로 눌러 성형펀치(80)에 의한 정확한 성형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에는 제1승강부(46) 및 제2승강부(46')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46,46')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의 승강통공(21)에 삽입되어 상기 하형홀더(10)와 상형홀더(50)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는 서로 쌍을 이루어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각각 상기 모재(P)의 양단을 지지하여 그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는 구동바(75)에 의해 실질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즉, 상기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는 각각 별도의 구동바(75)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사익 이동형 스트리퍼(45) 전체가 상기 하형홀더(1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46)에는 안착홈(47)이 형성되어, 구동바(75)의 선단 일부가 삽입된다. 이는 구동바(75)가 제1승강부(46)를 정확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승강부(46')에도 안착홈(4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46)에는 걸림부(48)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48)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의 승강제한턱(22)에 걸어져, 상기 제1승강부(46)의 이동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승강부(46')에도 걸림 부(4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 사이에는 연결부(49)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49)는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46,46')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모재(P)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성형펀치(80)가 상기 모재(P)를 타격하기에 앞서, 상기 모재(P)를 눌러주어 모재(P)가 정확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49)는 상기 모재(P)가 성형펀치(80)에 의해 타격된 후에 성형펀치(80)에 의해 딸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49)에는 관통공(49')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9')은 성형펀치(80)가 통과하게 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펀치(80)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성형펀치(8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 그리고 연결부(49)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에는 이송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공간(S)은 상기 모재(P)가 실질적으로 이동되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승강에 따라 그 높이는 변화된다.
다음으로, 상형측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하형홀더(10)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상형홀더(50)에는 제2설치공간(5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설치공간(5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탄성부재(71)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상형홀더(50)와 하형홀더(10)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형홀더(50)에는 백킹플레이트(55)가 구비되고, 상기 백킹플레이트(55)에는 상형리테이너(60)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0)에는 펀치포 켓(61)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포켓(61)에는 후술할 펀치케이스(77)가 삽입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5)는 상형리테이너(60)의 일부라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상형홀더(50)에는 구동바조립체(7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바조립체(70)는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형홀더(50)와 함께 승강된다. 상기 구동바조립체(70)는 제2탄성부재(71)와 푸시핀(73), 그리고 구동바(75)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71)는 상기 구동바(75)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설치공간(51)에 삽입된다. 그리고, 그 일단은 푸시핀(73)에 접하고 타단은 세트스크류(78)에 접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71)의 탄성력은 상기 제1탄성부재(41)의 탄성력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구동바(75)가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를 눌러 주기 위해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극복해야하기 때문에, 제2탄성부재(71)의 탄성력이 더 커야함을 의미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71)와 상기 구동바(75) 사이에는 푸시핀(73)이 구비되는데, 상기 푸시핀(73)은 상기 제2탄성부재(71)의 탄성력을 상기 구동바(7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시핀(73)의 일단에는 구동바(75)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바(75)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0)로부터 입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를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상형홀더(50) 방향으로 삽입되어, 성형펀치(80)가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 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바(75)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0)의 펀치포켓(61)에 설치되는 펀치케이스(77)에 의해 감싸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75)와 펀치포켓(61)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출턱(76)과 규제부(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형성되어 서로 걸어짐으로써, 상기 구동바(75)의 돌출정도가 제한된다. 미설명 부호 B는 볼트로서 상기 펀치케이스(77)를 상형리테이너(6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0)에는 성형펀치(80)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펀치(80)는 상기 상형홀더(50)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모재(P)를 타격하여 실질적으로 모재(P)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스트리퍼를 구비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모재가 성형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라 모재(P)가 가공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모재(P)는 이동형 스트리퍼(45)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공간(S)을 따라 이동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를 구성하는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9)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공간(S)을 따라 상기 모재(P)는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공간(S)을 따라 이동되던 모재(P)가 상기 성형다이(30) 상에 위치되면, 상기 상형홀더(50)가 상기 하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형리테이너(60) 및 이에 설치된 구동바(75)와 성형펀치(80) 역시 상기 하형리테이너(20)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동바(7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형리테이너(20)에 설치된 이동형 스트리퍼(45)와 접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바(75)의 선단이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제1승강부(46)에 형성된 안착홈(47)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바(75)가 계속하여 하강하면, 상기 구동바(75)는 이동형 스트리퍼(45)를 지지하고 있는 제1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를 하형홀더(10) 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제1탄성부재(41)의 탄성력보다 상기 구동바(75)를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71)의 탄성력이 더 크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가 하강하면,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연결부(49)는 상기 모재(P)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모재(P)는 고정된 상태가 되어 성형펀치(80)에 의해 타격되기에 앞서 정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형홀더(50)가 계속하여 하강하면,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는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구동바(75)는 더 이상 이동형 스트리퍼(45)를 누르지 못하고 상기 상형홀더(50)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후퇴된다. 이는 상기 구동바(75)가 펀치케이스(77)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구동바(75)가 상기 상형홀더(50) 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성형펀치(80)는 상대적으로 구동바(75)보다 하형리테이너(20)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상기 성형펀치(80)의 선단은 상기 모재(P)를 타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재(P)는 이동형 스트리퍼(45)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정확한 성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는 모재(P)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을 통해 모재(P)를 눌러 모재(P)가 정확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형리테이너(60)와 하형리테이너(20)가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상형홀더(50)가 상기 하형홀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성형펀치(80)는 상기 모재(P)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모재(P)는 성형펀치(80)의 선단에 딸려가려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이는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연결부(49)에 의해 방지된다. 왜냐하면, 상기 구동바(75)는 아직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제1승강부(46)를 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도 3참조)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연결부(49)는 상기 모재(P)를 누르고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모재(P)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형홀더(50)가 계속하여 상승되면 상기 구동바(75)가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를 누르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는 상기 제1탄성부재(41)에 의해 상형리테이너(60) 방향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모재(P)는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한 피치 이동하여 다음 공정을 준 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재(P)는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스트리퍼(45)와 구동바(75)는 각각 푸시블록(43)과 푸시핀(73)에 의해 탄성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지만, 상기 푸시블록(43)과 푸시핀(73)은 생략되고 각각 제1탄성부재(41)와 제2탄성부재(71)의 탄성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45)의 제1승강부(46)와 제2승강부(46')는 반드시 연결부(49)에 의해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서로 분리되어 별개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바(75)에 반드시 제2탄성부재(71)가 연결될 필요는 없다. 상기 상형홀더(50)와 하형홀더(10)가 도시된 것처럼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바(7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 방향으로 항상 중력을 받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에 상기 구동바(75)에 작용하는 중력이 상기 제2탄성부재(71)의 탄성력보다 커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모재가 성형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형홀더 11: 제1설치공간
12: 취출구 15: 백킹플레이트
20: 하형리테이너 30: 성형다이
40: 스트리퍼조립체 41: 제1탄성부재
43: 푸시블록 45: 이동형 스트리퍼
46,46': 제1 및 제2승강부 47: 안착홈
48: 걸림부 49: 연결부
50: 상형홀더 51: 제2설치공간
55: 백킹플레이트 60: 상형리테이너
61: 펀치포켓 70: 구동바조립체
71: 제2탄성부재 73: 푸시핀
75: 구동바 80: 성형펀치

Claims (10)

  1. 하형리테이너가 설치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이동되고 성형펀치가 구비된 상형리테이너가 설치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하형리테이너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형리테이너로부터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모재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상형홀더와 하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성형펀치가 모재를 타격하기에 앞서 상기 구동바에 의해 눌려 상기 모재를 고정시키는 이동형 스트리퍼와,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에 상기 상형리테이너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바가 이동형 스트리퍼로부터 분리되면 이동형 스트리퍼를 모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며 양측에 쌍을 이루며 구비되어 모재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승강부와,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모재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형성된 승강제한턱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의 연결부에는 상기 성형펀치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의 제1승강부 또는 제2승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구동바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스트리퍼와 상기 제1탄성부재 사이에는 푸시 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동형 스트리퍼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블록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블록의 이동행정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홀더에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에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에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바를 감싸는 펀치케이스에는 상기 돌출턱에 대응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바가 상기 이동형 스트리퍼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는 상기 성형펀치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KR1020080114692A 2008-11-18 2008-11-18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KR20100055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92A KR20100055814A (ko) 2008-11-18 2008-11-18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92A KR20100055814A (ko) 2008-11-18 2008-11-18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814A true KR20100055814A (ko) 2010-05-27

Family

ID=4228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692A KR20100055814A (ko) 2008-11-18 2008-11-18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58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366B1 (ko) * 2021-06-14 2022-06-29 (주)에스엠경금속 전자제품 하우징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366B1 (ko) * 2021-06-14 2022-06-29 (주)에스엠경금속 전자제품 하우징 가공방법
KR102437296B1 (ko) * 2021-06-14 2022-08-29 (주)에스엠경금속 전자제품 하우징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07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100055814A (ko) 이동형 스트리퍼가 구비된 금형조립체
KR100823342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가이드장치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112658124B (zh) 一种已打凸成型料带模外自动送料设备及送料方法
KR20080010511A (ko) 파인블랭킹 금형에서의 타발과 엠보싱을 위한 녹아웃장치
KR20190031009A (ko) 반응고 단조성형장치
KR10089415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CN205763354U (zh) 物料自动定位模具
KR100846853B1 (ko) 모재가이드장치
CN217393509U (zh) 一种防止浮块跳出的下模
CN215941253U (zh) 一种具有缓冲机构的工字形冲头
KR101053228B1 (ko) 펀칭금형 기구
CN107107150B (zh) 用于适应不同的模具压料件销模式的冲压机垫板适配器
CN210877211U (zh) 连续模浮板斜楔机构
CN214078847U (zh) 一种电子元件加工用冲压模具
CN209986075U (zh) 汽车加强板冲孔成型加工模具
CN218744370U (zh) 连续冲压模活动成型结构
KR20080005827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리프터 체결구조
CN217223198U (zh) 一种用于末端卸扣生产的压弯装置
KR101115346B1 (ko) 양단 탄성편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