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448A -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448A
KR20100046448A KR1020080105290A KR20080105290A KR20100046448A KR 20100046448 A KR20100046448 A KR 20100046448A KR 1020080105290 A KR1020080105290 A KR 1020080105290A KR 20080105290 A KR20080105290 A KR 20080105290A KR 20100046448 A KR20100046448 A KR 2010004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main light
auxiliary ligh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08010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448A/ko
Publication of KR2010004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주발광부와; 이 주발광부에서 연장되는 보조발광부; 및 이 보조발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주발광부와 보조발광부의 배치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속핀을 구비하는 접속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개가 직렬로 연결될 때 각각의 램프장치가 서로 맞닿으며 연결되어 조명장치와 조명장치 사이에서 조명이 단절되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수 개의 조명기구를 연결하여 원하는 조명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형광등, 등기구, 조명

Description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LAMP AND ILLUMINAION APPARATUS THEREWITH}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핀을 구비하는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실내의 천장면이나 벽면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하면서 실내를 환하게 비추어 주는 기구물로서,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기구는 조도가 높으면서도 전력 소비가 적어 최근까지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
최근 조명기구는 단순하게 어둠을 밝혀주는 불빛 차원에서 벗어나 업소의 진열장과 쇼룸 등에 설치되어 시각적 효과를 낼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식용의 개념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형광등의 최소 점유면적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형광등의 단면적이 점차 최소화되는 슬림형의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기구가 많이 사용된다.
이처럼 슬림화된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기구는, 단순히 하나씩 배치되어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외에도, 다수가 직렬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조명기구는 직접조명 이외에 간접조명이나 장식적인 조명의 사용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조명기구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조명기구(30)는 형광등(10)과 이 형광등(10)을 장착시켜주기 위한 등기구(20)를 포함한다. 등기구(20)에는 형광등(10)을 점등시켜 주기 위한 회로기판이나 기타 필요한 부품들과 안정기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형광등(10)은 그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접속핀(12)이 등기구(20)에 설치된 고정구(22)에 끼워지면서 등기구(20)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구(22)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접속핀(12)은, 먼저, 고정구(22)에 끼워지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구(22)에 끼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형광등(10)을 회전시켜주면, 한 쌍의 접속핀(12)은 고정구(22) 내부에서 고정구(22)에 끼워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되며, 이에 따라 형광등(10)과 등기구(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 조명기구(30)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수 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조명기구(30)가 직렬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조명기구(30)는 등기구(20)의 고정구(22)가 서로 맞닿으며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조명기구에 따르면, 다수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설치될 경우, 고정부가 위치된 부분에서 조명이 단절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조명효과를 제대로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조명기구에 따르면, 형광등을 등기구에 장착 분리시키는 경우, 형광등의 접속핀을 고정구에 끼우거나 고정구에서 빼내는 과정에서, 형광등을 들리는 힘에 의해 형광등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수 개를 직렬로 연결하더라도 조명이 단절되는 부분 없이 조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등기구에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의 파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램프장치는: 보조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에 연동되는 주발광부; 및 상기 보조발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발광부와 상기 주발광부의 배치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속핀을 구비하는 접속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발광부는 상기 주발광부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를 연결하는 연결 튜브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접속핀부는 한 쌍의 접속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속핀은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의 배치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발광부를 상기 주발광부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상기 보조발광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주발광부가 구비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접속핀과 상기 주발광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발광부는 상기 커넥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와 같은 램프장치; 및 상기 램프장치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기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 핀이 삽입되는 접속단자홈이 형성되는 접속단자대; 및 상기 접속단자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속단자홈을 개폐하는 접속용 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용 캡의 내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대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용 캡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단자홈에 삽입된 상기 접속핀을 가압하는 접속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에 따르면, 다수 개가 직렬로 연결될 때 각각의 램프장치가 서로 맞닿으며 연결되어 조명장치와 조명장치 사이에서 조명이 단절되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수 개의 조명기구를 연결하여 원하는 조명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핀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접속핀이 주발광부와 보조발광부의 배치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접속단자홈에 그대로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단자대와의 결합이 완료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램프장치를 등기구에 장착 및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램프장치 회전 조작이 필요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램프장치를 등기구에 장착 및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램프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발광부를 주발광부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가 보조발광부와 보조발광부 사이에 구비되므로, 램프장치를 등기구에 장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주발광부와 보조발광부를 연결하는 연결 튜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속단자홈을 개폐하는 접속용 캡을 구비함으로써, 접속핀과 접속단자의 접지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접속핀을 접속단자홈 내부에 구속시켜 램프장치가 등기구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등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는 램프장치(100)와 등기구(200)를 포함한다.
램프장치(100)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와, 연결 튜브(130) 및 접속핀부(140)를 포함한다.
주발광부(110)는 일정한 길이의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주발광부(1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양단부가 밀봉된 형태를 갖는다.
보조발광부(120)는, 주발광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보조발광부(1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주발광부(110)의 양단부에 하나씩 배치된다. 각각의 보조발광부(120)는 주발광부(1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단부가 밀봉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각각의 보조발광부(120)의 내부에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미도시)이 고정 설치된다.
연결 튜브(130)는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 튜브(130)는, 일측이 주발광부(110)와 연통되고 타측이 보조발광부(120)와 연결됨으로써,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를 연결한다.
접속핀부(140)는 각 보조발광부(130)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접속핀부(140)는 한 쌍의 접속핀(142)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접속핀(142)은,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의 배치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의 배치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접속핀부(140)는 보조발광부(120) 내부의 전극과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전극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100)는 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부재(150)는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 사이에 구비되되, 연결 튜브(130)와 이격 배치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50)는, 보조발광부(120)를 주발광부(110)에 지지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한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의 비틀림에 의해 연결 튜브(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등기구(200)는, 상술한 램프장치(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210)과, 접속단자대(220) 및 접속용 캡(23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천장면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212)와 이 베이스(212)에 덮여지는 커버(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212)와 하우징(214)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재료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212)와 하우징(214)은,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전성의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원 연결단자와, 각종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어 전원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과, 이 기판 상에 실장된 저항, 콘덴서 및 트랜스 등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되어 램프장치(10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전자식 안정기가 구비된다.
접속단자대(220)는 하우징(210)의 양측에 구비된다. 각각의 접속단자대(220)에는 접속핀(142)이 삽입되는 접속단자홈(222)이 형성되며, 이 접속단자홈(222)의 내부에는 접속핀(14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224; 도 8 참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접속단자(224)는 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접속핀(142)에 공급한다.
상기 접속단자홈(222)과 접속단자(224) 사이에는, 접속단자(224)를 접속단자홈(222)의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26; 도 8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탄성부재(226)는 접속핀(142)이 접속단자홈(222)에 삽입되었을 때, 접속단자(22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접속핀(142)과 접속단자(224)의 접지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접속단자대(220)에는 가이드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가이드홈(228)은 접속단자대(220)의 양 측부에 형성된다.
접속용 캡(230)은, 접속단자대(220)의 3면을 둘러싸도록 대략 "ㄷ" 자 형으로 형성되며, 접속단자대(2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접속용 캡(230)은 접속단자대(220)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속단자홈(222)을 개폐한다. 이를 위하여 접속용 캡(230)의 내부에는 가이드돌기(232)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돌기(232)는 접속용 캡(230)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접속단자대(220)의 양 측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28)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러한 가이드돌기(232)와 가이드홈(228)의 결합에 의해 접속용 캡(230)은 접속단자대(2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접속용 캡(23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접속단자홈(222)과 마주 보는 일측면에는 접속용돌기(2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속용돌기(234)는 접속단자홈(222)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접속용 캡(230)이 접속단자홈(222)을 폐쇄할 때, 접속단자홈(222)에 삽입된 접속핀(142)을 가압함으로써, 접속핀(142)과 접속단자(224)의 접지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램프장치와 등기구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례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결합구조와, 장착과정 및 사용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300)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장치(100)는 등기구(200)에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램프장치(100)는, 보조발광부(120)가 등기구(200)의 접속단자대(220)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접속핀부(140)의 접속핀(142)을 접속단자대(220)에 형성된 접속단자홈(222)에 삽입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200)에 장착된다.
이때 램프장치(100)는, 보조발광부(120)가 등기구(200)와 인접한 내측에, 주발광부(110)가 그 외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등기구(2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램프장치(100)에 따르면, 접속핀부(140)에 구비된 한 쌍의 접속핀(142)이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의 배치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접속단자홈(222)에 그대로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단자대(220)와의 결합이 완료됨으로써, 램프장치(100)를 등기구(200)에 장착 및 분리시키는 과 정에서 별도의 램프장치(100) 회전 조작이 필요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램프장치(100)를 등기구(200)에 장착 및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램프장치(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램프장치(100)에 따르면, 보조발광부(120)를 주발광부(110)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가 보조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 사이에 구비되므로, 램프장치(100)를 등기구(20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120)를 연결하는 연결 튜브(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램프장치(100)가 등기구(200)에 장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홈(222)을 개방하고 있던 접속용 캡(23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접속단자홈(222)을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용 캡(23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속단자홈(222)을 폐쇄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용돌기(234)가 접속단자홈(222)에 삽입된 접속핀(142)을 가압함으로써, 접속핀(142)과 접속단자(224)의 접지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접속핀(142)을 접속단자홈(222) 내부에 구속시켜 램프장치(100)가 등기구(20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명기구(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목적에 따라 다수 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명기구(300)는, 다수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설치될 때 각각의 램프장치(100)가 서로 맞닿으며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명장치와 조명장치 사이에서 조명이 단절되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수 개의 조명기구(300)를 연결하여 원하는 조명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400)는 주발광부(110)와 보조발광부(420) 및 접속핀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발광부(420)는 주발광부(110)에서 연장되게 구비되며, 측부가 주발광부(110)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조발광부(4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주발광부(110)의 양단부에 하나씩 배치되며, 각각의 보조발광부(420)는 주발광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처럼 주발광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각각의 보조발광부(420)는 주발광부(110)에서 절곡되게 연장됨으로써 주발광부(110)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램프장치(400)와 등기구(200; 도 2 참조)와의 결합 관계는 제1실시예에 예시된 램프장치(100)와 등기구(200)와의 결합 관계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500)는 주발광 부(110)와 보조발광부(520) 및 접속핀부(5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발광부(520)는 주발광부(110)에서 연장되게 구비되되, 주발광부(110)의 양 측부에 하나씩 한 쌍이 배치된다. 각각의 보조발광부(520)는, 주발광부(110)의 측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주발광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접속핀부(540)는 각 보조발광부(130)의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부(540)의 구성과 램프장치(500)와 등기구(200; 도 2 참조)와의 결합 관계는, 각각 제1실시예에 예시된 접속핀(140; 도 3 참조)의 구성과 램프장치(100)와 등기구(200)와의 결합 관계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램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600)는 브라켓(610)과, 보조발광부(620)와, 주발광부(630)와, 접속핀부(640) 및 커넥터(650)를 포함한다.
브라켓(61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610)의 일측에는 보조발광부(62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주발광부(630)가 구비된다.
보조발광부(6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6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브라켓(61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발광부(6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브라켓(610)의 양단부에 하나씩 배치된다. 각각의 보조발광부(620)는 내부에 중 공이 형성되며 단부가 밀봉된 형태를 갖는다.
주발광부(630)는 후술할 보조발광부(620)와 연동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주발광부(630)가 보조발광부(620)와 연동된다는 것은, 주발광부(630)가 보조발광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과,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주발광부와 보조발광부가 연결되어 함께 빛을 발광한다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발광부(630)는 보조발광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보조발광부(630)와 연동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주발광부(630)는 빛을 발광하기 위한 엘이디 모듈(635)을 구비한다. 엘이디 모듈(635)은 브라켓(610)에 설치되는 기판(632)과, 이 기판(632)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 소자(6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엘이디 모듈(635)은 브라켓(6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판(632)에 의해 커넥터(65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발광부(630)는 커버(6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커버(631)는 엘이디 모듈(635)의 외측에 구비되어 브라켓(610)에 결합되며, 엘이디 모듈(635)을 감싸 보호한다.
접속핀부(640)는 각 보조발광부(630)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접속핀부(640)는 한 쌍의 접속핀(642)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접속핀(642)은, 주발광부(630)와 보조발광부(620)의 배치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주발광부(630)와 보조발광부(620)의 배치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접속핀부(640)는 등기구(200; 도 8 참조)의 접속단 자(224; 도 8 참조)와 접속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커넥터(650)는 접속핀(640)과 주발광부(630)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브라켓(610)에는 이 커넥터(650)가 설치되는 관통홀(612)이 형성된다. 커넥터(650)는, 보조발광부(620) 내부에서 접속핀(640)과 연결되는 전선(부호 생략)에 의해 접속핀(640)과 연결되며, 주발광부(630)의 엘이디 모듈(635)에 구비된 단자(636)와 접속함으로써, 접속핀(640)과 주발광부(630)의 엘이디 모듈(63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커넥터(650)는 엘이디 모듈(635)의 단자(636)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램프장치(600)는 지지부(6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660)는, 브라켓(6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주발광부(630)와 보조발광부(620)에 결합됨으로써, 주발광부(630)와 보조발광부(620)를 지지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600)와 등기구(200)와의 결합 관계는, 각각 제1실시예에 예시된 램프장치(100)와 등기구(200)와의 결합 관계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조명기구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등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램프장치와 등기구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램프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램프장치 110 : 주발광부
120 : 보조발광부 130 : 연결 튜브
140 : 접속핀부 142 : 접속핀
150 : 지지부재 200 : 등기구
210 : 하우징 212 : 베이스
214 : 커버 220 : 접속단자대
222 : 접속단자홈 228 : 가이드홈
230 : 접속용 캡 232 : 가이드돌기
234 : 접속용돌기 300 : 조명장치

Claims (13)

  1. 보조발광부;
    상기 보조발광부에 연동되는 주발광부; 및
    상기 보조발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발광부와 상기 주발광부의 배치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속핀을 구비하는 접속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광부는 상기 주발광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를 연결하는 연결 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부는 한 쌍의 접속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속핀은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의 배치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발광부를 상기 주발광부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보조발광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주발광부가 구비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접속핀과 상기 주발광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발광부는, 상기 커넥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주발광부와 상기 보조발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램프장치; 및
    상기 램프장치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핀이 삽입되는 접속단자홈이 형성되는 접속단자대; 및
    상기 접속단자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속단자홈을 개폐하는 접속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캡의 내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대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캡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단자홈에 삽입된 상기 접속핀을 가압하는 접속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80105290A 2008-10-27 2008-10-27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KR20100046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290A KR20100046448A (ko) 2008-10-27 2008-10-27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290A KR20100046448A (ko) 2008-10-27 2008-10-27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448A true KR20100046448A (ko) 2010-05-07

Family

ID=4227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290A KR20100046448A (ko) 2008-10-27 2008-10-27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64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56977T3 (es) Sistema conector para conjunto de iluminación
CN102149962B (zh) 照明设备
CA2506868C (en) Modular luminaire system
CN100421004C (zh) 背光组件和具有该背光组件的液晶显示装置
US20070070631A1 (en) [led lamp tube]
JP3157497U (ja) 直管形led蛍光灯のダクトレールへの取付装置
TWI477713B (zh) 轉換燈座結構
JP7202519B2 (ja) 照明装置
JP6400683B2 (ja) 照明デバイスアセンブリ及び照明デバイスアセンブリの実装方法
KR101144898B1 (ko) 조명등과 등기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유닛
KR200466870Y1 (ko) 엘이디 등기구
KR20100046448A (ko) 램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JP5455951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KR20110048927A (ko) Led 조명기구
JP2014216215A (ja) 照明器具
JPWO2014203435A1 (ja) 照明ランプ、直管形照明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CN212204253U (zh) 一种吸顶灯
KR20130073585A (ko) 광반도체 기반 관형 조명장치
KR100725283B1 (ko) 형광등과 본체 일체형 형광등기구
KR200323079Y1 (ko) 방전램프 장치
JP6913934B2 (ja) Ledランプセット
JP2016115683A (ja) 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539719B1 (ko) 직부형 led 조명장치
KR200199463Y1 (ko) 형광 조명기구
JP2008235215A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