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883A - 막대형 티백 - Google Patents

막대형 티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883A
KR20100053883A KR1020080112721A KR20080112721A KR20100053883A KR 20100053883 A KR20100053883 A KR 20100053883A KR 1020080112721 A KR1020080112721 A KR 1020080112721A KR 20080112721 A KR20080112721 A KR 20080112721A KR 20100053883 A KR20100053883 A KR 2010005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bag
storage space
ball
shap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충기
Original Assignee
홍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충기 filed Critical 홍충기
Priority to KR102008011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883A/ko
Priority to PCT/KR2009/002264 priority patent/WO2010055979A1/ko
Publication of KR2010005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 티백에 관한 것으로, 격막에 의해 제1수납공간과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 및 제2수납공간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티백홀더; 상기 티백홀더의 둘레에 감싸지고, 건조차의 수납공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제1수납공간의 개방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건조차필터; 상기 티백홀더의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단이 상기 티백홀더에 연결되는 연장끈; 상기 티백홀더의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연장끈의 타단에 연결되는 볼; 상기 제2수납공간의 개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볼이 상기 제2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볼의 일측을 지지하는 볼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막대형 티백이 컵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티백을 컵에 넣은 상태에서 물을 부어도 컵의 외측으로 늘어뜨려진 손잡이용 볼이 컵의 내측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고, 막대형 티백의 상단에 손잡이가 삭제되는 만큼 막대형 티백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티백의 포장시 그만큼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며, 제1볼편 및 제2볼편을 분리한 후 펼치거나 은박형태의 홍보용띠를 펼치면 홍보용띠에 인쇄된 홍보용 문자나 도형을 볼 수 있게 되므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티백홀더, 건조차필터, 연장끈, 볼, 볼지지부, 홍보용띠, 쿠션부재

Description

막대형 티백{Stick type tea bag}
본 발명은 막대형 티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티백의 백 부분을 컵에 넣고 물을 부어도 손잡이용 볼 부분이 컵 내부로 딸려 드러가지 않고, 티백의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적은 크기의 단위포장용기에 많은 수량을 수납할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자인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막대형 티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백(tea bag)은, 차를 싸서 넣은 종이 주머니로써, 뜨거운 물에 담그면 차가 우러난다. 이러한 티백은 백(bag) 형태의 외피에 각종 차를 담고 입구를 밀봉시킨다. 밀봉된 백에 실의 일단을 고정하고 실의 타단에는 종이편을 고정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티백의 백 부분을 컵에 담그고 종이편이 컵의 외측으로 늘어지도록 위치시킨 후 컵에 물을 부어서 티백의 차가 물에 우려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티백은, 백 부분을 컵에 넣은 후 물을 부을 경우 백 위에 쏟아지는 물에 의해 순간적으로 백이 컵의 바닥측으로 눌리면서 실 및 종이편이 컵의 내부로 딸려 들어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물에 빠진 종이편을 다시 꺼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막대형 티백(등록실용 제20-435271호)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막대형 티백은, 둘레에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고 길이가 긴 직육면체의 막대형 외피가 구비된다. 막대형 외피의 단부에는 외피를 컵에 담그거나 젓을 수 있도록 납작한 판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술한 종래의 막대형 티백은, 막대형 외피를 컵에 담근 상태에서 손잡이를 쉽게 파지하고 손잡이 부분이 컵의 물에 잠기지 않도록 막대형 티백의 전체 길이가 컵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막대형 티백은 컵에 담가서 젓을 수 있고 손잡이가 물에 잠기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의 직육면체의 외피가 구비되어야 하고, 외피의 상단에는 손으로 충분히 파지할 만한 크기의 손잡이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막대형 티백은 직육면체의 외피에 별도의 손잡이가 더 구비된 형태를 가지므로 전체 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티백의 포장시 그만큼 넓은 공간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묶음 포장용기의 크기가 그만큼 커지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시 불편하며 그만큼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티백의 백 부분을 컵에 넣고 물을 부어도 손잡이용 볼 부분이 컵 내부로 딸려 드러가지 않도록 한 막대형 티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백의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적은 크기의 단위포장용기에 많은 수량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막대형 티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막대형 티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자인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막대형 티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은, 격막에 의해 제1수납공간과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 및 제2수납공간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티백홀더; 상기 티백홀더의 둘레에 감싸지고, 건조차의 수납공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제1수납공간의 개방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필터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납공간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터짐부로 이루어진 건조차필터; 상기 티백홀더의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단이 상기 티백홀더에 연결되는 연장끈; 상기 티백홀더의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연장끈의 타단에 연결되는 볼; 상기 제2수납공간의 개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볼이 상기 제2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볼의 일측을 지지하는 볼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막대형 티백은, 상기 볼은, 스폰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막대형 티백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볼은, 내부에 오목한 제1수납부가 형성되는 반구형 제1볼편과, 내부에 오목한 제2수납부가 형성되는 반구형 제2볼편과, 양단이 상기 제1볼편 및 제2볼편 내부에 각각 고정되고 일면 또는 양면에 광고용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홍보용띠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막대형 티백은, 상기 볼은, 일면 또는 양면에 홍보용 문구가 형성되어 있는 은박형태의 홍보용띠가 구 형태로 접혀서 구비된다.
본 발명 막대형 티백은, 상기 볼지지부는, 볼 둘레의 복수 부분에 점접촉되도록 출구 부분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기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막대형 티백은, 상기 제2수납공간에는, 누름부의 복원이 이루어지고 볼의 인출을 안내하도록 쿠션부재가 구비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은, 전체 형상이 중공형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공간이 격막에 의해 제1수납공간 및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되며, 제1수납공간을 이루는 필터링부에는 건조차가 수납되어 있고, 제2수납공간의 단부에는 그 개방부를 밀폐시키도록 터짐부가 구비된 건조차필터; 상기 건조차필터의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단이 상기 건조차필터에 연결되는 연장끈; 상기 건조차필터의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연장끈의 타단에 연결되는 볼; 상기 제 2수납공간의 개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볼이 상기 제2수납공간 내에 위 치되도록 상기 볼의 일측을 지지하는 볼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막대형상의 티백을 컵에 담그면 그 하단이 컵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컵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볼이 컵의 외측으로 늘어뜨려진 상태가 되므로 티백이 컵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투입된다. 따라서 티백이 컵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티백을 컵에 넣은 상태에서 물을 부어도 컵의 외측으로 늘어뜨려진 손잡이용 볼이 컵의 내측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티백은 손잡이용 볼이 제2수납공간에 내장된 상태에서 구비되다가 차를 우려낼 때에는 티백의 상단 부분을 눌러서 볼을 티백의 외측으로 인출시킨 후 사용한다. 따라서 막대형 티백의 상단부에 별도의 손잡이가 필요 없고 볼 부분을 제외한 막대형 티백 전체가 컵의 물에 잠겨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티백의 상단에 손잡이가 삭제되는 만큼 막대형 티백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티백의 포장시 그만큼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묶음 포장용기의 크기가 그만큼 작아지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할 뿐 아니라 그만큼 공간을 더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막대형 티백의 볼은 제1볼편, 제2볼편 및 이들 내부에 연결된 홍보용띠로 구비되거나, 은박형태의 홍보용띠가 구 형태로 접혀서 구비된다. 따라서 제1볼편 및 제2볼편을 분리한 후 펼치거나 은박형태의 홍보용띠를 펼치면 홍보용띠에 인쇄된 홍보용 문자나 도형을 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기둥형 막대 형상으로 제조된 후 담배값 형태의 케이스에 20개 정도 수납되어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이 심플하고 미려하며 휴대가 간편하므로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볼지지부를 보인 도 3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제2수납공간에서 볼을 인출시키기 위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막대형 티백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이 단위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은, 티백홀더(10), 건조차필터(20), 연장끈(30), 볼(40), 볼지지부(50)로 이루어진다.
티백홀더(10)는, 격막(11)에 의해 제1수납공간(12)과 제2수납공간(13)으로 구획된다. 제1수납공간(12) 및 제2수납공간(13)은 외부와 연결되도록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티백홀더(10)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종이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수납공간(13)에는 후술할 볼(40)과 연장끈(30)이 수납되므로 이들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면 충분하며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건조차필터(20)는, 티백홀더(10)의 둘레에 감싸진다. 이러한 건조차필터(20) 는 건조차(3)의 수납공간이 연장되도록 제1수납공간(12)의 개방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필터링부(21)가 형성되며, 제2수납공간(13)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터짐부(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조차필터(20)에는 건조차(3)가 수납되지만 다시다와 같은 건조 분말 상태의 양념이 수납될 수도 있다.
막대형 티백을 물이 담긴 컵(1)에 담그면 제1수납공간(12)에 수납된 건조차(3)가 필터링부(21)를 통해 우러나오게 된다. 그리고 볼(40)이 터짐부(22) 측으로 밀리도록 제2수납공간(13)의 양측을 누르면 터짐부(22)가 터지면서 볼(40)이 제2수납공간(13)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건조차필터(20)는 얇은 종이재나, 부직포, 천, 망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티백의 외피를 이루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끈(30)은, 티백홀더(10)의 제2수납공간(13)에 수납되고 일단이 티백홀더(10)의 격막(11)에 연결되며 타단이 후술할 볼(40)에 연결된다. 연장끈(30)의 일단을 격막(11)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는바, 무독성 접착제를 사용하여서 연장끈(30)의 단부를 격막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는, 격막(11)에 연장끈(30)이 통과될 정도의 구멍(미도시)을 형성시키고 연장끈(30)을 구멍에 통과시킨 후 연장끈(30)의 단부에 매듭을 형성시켜서 연장끈(30)이 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장끈(30)은 일반적인 실로 이루어지며, 무독성 합성수지재의 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볼(40)은, 티백홀더(10)의 제2수납공간(13)에 수납되고 연장끈(30)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볼(40)은 종이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볼(60)의 재질이 스폰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볼(40)의 둘레에는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광고문자나 광고도형이 인쇄되어 있다.
볼지지부(50)는, 제2수납공간(13)의 개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볼(40)이 제2수납공간(13) 내에 위치되도록 볼(40)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볼지지부(50)는, 볼(40) 둘레의 복수 부분에 점접촉되도록 제2수납공간(13)의 출구 부분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기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수납공간(13)에 삽입된 볼(40)은 막대형 티백을 거꾸로 들어도 볼지지부(50)에 걸려 지지되므로 제2수납공간(13)의 외측으로 흘러 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막대형 티백은, 티백홀더(10)의 제2수납공간(13) 내에 연장끈(30)의 일단을 고정한다. 연장끈(30)의 고정방법은 접착제로 부착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고, 격막(11)에 구멍을 뚫은 후 연장끈(30)의 단부를 이 구멍에 끼우고 연장끈(30)의 단부를 매듭지어서 연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연장끈(30)의 타단에 볼(40)을 연결시킨다. 이들의 연결방법은 연장끈(30)의 단부와 볼(40)을 접착제로 고정시킬 수도 있고, 볼(40)에 고리를 형성시켜서 연장끈(30)의 단부를 이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티백홀더(10)에 연장끈(30), 볼(40)이 연결되면, 연장끈(30)과 볼(40)을 제2수납공간(13) 내에 내장시킨 후 티백홀더(10)의 둘레에 건조차필터(20)를 감싼다. 제1수납공간(12)을 포함한 건조차필터(20)의 내부에 건조차(3)를 투입시킨다. 그리 고 티백홀더(10)의 제1수납공간(12)과 건조차필터(20)의 필터링부(21) 내부에 수납된 건조차(3)가 외부로 흘러 나오지 않도록 막대형 티백의 일단을 밀봉한다. 또한 티백홀더(10)의 제2수납공간(13)에 수납된 볼(40)이 외측으로 흘러 나오지 않도록 막대형 티백의 타단을 밀봉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막대형 티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백의 상단부, 즉 격막(11) 측 제2수납공간(13)을 눌러서 볼(40)이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취약한 부분인 터짐부(22)가 밀리는 볼(40)의 압력에 쉽게 터지면서 볼(40)이 외측으로 인출된다. 볼(40)이 인출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링부(21)가 컵(1)의 물에 잠기도록 담그고 볼(40) 부분은 컵(1)의 상단 외측으로 늘어지도록 위치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케이스(2) 내부에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비교적 많은 수량이 수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막대형상의 티백을 컵(1)에 담그면 그 하단이 컵(1)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컵(1)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볼(40)이 컵(1)의 외측으로 늘어뜨려진 상태가 되므로 티백이 컵(1)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투입된다.
따라서 티백이 컵(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티백을 컵(1)에 넣은 상태에서 물을 부어도 컵(1)의 외측으로 늘어뜨려진 손잡이용 볼(40)이 컵의 내측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는다.
둘째, 본 발명의 티백은 손잡이용 볼(40)이 제2수납공간(13)에 내장된 상태에서 구비되다가 차를 우려낼 때에는 티백의 상단 부분을 눌러서 볼(40)을 티백의 외측으로 인출시킨 후 사용한다.
따라서 막대형 티백의 상단부에 별도의 손잡이가 필요 없고 볼(40) 부분을 제외한 막대형 티백 전체가 컵(1)의 물에 잠겨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티백의 상단에 손잡이가 삭제되는 만큼 막대형 티백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티백의 포장시 그만큼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묶음 포장용 케이스(2)의 크기가 그만큼 작아지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할 뿐 아니라 그만큼 공간을 더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은, 원기둥형 막대 형상으로 제조된 후 담배값 형태의 케이스(2)에 20개 이상 수납되어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이 심플하고 미려하며 휴대가 간편하므로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볼(7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및 펼치 상태 단면도로써, 이는, 내부에 오목한 제1수납부(72)가 형성되는 반구형 제1볼편(71)과, 내부에 오목한 제2수납부(74)가 형성되는 반구형 제2볼편(73)과, 양단이 제1볼편(71) 및 제2볼편(73) 내부에 각각 고정되고 일면 또는 양면에 광고용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홍보용띠(7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70)은 도 9a와 같이 홍보용띠(75)가 여러겹으로 접힌 상태에서 플라스틱재의 제1볼편(71) 및 제2볼편(73)의 내부에 수납된다.
제1볼편(71) 및 제2볼편(73)의 대응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가 이들을 분리하기 위해 그 결합부위를 누르면 결합 부위가 탄성변형되면서 맞물린 부위가 서로 분리된다. 제1볼편(71) 및 제2볼편(73)이 분리되면 이들을 대응 외측으로 당겨서 홍보용띠(75)가 펼쳐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의 볼(70)은 제1볼편(71) 및 제2볼편(73)을 분리한 후 펼치면 홍보용띠(75)에 인쇄된 홍보용 문자나 도형을 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볼(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및 펼친 상태도로써, 이는, 일면 또는 양면에 홍보용 문구가 형성되어 있는 은박형태의 홍보용띠(81)가 구 형태로 접혀서 구비된다.
이러한 볼(80)은 도 10a와 같이 구형태로 접힌 상태로 제2수납공간(13)에 수납되다가 제2수납공간(13)으로부터 꺼낸 후 도 10b와 같이 펼칠 수 있다. 즉, 한 손으로는 연장끈(3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홍보용띠(81)의 파지부(82)를 잡아 당기면 접힌 상태의 홍보용띠(81)가 펼쳐진다. 이와 같은 볼(80)은 도 9a 및 도 9b의 볼(70)과 비교할 때 그 형태만 다를 뿐, 흥미를 유발하고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막대형 티백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들로써, 이는, 티백홀더(10), 건조차필터(20), 연장끈(30), 볼(40)이 구비된 점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하며, 티백홀더(10)에 스폰지재의 쿠션부재(90)가 더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쿠션부재(90)는 중앙에 관통구멍(91)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내부에 연장끈(30)이 위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막대형 티백의 상단부를 누르면 쿠션부재(90)가 압축되면서 볼(40)을 티백홀더(10)의 외측으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볼(40)이 볼지지부(50)를 벗어난 후 터짐부(22)를 뚫고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막대형 티백의 상단부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쿠션부재(90)가 복원되면서 눌린상태의 티백홀더(10) 및 건조차필터(20)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은 그 상단부를 눌러서 찌그러뜨려도 쿠션부재(90)가 복원되면서 이를 복원시키므로 볼(40)을 인출시킨 후에도 막대형 티백의 외형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를 다 마실 때까지 막대형 티백의 미감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2는 막대형 티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건조차필터(100), 연장끈(30), 볼(40), 볼지지부(50)로 이루어지며, 티백홀더(10)가 삭제된 점에 특징이 있다.
건조차필터(100)는, 전체 형상이 중공형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공간이 격막(101)에 의해 제1수납공간(102) 및 제2수납공간(103)으로 구획되며, 제1수납공간(102)에는 건조차(3)가 수납되어 있고, 제2수납공간(103)의 단부에는 그 개방부를 밀폐시키도록 터짐부(104)가 구비된다.
연장끈(30)은, 건조차필터(100)의 제2수납공간(103)에 수납되고 일단이 건조차필터(100)의 격막(101)에 연결된다. 볼(40)은, 건조차필터(100)의 제2수납공간(103)에 수납되고 연장끈(30)의 타단에 연결된다. 볼지지부(50)는 제2수납공간(103)의 개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볼(40)이 제2수납공간(103) 내에 위치되도록 볼(40)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막대형 필터는 티백홀더(10)가 삭제되며 그 기능을 건조차필터(100)가 수행한다. 따라서 전체 부품수가 절감되며 이에 따라 제조 공정 및 제조 단가가 그만큼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볼지지부를 보인 도 2의 횡단면도
도 5는 제2수납공간에서 볼을 인출시키기 위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막대형 티백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막대형 티백이 단위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스폰지재의 볼을 보인 발췌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볼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및 펼치 상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및 펼친 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막대형 티백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들
도 12는 막대형 티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 2 : 케이스
3 : 건조차 10 : 티백홀더
11,101 : 격막 12,102 : 제1수납공간
13,103 : 제2수납공간 20,100 : 건조차필터
21 : 필터링부 22,104 : 터짐부
30 : 연장끈 40,60,70,80 : 볼
50 : 볼지지부 71 : 제1볼편
72 : 제1수납부 73 : 제2볼편
74 : 제2수납부 75,81 : 홍보용띠
82 : 파지부 90 : 쿠션부재
91 : 관통구멍

Claims (7)

  1. 격막(11)에 의해 제1수납공간(12)과 제2수납공간(13)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12) 및 제2수납공간(13)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티백홀더(10);
    상기 티백홀더(10)의 둘레에 감싸지고, 건조차(3)의 수납공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제1수납공간(12)의 개방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필터링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납공간(13)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터짐부(22)로 이루어진 건조차필터(20);
    상기 티백홀더(10)의 제2수납공간(13)에 수납되고 일단이 상기 티백홀더(10)에 연결되는 연장끈(30);
    상기 티백홀더(10)의 제2수납공간(13)에 수납되고 상기 연장끈(30)의 타단에 연결되는 볼(40)(60)(70)(80);
    상기 제2수납공간(13)의 개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볼(40)(60)(70)(80)이 상기 제2수납공간(13)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볼(40)(60)(70)(80)의 일측을 지지하는 볼지지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60)은,
    스폰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70)은,
    내부에 오목한 제1수납부(72)가 형성되는 반구형 제1볼편(71)과, 내부에 오목한 제2수납부(74)가 형성되는 반구형 제2볼편(73)과, 양단이 상기 제1볼편(71) 및 제2볼편(73) 내부에 각각 고정되고 일면 또는 양면에 광고용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홍보용띠(7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80)은,
    일면 또는 양면에 홍보용 문구가 형성되어 있는 은박형태의 홍보용띠(81)가 구 형태로 접혀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지지부(50)는,
    볼(40)(60)(70)(80) 둘레의 복수 부분에 점접촉되도록 출구 부분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기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6. 제1항에 있어서, 제2수납공간(13)에는,
    누름부분의 복원이 이루어지고 볼(40)의 인출을 안내하도록 쿠션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7. 전체 형상이 중공형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공간이 격막(101)에 의해 제1수납공간(102) 및 제2수납공간(103)으로 구획되며, 제1수납공간(101)에는 건조차(3)가 수납되어 있고, 제2수납공간(103)의 단부에는 그 개방부를 밀폐시키도록 터짐부(104)가 구비된 건조차필터(100);
    상기 건조차필터(100)의 제2수납공간(103)에 수납되고 일단이 상기 건조차필터(100)에 연결되는 연장끈(30);
    상기 건조차필터(100)의 제2수납공간(103)에 수납되고 상기 연장끈(30)의 타단에 연결되는 볼(40);
    상기 제2수납공간(103)의 개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볼(40)이 상기 제2수납공간(103)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볼(40)의 일측을 지지하는 볼지지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KR1020080112721A 2008-11-13 2008-11-13 막대형 티백 KR20100053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721A KR20100053883A (ko) 2008-11-13 2008-11-13 막대형 티백
PCT/KR2009/002264 WO2010055979A1 (ko) 2008-11-13 2009-04-29 막대형 티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721A KR20100053883A (ko) 2008-11-13 2008-11-13 막대형 티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883A true KR20100053883A (ko) 2010-05-24

Family

ID=4217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721A KR20100053883A (ko) 2008-11-13 2008-11-13 막대형 티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53883A (ko)
WO (1) WO20100559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41B1 (ko) * 2011-05-02 2012-02-13 주광노 스틱형 티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254937B1 (ko) * 2011-12-05 2013-04-23 주식회사 티레모 스틱형 티백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0827B (en) * 2010-06-01 2012-06-06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liquid food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615Y1 (ko) * 1999-10-27 2000-03-15 김수정 1회용 커피믹스
JP2003235734A (ja) * 2002-02-18 2003-08-26 Japan Home Supply Kk ティーパック
JP2003246365A (ja) * 2002-02-25 2003-09-02 Michiro Kozutsumi ペットボトル用スティック状ティーバッグ
JP2005118239A (ja) * 2003-10-16 2005-05-12 Naotaka Hatakeyama コーヒー/ティーバッグ抽出具
KR200435271Y1 (ko) * 2006-09-04 2007-01-15 최정연 막대형 티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41B1 (ko) * 2011-05-02 2012-02-13 주광노 스틱형 티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254937B1 (ko) * 2011-12-05 2013-04-23 주식회사 티레모 스틱형 티백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5979A1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08369A (ja) 改良された浸出用バッグ
HUT74239A (en) Infuser
KR101378808B1 (ko)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20100053883A (ko) 막대형 티백
KR100785265B1 (ko) 티백 패키지
KR100375578B1 (ko) 포장체
EP3414188B1 (en) Infusion packets
US20170233179A1 (en) Tea bag with an externally connected label structure
KR20140050907A (ko) 클립이 부착된 차 거름 용기
KR20100072140A (ko) 막대 사탕 모양의 차(茶) 티백
EA038770B1 (ru) Пакетики для настаивания
JP3508851B2 (ja) コーヒー等の濾過器
CN220735074U (zh) 一种便携式飞碟挂耳咖啡折叠杯
JP2009522043A (ja) 懸架される使い捨て飲料浸出バッグ
KR101757851B1 (ko) 개봉시 일회용 용기로 겸용할 수 있는 밀봉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441B1 (ko) 휴대용 용기 및 용기 제조방법
JP3130281U (ja) スティック状ティーバッグ
WO2018022425A1 (en) Tea bag with an accessible opening
KR101596602B1 (ko) 두루마리형으로 향기티슈가 말아진 테이크아웃컵
CN215665047U (zh) 一种双折叠茶叶包
TW201713580A (zh) 不需杯具之隨身飲料沖泡包
KR20110060124A (ko) 차 우림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63945A (ko) 휴대하기 용이한 티백 제조방법
US1497174A (en) Tea cartridge
KR101718246B1 (ko) 자성부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