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135A -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135A
KR20210028135A KR1020200180589A KR20200180589A KR20210028135A KR 20210028135 A KR20210028135 A KR 20210028135A KR 1020200180589 A KR1020200180589 A KR 1020200180589A KR 20200180589 A KR20200180589 A KR 20200180589A KR 20210028135 A KR20210028135 A KR 2021002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tor
power
unit
filter
square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만
안태수
황윤승
안정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안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안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8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135A/ko
Publication of KR2021002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2001/00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입력 전압(Vin)을 생성하는 정류 회로부(110); 와,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서 생성한 입력 전압(Vin)을 역률이 보상된 직류 전원으로 승압하는 역률 개선부(120); 와,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상용 교류 전원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 입력 되기 전 수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는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본 발명은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입력 전압(Vin)을 생성하는 정류 회로부(110); 와,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서 생성한 입력 전압(Vin)을 역률이 보상된 직류 전원으로 승압하는 역률 개선부(120); 와,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상용 교류 전원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 입력 되기 전 수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는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고조파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각종 전기, 전자 제품에서의 역률 개선(Power Factor Correction: PFC) 회로의 사용이 보편, 의무화 되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역률 개선 회로는 수동형과 능동형의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수동형 회로는 전원 입력쪽에 인덕터(L)과 캐패시터(C)로 이루어진 수동형 라인 필터를 적절히 설계하여 전원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감쇄시키는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회로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수동형 역률개선 회로는 입력 전원 전압의 크기에 따라 출력 전압의 크기가 변함으로써 전압의 안정화가 어렵고, 상용전원주파수에 맞추어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크기와 부피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능동형 역률 개선회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스트 컨버터를 응용하여 구성한다. 이 능동형 역률 개선 회로는 거의 1에 가까운 역률 특성을 나타내고, 안정된 직류전원을 입력전압의 변동에 무관하게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대전력 제품의 경우 국제적으로 강화된 고조파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능동형 PFC회로를 채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역률 개선 회로와 관련하여, 하기 특허문헌 1의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96581호)를 포함한 다수의 기존 발명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형 역률 개선 회로만으로 구성하는 경우, 충분한 역률 개선 효과를 위하여 스위칭 소자의 용량이나 규격 등을 충족하여야 하나, 이 경우 충분한 규격의 스위칭 소자 등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려면 그 비용이나 크기 등에 있어서 많은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대부분의 역률 개선 회로 등은 단순히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면서 역률을 개선하는 구성만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할 필요없는 교류 부하등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996581호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교적 간단하고도 효율적인 구성으로 사전에 수동 역률 개선을 먼저 수행 한 후, 능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여 역률이 개선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장치)의 역률 특성과 관계없이 본 발명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개선된 역률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역률이 개선된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역률이 개선된 교류 전원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한편, 전원 공급 수단의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별도의 역률 개선 회로가 내장되지 않은 부하(장치)에도 부하 자체의 역률과 관계없이 개선된 역률에 의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입력 전압(Vin)을 생성하는 정류 회로부(110); 와,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서 생성한 입력 전압(Vin)을 역률이 보상된 직류 전원으로 승압하는 역률 개선부(120); 와,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상용 교류 전원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 입력 되기 전 수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는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률 개선부(120)는,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일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 와, 상기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의 출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타 출력단 사이를 스위칭 하는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 와, 상기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의 출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타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12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는 상기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각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역률 개선부(12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교류 변환 출력부(2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교류 변환 출력부(200)는,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형파를 생성하는 제 1 구형파 생성부(210); 와,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타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 구형파와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를 생성하는 제 2 구형파 생성부(220); 와,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하는 제 1 필터(230); 와,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하는 제 2 필터(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는,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컨트롤러(215)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 1 스위칭 소자(211) 및 제 1 접지 스위칭 소자(21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는,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컨트롤러(225)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 2 스위칭 소자(221) 및 제 2 접지 스위칭 소자(22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필터(230)는,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인덕터(231)와, 상기 제 1 인덕터(231)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23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필터(240)는,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인덕터(241)와, 상기 제 2 인덕터(241)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24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멀티 탭, 전원 컨센트 또는 전원 연결 어댑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수단의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비교적 간단하고도 효율적인 구성으로 사전에 수동 역률 개선을 먼저 수행 한 후, 능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여 역률이 개선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장치)의 역률 특성과 관계없이 본 발명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개선된 역률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역률이 개선된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역률이 개선된 교류 전원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원 공급 수단의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별도의 역률 개선 회로가 내장되지 않은 부하(장치)에도 부하 자체의 역률과 관계없이 개선된 역률에 의한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는 크게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류 회로부(110), 역률 개선부(120),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정류 회로부(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류 회로부(1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입력 전압(Vin)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정류 회로부(110)를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 상기 정류 회로부(1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브릿지 다이오드(115)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률 개선부(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역률 개선부(120)는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서 생성한 입력 전압(Vin)을 역률이 보상된 직류 전원으로 승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역률 개선부(12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일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와, 상기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의 출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타 출력단 사이를 스위칭 하는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와, 상기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의 출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타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1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는 상기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의 개폐를 조절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는 상기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를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 모드로 제어하거나,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모드로 제오하는 등 필요에 따라 역률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는 정류 회로부(110)에서 정류하여 생성하는 입력 전압(Vin)에 포함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성분을 필터링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는 MOSFET(Metal Oxide Filed Effect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는, 주파수가 고정되고, 스위칭 손실이 적으며, 스위치의 기생성분에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병렬 접속되는 기생 다이오드(1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씨 링크 커패시터(126)는 상기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 또는 상기 기생 다이오드(127)에서 출력되는 전압에서 발생하는 변동 전력(fluctuating power)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며, 디씨 링크 커패시터(126)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역률 개선부(120)의 출력 전압이 된다.
다음으로,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용 교류 전원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 입력 되기 전 수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는 상기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를 구현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각각의 입력단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필터 인덕터(131) 및 제 2 필터 인덕터(132)와, 상기 제 1 필터 인덕터(131) 및 제 2 필터 인덕터(132)의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필터 커패시터(133)와, 상기 제 1 필터 인덕터(131) 및 제 2 필터 인덕터(13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필터 커패시터(13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한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여, 비교적 간단하고도 효율적인 구성으로 사전에 수동 역률 개선을 먼저 수행 한 후, 능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여 역률이 개선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역률이 개선된 전원은 직류의 형식뿐만 아니라 교류의 형식으로 공급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각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역률 개선부(120)에서 출력되는 역률이 개선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교류 변환 출력부(2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교류 변환 출력부(200)를 구현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 상기 교류 변환 출력부(2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형파를 생성하는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와,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타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 구형파와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를 생성하는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와,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하는 제 1 필터(230)와,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하는 제 2 필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컨트롤러(215)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 1 스위칭 소자(211) 및 제 1 접지 스위칭 소자(21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컨트롤러(225)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 2 스위칭 소자(221) 및 제 2 접지 스위칭 소자(2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23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인덕터(231)와, 상기 제 1 인덕터(231)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2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24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인덕터(241)와, 상기 제 2 인덕터(241)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2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 1 구형파 생성부(210) 및 제 2 구형파 생성부(220)를 통하여 역률이 개선된 직류 전원 출력을 각각 스위칭에 의하여 역률이 개선된 각각의 구형파로 변환한 후, 이를 제 1 필터(230) 및 제 2 필터(240)에 각각 통과시키면서 역률이 개선된 정현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역률이 개선된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멀티 탭, 전원 컨센트 또는 전원 연결 어댑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수단의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별도의 역률 개선 회로가 내장되지 않은 부하(장치)에도 부하 자체의 역률과 관계없이 개선된 역률에 의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다양한 방송용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100)는 구내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음성인식장치, 중앙제어장치, 볼륨조절장치, CD플레이어, 스피커선택장치, 오디오 앰프, 순차전원공급 장치, 오디오 믹서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110: 정류부
115: 브릿지 다이오드
120: 역률 개선부
121: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
122: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
125: 컨트롤러
126: 디씨 링크 커패시터
127: 기생 다이오드
130: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
131: 제 1 필터 인덕터
132: 제 2 필터 인덕터
133: 제 1 필터 커패시터
134: 제 2 필터 커패시터
200: 교류 변환 출력부
210: 제 1 구형파 생성부
211: 제 1 스위칭 소자
212: 제 1 접지 스위칭 소자
215: 제 1 컨트롤러
220: 제 2 구형파 생성부
221: 제 2 스위칭 소자
222: 제 2 접지 스위칭 소자
225: 제 2 컨트롤러1
230: 제 1 커패시터 필터
231: 제 1 인덕터 232: 제 1 커패시터
240: 제 2 커패시터 필터
241: 제 2 인덕터 242: 제 2 커패시터

Claims (5)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입력 전압(Vin)을 생성하는 정류 회로부(110);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서 생성한 입력 전압(Vin)을 역률이 보상된 직류 전원으로 승압하는 역률 개선부(120);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상용 교류 전원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상기 정류 회로부(110)에 입력 되기 전 수동 역률 개선을 수행하는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전 역률 개선 필터부(13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의 각 출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각 입력단 사이에 각각 직렬로 설치되는 제 1 필터 인덕터(131) 및 제 2 필터 인덕터(132);
    상기 제 1 필터 인덕터(131) 및 제 2 필터 인덕터(132)의 각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는 제 1 필터 커패시터(133);
    상기 제 1 필터 인덕터(131) 및 제 2 필터 인덕터(132)의 각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는 제 2 필터 커패시터(13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120)는,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일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
    상기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의 출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타 출력단 사이를 스위칭 하는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
    상기 부스터 인덕터(노멀 필터)(121)의 출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110)의 타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는 디씨 링크 커패시터(12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역률 개선 컨트롤러(125)는 상기 역률 개선 스위칭 소자(122)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각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역률 개선부(12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교류 변환 출력부(2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교류 변환 출력부(200)는,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형파를 생성하는 제 1 구형파 생성부(210);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타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 구형파와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를 생성하는 제 2 구형파 생성부(220);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하는 제 1 필터(230);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하는 제 2 필터(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는,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컨트롤러(215)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 1 스위칭 소자(211) 및 제 1 접지 스위칭 소자(21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는,
    상기 역률 개선부(120)의 일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컨트롤러(225)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 2 스위칭 소자(221) 및 제 2 접지 스위칭 소자(22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필터(230)는,
    상기 제 1 구형파 생성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인덕터(231)와, 상기 제 1 인덕터(231)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23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필터(240)는,
    상기 제 2 구형파 생성부(22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인덕터(241)와, 상기 제 2 인덕터(241)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24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멀티 탭, 전원 컨센트 또는 전원 연결 어댑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수단의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100).
KR1020200180589A 2020-12-22 2020-12-22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KR20210028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89A KR20210028135A (ko) 2020-12-22 2020-12-22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89A KR20210028135A (ko) 2020-12-22 2020-12-22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849 Division 2019-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135A true KR20210028135A (ko) 2021-03-11

Family

ID=7514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89A KR20210028135A (ko) 2020-12-22 2020-12-22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1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81B1 (ko) 2010-04-22 2010-11-25 엔엘티테크주식회사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81B1 (ko) 2010-04-22 2010-11-25 엔엘티테크주식회사 역률 개선용 전류제어회로를 가진 전원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Power factor corrected zeta converter based improved power quality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6594165B2 (en) Circuit for converting AC voltage into DC voltage
US9030049B2 (en) Alternating current (AC) to direct current (DC) converter device
Duarte et al. Modeling and digital control of a single-stage step-up/down isolated PFC rectifier
KR20190115364A (ko) 단상 및 3상 겸용 충전기
US7710087B2 (en) Power converter and power converting method
Trong et al. Modified current‐fed full‐bridge isolated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with low‐voltage stress
US7830674B2 (en) Single-stage switching power supply
US9425696B2 (en) Rectifying circuit and method for an unbalanced two phase DC grid
WO2018123552A1 (ja) スナバ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システム
KR100439414B1 (ko) 절연형 디씨/디씨 전력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공급 장치
Torrico‐Bascopé et al. Three‐state switching cell (3SSC)‐based non‐isolated dc–dc boost‐type converter with balanced output voltage and wide voltage conversion range
KR20210028135A (ko) 역률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공급 장치
Konga et al. Three-phase quasi-Z-source rectifier modeling
US20140028096A1 (en) Rectifier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alleja et al. Design and experimental results of an input-current-shaper based electronic ballast
JP2003153542A (ja) アクティブ型力率改善回路
CN107919800B (zh) 升压型零涟波直流转换器
US10033291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hmed et al. A single-phase quasi-Z-source AC-AC converter with high-frequency transformer isolation
JP6333699B2 (ja) 直列共振電力転送装置
KR101421020B1 (ko) 브리지리스 역률 보상 회로
Fernandes et al. A UPS system suitable for noise-sensitive loads
Ki et al. Extension of minimum separable switching configuration modelling to single-stage AC/DC converters with direct power transfer
Ahmed et al. A single-phase high-frequency transformer isolated buck converter with both in-phase and out-of-phase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