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157A -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157A
KR20100052157A KR1020080111054A KR20080111054A KR20100052157A KR 20100052157 A KR20100052157 A KR 20100052157A KR 1020080111054 A KR1020080111054 A KR 1020080111054A KR 20080111054 A KR20080111054 A KR 20080111054A KR 20100052157 A KR20100052157 A KR 2010005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nitoring
data
running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056B1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한국공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공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한국공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8011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0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차량에 분산배치되어 차량의 주변 영상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카메라 및 센서;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감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한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 운행시에는 동작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P1020080111054
블랙박스 , 영상 저장, 감시 데이터 저장, 차량 사고, 차량 파손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Black box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state by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의 활용도를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Black box) 장치는 비행중인 항공기의 성능과 상태를 기록하는 비행기록계가 대표적인 것으로써, 최근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과 같은 차량에도 블랙박스 장치를 장착하여 이용하고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사고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으로 보존함으로써, 차량 사고의 발생시 블랙박스에 보존된 기록을 토대로 차량 사고의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운행 도중에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의 정보만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활용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미운행시에도 차량 파손 등과 같은 상기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데이터저장시점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에 분산배치되어 차량의 주변 영상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카메라 및 센서;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감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한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 운행시에는 동작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 미운행시에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는 전력 관리부; 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차량 상태 분석부; 및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해당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가 저장되고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이 사용자에게 통보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부는 차량이 미운행되면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하는 경우에만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동작 전원 공급 조건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상응하는 명령을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이때의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감시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가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외부 메모리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와 상기 제어부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이때의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에 복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보부는 차량 운행시에는 스피커 및 모니터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여 통보 동작을 수행하고, 차량 미운행시에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임시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영구 메모 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에 분산배치된 복수개의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차량의 주변 영상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차량 운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정상 감시 단계; 및 차량 미운행시에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여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절전 감시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절전 감시 단계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사람 또는 물체의 접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하였을 경우에만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감시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감시 동작 조건에 따라 감시 데이터의 획득 및 분석 주기, 데이터 저장 여부 및 통보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가변하면서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절전 감시 단계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감시 동작의 동작 결과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상 감시 단계는 차량에 설치된 모니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감시 동작의 동작 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은 차량의 미운행시에도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의 발생여부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데이터 저장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감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은 차량의 미운행시에도 차량의 감시 동작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와의 동작 연계성도 증대시켜, 장치의 활용도를 증대시켜 준다.
뿐만 아니라, 차량 미운행시에는 상기와 같은 감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 또한 최소화시켜 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복수개의 카메라들(11~1n), 복수개의 센서들(21~2n), 신호 변환부(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 제어부(50), 데이터저장부(60), 전원 공급부(70), 통보부(80) 및 장치 인터페이스부(9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카메라들(11~1n)은 차량의 전후방은 물론 좌우측 패널 상에 분산배치되어, 차량 주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복수개의 센서들(21~2n)은 속도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등으로 구현되며, 상기의 카메라들(11~1n)과 같이 차량의 전후방은 물론 좌우측 패널 상에 분산배치되어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의 카메라들(11~1n)과 센서들(21~2n)은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의 전원 공급부(70)의 동작에 상관없이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변환부(3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카메라들(11~1n) 및 센서들(21~2n)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및 센싱 신호에 대응되는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의 감시 데이터는 차량의 주변 영상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는 복수개의 버튼들, 스크롤바,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명령을 발생한다. 일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응답하여 감시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데이터 저장 명령, 특정 감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 장치(91)로 복사하기를 요청하는 데이터 복사 명령 등을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데이터의 분석 동작, 데이터 저장 동작 및 통보 동작등과 같은 일련의 처리 동작으로 이루어진 감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감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50)는 차량 미운행시에는 사람 또는 물체의 접근이 있을 때에만 상기의 감시 동작을 수행하거나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감시 동작 조건(또는 동작 전원 공급 조건)을 가변해주도록 한다. 이때, 감시 동작 조건은 감시 동작의 수행 주기 및 수행되는 동작(예를 들어, 분석 동작, 데이터 저장 동작, 및 통보 동작)의 종류를 가변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저장이 요청되는 경우(즉, 사용 자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저장 동작을 즉각 수행해준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가 특정 감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 장치(91)에 복사하기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저장부(60)로부터 해당 감시 데이터를 읽어와 외부 메모리 장치(91)에 저장해줄 수 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60)는 임시 메모리(61)와 영구 메모리(62)를 구비하여,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한 시점 이전 일정분량의 감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저장 명령이 발생한 시점 이전 일정분량의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한다. 이를 위해 임시 메모리(61)는 선입선출(First Input First Output; FIFO) 방식으로 감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고, 영구 메모리(62)는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임시 메모리(61)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 데이터 수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영구 저장해준다.
전원 공급부(70)는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차량에 사람 또는 물건이 접근한 경우에만 동작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의 감시 동작 조건에 따라 전원 공급 주기 및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 요소의 개수를 가변한다.
통보부(80)는 제어부(50)의 제어하에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시에는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에 있다는 가정 하에,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81) 또는 스피커(82)를 통해 사용자에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
반면 차량 미운행시에는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에 있다는 가정 하에,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83)에 발송해준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83)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등록되며, 휴대전화,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등과 같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부(90)는 범용직렬버스(USB), 슬롯(slot)등으로 구현되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등과 같은 외부 메모리 장치(91)가 접속(또는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메모리 장치(91)와 제어부(5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해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차량 상태 분석부(51), 동작 제어부(52), 데이터 압축부(53), 및 전력 관리부(54)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상태 분석부(51)는 신호 변환부(30)를 거쳐 전송되는 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차량의 상기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는 차량의 운행 또는 미운행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벤트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차량 사고, 차량 파손, 비정상적인 문 열림, 차량 이송 등이 있다.
동작 제어부(52)는 차량 상태 분석부(51)를 통해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이 확인되면, 통보부(80) 및 데이터 저장부(60)를 통해 통보 동작 및 데이터 저장 동작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동작 제어부(52)는 사용자에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저장 동작을 수행하거나, 장치 인터페이스부(90)에 접속된 외부 메모리 장치(91)로의 감시 데이터 복사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 압축부(53)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과 같은 데이터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감시 데이터를 압축한다. 이에 데이터 저장부(60)기 동일한 메모리 용량으로 보다 많은 감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전력 관리부(54)는 차량이 미운행되면 절전 모드를 설정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시켜 준다. 즉,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동작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나, 차량 미운행시에는 사람 또는 물체의 접근이 있을 때에만 감시 동작을 수행하거나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감시 동작 조건을 가변해주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자신이 설치된 차량이 운행되고 있으면(S11), 복수개의 카메라들(11~1n) 및 센서들(21~2n)을 통해 차량의 주변 영상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감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한다(S12).
단계S12를 통해 획득된 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 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S13).
단계S13의 확인 결과,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이에 대응되는 영상 또는 음성을 모니터(81) 또는 스피커(82)로 출력하여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의 차량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S14).
반면,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사용자가 데이터 저장을 요청하였는지 더 확인한다(S15).
단계 S13 또는 단계 S15의 확인 결과,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거나 데이터 저장 명령이 발생하였으면, 해당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해준다(S16).
이와 같은 단계S12 내지 단계S16은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에 계속하여 반복 수행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은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에 대응되는 감시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하기를 요청하는 시점에서의 감시 데이터까지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미운행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자신이 설치된 차량이 운행되고 있으면(S21), 절전 모드를 설정한다(S22).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분산배치된 센서(21~2n)를 통해 차량에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23).
만약, 단계S24의 확인 결과, 차량에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하면 순간적으로 감시 동작이 활성화되어,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고 분석한다(S24).
이에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으면(S25), 이를 통보하는 메시지를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83)에 발송하고(S26), 해당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해준다(S27).
이와 같은 도4의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은 차량에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할 때에만 감시 동작이 활성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5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감시 동작 조건은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세단계로 나눠진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즉, 차량의 전력량이 '상'인 경우에는 1분 간격으로 감시 동작이 활성화되고, '중'인 경우에는 5분 간격으로 감시 동작이 활성화되며, '하'인 경우에는 10분 간격으로 감시 동작이 활성화되되 데이터 저장 동작 없이 사용자 통보 동작만이 수행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자신이 설치된 차량이 미운행되고 있으면(S31),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S32), 차량의 현재 전력량을 확인한다(S33).
단계 S33의 확인 결과, 차량의 전력량이 '상'이면, 1분 간격으로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석하고(S34), '중'이면 5분 간격으로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 석한다(S35).
이에 단계 S34 또는 S35의 분석 결과,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으면(S36), 이를 통보하는 메시지를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83)에 발송하고(S37), 해당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해준다(S38).
반면, 단계 S33의 확인 결과 전력량이 '하'이면, 10분 간격으로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고 분석하고(S39),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으면(S40), 사용자에게 비정상적인 차량 상태 변화의 발생 여부만을 통보한 후 동작 종료한다(S41).
즉, 도5의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은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차량의 감시 동작 조건을 순차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감시 동작을 위한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시켜 준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남은 전력량에 따라 감시 동작 조건을 세단계로 나누는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차량의 운행 조건, 사용자의 필요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도4의 차량 상태 감시 방법과 도5의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병행하여 수행하거나 병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Claims (15)

  1. 차량에 분산배치되어 차량의 주변 영상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카메라 및 센서;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감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한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 운행시에는 동작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차량 미운행시에는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미운행시에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는 전력 관리부;
    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차량 상태 분석부; 및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해당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 의 감시 데이터가 저장되고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이 사용자에게 통보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부는
    차량이 미운행되면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하는 경우에만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동작 전원 공급 조건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상응하는 명령을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감시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시점 이전 일정시간분량의 감시 데이터가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와 상기 제어부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에 복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차량 운행시에는 스피커 및 모니터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하고, 차량 미운행시에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메시지를 차량의 비정상적인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임시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영구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10. 차량에 분산배치된 복수개의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차량의 주변 영상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획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차량 운행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차량 운행시에는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정상 감시 단계; 및
    차량 미운행시에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여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절전 감시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감시 단계는
    차량 미운행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사람 또는 물체의 접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하였을 경우에만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감시 단계는
    차량 미운행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차량의 전력량에 따라 감시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감시 동작 조건에 따라 감시 동작의 수행 주기 및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를 가변하면서 감시 데이터를 이용한 감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감시 단계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감시 동작의 동작 결과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감시 단계는
    차량에 설치된 모니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감시 동작의 동작 결과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감시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KR1020080111054A 2008-11-10 2008-11-10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KR10102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054A KR101029056B1 (ko) 2008-11-10 2008-11-10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054A KR101029056B1 (ko) 2008-11-10 2008-11-10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157A true KR20100052157A (ko) 2010-05-19
KR101029056B1 KR101029056B1 (ko) 2011-04-15

Family

ID=4227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054A KR101029056B1 (ko) 2008-11-10 2008-11-10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0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27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00085244A (ko) * 2013-04-29 2020-07-14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00087098A (ko) * 2013-04-29 2020-07-20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10015998A (ko) * 2020-06-25 2021-02-10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21165732A1 (en) * 2020-02-17 2021-08-26 Salimi Kachouei Morteza A black box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echanisms and safety
KR20220128548A (ko) * 2021-03-12 2022-09-21 (주)모토벨로 전기 자전거용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65B1 (ko) * 2006-08-16 2008-01-21 아이클루(주) 차량용 블랙박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27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00085244A (ko) * 2013-04-29 2020-07-14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00087098A (ko) * 2013-04-29 2020-07-20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21165732A1 (en) * 2020-02-17 2021-08-26 Salimi Kachouei Morteza A black box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echanisms and safety
KR20210015998A (ko) * 2020-06-25 2021-02-10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20128548A (ko) * 2021-03-12 2022-09-21 (주)모토벨로 전기 자전거용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056B1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056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CN106484070A (zh) 通过信息存储共享的队列电源管理
KR101941510B1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164559B1 (ko) 휴대전자기기 및 무선통신장치
US20140128118A1 (e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ctivating terminal device
CN107291586B (zh) 一种应用程序的分析方法和装置
KR100865388B1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US20210295622A1 (en) Event detecting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CN108810057B (zh) 用户行为数据的采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995862B (zh) 一种资源调度方法及终端
CN115933852A (zh) 一种存储系统的供电架构及其备电控制方法
CN108615272B (zh) 行车记录器
CN107341094B (zh) 启动项耗时的测量方法及装置
US9928880B2 (en) System management device,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7990466B2 (en) Method of auto-retracting lens of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N113259700A (zh) 管理设备、服务器、视频存储方法及系统
CN110599778B (zh) 工作模式的切换方法、切换装置及地感式车辆检测器
CN116594493A (zh) 一种硬盘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688498B (zh) 应用程序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KR100576026B1 (ko) 종합 단말에서 호스트부와 클라이언트부의 양방향 검출장치
CN113156319B (zh) 剩余电量确定方法、装置、交通工具、介质和程序产品
US110484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vent detection system
CN102799330B (zh) 基于电子设备的传感器连接电路及其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219179229U (zh) 一种基于双目视觉的电路系统
JP2023078509A (ja) 録画制御装置および録画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