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791A -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791A
KR20100052791A KR1020080111646A KR20080111646A KR20100052791A KR 20100052791 A KR20100052791 A KR 20100052791A KR 1020080111646 A KR1020080111646 A KR 1020080111646A KR 20080111646 A KR20080111646 A KR 20080111646A KR 20100052791 A KR20100052791 A KR 2010005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water
gas separation
separation membrane
carbon dioxide
produ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869B1 (ko
Inventor
문유진
이선용
김연국
한두원
강병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8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100)와, 유입구(220)와 배출구(240)를 갖는 기체 분리막(200)과, 상기 저장 탱크(100)의 냉수를 상기 유입구(220)로 공급하는 펌프(300)와, 상기 유입구(220)에 제공되어 역류압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60)와, 상기 기체 분리막(200)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400)와, 상기 배출구(240)에 제공되며 탄산수 배출용 개폐밸브(520)를 갖는 탄산수 추출관(500)과, 상기 탄산수 추출관(500)과 연통되게 제공되며 초기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밸브(620)를 갖는 방류관(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구조를 밀폐 상태로 유지시켜 이산화탄소 용해 효율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탄산수 내의 호기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탄산 음용수의 초기 추출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탄산수, 탄산수 제조장치

Description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HAVING OPTIMIZED ABSTRACTING SYSTEM OF CARBONATED WATER USING MEMBRANE}
본 발명은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수의 추출이 멈춤과 동시에 밸브를 통해 내부 구조를 밀폐 상태로 유지시켜 기체 분리막 내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 효율을 고정도로 극대화시킨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수기는 단순히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유용한 성분이 추가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한 예로서, 정수기에 탄산이 공급되도록 하여 물의 음용시 탄산 음용수를 수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제품이 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장치는, 초기 이산화탄소가스를 저장하는 이산화탄소가스 압력용기와, 오리피스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로 구성되어 용기내에 오리피스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이때 기포가 발생되고 이 기포에 이산화탄소가스를 공급하여 탄산수를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은 물이 이산화탄소가스를 흡수하는 방법으로 탄산수가 얻어지는 것으로 이산화탄소가 물에 안정적으로 용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기체 분리막을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기체 분리막은 2상 사이에서 물질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 고분자 재질의 계면(Interphase)이라 정의될 수 있으며, 최근 산업의 고도화 및 다변화로 인한 고순도, 고품위의 제품이 요구됨에 따라 분리공정은 대단히 중요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어 화학공업, 식품공업, 약품공업등의 공업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생화학 및 환경분야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막을 이용한 기체분리는 막에 대한 선택적인 가스 투과 원리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기체 혼합물이 막표면에 접촉하였을때 기체 성분은 막속으로 용해, 확산하게 되며 이때 각각의 기체 성분의 용해도와 투과도는 막물질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을 기체 분리막을 통해 혼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의 경우 내부 구조가 밀폐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가 아니어서 내부 가스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기체 분리막내에 잔존하는 탄산수의 용해 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탄산수 추출구에 밸브를 설치하여 기체 분리막 내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초기 탄산수 추출시 외부로 빠져나오는 압력에 의해 탄산수가 폭발적으로 추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컵이 탄산수를 수용하지 못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이산화탄소 용해 효율성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기체 분리막;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기체 분리막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 상기 배출구에 제공되며 탄산수 배출용 개폐밸브를 갖는 탄산수 추출관; 상기 탄산수 추출관과 연통되게 제공되며 초기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밸브를 갖는 방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에 역류압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더 제공될 수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는,
시스템 내부 구조가 밸브를 통해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탄산수의 안정된 용해 효율성을 유지 및 기체 분리막 내에 탄산수가 잔류함에 따라 각종 호기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탄산 음용수의 초기 추출시 외부로 빠져나오는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추출 압력을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방류되도록 한 다음 적정 압력으로 배출되는 탄산 음용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탄산 음용자가 항상 안전하게 컵을 통해 탄산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은, 도 1의 도시에 의하여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100)와, 유입구(220)와 배출구(240)를 갖는 기체 분리막(200)과, 상기 저장 탱크(100)의 냉수를 상기 유입구(220)로 공급하는 펌프(300)와, 상기 유입구(220)에 제공되어 역류압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60)와, 상기 기체 분리막(200)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400)와, 상기 배출구(240)에 제공되며 탄산수 배출용 개폐밸브(520)를 갖는 탄산수 추출관(500)과, 상기 탄산수 추출관(500)과 연통되게 제공되며 초기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밸브(620)를 갖는 방류관(60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탱크(100)는, 유입되는 원수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기체 분리막(200)은, 공지 기술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며, 일측에는 유입구(220)가 그리고 타측에는 배출구(240)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220)로 유입된 원수를 내부에서 분리막을 통해 필터링 시킨 후 상기 배출구(240)를 통해 탄산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기체 분리막은 탄산수 제조효율을 고려하여 그 형태가 중공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체 분리막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면서 이산화탄소가스가 물에 쉽게 용해되어 탄산수가 제조된다.
상기 기체 분리막(200)은, 최소량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사용하여 적절한 농도의 탄산수를 얻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1 kgf/cm2 의 압력에서 0.55 내지 4.6 LPM(Liter Per Minute),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LPM 인 것을 적용한다.
만약 기체 분리막의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탄산수 내에 용존 탄산량이 0.2%를 넘을 수 없어 탄산수로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이산화탄소 투입량과 비교하여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없어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기체 분리막의 재질은 상기한 이산화탄소 투과량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으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라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설폰을 사용한다.
이때, 기체 분리막은 막 표면 및 내부에 친수성 고분자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상기 펌프(300)는, 상기 저장 탱크(100)와 상기 기체 분리막(200)의 유입구(220)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 탱크(100)내의 원수를 상기 기체 분리막(200)으로 펌핑시키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260)는, 상기 기체 분리막(200)의 유입구에 제공되어 원수의 유입을 제어 및 상기 기체 분리막(200)으로부터 역류되는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400)는, 이산화탄소 저장 용기(410)와, 이산화탄소 공급 가스로(420)와, 밸브(430)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4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 저장 용기(410)내의 가스를 이산화탄산 공급 가스로(420)를 통해 기체 분 리막(200) 내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밸브(430)는, 이산화탄소를 규칙적으로 상기 기체 분리막(200)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개폐밸브(520)는, 상기 배출구(240)에 연결되는 탄산수 추출관(500)에 제공되며, 상기 개폐밸브(520)의 조작에 따라 탄산수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방류관(600)은, 상기 탄산수 추출관(500)에 연통 가능하게 제공되며, 일측에 초기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밸브(620)가 제공된다.
상기 보조밸브(620)는, 상기 탄산수 추출관(500)을 통해 초기 탄산수 추출시 상기 기체 분리막(200)에 잔존하고 있는 압력에 의해 탄산수 폭발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보조밸브(620)를 개방시켜 상기 방류관(600)을 통해 초기 탄산수 만을 방류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분리막(200) 내에서 탄산수가 밀폐상태로 되면 높은 용해 효율성을 유지하며 저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기체 분리막(200) 내부에서는 공급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압력이 작용된다. 이때, 탄산수 음용자가 탄산수 추출하고자 하면 먼저, 압력을 해소시켜야 함에 따라 방류관(600)에 제공된 보조밸브(620)를 개방시켜 일정시간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기체 분리막(200)에 잔존하고 있던 탄산수가 내부 압력에 의해 폭발 현상을 발생하며 방류관(600)을 통해 외부로 방류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보조밸브(620)를 폐쇄시킨 다음 탄산수 추출관(500)에 제공된 개폐밸브(520)를 조작하여 탄산수를 추출하면 된다.
<제2실시예>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100)와, 유입구(220)와 배출구(240)를 갖는 기체 분리막(200)과, 상기 저장 탱크(100)의 냉수를 상기 유입구(220)로 공급하는 펌프(300)와, 상기 유입구(220)에 제공되어 역류압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60)와, 상기 기체 분리막(200)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400)와, 상기 배출구(240)에 제공되며 탄산수 배출용 개폐밸브(520)를 갖는 탄산수 추출관(500)과, 상기 탄산수 추출관(500)과 연통되게 제공되며 초기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밸브(620)를 갖는 방류관(600)과, 상기 배출구(240)에 제공되어 초기 탄산수의 배출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700)와, 상기 개폐밸브(520)의 개방 동작시 상기 압력센서(700)의 신호값을 입력받아 셋팅된 신호값의 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보조밸브(620)를 개방시켜 초기 탄산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 탱크(100), 상기 기체 분리막(200), 상기 펌프(300), 상기 체크밸브(260),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400), 상기 탄산수 추출관(500), 상기 방류관(60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700)는, 상기 배출구(240)에 제공되어 배출되는 처리수의 배출 압력이 불규칙 적으로 배출되는 경우 이를 센싱하여 그 신호값을 상기 제어부(80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압력센서(700), 상기 펌프(300), 상기 체크밸브(260),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400)의 밸브(430) 등 각종 전기 전자적 부품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분리막(200) 내에서 탄산수가 밀폐상태로 되면 높은 용해 효율성을 유지하며 저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기체 분리막(200) 내부에서는 공급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압력이 작용된다. 이때, 탄산수 음용자가 탄산수를 추출하고자 하면 먼저, 압력을 해소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탄산수 추출관(500)의 개폐밸브(520)를 조작하면 된다. 즉, 개폐밸브(520)를 조작하게 되면 압력센서(700)가 상기 기체 분리막(200) 내의 탄산수 배출 압력을 센싱하게 되고, 이때 배출 압력이 기존 셋팅된 값 보다 크게 되면 방류관(600)의 보조 밸브(620)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상기 기체 분리막(200)을 통해 배출되는 초기 탄산수는 방류관(600)을 통해 방류되게 된다. 이후 상기 압력센서(700)가 미리 셋팅된 탄산수 추출 압력값을 센싱하게 되면 상기 보조 밸브(620)를 폐쇄시키고 상기 개폐밸브(520)를 개방시켜 음용자가 위치시킨 컵에 탄산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게 된다.
탄산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것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저장 탱크
200: 기체 분리막
300: 펌프
400: 이산화탄소 공급부
500: 탄산수 추출관
600: 방류관
700: 압력센서
800: 제어부

Claims (12)

  1.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기체 분리막;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기체 분리막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
    상기 배출구에 제공되며 탄산수 배출용 개폐밸브를 갖는 탄산수 추출관;
    상기 탄산수 추출관과 연통되게 제공되며 초기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밸브를 갖는 방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역류압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1 kgf/cm2 의 압력에서 0.55 내지 4.6 LPM 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1 kgf/cm2 의 압력에서 0.8 내지 1.5 L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라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막 표면 및 내부에 친수성 고분자가 코팅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7.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기체 분리막;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기체 분리막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
    상기 배출구에 제공되며 탄산수 배출을 위한 개폐밸브를 갖는 탄산수 추출관;
    상기 탄산수 추출관과 연통되게 제공되며 초기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밸브를 갖는 방류관;
    상기 배출구에 제공되어 초기 탄산수의 배출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 동작시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값을 입력받아 셋팅된 신호값의 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보조밸브를 개방시켜 초기 탄산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역류압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1 kgf/cm2 의 압력에서 0.55 내지 4.6 L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1 kgf/cm2 의 압력에서 0.8 내지 1.5 L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라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막 표면 및 내부에 친수성 고분자가 코팅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KR1020080111646A 2008-11-11 2008-11-11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KR101006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646A KR101006869B1 (ko) 2008-11-11 2008-11-11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646A KR101006869B1 (ko) 2008-11-11 2008-11-11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791A true KR20100052791A (ko) 2010-05-20
KR101006869B1 KR101006869B1 (ko) 2011-01-12

Family

ID=4227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646A KR101006869B1 (ko) 2008-11-11 2008-11-11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671A (ko) * 2015-03-04 2016-09-20 코웨이 주식회사 압력 조절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US9889414B2 (en) 2015-02-24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ated water production unit,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30379B2 (en) 2015-02-17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08685A (ko) * 2018-03-15 2019-09-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체 분리 장치, 기체 분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체 분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972B1 (ko) * 2015-03-04 2022-10-11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시스템
KR102385172B1 (ko) * 2015-03-06 2022-04-12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시스템
KR102451971B1 (ko) * 2015-03-06 2022-10-11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85555B1 (ko) * 2015-03-12 2022-04-13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661A (ja) 2001-06-29 2003-01-14 Mitsubishi Rayon Eng Co Ltd 炭酸水製造装置および炭酸水製造装置の運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0379B2 (en) 2015-02-17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89414B2 (en) 2015-02-24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ated water production unit,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8671A (ko) * 2015-03-04 2016-09-20 코웨이 주식회사 압력 조절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KR20190108685A (ko) * 2018-03-15 2019-09-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체 분리 장치, 기체 분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체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869B1 (ko)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69B1 (ko)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KR20100060219A (ko) 탄산수 제조장치
AU683533B2 (en) Unit for treating water by ozonation, and corresponding ozonised water production apparatus
EP1160002A2 (en) Degassing a liquid with a membrane contactor
DK2771099T3 (en) Preparing or dispensing liquid products
RU2015108785A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итков с системой газирования
WO2006120747A1 (ja) 酸素含有型還元性水性飲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SG186047A1 (en)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equipment
JPH0427485A (ja) 純水の脱泡法と純水生産の逆浸透装置
JP2000189742A (ja) 気体溶解モジュ―ル
JPH0889771A (ja) 気体溶解装置および気体溶解方法
ZA200809912B (en) Treatment of Aqueous Liquid
KR101018277B1 (ko) 탄산수 제조방법
MX2011004405A (es) Método para la filtración de un líquido de biorreactor proveniente de un biorreactor, módulo de membrana de flujo transversal y sistema de membrana de biorreactor.
KR101655433B1 (ko) 기액접촉막을 이용한 스파클링 음료 제조시스템 및 스파클링 음료 제조방법
WO2018127986A1 (ja) リアルタイム大容量水素水生成器
US20020170863A1 (en) Carbon dioxide recycle for immersed membrane
WO20030229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xygenating wine
KR100475101B1 (ko) 산소발생기 및 혼합기를 구비한 정수기
KR101541755B1 (ko) 탄산 음용수의 초기 냉각 유지 기능을 갖는 탄산 음용수 제조장치
CN214513832U (zh) 一种微纳气泡发生器
JPH07779A (ja) 炭酸ガス溶解方法及び装置
JP2003010661A (ja) 炭酸水製造装置および炭酸水製造装置の運転方法
JP3770638B2 (ja) 気液接触反応装置
AU2019407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