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679A -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679A
KR20100054679A KR1020080113686A KR20080113686A KR20100054679A KR 20100054679 A KR20100054679 A KR 20100054679A KR 1020080113686 A KR1020080113686 A KR 1020080113686A KR 20080113686 A KR20080113686 A KR 20080113686A KR 20100054679 A KR20100054679 A KR 2010005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uct
unit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619B1 (ko
Inventor
신성용
이태희
김영진
이호연
한승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619B1/ko
Priority to US12/488,628 priority patent/US8240156B2/en
Priority to EP09008457.5A priority patent/EP2187151B1/en
Priority to CN2009102051702A priority patent/CN101738046B/zh
Publication of KR2010005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얼음의 인출을 위하여 아이스덕트가 개방되면, 얼음의 이송을 위한 이빙모터의 동작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설정된 시간동안 증가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얼음의 인출이 개시되면 얼음의 인출속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빙모터의 손상이 감소되는 동시에 얼음의 이송과정의 신뢰성이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제빙장치, 아이스덕트, 이빙모터

Description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Ice ma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을 제조하여 외부로 인출하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란,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가전기기로써, 최근에는 외부에서 얼음 또는/및 물을 인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고에는 얼음의 제조 및 인출을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의 인출과정에서 이빙모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신뢰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장치는, 얼음이 외부로 인출되는 덕트; 상기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덕트개폐부; 및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시키는 얼음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이송부는, 얼음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덕트개폐부가 상기 덕트를 개방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속도가 증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빙장치는,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얼음이 인출되는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입력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덕트를 개방시키는 덕트개폐부; 및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시키고, 상기 입력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속도가 증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되는 얼음이송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빙장치는, 얼음이 인출되는 덕트를 선택 적으로 개폐하는 덕트개폐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시키는 얼음이송부; 및 상기 덕트개폐부 및 얼음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얼음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덕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덕트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덕트가 개방되면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제어하다가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은, (A) 덕트개폐부가, 덕트를 개방시키는 단계; (B) 얼음이송부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구동하는 단계; 및 (C) 상기 얼음이송부가,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은, (A) 입력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덕트개폐부가, 상기 입력부가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덕트를 개방시키는 단계; (C) 얼음이송부가, 상기 입력부가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구동하는 단계; 및 (D) 상기 얼음이송부가, 그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은, (A) 제어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하여 덕트가 개방되도록 덕트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속도가 증가되도 록 얼음인출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얼음이송부가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얼음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이송부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가, 얼음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덕트가 차폐되도록 상기 덕트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빙모터의 손상이 감소되는 동시에 얼음의 이송과정의 신뢰성이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실시예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부, 덕트캡 및 이빙모터의 동작을 보인 그래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의 내부에는 냉장실(3) 및 냉동실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3) 및 냉동실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곳으로 상하로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 및 냉동실은, 각각 2개의 냉장실 도어(5)(6) 및 1개의 냉동실 도어(7)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5)(6) 중 도면상 좌측의 냉장실 도어(5)(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라 칭함)의 이면에는 제빙실(9)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9)은 상기 냉장실(3)과 구획되고, 상기 제빙실(9)의 내부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아이스메이커(미도시) 및 상기 아이스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빈(50)을 포함하는 제빙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5)의 전면에는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도어(5)를 열지 않고 사용자가 물 또는/및 얼음을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5)의 내부에는 아이스덕트(1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덕트(10)는 상기 아이스빈(5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 즉 상기 디스펜서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아이스덕트(1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아이스빈(50) 및 디스펜서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에 인접하는 상기 아이스덕트(10)의 일단은 덕트캡(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덕트캡(20)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동하여 상기 아이스덕트(10)를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덕트(10) 및 덕트캡(20)에는 홀센서(30) 및 마그넷(4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홀센서(30) 및 마그넷(40)은, 상기 덕트캡(20)이 상기 아이스덕트(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덕트(10) 및 덕트캡(20)의 서로 마주보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센서(30) 및 마그넷(40)은 상기 아이스덕트(10)에 대한 상기 덕트캡(20)의 상대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스덕트(10)에 설치되는 상기 홀센서(30)가 상기 덕트캡(20)에 설치되는 상기 마그넷(40)의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아이스덕트(10)에 대한 상기 덕트캡(20)의 상대위치가 감지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9)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아이스빈(50)의 저면에는 얼음인출개구(51)가 형성된다. 상기 얼음인출개구(51)는 상기 아이스빈(5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빈(50)의 외부로 인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얼음인출개구(51)는 상기 아이스덕트(10)의 일단부와 연통된다.
상기 얼음인출개구(71)에 인접하는 상기 아이스빈(50)의 내부에는 이빙기어(60)가 구비된다. 상기 이빙기어(60)는 상기 아이스빈(5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얼음인출개구(51)를 통하여 인출되도록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빙실(9)의 일측에는 이빙모터(70)가 설치된다. 상기 이빙모터(70)는 상기 이빙기어(6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이빙모터(70)는 상기 아이스빈(50)이 상기 제빙실(9)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빙기어(60)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빙모터(70)는 상기 아이스빈(5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부(100)가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100)로는, 상기 디스펜서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얼음이 담겨질 용기로 눌러지는 인출레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용기에 의하여 눌러지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용기에 의하여 더 이상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의 종료를 위한 조작신 호가 입력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덕트캡(20)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캡구동부(200)가 제공한다. 상기 캡구동부(200)로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밸브나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캡구동부(20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덕트캡(20)이 상기 아이스덕트(10)의 일단을 개방 또는 차폐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동작을 제어부(300)가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입력받은 조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캡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아이스덕트(10)를 개방 또는 차폐되도록 상기 덕트캡(20)을 회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입력받은 조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빙모터(70)의 동작을 제어하여 얼음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이빙기어(60)가 동작 또는 정지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덕트캡(20)이 상기 아이스덕트(10)를 개방하도록 상기 캡구동부(2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의 종료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덕트캡(20)이 상기 아이스덕트(10)를 차폐하도록 상기 캡구동부(20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의 종료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덕트캡(20)이 상기 아이스덕트(10)를 차폐하도록 상기 캡구동부(200)를 제어한다. 이는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의 종료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더라도, 상기 아이스덕트(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얼음이 모두 인출된 후에 상기 아이스덕트(10)를 차폐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빙기어(60)의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증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이빙모터(70)가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속도가 상기 목표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되고 상기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속도는, 상기 입력부(100)가 입력받은 조작신호에 따라서 기설정되는 속도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면,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속도가 증가하여, 상기 목표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속도가 선형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의 종료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입력부(100)가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을 개시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서 얼음의 인출이 개시된다.(S11)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조작버튼(미도시)을 누르거나 얼음이 담겨질 용기로 레버(미도시)를 누름으로써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인출을 개시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입력부(100)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300)가 덕트캡(20)이 아이스덕트(10)를 개방하도록 캡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S13)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이빙모터(70)를 제어하여 그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구동되도록 한다.(S15)
상기 제15단계에서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이 개시되면 얼음이 인출된다.(S17)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덕트캡(20)에 의하여 개방된 상기 아이스덕트(10)를 통하여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이빙기어(60)에 의하여 아이스빈(5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인출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5단계에서는,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이빙기어(60)에 의하여 얼음이 이송되는 초기에 상기 이빙기어(60) 및 상기 아이스덕트(10) 또는 아이스빈(50) 사이에 얼음이 끼여서 상기 이빙모터(70)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그리고 상기 제19단계에서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0) 는, 상기 이빙모터(70)가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S21) 따라서 상기 아이스덕트(10)를 통하여 보다 다량의 얼음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아이스덕트(10)를 통한 얼음의 인출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 상기 제23단계에서의 상기 아이스덕트(10)를 통한 얼음의 인출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00)가 얼음의 인출을 종료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 상기 입력부(100)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더 이상 입력받지 않았는지 여부나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에 따라서 설정된 얼음의 인출시간의 종료여부 등에 따라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3단계에서 상기 아이스덕트(10)를 통한 얼음의 인출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되도록 제어한다.(S25) 그리고 상기 제25단계에서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
상기 제27단계에서 상기 이빙모터(70)의 정지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덕트캡(20)이 상기 아이스덕트(10)를 차폐하도록 상기 캡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S29) 따라서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아이스덕트(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아이스덕트(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얼음이 외부로 모두 인출된 후 상기 아이스덕트(10)가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부(100)가 조작신호를 입력받아서 얼음의 인출이 개시된다.(S31) 그리고 제어부(300)가, 덕트캡(20)이 아이스덕트(10)를 개방하도록 캡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빙모터(70)를 제어하여 그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구동되도록 한다.(S31)(S35) 따라서 이빙기어(60)에 의하여 이송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덕트(10)를 통하여 인출되기 시작한다.(S37)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35단계에서 구동이 개시된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9) 그리고 상기 제39단계에서 상기 이빙모터(70)의 구동속도가 상기 목표속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빙모터(70)가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S41)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아이스덕트(10)를 통한 얼음의 인출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얼음의 인출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되도록 제어한다.(S43)(S45) 그리고 상기 제43 및 제45단계에서 얼음의 인출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빙모터(70)가 정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덕트캡(20)이 상기 아이스덕트(10)를 차폐하도록 상기 캡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S47)(S49)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빙장치가 상기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의 이면에 구비되는 제빙실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빙실 또는 상기 냉동실이나 상기 냉동실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덕트캡이 상기 아이스덕트의 개폐를 위하여 회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아이스덕트의 개폐를 위한 상기 덕트캡의 동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덕트캡이 병진운동하여 상기 아이스덕트를 개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덕트는 얼음의 인출을 위한 부재이고, 상기 덕트캡은 얼음의 인출을 위한 부재의 개폐를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어떠한 명칭을 사용하는 부재 또는/및 장치라도 실질적으로 상기 아이스덕트 및 덕트캡과 동일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스빈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이빙기어 및 이빙모터가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아이스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빈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아이스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은 다른 명칭의 부재, 예를 들면, 아이스 뱅크에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아이스덕트가 개방된 후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이빙모터의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증가된다. 따라서 얼음의 인출 초기에 이빙기어 및 아이스덕트 또는 아이스빈 사이에 얼음이 끼여서 상기 이빙모터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이빙모터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빙모터의 구동속도가 상기 목표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설정된 시간동안 증가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얼음의 인출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얼음의 인출 초기에 발생되는 소음 및 얼음이 튀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실시예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얼음의 인출의 개시에 따른 덕트캡 및 이빙모터의 동작을 보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제어흐름도.

Claims (17)

  1. 얼음이 외부로 인출되는 덕트;
    상기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덕트개폐부; 및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시키는 얼음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이송부는, 얼음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덕트개폐부가 상기 덕트를 개방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속도가 증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되는 제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차폐시키기 위한 상기 덕트개폐부의 동작은, 얼음의 인출이 종료되어 상기 얼음이송부가 정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지는 냉장고.
  3.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얼음이 인출되는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입력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덕트를 개방시키는 덕트개폐부; 및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시키고, 상기 입력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속도가 증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되는 얼음이송부; 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선형증가되는 제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개폐부는,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조작신호에 따른 얼음의 인출이 종료되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덕트를 차폐하는 제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개폐부는,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이 종료되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덕트를 차폐하는 제빙장치.
  7. 얼음이 인출되는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덕트개폐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시키는 얼음이송부; 및
    상기 덕트개폐부 및 얼음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얼음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덕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덕트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덕트가 개방되면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제어하다가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가 상기 목표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선형증가되도록 제어하는 제빙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얼음의 인출이 종료되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덕트가 차폐되도록 상기 덕트개폐부를 제어하는 제빙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얼음의 인출이 종료되면 상기 얼음이송부가 정지된 후 상기 덕트가 차폐되도록 상기 덕트개폐부를 제어하는 제빙장치.
  11. (A) 덕트개폐부가, 덕트를 개방시키는 단계;
    (B) 얼음이송부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구동하는 단계; 및
    (C) 상기 얼음이송부가,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기설정된 목표속도로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D) 상기 얼음이송부가, 얼음의 인출이 완료되면 정지하는 단계; 및
    (E) 상기 덕트개폐부가, 상기 얼음이송부의 동작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덕트를 차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 제어방법.
  13. (A) 입력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덕트개폐부가, 상기 입력부가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덕트를 개방시키는 단계;
    (C) 얼음이송부가, 상기 입력부가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구동하는 단계; 및
    (D) 상기 얼음이송부가, 그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E) 상기 얼음이송부가, 얼음의 인출이 완료되면 정지하는 단계; 및
    (F) 상기 덕트개폐부가, 상기 얼음이송부의 동작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덕트를 차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얼음의 인출의 완료는, 상기 입력부가 얼음의 인출의 완료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한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의 입력이 종료되 거나,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얼음의 인출을 위한 조작신호에 따른 얼음의 인출이 완료됨으로써 판단되는 제빙장치 제어방법.
  16. (A) 제어부가, 얼음의 인출을 위하여 덕트가 개방되도록 덕트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인출되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얼음인출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얼음이송부의 구동속도가 기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얼음이송부가 상기 목표속도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얼음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이송부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가, 얼음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덕트가 차폐되도록 상기 덕트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이송부의 동작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덕트를 차폐하도록 상기 덕트개폐부를 제어하는 제빙장치 제어방법.
KR1020080113686A 2008-11-14 2008-11-14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686A KR101517619B1 (ko) 2008-11-14 2008-11-14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488,628 US8240156B2 (en) 2008-11-14 2009-06-22 Ice dispensing technology
EP09008457.5A EP2187151B1 (en) 2008-11-14 2009-06-29 Ice dispensing technology
CN2009102051702A CN101738046B (zh) 2008-11-14 2009-10-16 冰分配技术、制冰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686A KR101517619B1 (ko) 2008-11-14 2008-11-14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679A true KR20100054679A (ko) 2010-05-25
KR101517619B1 KR101517619B1 (ko) 2015-05-04

Family

ID=4167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686A KR101517619B1 (ko) 2008-11-14 2008-11-14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40156B2 (ko)
EP (1) EP2187151B1 (ko)
KR (1) KR101517619B1 (ko)
CN (1) CN1017380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5778B1 (en) 2013-03-15 2019-04-30 Palanti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dynamic and interactive investigation based on automatic malfeasance clustering of related data in various data structures
US8788405B1 (en) 2013-03-15 2014-07-22 Palantir Technologies, Inc. Generating data clusters with customizable analysis strategies
US10579647B1 (en) 2013-12-16 2020-03-03 Palantir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entity performance
US9256664B2 (en) 2014-07-03 2016-02-09 Palanti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ws events detection and visualization
US9367872B1 (en) 2014-12-22 2016-06-14 Palanti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dynamic and interactive investigation of bad actor behavior based on automatic clustering of related data in various data structures
US10489391B1 (en) 2015-08-17 2019-11-26 Palanti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ing and enriching data items accessed from one or more databases for presentation in a user interface
US10974893B1 (en) * 2018-12-03 2021-04-13 CWMF Corporation Batcher gate for asphalt silo handling
US10845117B2 (en) 2018-12-10 2020-11-2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fluid dispenser
US11009278B2 (en) * 2018-12-10 2021-05-18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7539A (en) * 1986-06-19 1988-11-29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dispenser
KR100271357B1 (ko) 1997-12-31 2000-11-01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3393589B2 (ja) * 1998-02-17 2003-04-0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アイスディスペンサ
EP1482261B1 (en) * 2003-05-28 2014-01-01 LG Electronics, Inc. Ice supply system
US7062925B2 (en) 2003-06-24 2006-06-20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of operating auger icemaking machine
JP4435509B2 (ja) 2003-06-24 2010-03-1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オーガ式製氷機の運転方法
KR100565622B1 (ko) * 2003-09-19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565497B1 (ko) * 2003-10-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20050105315A (ko) * 2004-04-28 2005-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얼음이송장치의 제어회로
WO2008030023A1 (en) 2006-09-04 2008-03-13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taking out ice of refrigerator and method thereof
KR20080022466A (ko) * 2006-09-06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40156B2 (en) 2012-08-14
EP2187151A2 (en) 2010-05-19
KR101517619B1 (ko) 2015-05-04
EP2187151B1 (en) 2019-02-27
CN101738046B (zh) 2012-07-18
EP2187151A3 (en) 2011-06-01
CN101738046A (zh) 2010-06-16
US20100122546A1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679A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2722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4067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682691A2 (en) Refrigerator
US20110100039A1 (en) Ice-full state detec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794601B1 (ko) 냉장고
EP2357436B1 (en) The refriger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215095B1 (ko) 냉장고
KR101275559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100063692A (ko)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101545022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5676A (ko) 제빙 어셈블리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4906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322317B1 (ko) 얼음 취출 장치
KR100565609B1 (ko) 냉장고
KR20080052206A (ko) 냉장고
CN219120871U (zh) 制冷设备
JPH0526550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CN219120870U (zh) 制冷设备
KR20110009344A (ko) 냉장고
KR20080066227A (ko) 냉장고
KR102490301B1 (ko)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KR2011009687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얼음 공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