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130A - 비상탈출 구조물 - Google Patents

비상탈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130A
KR20100050130A KR1020080109264A KR20080109264A KR20100050130A KR 20100050130 A KR20100050130 A KR 20100050130A KR 1020080109264 A KR1020080109264 A KR 1020080109264A KR 20080109264 A KR20080109264 A KR 20080109264A KR 20100050130 A KR20100050130 A KR 2010005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scape
emergency
land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716B1 (ko
Inventor
손기택
Original Assignee
손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택 filed Critical 손기택
Priority to KR102008010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7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인류는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수많은 빌딩과 아파트 등을 건설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사고 발생시 건출물의 안전구난시설에 대해서는 전혀 진일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화재 진압에 동원된 소방대원들의 희생이 더욱 안타까운 일이다.
또한, 재난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나서야 매스컴 등에서 부산을 떨며 문제점과 대책 등을 거론하는 듯 하다가 얼마간의 시간이 흐르고 나면 어느새 잊어버리는 안전불감증이 만연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구호에만 구치지 않는 실질적인 대안이 강구되어야 하지만, 정부나 건설사 모두 30~40년 전의 소방설계 구조에서 별반 발전한 것도 특별한 대책도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환경 개선을 위하여 고층빌딩이나 고층아파트 등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소방법 또는 이와 관련된 안전법규 등은 개선되기는 커녕 더욱 악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포인트는 비상 시에 순간적이고 신속하게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격리용 구난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다. 아울러 열악하기 짝이 없는 소방장비와 엄청난 위험을 감수하며 사지로 내몰리는 소방관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좀 더 개선되고 발전된 구난시설이 하루속히 완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고정건물 또는 아파트 등의 화재 발생시에 단 10초 만에 스스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획기적인 비상탈출구조물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10초 비상탈출구조물은 엘리베이터의 정반대편인 계단통로의 각 중간쉼터에 연결되고, 복도식의 경우 세대수에 반비례한 중간 지점의 각층 바닥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비상탈출구조물은 아파트의 전면이 아닌 후면 즉, 태양빛과 무관한 뒤편이 유리하며 빌딩의 위치와 공간부지에 따라 탈출로가 정해진다.
현재 신축되고 있는 아파트 또는 기존의 아파트의 경우 소방법에 의해 독립식 계단통로가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형식에 지나지 않으며 대부분 방화문들 모두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유명무실한 상태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모든 계단통로는 순식간에 지독한 연기와 유독성가스로 가득 차게 되므로 당황한 사람들은 탈출을 시도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다가 베란다쪽으로 대피하게 된다. 그러나 상황은 더욱 악화되어 견디지 못한 사람들은 급기아 고층에서 뛰어내려야 하는 불행한 사태를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10초 비상탈출구조물은 5m 이상의 안전거리를 확보한 연결통로를 통해 일단 위급한 상황을 모면할 수 있고, 이 연결통로는 그 입구 및 출구 측에 구비된 방화문를 구비함에 따라 유독가스, 화염 등으로부터 안전한 격리구간의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 구조물{RESCUE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탈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각 층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비상사태 발생 시에 건물의 사람들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보다 진보된 비상탈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주거용 및 업무용을 불문하고 고층 건물이 건축 및 공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층 건물은 바닥면적에 비해 실사용 면적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옥내에 많은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형태이며, 이에 따라 지진 또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에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게 되면 엄청난 인명피해를 동반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건물내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계단 및 엘리베이터 등이 탈출 수단으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건물내에 위난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을 서로 먼저 빠져 나가려고 하는 사람들이 일시에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몰려 순식간에 무질서해 짐으로써, 상기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의한 건물 탈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일시에 많은 사람들이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몰려드는 과정에서 압사 사고가 발생하거나, 신속한 탈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미처 건물을 빠져 나가기도 전에 건물이 붕괴되거나 화염에 휩싸여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계단을 통해 화염이 빠른 속도로 번지게 됨에 따라 계단 이용이 불가능하였고, 더우기, 화재 발생 지점이 저층일 경우에는 상향 이동하는 화염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인해 상기 건물의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전적으로 의존해 건물을 탈출한다는게 사실상 어려웠다.
하지만, 현실은 건축물의 시공 시에 비상상태 발생에 대비한 비상탈출구조에 대해서는 전혀 진일보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비상사태 발생 시에 인명구난을 위해 투입되는 소방관, 안전요원 들의 피해만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아파트, 병원, 백화점, 예식장, 호텔, 학원 등의 경우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타워 등은 설치하거나 추진 중에 있지만, 정작 긴급 재난사고 발생 시 고귀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비상탈출구조에 대해서는 여전히 무관심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비상사태 발생 시에 모든 재난으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다 진보적이고 개선된 구조의 비상탈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각 층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비상사태 발생 시에 건물 내의 사람들을 외부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비상탈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탈출 구조물은,
건물의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탈출부; 및
상기 건물의 각 층계참과 상기 탈출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부의 각 층은 계단 및 엘리베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연결통로는 그 입구가 건물의 각 층계참과 연결되고, 그 출구는 탈출부와 연결되며, 각 연결통로의 입구 및 출구에는 방화문이 설치된다.
상기 각 연결통로의 입구는 건물의 각 층계참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탈출부의 각 층과 각 연결통로는 "ㄱ"자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물의 각 층계참에 복도가 연결되고, 상기 복도의 일측에 각 연결통로 의 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탈출부의 각 층과 상기 연결통로는 "ㅡ"자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각 층과 외부의 탈출부를 내화소재의 연결통로를 통해 연결하고, 각 연결통로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 방화문을 설치한 구조를 통해, 건물 내의 피난자들은 방화문에 의해 격리된 연결통로 내로 안전하게 피난한 후에 탈출부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탈출 구조물(20)은 탈출부(21) 및 복수의 연결통로(25)를 포함한다.
탈출부(21)는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10)의 외부에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층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탈출부(21)의 각 층은 계단 및/또는 엘리베이터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탈출부(21)의 각 층은 복수의 연결통로(25)를 매개로 건물(10)에 연결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비상탈출 구조물(20)은 건물(10)의 후방측 즉, 태양빛과 무관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그외에 건물의 위치 또는 공간부지에 따라 그 설치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된다.
연결통로(25)는 내화소재로 구성되고, 건물(10)과 탈출부(21) 사이에 사람이 통행하기 충분한 면적 및 강도를 갖는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연결통로(25)의 길이는 5m 이상으로 이루어져 건물(10)과 탈출부(21) 사이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연결통로(25)의 입구(25a)는 건물(10)의 각 층계참(13)과 연결되고, 연결통로(25)의 출구(25b)는 탈출부(21)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통로(25)에 의해 비상탈출 구조물(20)은 건물(10)에서 이격된다.
그리고, 각 연결통로(25)의 입구(25a) 및 출구(25b)에는 방화문(35, 36)이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아파트와 같은 건물(10)의 내부 특히, 계단(11) 및 엘리베이터(12) 등의 이동공간에는 각종 유독가스, 화염 등이 가득 차게 되고, 이에 사람들은 우왕좌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연결통로(25)가 2개의 방화문(35)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화염 또는 연기 등으로부터 격리되므로, 사람들은 이 연결통로(25)로 일시 대피하면 위급한 상황을 일시적으로 모면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35, 36)에는 위난감지수단, 개폐감지수단 등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위난발생 여부, 개폐여부 등을 용이하게 경고할 수 있다.
한편, 아파트 등과 같은 2층 이상의 다층 건물(10)은 그 내부에 각 층 사이 를 연결하는 계단(11) 및 엘리베이터(12)가 설치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11) 및 엘리베이터(12)는 건물(10)의 후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건물(10) 내에 인입된 상태로 시공되며, 각 연결통로(25)는 건물(10)의 각 층의 층계참(13, stair landing)과 연결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새로이 시공되는 건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건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탈출부(21)의 각 층은 복수의 연결통로(25)를 통해 건물(10)의 층계참(13)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건물 내의 사람들은 방화문(35, 36)에 의해 화염 또는 연기 등으로부터 격리된 연결통로(25)를 통과한 후에 탈출부(21)를 이용하여 건물(10) 외부로 보다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통로(25)의 입구(25a)는 건물(10)의 층계참(13)과 직접 연결되고, 탈출부(21)의 각 층과 각 연결통로(25)는 "ㄱ"자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변형 실시예로서, 건물(10)의 각 층계참(13)에 복도(14)가 연결된 구조이고, 이 복도(14)의 일측에 각 연결통로(25)의 입구(25a)가 연결되며, 탈출부(21)의 각 층과 연결통로(25)는 "ㅡ"자 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입구 및 출구(25a, 25b)측에 방화문(35, 36)이 각각 설치된 복수의 연결통로(25)를 통해, 건물(10) 내의 피난자들은 방화문(35, 36)에 의해 격리된 연결통로(25) 내로 일시 피난한 후에 탈출부(21)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즉, 10초 만에 건물(1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탈출 구조물이 건물의 외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B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건물 11: 계단
13: 층계참 20: 비상탈출 구조물
21: 탈출부 25: 연결통로
35, 36: 방화문

Claims (4)

  1. 건물의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탈출부; 및
    상기 건물의 각 층계참과 상기 탈출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부의 각 층은 계단 및 엘리베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통로는 그 입구가 건물의 각 층계참과 연결되고, 그 출구는 탈출부와 연결되며, 각 연결통로의 입구 및 출구에는 방화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통로의 입구는 건물의 각 층계참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탈출부의 각 층과 각 연결통로는 "ㄱ"자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각 층계참에 복도가 연결되고, 상기 복도의 일측에 각 연결통로의 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탈출부의 각 층과 상기 연결통로는 "ㅡ"자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구조물.
KR1020080109264A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 구조물 KR10116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64A KR101161716B1 (ko)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64A KR101161716B1 (ko)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30A true KR20100050130A (ko) 2010-05-13
KR101161716B1 KR101161716B1 (ko) 2012-07-03

Family

ID=4227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264A KR101161716B1 (ko)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7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85B1 (ko) * 2007-03-14 2007-08-21 차승운 건물의 옥외용 비상 계단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716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803B1 (ko) 고층 건물의 신속 탈출구
US9108072B2 (en) Building fire escape system and refuge chamber
CN107419878A (zh) 逃生通道及楼房
Hassanain On the challenges of evacuation and rescue operations in high‐rise buildings
KR101161716B1 (ko) 비상탈출 구조물
RU2769861C1 (ru) Лестнично-лифтовой узел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100467994B1 (ko) 비상 탈출 구조
Hung et al. Review on fire regulations for new high-rise commercial buildings in Hong Kong and a brief comparison with those in overseas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KR102126829B1 (ko)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CN214531088U (zh) 一种具有立体避难设施的建筑
Gravit et al. Vertical transport systems for evacuation from high-rise buildings
JP2018076740A (ja) 集合住宅
Yusof et al. The Improvisation Strategy of Escape Route Design in High Rise Residential Buildings in Malaysia
JP2519552B2 (ja) 高層ビル用避難用タワ―
KR101556377B1 (ko) 슬라이드식 간이형 계단부속공간 확보 장치
Sun Egress as part of fire safety in high-rise buildings
CN116281483A (zh) 一种通过井道安全屋进行防灾庇护的方法
Poon Tall Building Evacuation Strategy—The Refuge Floor Concept Revisited
McDowell Sole On The Ocean Hotel
Hwang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for ensuring evacuation safety of people vulnerable to disasters in case of a fire in the building
JP2002035154A (ja) 避難階段の区画システム
JPH04161569A (ja) 高層ビルディングにおける避難用塔構造
Salankar Study of critical fire safety parameters and development of an evacuation strategy for high rise buildings
JPH1088832A (ja) 高層集合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