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321A - 창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4321A KR20100054321A KR1020080113197A KR20080113197A KR20100054321A KR 20100054321 A KR20100054321 A KR 20100054321A KR 1020080113197 A KR1020080113197 A KR 1020080113197A KR 20080113197 A KR20080113197 A KR 20080113197A KR 20100054321 A KR20100054321 A KR 201000543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gear
- opening
- conductor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상에 구비되고 창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치합 또는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이동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이동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재의 단속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개폐부재, 동력단속부재, 비감지센서, 제어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상에 구비되고 창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치합 또는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이동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에 의해 회전개폐되는 여닫이형 및 암(Arm)에 의해 회전개폐되는 암형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창문은 사람이 직접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나 관리자가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문을 열어 놓거나 창문을 사용 후 문 을 닫지 않고 퇴근 또는 외부로 나간 상태에서 비 등이 내리게 될 경우 열어진 상태의 창문을 통해 빗물 등이 고스란히 실내로 들어와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특히 비가 올경우 열어진 상태의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개폐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이동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재의 단속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창문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상에 구비되고 창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치합 또는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이동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부재는 창문의 가이드홈상에 구비되는 기어박 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랙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종동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단속부재는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의 치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부재는 창문의 가이드홈상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제 1구동기어와, 상기 제 1구동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구동기어로 이루어진 구동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랙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종동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단속부재는 상기 구동기어의 제 2구동기어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웜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웜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치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동부재의 종동기어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어박 스의 내부 타측에는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를 따라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바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퀴의 외주연에는 상기 창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접하는 소음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비감지센서는 창틀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와 타측 전도체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 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동력단속부재와 개폐부재를 제어하여 특히,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강한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이동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재의 단속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단속부재가 이동부재의 기어박스의 내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동력단속부재가 상기 이동부재로 전달되는 구동부재의 동력을 보다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동력단속부재가 구동기어의 제 2구동기어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웜기 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동력단속부재가 상기 이동부재로 전달되는 구동부재의 동력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를 따라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바퀴의 외주연에 소음방지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에 의해 창문이 좌우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가 비감지센서, 바람감지센서 및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비감지센서가 전도체, 비전도체 및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감지센서가 외부의 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예를 들어 먼거리에서도 상기 리모콘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폐부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개폐부재(10), 동력단속부재(3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창문개폐장치는 예를 들어, 특히 베란다용 창문(7)에 설치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개폐부재(10)는 창틀(5)에 구비된 창문(7)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창문(7)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5)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7)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7a)상에 볼트고정되어 구비되고, 창틀(5)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 일(5a)에 치합 또는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창문(7)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10)와; 상기 이동부재(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13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의 감속기어(310)가 전후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1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창문(7)의 가이드홈(7a)상에 볼트고정되어 구비되는 기어박스(111)와; 상기 기어박스(1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재(13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13)와; 상기 기어박스(111)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형성된 랙부(5b)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1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7)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종동기어(1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기어박스(111)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창문(7)의 전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구동부재(130)의 구동축(131)에는 상기 구동기어(113)가 축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구동부재(130)로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부재(11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단속부재(30)는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斷續)하여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10)의 기어박스(111)의 내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113) 및 종동기어(115)와 치합되는 감속기어(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310)는 예를 들어, 상기 기어박스(111)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축결합되어 창문(7)의 전면 외부로 노출되고, 전후이동가능한 자성을 지닌 로드(331)가 구비된 전후이동부재(330)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111)의 내부에서 전후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어(31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로드(331)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113)와 치합되는 제 1감속기어(311)와; 상기 제 1감속기어(311)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로드(331)에 축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115)와 치합되고, 상기 제 1감속기어(311)보다 외경이 작은 제 2감속기어(3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로드(331)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지된 전자석의 극성변화에 의해 전후이동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전후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석이 상기 로드(331)와 같은 자성을 발생시킬 경우 척력(斥力)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로드(331)는 전진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감속기어(310)는 상기 전후이 동부재(330)의 로드(331)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구동기어(113) 및 상기 종동기어(115)와 상기 감속기어(310)의 치합상태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제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창문(7)을 직접 좌우로 이동시켜 창문(7)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석이 상기 로드(331)와 다른 자성을 발생시킬 경우 인력(引力)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로드(331)는 후진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감속기어(31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330)의 로드(331)를 따라 후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구동기어(113) 및 상기 종동기어(115)와 상기 감속기어(310)가 치합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어(310)는 상기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상기 종동기어(115)로 감속전달하게 된다.
상기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형성된 랙부(5b)와 치합된 상태의 상기 종동기어(115)는 상기 감속기어(310)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감속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7)을 자동으로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기어(113) 및 종동기어(115)와 상기 감속기어(310)의 치합여부에 따라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이동부재(110)의 기어박스(111)의 내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113) 및 종동기어(115)와 치합되는 감속기어(31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전달되는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보다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개폐부재(1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0)의 이동부재(1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창문(7)의 가이드홈(7a)상에 볼트고정되어 구비되는 기어박스(112)와; 상기 기어박스(11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재(130)에 의해 회전하는 제 1구동기어(114a)와, 상기 제 1구동기어(114a)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구동기어(114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구동기어(114b)로 이루어진 구동기어(114)와; 상기 기어박스(112)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형성된 랙부(5b)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11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7)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종동기어(11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단속부재(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114)의 제 2구동기어(114b)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112)의 내부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종동기어(116)와 치합되는 웜기어(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웜기어(350)는 예를 들어, 상기 구동기어(114)의 제 2구동기어(114b)와 축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기어박스(112)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112a, 112b)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박스(112)의 내부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2구동기어(114b)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웜기어(350)는 예를 들어, 상기 기어박스(112)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웜기어(350)의 일단부와 축결합된 베어링(112a)을 상하이동시키는 자성을 지닌 로드(371)가 구비된 상하이동부재(370)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112)의 내부 상측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70)의 로드(371)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상하이동부재(37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지된 전자석의 극성변화에 의해 상하이동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하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4의 웜기어(350)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37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전자석이 상기 로드(371)와 같은 자성을 발생시킬 경우 척력(斥力)에 의해 상기 로드(371)는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 웜기어(3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112)의 양측면에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슬릿(112c)을 통해 상기 로드(371)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웜기어(350)와 상기 종동기어(116)의 치합상태 및 상기 제 2구동기어(114b)와 상기 제 1구동기어(114a)의 치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되고,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창문(7)을 직접 좌우로 이동시켜 창문(7)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37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전자석이 상기 로드(371)와 다른 자성을 발생시킬 경우 인력(引力)에 의해 상기 로드(371)는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웜기어(350)는 상기 기어박스(112)의 양측면에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슬릿(112b)을 통해 상기 로드(371)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웜기어(350)가 상기 종동기어(116)에 치합되고, 상기 제 2구동기어(114b)가 상기 제 1구동기어(114a)에 치합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웜기어(350)는 상기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상기 종동기어(116)로 감속전달하게 되고, 이때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형성된 랙부(5b)와 치합된 상태의 상기 종동기어(116)는 상기 웜기어(350)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감속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7)을 자동으로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웜기어(350)와 상기 종동기어(116)의 치합여부에 따라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구동기어(114)의 제 2구동기어(114b)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112)의 내부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종동기어(116)와 치합되는 웜기어(35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전달되는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안착되는 이동바퀴(3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10)의 종동기어(115, 116)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어박스(111, 112)의 내부 타측에는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115, 116)를 따라 회전하여 창문(7)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바퀴(39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랙부(5b)를 형성되지 않아도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단속여부에 따라 창문(7)이 상기 이동바퀴(390)를 통해 보다 더욱 간편하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바퀴(390)의 외주연에는 창틀(5)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a)과 접하는 소음방지층(391)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창틀(5)의 가이드레일(5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115, 116)를 따라 회전하여 창문(7)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바퀴(390)의 외주연에 소음방지층(391)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이동바퀴(390)의 회전에 의해 창문(7)이 좌우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소음방지층(391)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이동바퀴(390)의 외주연을 감싸는 일정두께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비감지센서(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제어부(7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전원공급부(7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50)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53)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여 창문(7)을 좌우로 이동시켜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거나 폐쇄된 상태의 창문(7)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는 예를 들어 창틀(5) 후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비, 바람, 눈을 각각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중 상기 바람감지센서(53)와 눈감지센서(55)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가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을 통해 실내로 빗물,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감지센서(50)는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창틀(5)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513)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511)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517)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515)로 이루어지는 전도체(510)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와 타측 전도체(515)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530)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와 상기 타측 전도체(515)의 수평바(517)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와 상기 타측 전도체(515)의 수평바(517)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전도체(510)는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전도체(530)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비감지센서(50)가 전도체(510), 비전도체(530) 및 누전감지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감지센서(50)가 외부의 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7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누전감도입력부(730)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상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 및 도 11은 창문(7)이 좌우로 이동하여 개방 및 폐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7)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가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3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가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3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창 문(7)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는 리모콘(75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7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모콘(750)은 상기 수신부(770)로 예를 들어, RF신호 등을 송신할 수 있겠으나,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의해 특히, 적외선 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신부(770)는 예를 들어 상기 창틀(5)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750)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리모콘(75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창문(7)이 수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방 및 폐쇄버튼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수동/자동전환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750)의 수동/자동전환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상태로 전환한 경우 사용자는 먼거리에서 상기 개방 및 폐쇄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으로 직접 제어하여 창문(7)을 수동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750)의 수동/자동전환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자동상태로 전환한 경우 상기 제어부(70) 는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리모콘(75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770)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먼거리에서도 상기 리모콘(750)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창문(7)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창틀(5)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7)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위치감지센서(90)는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7)의 전면 타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자석(910)과, 창틀(5)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창문(7)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상기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는 일측 홀센서(930) 및 타측 홀센서(9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자석(910)과 상기 타측 홀센서(950)의 거리는 좁혀지게 되고, 이때 상기 타측 홀센서(950)는 상기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출력하 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타측 홀센서(9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7)이 완전히 폐쇄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30)의 구동이 중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창문(7)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자석(910)과 상기 일측 홀센서(930)의 거리는 좁혀지게 되고, 이때 상기 일측 홀센서(930)는 상기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일측 홀센서(9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7)이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구동부재(130)의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30)의 구동이 중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동력단속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여 특히,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30)가 상기 이동부재(110)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단속여부에 따라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7)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감속기어가 전후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개폐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웜기어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이동바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비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창문이 좌우로 이동하여 개방 및 폐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창틀, 5a; 가이드레일,
5b; 랙부, 7; 창문,
7a; 가이드홈, 10; 개폐부재,
110; 이동부재, 111, 112; 기어박스,
112a, 112b; 베어링, 112c; 슬릿,
113, 114; 구동기어, 114a; 제 1구동기어,
114b; 제 2구동기어, 115, 116; 종동기어,
130; 구동부재, 131; 구동축,
30; 동력단속부재, 310; 감속기어,
311; 제 1감속기어, 313; 제 2감속기어,
330; 전후이동부재, 331, 371; 로드,
350; 웜기어, 370; 상하이동부재,
390; 이동바퀴, 391; 소음방지층,
50; 비감지센서, 510; 전도체,
511; 일측 전도체, 513, 517; 수평바,
515; 타측 전도체, 530; 비전도체,
550; 누전감지부, 70; 제어부,
710; 전원공급부, 730; 누전감도입력부,
750; 리모콘, 770; 수신부,
90; 위치감지센서, 910; 자석,
930; 일측 홀센서, 950; 타측 홀센서.
Claims (8)
-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상에 구비되고 창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치합 또는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이동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재와;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부재는 창문의 가이드홈상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랙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종동기어로 구성되고,상기 동력단속부재는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로 이루어지고,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의 치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부재는 창문의 가이드홈상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제 1구동기어와, 상기 제 1구동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구동기어로 이루어진 구동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랙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종동기어;로 구성되고,상기 동력단속부재는 상기 구동기어의 제 2구동기어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웜기어로 이루어지고,상기 웜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치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부재의 종동기어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어박스의 내 부 타측에는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를 따라 회전하여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바퀴가 더 구비되고,상기 이동바퀴의 외주연에는 상기 창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접하는 소음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와;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와;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비감지센서는 창틀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전도체와;상기 일측 전도체와 타측 전도체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와;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로 비가 유 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에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가 더 구비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3197A KR101060500B1 (ko) | 2008-11-14 | 2008-11-14 | 창문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3197A KR101060500B1 (ko) | 2008-11-14 | 2008-11-14 | 창문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4321A true KR20100054321A (ko) | 2010-05-25 |
KR101060500B1 KR101060500B1 (ko) | 2011-08-30 |
Family
ID=4227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3197A KR101060500B1 (ko) | 2008-11-14 | 2008-11-14 | 창문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050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5003B1 (ko) * | 2019-10-15 | 2020-04-28 | 주식회사 숨터 | 실내ㆍ외 환경조건 기반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
CN111219116A (zh) * | 2020-03-10 | 2020-06-02 | 中铁二十一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楼房推拉式窗户关闭自动控制装置 |
KR102252667B1 (ko) * | 2020-07-17 | 2021-05-21 | 이동진 | 슬라이딩 도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7228B1 (ko) * | 2022-04-22 | 2022-10-21 | 이정희 | 클린룸 루프패널 설치용 잠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4662Y1 (ko) * | 2003-06-10 | 2003-08-25 | 임춘수 | 창문 자동 개폐장치 |
KR200324668Y1 (ko) * | 2003-06-11 | 2003-08-25 | 주식회사 윈도우컴 |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
JP4734554B2 (ja) * | 2007-05-07 | 2011-07-27 | 啓一 上野 | 建物用窓閉成装置 |
-
2008
- 2008-11-14 KR KR1020080113197A patent/KR1010605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5003B1 (ko) * | 2019-10-15 | 2020-04-28 | 주식회사 숨터 | 실내ㆍ외 환경조건 기반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
CN111219116A (zh) * | 2020-03-10 | 2020-06-02 | 中铁二十一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楼房推拉式窗户关闭自动控制装置 |
KR102252667B1 (ko) * | 2020-07-17 | 2021-05-21 | 이동진 | 슬라이딩 도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0500B1 (ko) | 2011-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0484B1 (ko) | 창문개폐장치 | |
KR101060499B1 (ko) | 창문개폐장치 | |
EP1672151A2 (en) | Window lock and window opening and closing system | |
KR100706328B1 (ko) |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 |
US20070271850A1 (en) | Self-contained motorized lift-slide panel | |
KR101060498B1 (ko) | 창문개폐장치 | |
KR101060500B1 (ko) | 창문개폐장치 | |
CA2449805A1 (en) | Improv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pening doors | |
US20160376826A1 (en) |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oors and windows | |
RU2499118C2 (ru) | Система привода для ворот | |
KR100704451B1 (ko) | 문 자동개폐장치 | |
KR20190061623A (ko) |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 |
KR101541735B1 (ko) | 슬라이딩 자동문 구동 장치 | |
JP4858830B2 (ja) | 排水栓の遠隔操作開閉装置 | |
KR101586399B1 (ko) |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 |
KR20090098240A (ko) | 창문 개폐장치 | |
WO2024198182A1 (zh) | 一种开合角度远程遥控的智能外翻系统窗 | |
KR101060483B1 (ko) | 창문개폐장치 | |
KR101397187B1 (ko) | 창문 자동 닫힘장치 | |
JP2010112036A (ja) | 開閉装置 | |
KR101028141B1 (ko) |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 |
US20130091769A1 (en) | Automated glazing assembly | |
CN104453539A (zh) | 可自动开关窗的平开窗 | |
CN204252743U (zh) | 一种平开窗 | |
CN211313829U (zh) | 一种内外窗一体化智能控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