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029A -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029A
KR20100054029A KR1020080112954A KR20080112954A KR20100054029A KR 20100054029 A KR20100054029 A KR 20100054029A KR 1020080112954 A KR1020080112954 A KR 1020080112954A KR 20080112954 A KR20080112954 A KR 20080112954A KR 20100054029 A KR20100054029 A KR 2010005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inate
weight
parts
alga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874B1 (ko
Inventor
박남식
이한성
정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8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슐화제로 알긴산염(alginate salt)을 이용하여 해조류 포자(algae spore)를 혼합한 후 다가금속염을 함유한 알칼리 수용액으로 알긴산염을 경화함으로써 조류 포자를 장기간 생존 보존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응용분야에서 조류 포자를 구조물에 조기 착생 촉진시킬 수 있는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용 캡슐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표면의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조류,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 캡슐화, 알긴산염, 다가금속염

Description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Capsulation composition of algae spores for promoting attachment and growth of marine organisms}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표면의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구조물은 인공적으로 해양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그 중에 하나인 인공 어초는 연근해 바다 속에 설치되어 어류, 갑각류, 패류 등의 산란, 부화와 치어의 보호, 육성 및 증식에 필요한 해조류를 육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패류의 육성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 어초의 재료는,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리드 등), 폐타이어 등이다.
시멘트 해양 구조물은 초기에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을 방해하는 유해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에 해양생물들의 조기 착생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합성수지로부터 만들어진 구조물의 경우 그 표면의 표면장력이 낮아 해양생물들이 착생할 때 쉽게 해수 유동에 의해 착생 생물 포자들이 미끄러져 착생 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해조류 포자 배양액, 알긴산염이 혼합된 수용액(A액)과 다가금속염 수용액(B액)으로 구성되며, 조류포자가 캡슐화되어 안전하게 보존되게 하여 조류의 착생을 촉진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 배양액, 알긴산염 및 다가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상기 캡슐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 및 상기 캡슐화 조성물이 도포된 해양구조물의 표면 피복용 피막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 배양액, 알긴산염 및 다가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상기 캡슐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 및 상기 캡슐화 조성물이 도포된 해양구조물의 표면 피복용 피막을 또 다른 특 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캡슐화제로 알긴산염(alginate salt)을 이용하여 해조류 포자(algae spore)를 혼합한 후 다가금속염을 함유한 알칼리 수용액으로 알긴산염을 경화함으로써 조류 포자를 장기간 생존 보존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응용분야에서 조류 포자를 구조물에 조기 착생 촉진시킬 수 있는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용 캡슐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표면의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착생"이란, 저서 생물체(benthic organisms)가 인공 물체 등에 부착,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해양 구조물"이란, 해양에 인공적으로 투입되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인공 어초, 소파제 등을 포함한다.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 폐타이어, 폐기물 등으로 구성된 모든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공 어초"란, 인공적으로 제작되어 해양에 투입되는 해양 구조물의 하나로서, 해양에 서식하는 생물, 예컨대 해조류나 어패류 등에 서식지를 제공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 폐타이어, 폐기물 등으로 구성된 모든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 촉진을 위한 해조류 포자 캡슐화를 위한 조성물로 해조류 포자 배양액, 알긴산염, 다가금속염을 유효성분으 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류로는 두나넬라, 나비큘라, 나노클로리스, 아이소클라이시스, 클로렐라 등의 미세조류 및 가시파래, 미역, 감태, 구멍갈파래, 김 톳, 모자반 등의 거대조류 중에서도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긴산염으로는 염을 형성하는 금속이온물질로는 주기율표에서 1A 족에 속하는 알카리토금속이 바람직하며, 특히 나트륨, 칼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알긴산염의 분자량은 10,000에서 1,000,000 Da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분자량 50,000에서 500,000 Da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금속염으로는 짝이온 중 음이온기는 염화기, 탄산기, 황산기, 암모늄기, 수산기로 구성되며, 양이온기는 베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철(2가), 철(3가) 금속이온으로 구성되며, 위의 음이온기 및 양이온기의 결합에 의한 다가금속염이 바람직하다. 특히,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철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2가),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으로 하되 염화칼슘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염 1 ~ 8 중량부와 다가금속염 1 ~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조성물에 있어서, 알긴산염은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8.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알긴산염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피막형성이 부족하며, 8.0 중량부 초과에서는 타 조성성분과의 혼합성과 장기 보관성이 저하된다.
특히, 상기 해조류 포자 배양액에 해조류 포자가 103 ~ 107 개/㎖의 농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조류 포자가 103 개/㎖ 미만이면 해양구조물에 초기에 착생율이 낮아 착생 효과가 저하되고, 107개/㎖ 초과하면 안정적인 해조류포자 배양액을 얻기 위한 배양조건이 까다로워진다.
상기 다가금속염은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금속염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피막형성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내수성이 저하된다. 10.0 중량부 초과에서는 알긴산염의 고형화에 참여하지 않고 남아있는 과잉의 다가금속염은 건조 피막물성을 저하하게 된다.
해조류 포자 배양액(103 ~ 107 개/㎖)의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알긴산염을 2 내지 4 중량부 첨가하고 고루 교반한다. 다음 인공어초에 도포한 다음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다가금속염 1 ~ 10 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알긴산 도포한 곳에 살포하여 알긴산을 경화시킨다.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표면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a) 해조류를 여과해수에 넣고 빛을 비추어 해조류 포자가 103 ~ 107 개/㎖의 농도로 하도록 포자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해조류 포자 배양액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염 1.0 ~ 8.0 중량부를 녹여 혼합하는 단계
(c) 해양 구조물에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금속염 1.0 ~ 10.0 중량부로 녹인 다음 (c)단계에서 도포된 해양구조물의 표면에 살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도포방법에 있어서, 각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50 ~ 400 rpm의 교반기가 부착된 승온이 가능한 혼합 믹서기를 통해 50 ~ 70 ℃에서 미세조류(F/2 배지) 및 거대조류 포자(PES 배지)에, 알긴산염들을 잘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 단계의 미세조류로는 두나넬라, 나비큘라, 나노클로리스, 아이소클라이시스, 클로렐라 등의 미세조류 및 가시파래, 미역, 감태, 구멍갈파래, 김 톳, 모자반 등의 거대조류 중에서도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알긴산염으로 나트륨알긴산염, 칼륨알긴산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다가금속염으로는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2가),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붓이나 롤러로 바르거나, 공기의 압력으로 스프레이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온에서 공기 중에 그래도 노출시켜 건조시킬 수 있다. 또는, 건조를 반복하는 양생 작업을 통 해 해양구조물에 대한 표면 부착력을 높이고 표면층의 경화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a)와 (b) 혼합물에 다가금속염 알칼리 수용액을 혼합시켜 알긴산염을 경화시키면서 조류포자가 캡슐화되어 안전하게 보존하게 된다.
상기 (d) 단계는 붓이나 롤러로 바르거나, 공기의 압력으로 스프레이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알긴산염의 경화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나 피막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복하는 양생 작업을 통해 해양구조물에 대한 표면 부착력을 높이고 표면층의 경화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또는 (d) 단계의 피막은 0.05 내지 1.50 g/㎠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피막의 두께가 0.05 g/㎠ 미만이면 착생 능력이 미미하고, 피막의 두께가 1.50 g/㎠를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화 조성물이 해양구조물에 도포된 해양구조물의 표면 피복용 피막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 피복용 피막에 있어서, 상기 해양 구조물은 인공 어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양 착생 생물의 서식지인 인공 어초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에 해양 착생 생물이 부착하고 성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으로써 수산 자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50 ㎖ 삼각 플라스크에 F/2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2.0 g를 녹이고, 미세조류포자 배양액 50 g(미세조류 나노클로리스 셀 농도 : 105 ~ 106 개/㎖, F/2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0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2.5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250 ㎖ 삼각 플라스크에 F/2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1.5 g를 녹이고, 미세조류포자 배양액 50 g(미세조류 나노클로리스 셀 농도 : 105 ~ 106 개/㎖, F/2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0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2.0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 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3
250 ㎖ 삼각 플라스크에 F/2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1.5 g를 녹이고, 미세조류포자 배양액 50 g(미세조류 나노클로리스 셀 농도 : 104 ~ 105 개/㎖, F/2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2.0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4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2.0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구멍갈파래 포자 셀 농도 : 105 ~ 106 개/㎖, PES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2.5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 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5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1.5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구멍갈파래 포자 셀 농도 : 105 ~ 106 개/㎖, PES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2.0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6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1.5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구멍갈파래 포자 셀 농도 : 104 ~ 105 개/㎖, F/2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증류수 100 g에 염화칼슘 2.0 g 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7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2.0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감태 포자 셀 농도 : 105 ~ 106 개/㎖, PES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2.5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8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1.5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감태 포자 셀 농도 : 105 ~ 106 개/㎖, PES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2.0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9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1.5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감태 포자 셀 농도 : 104 ~ 105 개/㎖, F/2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증류수 100 g에 염화칼슘 2.0 g 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비교예 1
250 ㎖ 삼각 플라스크에 F/2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0.1 g를 녹이고, 미세조류포자 배양액 50 g(미세조류 나노클로리스 셀 농도 : 105 ~ 106 개/㎖, F/2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여과해수 100 g에 염화칼슘 0.1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비교예 2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5.5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구멍갈파래 포자 셀 농도 : 105 ~ 106 개/㎖, PES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증류수 100 g에 염화칼슘 5.5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비교예 3
250 ㎖ 삼각 플라스크에 PES 배지 50 g에 나트륨알긴산염 5.5 g를 녹이고, 거대조류포자 배양액 50 g(감태 포자 셀 농도 : 105 ~ 106 개/㎖, PES 배지 포함)을 나트륨알긴산염 용액에 상온에서 넣고 3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건조도막 두께가 1.5 g/㎠ 되게 도포하였으며, 증류수 100 g에 염화칼슘 5.5 g을 녹인 수용액을 위의 도포된 도막에 분무하여 도막을 경화시켰으며, 경화되지 않고 남은 해수는 제거하였다. 페트리디쉬에 LD 12:12, 온도 25 ℃에서 배양하였다.
구분 해조류 배양액(50g) 알긴산염 수용액
(100g)
다가금속염
수용액
(100g)
미세조류
(셀 수:개/㎖)
거대조류포자
(셀 수:개/㎖)
나트륨알긴산염(g) 염화칼슘
(g)
실시예 1 나노클로리스×105~106 - 2.0 2.5
실시예 2 나노클로리스×105~106 - 1.5 2.0
실시예 3 나노클로리스×104~105 - 1.5 2.0
실시예 4 - 구멍갈파래×105~106 2.0 2.5
실시예 5 - 구멍갈파래×105~106 1.5 2.0
실시예 6 - 구멍갈파래×104~105 1.5 2.0
실시예 7 - 감태×105~106 2.0 2.5
실시예 8 - 감태×105~106 1.5 2.0
실시예 9 - 감태×104~105 1.5 2.0
비교예 1 나노클로리스×105~106 - 0.1 0.1
비교예 2 - 구멍갈파래×105~106 5.5 5.5
비교예 3 - 감태×105~106 5.5 5.5
1) 미세조류 : 나노클로리스
2) 거대조류 : 구멍갈파래, 감태
3) 다가금속염 : 염화칼슘
시험예 : 해조류 성장시험
상기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조성물의 조류성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으로써 겔화된 시료인 비드를 조류성장 조건인 LD 12:12, 온도 25 ℃에서 7일 동안 배양시켜 균일한 크기의 비드로부터 성장한 조류의 클로로필 a 을 추출하여 그 농도를 흡광도를 통해 측정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구분 클로로필 a 농도(㎎/㎖)
실시예 1 0.8970
실시예 2 0.8032
실시예 3 0.6093
실시예 4 0.9330
실시예 5 0.8702
실시예 6 0.6230
실시예 7 0.7862
실시예 8 0.7032
실시예 9 0.6024
비교예 1 0.1050
비교예 2 측정 불가
비교예 3 측정 불가

Claims (9)

  1. 해조류 포자 배양액, 알긴산염 및 다가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염 1 ~ 8 중량부 및 다가금속염 1 ~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로는 두나넬라, 나비큘라, 나노클로리스, 아이소클라이시스, 클로렐라, 가시파래, 미역, 감태, 구멍갈파래, 김 톳 및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포자가 103 ~ 107 개/㎖의 농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염은 주기율표에서 1A 족에 속하는 알카리토금속의 알긴산염이고, 알긴산염의 분자량이 10,000 ~ 1,000,000 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금속염으로는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2가), 염화철(3가),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철(2가) 및 황산철(3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해양 구조물의 표면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a) 해조류를 여과해수에 넣고 빛을 비추어 해조류포자가 103 ~ 107 개/㎖의 농도로 하도록 포자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해조류 포자 배양액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염 1.0 ~ 8.0 중량부를 녹여 혼합하는 단계
    (c) 해양 구조물에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금속염 1.0 ~ 10.0 중량부로 녹인 다음 (c)단계에서 도포된 해양구조물의 표면에 살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표면의 도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또는 (d)의 해양 구조물 표면은 0.05 ~ 1.50 g/㎠의 두께로 도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방법.
  9. 청구항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이 해양구조물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표면 피복용 피막.
KR1020080112954A 2008-11-13 2008-11-13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KR10102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54A KR101020874B1 (ko) 2008-11-13 2008-11-13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54A KR101020874B1 (ko) 2008-11-13 2008-11-13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29A true KR20100054029A (ko) 2010-05-24
KR101020874B1 KR101020874B1 (ko) 2011-03-09

Family

ID=4227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954A KR101020874B1 (ko) 2008-11-13 2008-11-13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8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79B1 (ko) * 2012-05-02 2014-08-06 에스엠텍 주식회사 해조류 부착 유도용 조성물
WO2020045752A1 (ko) * 2018-08-31 2020-03-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친환경 생태블록 형성방법
KR20200027281A (ko) * 2018-09-04 2020-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친환경 생태블록 형성방법
KR20200066577A (ko) * 2018-11-30 2020-06-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역 배우체의 대량 생산 방법
KR20230035001A (ko) * 2020-05-27 2023-03-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 양치식물의 전엽체를 이용한 인공종자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공종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195B1 (ko) * 2012-03-14 2014-03-03 에스엠텍 주식회사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WO2014003213A1 (ko) * 2012-06-26 2014-01-03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복원성이 우수한 알지네이트 건조 비드의 제조방법
KR102173580B1 (ko) * 2017-12-18 2020-11-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포자 피막 비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076B2 (ja) * 1996-03-05 2001-07-03 達治 小林 ゲル状固定化菌体
KR100679729B1 (ko) * 2004-06-29 2007-02-07 라이프코드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담체의 표면에 세포를 고정화하는 방법
JP2007053975A (ja) 2005-08-25 2007-03-08 Aichi Prefecture 藻場形成方法及び藻場形成用種苗含有粘液
KR100734959B1 (ko) * 2005-08-30 2007-07-03 황경숙 생균력 증진을 위한 농업용 미생물제 미세캡슐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79B1 (ko) * 2012-05-02 2014-08-06 에스엠텍 주식회사 해조류 부착 유도용 조성물
WO2020045752A1 (ko) * 2018-08-31 2020-03-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친환경 생태블록 형성방법
KR20200027281A (ko) * 2018-09-04 2020-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친환경 생태블록 형성방법
KR20200066577A (ko) * 2018-11-30 2020-06-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역 배우체의 대량 생산 방법
KR20230035001A (ko) * 2020-05-27 2023-03-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 양치식물의 전엽체를 이용한 인공종자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공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874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874B1 (ko)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ATE223644T1 (de) Verfahren zur förderung der in einer geschlossenen umgebung meerestierchenwachstum durch einbringen eines düngemittels mit gesteuerter freisetzung
CN108409047A (zh) 一种系统控制湖泊春季蓝藻细胞快速增殖的方法
CN101869084A (zh) 一种磁性珠核的制备方法
KR102173580B1 (ko) 해조류 포자 피막 비드 제조방법
Jung et al. A new approach to the restoration of seaweed beds using Sargassum fulvellum
CN102177841A (zh) 一种提高人工礁石表面藻类附着效果的方法
KR20200027281A (ko) 친환경 생태블록 형성방법
KR101687764B1 (ko) 이노시톨을 함유하는 해양 구조물 착생 촉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표면 도포 방법
CN1321165C (zh) 低表面能海洋网箱网衣防污涂料
CN109511515B (zh) 一种生态缸造景用基质及其应用
KR100946557B1 (ko) 알킬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착생 촉진제 조성물
KR20200066577A (ko) 미역 배우체의 대량 생산 방법
KR20080036786A (ko) 환경친화적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100943828B1 (ko) 지방산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KR20090053524A (ko)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TWI361661B (ko)
KR100478115B1 (ko) 저층 바닥에 퇴적된 유기물을 쉽게 분해할 수 있는입상형태의 수질정화제의 개발
JPH08188726A (ja) 水産栄養塗料
CN1204059C (zh) 供氧体及其制造方法
KR101425979B1 (ko) 해조류 부착 유도용 조성물
JPH0365727B2 (ko)
WO2020136575A1 (en) A probiotic feed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composition
CN115120686A (zh) 一种治疗水产养殖锚头蚤的天然植物散剂及其使用方法
JP2022134650A (ja) 珊瑚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