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924Y1 -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924Y1
KR200465924Y1 KR2020110004073U KR20110004073U KR200465924Y1 KR 200465924 Y1 KR200465924 Y1 KR 200465924Y1 KR 2020110004073 U KR2020110004073 U KR 2020110004073U KR 20110004073 U KR20110004073 U KR 20110004073U KR 200465924 Y1 KR200465924 Y1 KR 200465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tor
circuit
led
power supply
factor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346U (ko
Inventor
김성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미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미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미그린
Priority to KR2020110004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92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이고 저가이며 고역률 달성이 가능한 LED용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1);
엘이디와 직렬로 연결되는 정전류 회로(3);
상기 직렬로 연결된 정전류 회로(3)와 엘이디가 병렬로 연결되는 콘덴서(C);
상기 정류회로(1)의 출력과 콘덴서(C)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역률 개선 회로를 이용하면, 소형이면서 저가이며 고역률의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LED Power Supply Device for Power Factor Improvement}
본 고안은 LED용 소형 전원 공급 장치에서 역률을 개선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LED램프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내부에 소형 전원 공급 장치가 사용되고, 종래의 LED용 전원 공급 장치는, 도1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교류(AC)가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에 공급되어 맥류를 형성하고, LED에 인가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다시 전해 콘덴서를 이용하여 직류(DC)에 근접하게 만들어서 LED에 공급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단순히 전해 콘덴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3의 두 번째 그래프처럼 입력 전압의 피크치 근처에서 신속히 충전이 시작하고 신속히 방전되므로,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이 짧아서 입력 전압의 파형 중에서 일부 기간에만 입력 전류가 흘러서 역률이 저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송선로에 손실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역률 개선 회로(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 PFC)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를 적용해야 하는데, LED램프에서는 회로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 크기가 작고 역률 개선회로 추가에 따른 비용 증가가 발생하므로, 역률 개선 회로를 적용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저가이고 소형화하기가 어려워서 많은 경우에 이러한 역률 개선 회로를 적용하지 않아서 에너지 낭비가 초래된다.
한편, 역률 개선 회로에는 수동(Passive) 방식과 능동(Active) 방식이 있는데, 수동 방식의 대표적인 방법은 도2에서와 같이 전해 콘덴서(C)에 대응하는 인덕터(L)를 사용하는 LC공진회로 방식이고, 이 방식에서는 도3의 세 번째 그래프와 같이 2번째 그래프에 비해 인덕터가 콘덴서의 위상 차이를 보상해 주어 역률이 개선되며(즉, 콘덴서에 의한 진상을 인턱터의 지상으로 보상해 준다), 이 수동방식에서는 보통 0.8정도까지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교류 전류가 50Hz 내지 60Hz의 저주파수이므로 저주파 인덕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덕터의 크기가 크고, 이에 따라 무게가 무거워서, 소형 전원 공급 장치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능동방식은 스위칭 방식을 이용하여 고역률을 구현 가능하지만, 회로가 복잡하여 가격이 비싸고 스위칭에 따른 고조파 발생으로 인하여 EMI 등의 대책을 세워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저가격 제조가 필요한 소형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이러한 능동 방식의 역률 개선 회로를 사용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능동 방식 및 수동 방식의 역률 개선 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소형이고 저가이며 고역률 달성이 가능한 LED용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1);
엘이디와 직렬로 연결되는 정전류 회로(3);
상기 직렬로 연결된 정전류 회로(3)와 엘이디가 병렬로 연결되는 콘덴서(C);
상기 정류회로(1)의 출력과 콘덴서(C)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역율 개선 회로를 이용하면, LED램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형이면서 저가이며 고역률의 역률 개선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함.
도2는 종래기술에서, 전해 콘덴서(C)에 대응하는 인덕터(L)를 사용하는 LC공진회로 방식의 역률개선회로를 도시함.
도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전류의 파형을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함.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4와 같이, 교류 전원이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1)에 의해 맥류 형태로 정류되고, 전류제한용 저항(2)과 정전류 회로(3)를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교류전원(Vin)이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1)에 의해 맥류로 정류되고 콘덴서(C)에 의해 전압 변동이 적게 되고(거의 정전압 상태), 부하 측에는 정전류 회로(3)에 의해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부하인 LED에는 콘덴서(C)에 의한 거의 일정한 전압이 걸리고 정전류 회로(3)에 의해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부하인 LED에는 정전압과 전전류가 인가되므로 밝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전류 제한용 저항(2)에 의해 충전 전류가 제한되어 콘덴서(C)에 전하가 서서히 충전되어 충전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정전류회로(3)에 의해 방전시간을 늘려주게 되어, 도3의 네 번째 도면과 같은 입력 전류 파형이 되어서, 도3의 첫 번째 도면에 나타난 입력 전압 파형의 위상과 도3의 네 번째 도면에 나타난 입력 전류 파형의 위상이 거의 일치하게 되어, 역율이 크게 개선되게 된다.
또한, 정전류회로(3)는 원칩으로 제작되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아서, LED램프와 같은 소형이고 저가의 전원장치에 적용되어 전체적으로 고역률이 달성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2)

  1.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1);
    엘이디와 직렬로 연결되는 정전류 회로(3);
    상기 직렬로 연결된 정전류 회로(3)와 엘이디가 병렬회로를 구성하는 콘덴서(C);
    상기 정류회로(1)의 출력을 모두 입력 받고 상기 병렬회로에 출력이 직접 연결되어 상기 병렬회로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1)는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KR2020110004073U 2011-05-13 2011-05-13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465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073U KR200465924Y1 (ko) 2011-05-13 2011-05-13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073U KR200465924Y1 (ko) 2011-05-13 2011-05-13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46U KR20110005346U (ko) 2011-05-31
KR200465924Y1 true KR200465924Y1 (ko) 2013-03-18

Family

ID=4929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073U KR200465924Y1 (ko) 2011-05-13 2011-05-13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92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233A (ko) * 2008-08-21 2010-03-04 (주)네스라이트 Ac/dc 겸용 led 모듈 구동장치
KR100996581B1 (ko) * 2010-04-22 2010-11-25 엔엘티테크주식회사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233A (ko) * 2008-08-21 2010-03-04 (주)네스라이트 Ac/dc 겸용 led 모듈 구동장치
KR100996581B1 (ko) * 2010-04-22 2010-11-25 엔엘티테크주식회사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46U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A single-switch AC–DC LED driver based on a boost-flyback PFC converter with lossless snubber
US9717120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passive LED lighting equipment
US8482214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passive LED lighting equipment
US20120146525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passive and active led lighting equipment
TWI492502B (zh) 被動式功因校正電路
JP6403042B2 (ja) 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140117867A1 (en) Driver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driving a load, in particular an led unit
US9263944B2 (en) Valley-fill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active conduction angle control
Liu et al. Buck–boost–buck-type single-switch multistring resonant LED driver with high power factor and passive current balancing
KR100996581B1 (ko)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CN105792421A (zh) 一种无桥式led驱动电源
KR20140096948A (ko) 단일 전력단 역률개선회로
CN203504839U (zh) 一种采用初级检测和调控的led灯驱动电源
KR200465924Y1 (ko) 역률 개선을 위한 엘이디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60124588A (ko) Led 전력공급 제어회로
JP2016123195A (ja) 非絶縁型電源装置
Dos Santos et al. A charge-pump led driver with PFC and low-frequency-flicker reduction
EP2859778B1 (en) Lighting device suitable for multiple voltage sources
CN102970786A (zh) Led点亮装置
CN203301791U (zh) 一种高效率led灯驱动电源
JP2016115515A (ja) 点灯用直流電源および照明器具
KR101196947B1 (ko)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Qu et al. Current‐fed isolated PFC pre‐regulator for multiple LED lamps with extended lifetime
TWI472138B (zh) No inductance power conversion circuit
CN109088552A (zh) 基于双电容器的ac线路频率低压dc供电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