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856A -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856A
KR20100052856A KR1020080111724A KR20080111724A KR20100052856A KR 20100052856 A KR20100052856 A KR 20100052856A KR 1020080111724 A KR1020080111724 A KR 1020080111724A KR 20080111724 A KR20080111724 A KR 20080111724A KR 20100052856 A KR20100052856 A KR 20100052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peaker
screen
virtual
sp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592B1 (ko
Inventor
김정호
정소영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592B1/ko
Priority to US12/483,693 priority patent/US9036842B2/en
Priority to EP09165810.4A priority patent/EP2187658B1/en
Priority to CN200910180435.8A priority patent/CN101742378B/zh
Publication of KR2010005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7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에 가상의 화면음원을 공간적으로 동기화시키는 화면음원 위치 기술을 제시한다. 이 기술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하여,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여 이를 상기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영상 오브젝트, 화면음원, 동기화, 공간 분해능

Description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Positioning apparatus and playing method for a virtual sound source with high resolving power}
본 발명은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된 가상의 음원을 재생하는 기술에 관련한 것이다.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보급되면서, 영상과 음원을 공간적으로 일치시켜 사용자의 청취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화면상에서 영상과 음원을 공간적으로 일치시키는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이나 화면뒤에 2차원으로 다수의 스피커들을 배치하여 특정 화면 위치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재생함으로써 영상과 실제음원을 공간적으로 일치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 위치에 정확하게 실제음원을 일치시킬 수 있으나,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임의 위치에 음원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수의 스피커가 필요하다.
또한,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이나 화면뒤에 2차원으로 배열되는 매우 많은 수의 스피커를 독립 구동해야만 하므로, 다수의 스피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앰프 및 제어기 구성이 복잡하며, 스피커 출력이 작을 수 밖에 없고, 저주파와 고주파 분리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극장에서와 같이 화면 뒤의 공간이 충분히 큰 응용 분야에서는 적용가능하지만, 전면 유리로 제작되는 가정용 평면 TV 패널 등의 소규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정용 평면 TV 패널 등의 소규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어, 보다 향상된 공간 분해능을 가진 가상의 화면음원을 위치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된 가상의 화면음원의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화면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Set)을 복수로 선택하여,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여 이를 상기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하고,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된 스피커들을 통해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중첩한 다중음원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 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복수로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개별음원들이 중첩된 다중음원이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화면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전면 유리로 제작되는 가정용 평면 TV 패널 등의 소규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이나 화면뒤에 2차원으로 다수의 스피커들을 배치하여 특정 화면 위치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재생하여 영상과 실제음원을 공간적으로 일치시킬 수 없다.
따라서,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외곽에 다수의 스피커를 배치하고, 이 스피커들중 적절하게 다수의 스피커를 선택하여 음원을 재생함으로써 영상과 음원을 공간적으로 일치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외곽에 다수의 스피커를 배치하는 기하하적 구조에서는 모든 화면 영역을 동일하게 분할하기 어렵다. 따라서, 화면 영역중의 일부 영역에서는 음원 위치의 공간 분해능이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외곽의 협소한 배치 공간으로 인해 작은 스피커를 사용해야하므로, 스피커의 직경이 작아 주파수 출력 범위가 제한되게 되어 저주파 성분을 출력하기 어렵고, 스피커 두께가 작아 영구자석과 보이스 코일의 설치에 제한을 받게되어 충분한 음압을 발생시키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화면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100)는 제어부(110)와, 다중음원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영상 오브젝트와 동기화하여 가상의 화면음원을 형성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200)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20)가 2가지 방식으로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첫번째는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의 각 위치별로 설정된 스피커 셋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이를 참조하여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기반의 스피커 셋 선택 방식이다.
두번째는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 존재하는 영상 오브젝트 위치에 가상의 화면음원을 위치시킬 수 있는 최적의 스피커를 소프트웨어적인 연산을 통해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하는 실시간 연산 기반의 스피커 셋 선택 방식이다. 이들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중음원 처리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여 이를 상기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로 출력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다중음원 처리부(120)가 복수의 음원 생성부(121)와, 음원 합성부(122)와, 음원 증폭부(123)와, 스피커 출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원 생성부(121)는 음원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 각각에 대한 개별음원을 생성한다. 상기 각 개별음원은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특성에 맞게 원래의 음원신호를 변환한 음원신호일 수 있다.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의 거리 및 각도 차이, 인간의 평면 음원에 대한 상하 공간 분해능 인식 차이, 음원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지향성 차이 등에 의한 청취음원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VBAP(Vector Base Amplitude Panning) 기법 등을 이용해 음원을 화면상에 위치시킨다.
VBAP 기법은 공간상의 임의의 3개의 스피커를 대상으로, 음원 벡터 성분을 규정하고, 이 벡터들을 이용해 3개의 스피커를 꼭지점으로 하는 가상의 삼각형 내부에 음원을 위치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복수의 스피커 셋이 선택되면, 복수의 음원 생성부(121)를 통해 예컨대, 상기 VBAP 기법을 이용해 원래의 음원신호를 보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해 선택된 스피커 셋 각각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한다.
상기 음원 합성부(122)는 상기 각 음원생성부(121)에 의해 생성된 개별음원을 합성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음원 합성부(122)로 믹서(Mixer)를 사용하여 상기 각 음원생성부(121)에 의해 생성된 개별음원을 합성하여 중첩된 다중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증폭부(123)는 상기 음원 합성부(122)에 의해 생성된 다중음원을 증폭한다. 예컨대, 상기 음원 증폭부(123)로 다수의 앰프(Amp)를 사용하여 상기 다중음원을 각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들의 특성에 맞게 이득(Gain) 조정하여 개별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출력부(124)는 상기 음원 증폭부(123)에 의해 증폭된 다중음원을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200)로 출력하도록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예컨대, 상기 스피커 출력부(124)로 m개의 입력으로부터 n개의 출력을 선택하는 매트릭스 스위치(Matrix Switch)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200)로 증폭된 다중음원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하고,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된 스피커들을 통해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중첩한 다중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시청자는 중첩된 다중음원을 마치 하나의 음원처럼 청취할 수 있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공간 분해능이 향상된다.
더욱이, 복수로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보다 많은 수의 스피커를 통해 개별음원들이 중첩된 다중음원이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다중음원 처리부(120)가 밴드패스필터부(1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밴드패스필터부(125)는 상기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각 음원 생성부(121)로 출력한다.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음원은 주파수에 따라 지향성에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즉, 주파수가 낮은 구간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방사되는 음압이 일정한 일종의 무지향 특성을 가지게 되고,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전방으로의 방사 음압이 높아지고, 주변부로의 방사 음압이 낮아지는 지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 실시예는 상기 밴드패스필터부(125)가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각 음원 생성부(121)로 출력하여 상기 각 음원 생성부(121)가 주파수 대역별로 개별신호를 생성하도록 한 것이다.
주파수 대역별로 생성된 개별신호는 상기 음원 합성부(122)에 의해 합성되어 중첩된 다중음원이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됨으로써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화면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향성이 높은 고주파 영역에서는 스피커간 간격이 좁은 것이 유리하고,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스피커간 간격이 넓은 것이 유리하므로, 스피커 셋 선택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가 영상 오브젝트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간 연산 기반의 스피커 셋 선택 방식을 적용한 실시예이다.
도 2 는 화면음원 위치를 위한 스피커 선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 존재하는 영상 오브젝트 위치 A에 화면음원을 위치시키기 위해 스피커 2,16,19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과, 스피커 3,15,19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이 복수로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가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의 각 위치별로 설정된 스피커 셋 정보를 참조하여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기반의 스피커 셋 선택 방식을 적용한 실시예이다.
도 3 은 스피커 셋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 존재하는 영상 오브젝트 위치 A에 화면음원을 위치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스피커 셋 정보를 참조하여 스피커 2,16,19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 1과, 스피커 3,15,19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 2가 복수로 선택되게 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의한 복수의 스피커 셋 선택을 위한 구성들을 알아본다. 상기 스피커 셋 정보 생성을 위해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하는 구성들 역시 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는 스피커 셋 선택을 위한 가상의 벡터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영상 오브젝트 위치 A와 시청자 K를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영상 오브젝트 위치 A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삼각형의 각 꼭지점들인 스피커 1,2,3 각각과 시청자 K를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을 각각 θ1, θ2, θ3라 하자.
그러면, 복수로 검색된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들에 대해 θ1, θ2, θ3를 구하고, 이 구해진 각 스피커 셋의 θ1, θ2, θ3 정보를 이용해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청자 K의 위치는 예컨대, 영상 오브젝트 위치 A와 수직한 방향의 위치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임의로 선택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가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최대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이 경우는 각 스피커 셋에 대해 구해진 θ1, θ2, θ3중 최대값을 선택하여, 이들 각각을 비교하여 최대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스피커 셋을 2개 선택한다면, 최대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2개 선택하면 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가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합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 경우는 각 스피커 셋에 대해 구해진 θ1, θ2, θ3을 합하여, 그 합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스피커 셋을 2개 선택한다면, 합한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2개 선택하면 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가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평균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 경우는 각 스피커 셋에 대해 구해진 θ1, θ2, θ3을 평균하여, 그 평균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스피커 셋을 2개 선택한다면, 평균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2개 선택하면 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가 영상 오브젝트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들의 각 다각형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가상의 다각형 면적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 위로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다각형 면적은 각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위치가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수학적 연산을 통해 구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면음원 위치장치(100)의 화면음원 재생 동작을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 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기반의 스피커 셋 선택 방식을 적용하여 화면음원을 재생하는 실시예이다. 도 5 를 참조해보면, 음원이 입력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1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서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에 동기화할 영상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영상 오브젝트의 화면상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정보로부터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10에 의해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가 결정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120에서 결정된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피커 셋을 스피커 셋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한다.
상기 스피커 셋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오브젝트에 동기화할 가상의 화면음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하는 기술은 기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계 S120에 의해 복수의 스피커 셋이 선택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130에서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단계 S130에서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는 기술은 기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계 S130에 의해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들이 생성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140에서 상기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한다. 그리고,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150에서 상기 단계 S140에 의해 생성된 다중음원을 상기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된 각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단계 S150에서 상기 다중음원을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하고,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된 스피커들을 통해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중첩한 다중음원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복수로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개별음원들이 중첩된 다중음원이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화면음원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6 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간 연산 기반의 스피커 셋 선택 방식을 적용하여 화면음원을 재생하는 실시예이다. 도 6 을 참조해보면, 음원이 입력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2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서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에 동기화할 영상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영상 오브젝트의 화면상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정보로부터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10에 의해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가 결정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220에서 결정된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한다.
이 때,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최대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합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평균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들중에서 상기 각 가상의 다각형 면적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220에 의해 복수의 스피커 셋이 선택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230에서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단계 S230에서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는 기술은 기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계 S230에 의해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들이 생성되면,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240에서 상기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한다. 그리고,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단계 S250에서 상기 단계 S240에 의해 생성된 다중음원을 상기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된 각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단계 S250에서 상기 다중음원을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하고,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된 스피커들을 통해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중첩한 다중음원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복수로 선택된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개별음원들이 중첩된 다중음원이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화면음원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화면음원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오브젝트와 공간적으로 동기화되는 가상의 음원의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화면음원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화면음원 위치를 위한 스피커 선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스피커 셋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스피커 셋 선택을 위한 가상의 벡터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면음원 위치장치 10 : 제어부
120 : 다중음원 처리부 121 : 음원 생성부
122 : 음원 합성부 123 : 음원 증폭부
124 : 스피커 출력부 125 : 밴드패스필터부
200 : 스피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영상 오브젝트와 동기화하여 가상의 화면음원을 형성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피커들중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셋을 복수로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여 이를 상기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로 출력하는 다중음원 처리부를;
    포함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음원 처리부가:
    음원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 각각에 대한 개별음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음원 생성부와;
    상기 각 음원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개별음원을 합성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합성부와;
    상기 음원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다중음원을 증폭하는 음원 증폭부와;
    상기 음원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다중음원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되는 각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스피커 출력부를;
    포함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음원 처리부가:
    상기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각 음원 생성부로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가: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원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영상 오브젝트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의 각 위치별로 설정된 스피커 셋 정보를 참조하여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피커 셋을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최대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합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 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평균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상의 다각형 면적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11. 음원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서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가 결정되면, 결정된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피커 셋을 스피커 셋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중음원을 상기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된 각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음원을 상기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된 각 스피커 로 출력하는 단계에서:
    다중음원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들을 생성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4. 음원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서 재생할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가 결정되면, 결정된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개별음원들을 중첩하여 다중음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중음원을 상기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된 각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음원을 상기 선택된 복수의 스피커 셋에 포함된 각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에서:
    다중음원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 셋에 대응하는 개별음원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음원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분리하여 개별음원들을 생성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최대값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 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합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1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영상 오브젝트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화면음원 기준벡터와, 각 스피커와 시청자간을 연결한 가상의 각 스피커 벡터간의 각도들의 평균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20.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화면음원 위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가상의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셋중 2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의 다각형 면적이 작은 스피커 셋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는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재생방법.
KR1020080111724A 2008-11-11 2008-11-11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 KR10151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24A KR101517592B1 (ko) 2008-11-11 2008-11-11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
US12/483,693 US9036842B2 (en) 2008-11-11 2009-06-12 Positioning and reproducing screen sound source with high resolution
EP09165810.4A EP2187658B1 (en) 2008-11-11 2009-07-17 Positioning and reproducing screen sound source with high resolution
CN200910180435.8A CN101742378B (zh) 2008-11-11 2009-10-14 定位和再现具有高分辨率的屏幕声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24A KR101517592B1 (ko) 2008-11-11 2008-11-11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856A true KR20100052856A (ko) 2010-05-20
KR101517592B1 KR101517592B1 (ko) 2015-05-04

Family

ID=4146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724A KR101517592B1 (ko) 2008-11-11 2008-11-11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6842B2 (ko)
EP (1) EP2187658B1 (ko)
KR (1) KR101517592B1 (ko)
CN (1) CN1017423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334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오디오 신호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50084113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감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8611B2 (ja) * 2009-07-02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10055703A1 (en) * 2009-09-03 2011-03-03 Niklas Lundback Spatial Apportioning of Audio in a Large Scale Multi-User, Multi-Touch System
WO2011119401A2 (en) 2010-03-23 2011-09-2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Techniques for localized perceptual audio
US10158958B2 (en) 2010-03-23 2018-12-1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Techniques for localized perceptual audio
CN102281425A (zh) * 2010-06-11 2011-12-1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播放远端与会人员音频的方法、装置及远程视频会议系统
KR20130106357A (ko) * 2010-09-06 2013-09-27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멀티 유저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JP6065369B2 (ja) * 2012-02-03 2017-01-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81272A2 (en) * 2012-05-31 2013-12-05 Dts Llc Object-based audio system using vector base amplitude panning
KR102127640B1 (ko) * 2013-03-28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보청기와 휴대 단말에서 음원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EP2979467B1 (en) * 2013-03-28 2019-12-1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Rendering audio using speakers organized as a mesh of arbitrary n-gons
US9584915B2 (en) 2015-01-19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atial audio with remote speakers
US9787846B2 (en) * 2015-01-21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atial audio signal processing for objects with associated audio content
CN105989845B (zh) 2015-02-25 2020-12-08 杜比实验室特许公司 视频内容协助的音频对象提取
US9949057B2 (en) 2015-09-08 2018-04-17 Apple Inc. Stereo and filter control for multi-speaker device
KR20200037003A (ko) 2018-09-28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CN111200678B (zh) * 2018-11-19 2022-09-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音频输出方法
US11356791B2 (en) * 2018-12-27 2022-06-07 Gilberto Torres Ayala Vector audio panning and playback system
WO2020213375A1 (ja) * 2019-04-16 2020-10-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372167B (zh) * 2020-02-24 2021-10-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效优化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0161A (en) * 1939-06-15 1942-01-13 Briggs Martin Hunter Portable building
US2959256A (en) * 1956-02-09 1960-11-08 Arthur F Deam Hexagonal structure
US4007075A (en) * 1973-12-10 1977-02-08 Cascade Po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fiberglass pole
US4275534A (en) * 1977-06-13 1981-06-30 W. H. Porter, Inc. Hexagonal building structures
US4395154A (en) * 1981-10-01 1983-07-26 Phillips Martha E Geodesic dome connector
JPH02224495A (ja) 1989-02-27 1990-09-06 Canon Inc 映像表示用スクリーン
US5088245A (en) * 1990-08-07 1992-02-18 W. H. Porter, Inc. Interconnected hexagonal building structures
US5765316A (en) * 1996-09-17 1998-06-16 Kavarsky; Raymond R. Building module, collapsible for transport and expandable for use
KR100284768B1 (ko) 1998-04-06 2001-03-15 윤종용 다화면비디오디스플레이시스템에서의오디오데이타처리장치
US6345638B1 (en) * 1999-02-15 2002-02-12 Tentnology Ltd. Multiple peak cable tent
GB2350130B (en) * 1999-05-21 2001-08-15 Ashley Thomas Beight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structures
US6829018B2 (en) * 2001-09-17 2004-1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hree-dimensional sound creation assisted by visual information
US20040049992A1 (en) * 2002-09-13 2004-03-18 Seavy Richard J. Structures incorporating interlocking wall modules
DE10338694B4 (de) * 2003-08-22 2005-08-25 Siemens Ag Wiedergabeeinrichtung, umfassend wenigstens einen Bildschirm zur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US20050047616A1 (en) * 2003-09-03 2005-03-03 Noel Lee Flat panel monitor frame with integral speakers
JP2005094271A (ja) 2003-09-16 2005-04-07 Nippon Hoso Kyokai <Nhk> 仮想空間音響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仮想空間音響再生装置
JP4551652B2 (ja) 2003-12-02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音場再生装置及び音場空間再生システム
JP4629388B2 (ja) * 2004-08-27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音響生成方法、音響生成装置、音響再生方法及び音響再生装置
DE102005008343A1 (de) * 2005-02-23 2006-09-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iefern von Daten in einem Multi-Renderer-System
JP5067595B2 (ja) 2005-10-17 2012-11-0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73919B2 (ja) 2006-10-23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出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出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334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오디오 신호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50084113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감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7658A3 (en) 2012-06-13
KR101517592B1 (ko) 2015-05-04
EP2187658B1 (en) 2013-09-18
US9036842B2 (en) 2015-05-19
CN101742378A (zh) 2010-06-16
US20100119092A1 (en) 2010-05-13
CN101742378B (zh) 2015-07-01
EP2187658A2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2856A (ko) 고분해능을 가진 화면음원 위치장치 및 재생방법
US8208663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 sound source, method of generating loudspeaker set information, and method of reproducing positioned screen sound source
US118954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related adaptation of a Higher-Order Ambisonics audio signal
KR101268779B1 (ko)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사용한 음장 재생 장치 및 방법
EP1705955B1 (en) Audio signal supplying apparatus for speaker array
JP4449998B2 (ja) アレイスピーカ装置
KR100922910B1 (ko) 사운드 필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889033B (zh) 用于波束形成扬声器阵列的空间音频呈现
US8699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ow-frequency channel
US7068800B2 (en) Speaker apparatus
JP4924119B2 (ja) アレイスピーカ装置
US20230336935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JP2014103456A (ja) オーディオアンプ
KR101488936B1 (ko)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JP6647064B2 (ja) 音声信号の特性調整装置、及び、音声信号の特性調整プログラム
JP3856136B2 (ja) Avシステム
JP2014107764A (ja) 位置情報取得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