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526A -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526A
KR20100049526A KR1020100037183A KR20100037183A KR20100049526A KR 20100049526 A KR20100049526 A KR 20100049526A KR 1020100037183 A KR1020100037183 A KR 1020100037183A KR 20100037183 A KR20100037183 A KR 20100037183A KR 20100049526 A KR20100049526 A KR 20100049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ntrol
control circuit
circuit
capaci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581B1 (ko
Inventor
김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Priority to KR102010003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5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581B1/ko
Priority to US13/079,427 priority patent/US8446104B2/en
Priority to CN201110094111.XA priority patent/CN102255523B/zh
Priority to JP2011093293A priority patent/JP5775350B2/ja
Priority to EP11163207.1A priority patent/EP2385750B1/en
Priority to ES11163207.1T priority patent/ES2583757T3/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55Power factor correction [PFC]; 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고 저가이며 고역률 달성이 가능한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는 콘덴서;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의 충전시간을 늘려주는 제 1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역율 개선 회로를 이용하면, 소형이면서 저가이며 고역률의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Device Having Current Control Circuit for Power Factor Improvement}
본 발명은 LED램프나 컴펙트 형광등, 소형 아답터용 소형 전원공급장치에서 역률을 개선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LED램프나 컴펙트 형광등, 소형 아답터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내부에 소형 전원 공급 장치가 사용되고,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1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교류(AC)가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에 공급되어 맥류를 형성하고, 이를 다시 전해 콘덴서를 이용하여 직류(DC)에 근접하게 만들어서 부하들에 공급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단순히 전해 콘덴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3의 두 번째 그래프처럼 입력 전압의 피크치 근처에서 신속히 충전이 시작하고 신속히 방전되므로,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이 짧아서 입력 전압의 파형 중에서 일부 기간에만 입력 전류가 흘러서 역률이 저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송선로에 손실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역률 개선 회로(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 PFC)를 가진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LED램프나 컴펙트 형광등, 소형 아답터에서는, 회로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 크기가 작고 역률 개선회로 추가에 따른 비용 증가 가 발생하므로, 역률 개선 회로를 적용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저가이고 소형화하기가 어려워서 많은 경우에 이러한 역률 개선 회로를 적용하지 않아서 에너지 낭비가 초래된다.
한편, 역률 개선 회로에는 수동(Passive) 방식과 능동(Active) 방식이 있는데, 수동 방식의 대표적인 방법은 도2에서와 같이 전해 콘덴서(C)에 대응하는 인덕터(L)를 사용하는 LC공진회로 방식이고, 이 방식에서는 도3의 세 번째 그래프와 같이 2번째 그래프에 비해 인덕터가 콘덴서의 위상 차이를 보상해 주어 역률이 개선되며(즉, 콘덴서에 의한 진상을 인턱터의 지상으로 보상해 준다), 이 수동방식에서는 보통 0.8정도까지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교류 전류가 50Hz 내지 60Hz의 저주파수이므로 저주파 인덕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덕터의 크기가 크고, 이에 따라 무게가 무거워서, 소형 전원 공급 장치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능동방식은 스위칭 방식을 이용하여 고역률을 구현 가능하지만, 회로가 복잡하여 가격이 비싸고 스위칭에 따른 고조파 발생으로 인하여 EMI 등의 대책을 세워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저가격 제조가 필요한 소형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능동 방식의 역률 개선 회로를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능동 방식 및 수동 방식의 역률 개선 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소형이고 저가이며 고역률 달성이 가능한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는 콘덴서;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의 충전시간을 늘려주는 제 1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는 콘덴서;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의 충전시간을 늘려주는 제 1전류 제어 회로;
상기 부하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와 제 2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의 충전시간 뿐만 아니라 방전시간도 늘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역율 개선 회로를 이용하면, LED램프나 컴펙트 형광등, 소형 아답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형이면서 저가이며 고역률의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함.
도2는 종래기술에서, 전해 콘덴서(C)에 대응하는 인덕터(L)를 사용하는 LC공진회로 방식의 역률개선회로를 도시함.
도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전류의 파형을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함.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함.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4와 같이, 교류 전원이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1)에 의해 맥류 형태로 정류되고, 기존의 부피가 크고 무거운 인덕터 대신에 정전류 회로(2)를 사용한다.
그러면, 이 정전류회로(2)에서는 항상 일정한 전류가 출력되므로, 이 정전류회로(2)가 없는 경우의 급격한 충방전 전류에 따른 입력 전류의 급격한 변화(도3의 2번째 그래프) 대신에, 도3의 4번째 그래프(본 발명의 제1실시예 그래프)처럼 콘덴서(C)에 전하가 서서히 충전하게 되어 거의 입력 전압의 위상과 일치하는 입력전류가 흐르게 되어서 역률이 0.9 이상으로 향상되게 된다.
즉, 이 정전류회로(2)는 콘덴서(C)의 전하 충전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교류 입력단의 전류 및 전압의 위상을 매칭시켜서 무효전력분을 감소시켜서 역률을 개선하게 된다.
이때, 정전류회로(2)의 출력이 일정하므로, 이 일정한 전류치가 부하(LED)와 콘덴서(C)에 분할되어 흐르게 된다.
특히, 정전류회로(2)와 같은 전류 제어 회로는 원칩으로 제작되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아서, 아답터나 LED램프나 컴펙트 형광등와 같은 소형이고 저가의 전원장치에 적용되어 고역률이 달성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게 된다.
다음으로, 도4보다 역률을 더 개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가 도4와 상이한 점은 부하 직전에 다시 정전류회로(3)를 추가한 것이다.
도4에서는 정전류회로(2)를 사용하여 전체 전류가 일정하여, 콘덴서(C)로 급격하게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어서, 완만하게 콘덴서(C)에 충전하게 되므로, 입력전류는 도3의 4번째 그래프처럼 된다.
그러나, 도5에서는 콘덴서(C)에 급격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이제는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여 콘덴서(C)의 충전 시간 뿐만 아니라 방전 시간까지도 더욱 더 늘려 주어서, 도3의 다섯 번째 그래프(본 발명의 제2실시예 그래프)처럼 입력전류가 흐르게 하여 거의 완벽하게 입력전압과 동일 위상이 되게 하여 역률을 0.9 이상으로 만드는 것이다.
즉, 정전류회로(2)와 정전류회로(3)의 출력전류가 일정하므로, 예를들어 정전류회로(2)의 출력 전류가 25mA 이고, 정전류회로(3)의 출력 전류가 20mA이면, 콘덴서(C)에는 항상 일정한 전류(25-20=5mA)가 흘러서, 아주 완만하게 충방전이 진행되어 도3의 다섯 번째 그래프처럼, 보다 완만하게 입력 전류가 흘러서 거의 입력전압과 입력전류가 동일 위상이 되게 되어 역률이 더욱 개선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들어, 이상에서는 정전류회로를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원리가 콘덴서에 전하가 서서히 충전하게 하는 것이므로, 정전류회로가 아니라도 이러한 원리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전류 제어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는 콘덴서;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의 충전시간을 늘려주는 제 1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전류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와 제 2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의 충전시간 뿐만 아니라 방전시간도 늘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 1 전류 제어 회로는 정전류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전류 제어 회로는 모두 정전류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는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엘이디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컴펙트 형광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00037183A 2010-04-22 2010-04-22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KR100996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183A KR100996581B1 (ko) 2010-04-22 2010-04-22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US13/079,427 US8446104B2 (en) 2010-04-22 2011-04-04 Power supply device having current control circuit capable of correcting power factor
CN201110094111.XA CN102255523B (zh) 2010-04-22 2011-04-12 具备功率因数改进用电流控制电路的电源供应装置
JP2011093293A JP5775350B2 (ja) 2010-04-22 2011-04-19 力率改善用電流制御回路を有する電源供給装置
EP11163207.1A EP2385750B1 (en) 2010-04-22 2011-04-20 Power supply device having current control circuit capable of correcting power factor
ES11163207.1T ES2583757T3 (es) 2010-04-22 2011-04-20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energía que tiene un circuito de control de corriente capaz de corregir el factor de potenc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183A KR100996581B1 (ko) 2010-04-22 2010-04-22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925A Division KR101196947B1 (ko) 2010-10-19 2010-10-19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526A true KR20100049526A (ko) 2010-05-12
KR100996581B1 KR100996581B1 (ko) 2010-11-25

Family

ID=4227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183A KR100996581B1 (ko) 2010-04-22 2010-04-22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6104B2 (ko)
EP (1) EP2385750B1 (ko)
JP (1) JP5775350B2 (ko)
KR (1) KR100996581B1 (ko)
CN (1) CN102255523B (ko)
ES (1) ES258375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2269B2 (en) 2006-12-15 2015-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465924Y1 (ko) * 2011-05-13 2013-03-18 주식회사 루미그린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JP5747656B2 (ja) * 2011-05-24 2015-07-1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CN103856077B (zh) * 2012-12-06 2016-12-21 东林科技股份有限公司 被动式功因校正交直流转换装置的功因校正电路的动作方法
TW202011660A (zh) * 2018-09-07 2020-03-16 飛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埠智能充電器
KR20210028135A (ko) 2020-12-22 2021-03-11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804A (en) * 1994-06-20 1997-03-11 Tdk Corporation Power supply with dual energy transfer circuits for power factor correction
JPH08168246A (ja) * 1994-12-09 1996-06-25 Takasago Seisakusho:Kk 整流回路の力率補正方法
IL123123A (en) * 1998-01-29 2004-03-28 Ledi Lite Ltd Illuminated signage system
US6218785B1 (en) * 1999-03-19 2001-04-17 Incerti & Simonini Di Incerti Edda & C. S.N.C. Low-tension lighting device
JP4683714B2 (ja) * 2000-12-08 2011-05-18 大同信号株式会社 Led信号電球
JP2003059676A (ja) 2001-08-10 2003-02-2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発光ダイオードの点灯用電源装置
JP2003151306A (ja) * 2001-11-09 2003-05-23 Sotoyoshi Kanayama 電球用口金に発光ダイオードを組み込んだ電球
CN2513274Y (zh) * 2001-11-22 2002-09-25 龚光霁 改良的被动式功率因数校正电路
US7542257B2 (en) * 2004-09-10 2009-06-02 Philips Solid-State Lighting Solution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for variable loads
JP4385090B2 (ja) * 2005-06-14 2009-12-16 エヌ・ティ・ティ・データ先端技術株式会社 整流回路および電圧変換回路
JP2007080771A (ja) * 2005-09-16 2007-03-29 Nec Lighting Ltd 照明用低圧電源回路、照明装置および照明用低圧電源出力方法
JP2008131743A (ja) * 2006-11-21 2008-06-05 Toichi Denki Shokai:Kk 平滑回路
CN101690396B (zh) * 2007-06-27 2012-12-2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向光源供应电压信号和电流信号的方法和设备
TW201143513A (en) * 2010-05-24 2011-12-01 Delta Electronics Inc Light sourc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0639A1 (en) 2011-10-27
JP2011229391A (ja) 2011-11-10
EP2385750B1 (en) 2016-07-13
US8446104B2 (en) 2013-05-21
CN102255523B (zh) 2014-11-26
CN102255523A (zh) 2011-11-23
EP2385750A2 (en) 2011-11-09
EP2385750A3 (en) 2013-01-02
KR100996581B1 (ko) 2010-11-25
ES2583757T3 (es) 2016-09-22
JP5775350B2 (ja)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A single-switch AC–DC LED driver based on a boost-flyback PFC converter with lossless snubber
KR100996581B1 (ko)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CN106787675B (zh) 具有功率因数校正功能的谐振变换器及其控制器
CA2646449A1 (en) Improved single stage power factor corrected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ac inrush
TWI492502B (zh) 被動式功因校正電路
AU2019272025B2 (en) Driver for LED Lighting and Method of Driving LED LIghting
KR101276133B1 (ko) 역률보상형 엘이디 조명장치
EP1346612B1 (en) Improved control circuit for power factor corrected electronic ballasts and power supplies
CN112689363B (zh) 电源转换器
KR101196947B1 (ko)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EP2859778B1 (en) Lighting device suitable for multiple voltage sources
Dos Santos et al. A charge-pump led driver with PFC and low-frequency-flicker reduction
KR200465924Y1 (ko)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102781B1 (ko) 역률보상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210037610A (ko) 중간 회로 밸런싱을 위한 회로 조립체
CN109088552A (zh) 基于双电容器的ac线路频率低压dc供电电路
TWI448203B (zh) 具諧振槽之連續電流模式充電幫浦功因修正電路的全橋電子安定器
Lv An LCC-type Bridgeless Continuous Input Current Charge Pump PFC Converter
GB2544820A (en) A low voltage power supply using an earth connection on a terminal block
US9686827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light sources
WO2023061937A1 (en) A resonant converter
Hidayat et al. One-stage converter method neutral point type voltage free converter and application to an electronic ballast
TWI444104B (zh) 具連續電流模式充電幫浦功因修正電路的全橋電子安定器
KR200463411Y1 (ko) 엘이디 조명용 엘이디 구동회로
AU2011227797A1 (en) Load balanc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