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213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213A
KR20100055213A KR1020080114179A KR20080114179A KR20100055213A KR 20100055213 A KR20100055213 A KR 20100055213A KR 1020080114179 A KR1020080114179 A KR 1020080114179A KR 20080114179 A KR20080114179 A KR 20080114179A KR 20100055213 A KR20100055213 A KR 2010005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load
intermittent
opening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7156B1 (ko
Inventor
도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156B1/ko
Priority to CN200810190799XA priority patent/CN101440566B/zh
Priority to CN200980154627XA priority patent/CN102282305B/zh
Priority to PCT/KR2009/006742 priority patent/WO2010056084A2/ko
Priority to EP09826316.3A priority patent/EP2374925B1/en
Priority to US13/129,683 priority patent/US9206541B2/en
Publication of KR2010005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세제 또는 고형세제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제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세제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단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속부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단속부는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 중 어느 하나의 하중을 견디도록 형성된다.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면 상기 단속부가 개방되어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 중 어느 하나를 드럼 및 터브로 공급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개구부를 단속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가 세탁물을 세탁할 때, 액체세제 또는 고형세제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액체세제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별도의 용기를 세제박스에 체결하여 상기 액체세제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액체세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에 용해되어 드럼 및 터브로 공급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액체세제를 사용하기 위하여 번번히 상기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액체세제를 사용한 후에 상기 별도의 용기를 세제박스에서 분리하여 다른 곳에 보관하였다.
본 발명은 세탁수의 수압에 의하여 세제를 공급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체세제 또는 고형세제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세제저장부가 구비되는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의 일측에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제저장부로 공급하는 세탁수분배장치와, 상기 세제저장부의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개폐하는 단속부를 포함하여 액체세제 또는 고형세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용기를 세제박스에 체결하지 않고도 상기 액체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수행되는 드럼(122)와, 드럼(122)이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미도시)와, 캐비닛(110) 외부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탁수 배수장치(미도시)와,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제 및 첨가제와 혼합되어 저장되는 세제박스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한 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커버(112)와, 커버(112)의 일측에 배치되어 캐비닛 본체(111)와 체결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의 상측에 배치되어 캐비닛 본체(111)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플레이트(119)를 포함한다. 한편, 커버(112)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드럼(122)으로 삽입하는 삽입홀(미표기)와,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도록 커버(112)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외부의 사용자에게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부(118)와,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제어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17)와, 컨트롤패널(115)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제박스(160)가 체결되는 세제박스체결홀(미표기)을 포함한다. 세제박스어셈블리(미도시)는, 세제박스(160)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분사하는 세탁수분사장치(미도시)와, 상기 분사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세제박스(160)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을 인가한 후, 사용자는 세제박스(160)에 액체세제 또는 고체세제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한다. 상기 액체세제 또는 고체세제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면,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어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체세제 중 어느 하나와 혼합된다. 상기 혼합된 세탁수는 드럼(122) 및 상기 터브로 유동하여 드럼(122)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과 혼합된다. 한편, 드럼(122)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되면, 세탁수는 상기 세탁수 배수장치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 다. 상기 세탁수가 배출되면,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체세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세탁수를 공급받아 세탁물의 헹굼을 수행하고, 탈수를 진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박스(16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제박스(160)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161)와, 세제저장부(161)의 일측에 형성되어 첨가제가 저장되는 첨가제저장부(162)를 포함한다. 세제박스(160)는 세제저장부(161)의 일측에 개구부(미표기)를 포함한다. 세제저장부(161)의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페하는 단속부(170)를 포함한다. 한편, 단속부(170)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바디부(171)와, 바디부(1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제박스(160)와 바디부(171)를 체결하는 체결부(172)와, 체결부(17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디부(171)로부터 편중되도록 형성되어 하중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하중부(173)를 포함한다. 하중부(173)는, 바디부(17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중부바디(174)와, 하중부바디(174)에 배치되어 자중방향으로 하중을 형성하는 하중형성부(175)를 포함한다. 한편, 단속부(170)는 상기 액체세제 도는 고형세제 중 어느 하나의 하중을 견디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중부(173)는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미표기)를 포함한다. 즉, 하중부바디(174)는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하중부바디(174)의 하중은 일측으로 편중된다. 상기 돌출부는 하중부(173)의 자중이 체결부(172)의 일측에 형성시킨다. 또한, 체결부(172)는 흰 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체결부(172)가 상기 흰지를 포함하는 경우, 바디부(171)는 상기 흰지에 체결되어 회전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세제박스(160)에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를 삽입한다. 사용자가 상기 액체세제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액체세제는 세제저장부(161)에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액체세제는 세제저장부(161)에 저장될 때, 단속부(170)에 의하여 상기 액체세제는 세제저장부(161)에 존속한다. 상기 액체세제는 세제저장부(161)에 저장되어 단속부(170)에 압력을 가한다. 한편, 상기 압력이 단속부(170)에 가해지면, 하중부(173)는 하측방향으로 하중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이 단속부(170)에 가해질 때, 바디부(171)의 하중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하측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액체세제에 의한 세제저장부(161)에 저장된 상태로 유진된다. 한편, 상기 액체세제가 세제저장부(161)에 저장된 후, 상기 세탁수 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유입시킨다. 상기 세탁수가 유입되면, 상기 세탁수는 세제박스(160)로 유입되어 세제저장부(161)로 유동한다. 세제저장부(161)에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소정수위 이상이면, 단속부(17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압력에 의하여 단속부(170)가 개방된다. 단속부(170)가 개방되면, 상기 세탁수는 드럼(122) 및 상기 터브로 유동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고형세제를 세제저장부(161)에 삽입할 때, 단속부(170)는 상기 고형세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속부(170)는 상기 고형세제의 하중에 의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고형세제를 삽입한 후, 세탁수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단속부(170)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고형세제는 상기 세탁수와 혼합되어 드럼(122) 및 상기 터브로 유동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속부(17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속부(170)가 개구부를 폐쇄할 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속부(160)가 개구부를 개방할 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속부의 자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단속부(160)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바디부(171)와, 바디부(1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제박스(160)와 바디부(171)를 체결하는 체결부(172)와, 체결부(17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디부(171)로부터 편중되도록 형성되어 하중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하중부(173)를 포함한다. 하중부(173)는, 바디부(17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중부바디(174)와, 하중부바디(174)에 배치되어 자중방향으로 하중을 형성하는 하중형성부(175)를 포함한다.
한편, 단속부(17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를 세제저장부(161)에 삽입한다. 상기 액체세제 또는 고형세제를 삽입하면,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가 단속부(170)에 힘을 가한다. 단속부(170)는 상기 힘을 견디도록 자중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가 세제저장부(161)에 저장되면,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가 단속부(170)에 힘을 가한다. 단속부(170)에 형성되는 자중(ω12)은 상기 힘에 의하여 단속 부(17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디부(171)의 자중(ω1)과 하중부(173)의 자중(ω2)이 체결부(172)의 일측에 형성된다. 바디부(171)의 자중(ω1)과 하중부(173)의 자중(ω2)은 체결부(172)의 동일측면에 형성하여 모멘트를 형성한다. 즉, 하중부(173)의 자중(ω1)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171)의 자중(ω2)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형성된다. 반면,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힘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모멘트가 형성된다. 이 때, 바디부(171)의 자중(ω1)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와 하중부(173)의 자중(ω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의 합은 상기 고형세제 또는 상기 액체세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힘에 의한 모멘트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면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와 혼합되어 단속부(17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세탁수의 수압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모멘트를 형성한다. 이 때, 바디부(171)의 자중(ω1)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와 하중부(173)의 자중(ω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의 합은 상기 세탁수의 수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힘에 의한 모멘트보다 작아지면, 단속부(170)는 개방된다. 단속부(170)가 개방되면, 상기 세탁수는 드럼(122) 및 상기 터브로 유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용기를 세제박스(160)에 체결하지 않아 도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드럼(122) 및 상기 터브의 상기 세탁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상기 자중들(ω12)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세제박스(160)는 단속부(170)의 회전정도를 구속하는 구속벽(180)을 포함한다. 구속벽(180)은 단속부(170)가 회전할 때, 단속부(170)가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어 세제저장부(161)에 저장되면, 수압에 의하여 단속부(170)가 개방된다. 이 때, 단속부(17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단속부(170)가 상기 소정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하게 되면, 단속부(170)에 형성되는 자중들(ω12)에 의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모멘트가 형성된다. 상기 모멘트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세탁수가 드럼(122) 및 상기 터브로 유동한 후에도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지 못한다. 그러나 구속벽(180)이 형성된 경우는 단속부(170)가 상기 소정각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회전각도를 구속한다. 즉, 구속벽(180)은 단속부(170)가 회전할 때, 하중부(173)의 자중(ω1)과 바디부(171)의 자중(ω1)이 체결부(172)의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중부(173)를 구속한다. 따라서 구속벽(180)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상기 소정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세탁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상기 자중들(ω12)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디 부(171)의 자중(ω2)과 하중부(173)의 자중(ω1)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바디부(171)의 자중(ω2)이 하중부(173)의 자중(ω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71)의 자중(ω2)이 하중부(173)의 자중(ω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세탁수가 드럼(122) 및 상기 터브로 유동한 후 상기 자중들(ω12)에 의하여 모멘트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세탁수가 세제저장부(161)에 소정수위 이하가 되면, 바디부(171)의 자중(ω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와 하중부(173)의 자중(ω1)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에 의하여 단속부(170)는 회전한다. 이 때, 바디부(171)의 자중(ω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가 하중부(173)의 자중(ω1)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멘트보다 크게 되어 단속부(1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단속부(170)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단속부(170)의 다른 실시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에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속부(270)는, 세제박스(160)의 일측에 체결되는 바디부(271)와, 바디부(271)와 세제박스(160) 체결되어 액체세제 또는 고형세제의 하중을 견디도록 바디부(271)에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부(272)를 포함한다. 탄성부(272)는 바디부(271)에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속부(270)의 작동을 살펴보면, 탄성부(272)는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의 하중을 견디도록 상기 탄성력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를 세제저장부(261)에 삽입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바디부(271)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 때,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어 세제저장부(261)에 삽입되면,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소정수위에 도달할 때, 상기 세탁수의 수압과 상기 탄성력이 같아지게 된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소정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수압은 상기 탄성력보다 크게 된다. 상기 세탁수의 수압이 커짐에 따라 바디부(271)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다.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면, 상기 세탁수는 드럼(122) 및 상기 터브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세탁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세탁수의 수위는 상기 소정수위 이하가 된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소정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세탁수의 수압은 상기 탄성력보다 작게되어 바디부(271)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탄성력을 활용하여 세제박스(260)에 별도의 용기를 체결하지 않고도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별도의 용기를 체결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박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속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속부가 개구부를 폐쇄할 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속부가 개구부를 개방할 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속부의 자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단속부의 다른 실시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61 : 세제저장부
110 : 캐비닛 170 : 단속부
111 : 캐비닛 본체 171 : 바디부
113 : 도어 172 : 체결부
115 : 컨트롤패널 173 : 하중부
160 : 세제박스

Claims (11)

  1. 액체세제 또는 고형세제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세제저장부가 구비되는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의 일측에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제저장부로 공급하는 세탁수분배장치와,
    상기 세제저장부의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세탁수가 소정수압을 형성하면 개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세제박스의 일측에 체결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와 상기 세제박스에 체결되어 상기 액체세제 또는 상기 고형세제의 하중을 견디도록 상기 바디부에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제박스와 상기 바디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편중되도록 형성되어 하중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하중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하중부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의 자중은 상기 바디부의 자중과 상이하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는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중부의 자중이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형성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흰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단속부의 개방정도를 구속하는 구속벽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속벽은 상기 단속부가 회전할 때, 상기 하중부의 자중과 상기 바디부의 자중이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중부를 구속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80114179A 2008-11-17 2008-11-17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3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79A KR101037156B1 (ko) 2008-11-17 2008-11-17 세탁물 처리기기
CN200810190799XA CN101440566B (zh) 2008-11-17 2008-12-28 洗涤物处理装置
CN200980154627XA CN102282305B (zh) 2008-11-17 2009-11-17 衣物处理设备
PCT/KR2009/006742 WO2010056084A2 (ko) 2008-11-17 2009-11-17 세탁물 처리기기
EP09826316.3A EP2374925B1 (en) 2008-11-17 2009-11-17 Laundry processing device
US13/129,683 US9206541B2 (en) 2008-11-17 2009-11-17 Laundry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79A KR101037156B1 (ko) 2008-11-17 2008-11-17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213A true KR20100055213A (ko) 2010-05-26
KR101037156B1 KR101037156B1 (ko) 2011-05-26

Family

ID=4072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179A KR101037156B1 (ko) 2008-11-17 2008-11-17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06541B2 (ko)
EP (1) EP2374925B1 (ko)
KR (1) KR101037156B1 (ko)
CN (2) CN101440566B (ko)
WO (1) WO20100560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336A (ko) * 2012-01-11 201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CN102677431B (zh) * 2012-05-31 2014-01-01 飞龙家电集团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衣粉送料盒
KR102151818B1 (ko) * 2014-06-23 2020-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DE102018204818A1 (de) 2018-03-29 2019-10-02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Verschlussklapp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10199A1 (de) * 1967-12-28 1972-03-23 Siemens Elektrogeraete Gmbh Zum Waschen und Trocknen von Waesche dienender Waschautomat
US3757543A (en) * 1971-08-30 1973-09-11 Whirlpool Co Combination detergent dispenser and manual filter
DE2317305A1 (de) * 1973-04-06 1974-10-31 Domatic Dosiergeraete Und Appa Dosiervorrichtung
JPS5028571U (ko) 1973-07-05 1975-04-01
JPS539171Y2 (ko) 1973-08-03 1978-03-10
FR2546195B1 (fr) * 1983-05-20 1986-01-17 Esswein Sa Machine a laver le linge a couvercle comportant une reserve de produit lessiviel liquide
DE3608620A1 (de) * 1986-03-14 1987-09-24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 mit einer waschmittel-einspuelschale
JPH01238313A (ja) * 1988-03-18 1989-09-22 Toshiba Corp カレントスイッチ回路
JPH0395890U (ko) 1990-01-23 1991-09-30
IT226767Z2 (it) * 1992-07-13 1997-07-01 Whirlpool Italia Dispositivo per migliorare l'invio di detersivo in una vasca di una lavabiancheria lavasciuga o similare
JPH11333191A (ja) * 1998-02-04 1999-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状洗剤を自動に供給できる洗濯機
JP2002267034A (ja) * 2001-03-06 2002-09-18 Jeol Ltd クリーンルーム等の圧力逃し弁
ITTO20021030A1 (it) * 2002-11-29 2004-05-30 Elbi Int Spa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un agente di lavaggio
KR101022224B1 (ko) * 2003-11-17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EP1561853B1 (en) * 2004-02-06 2015-03-04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for blocking outflow of fluid for washing machine
EP1607508A3 (en) * 2004-06-14 200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unit
KR100753440B1 (ko) * 2004-06-14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82305A (zh) 2011-12-14
KR101037156B1 (ko) 2011-05-26
CN102282305B (zh) 2013-07-31
EP2374925B1 (en) 2019-01-09
WO2010056084A3 (ko) 2010-09-23
EP2374925A2 (en) 2011-10-12
CN101440566A (zh) 2009-05-27
US9206541B2 (en) 2015-12-08
CN101440566B (zh) 2010-08-18
US20110283747A1 (en) 2011-11-24
WO2010056084A2 (ko) 2010-05-20
EP2374925A4 (en)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32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EP271981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etergent dissolution device
EP3346041B1 (en) Washing machine
KR10103715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988513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8783071B2 (en) Washing machine
US10508381B2 (en) Detergent feeding device for washer
KR101256141B1 (ko) 세탁기의 세탁첨가제 공급장치
US1095462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CN107761320B (zh) 洗衣机
KR100511956B1 (ko) 드럼세탁기의 급수방법
KR100484798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JP2020068927A (ja) 洗濯機
KR20100006958A (ko) 세제공급유닛 및 이를 갖춘 세탁기
JP201207568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70015303A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KR101192191B1 (ko) 세탁기
KR10103715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3715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872788B1 (ko) 드럼세탁기
KR101256144B1 (ko) 세탁기
KR100429645B1 (ko) 세탁기의 세제통 개폐장치
KR101256138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
KR20070064016A (ko) 빨래판이 구비된 드럼 세탁기
KR101064703B1 (ko) 세탁기의 유체 유출 차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