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270A - 롤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롤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270A
KR20100045270A KR1020080104379A KR20080104379A KR20100045270A KR 20100045270 A KR20100045270 A KR 20100045270A KR 1020080104379 A KR1020080104379 A KR 1020080104379A KR 20080104379 A KR20080104379 A KR 20080104379A KR 20100045270 A KR20100045270 A KR 2010004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guide
coupled
ba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순
Original Assignee
한국신소재파렛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소재파렛트(주) filed Critical 한국신소재파렛트(주)
Priority to KR102008010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5270A/ko
Publication of KR2010004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음이나 녹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장치의 작동이 원활하면서도 고장이 적어 별도의 유지보수 작업이 거의 필요치 않은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부(32)와 이 바닥부(32)의 양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부(33,33)가 형성된 채널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아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각 측벽부(33,33)의 내벽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4)이 형성된 프레임(31)과; 상기 가이드홈(3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프레임(3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아부재(41,41)를 포함하며, 상기 각 바아부재(41,4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응된 체결홈(43)이 형성된 가이드(40)와; 상기 체결홈(43)에 양단부가 끼워지는 회전축(5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아부재(41,41)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편(42)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편(42)에 의해 폭방향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롤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프레임, 가이드, 롤러, 가이드홈, 중공부, 회전축, 코팅층

Description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
본 발명은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음이나 녹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장치의 작동이 원활하면서도 고장이 적어 별도의 유지보수 작업이 거의 필요치 않은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공장이나 물류창고 등에서는 제조 또는 물류작업 시에 자재나 제품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 라인을 형성하여 작업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게 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자재가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운반대차 등에 구비되어 컨테이너가 자중에 의해 운반대차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 트랙(또는 플라콘 롤러(Placon roller))과 같은 롤러 어셈블리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러 어셈블리(10)는 긴 프레임(11)에 다 수의 롤러(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1)은 대략 "U"자 형상의 채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되고, 그 양측면(13)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대향된 결합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2)는 상기 결합공(14)에 삽입되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5)이 그 중심부에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롤러 어셈블리(10)는 조립시에 상기 각 롤러(12)를 개별적으로 상기 프레임(11)에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할 때에도 상기 롤러(12)의 회전축(15)을 프레임(11)의 결합공(14)에 맞춰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12) 상에서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프레임(11)의 양측면(13)은 그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프레임(11) 상에 개별적으로 결합된 롤러(12) 중의 일부가 이탈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갖는 것이며, 또한 상기 프레임(11)은 스틸재를 절곡하여 제작한 것일 뿐만 아니라 상기 롤러(12)에 구비되는 회전축(15)도 스틸재의 핀형태로 구비된 것이어서, 작동시에 상호 마찰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심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프레임에 롤러가 결합될 때에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롤러의 작동시에 소음이나 녹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장치의 작동이 원활하면서도 고장이 적어 별도의 유지보수 작업이 거의 필요치 않은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닥부(32)와 이 바닥부(32)의 양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부(33,33)가 형성된 채널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아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각 측벽부(33,33)의 내벽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4)이 형성된 프레임(31)과;
상기 가이드홈(3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프레임(3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아부재(41,41)를 포함하며, 상기 각 바아부재(41,4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응된 체결홈(43)이 형성된 가이드(40)와;
상기 체결홈(43)에 양단부가 끼워지는 회전축(5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아부재(41,41)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편(42)에 의해 상호 결 합되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편(42)에 의해 폭방향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롤러(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53)에 끼움결합되는 스틸재의 핀 형태로 구비되고, 그 표면은 수지에 의해 코팅층(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31)은 그 내부에 중공부(35) 및 이 중공부(35)를 구획하는 보강리브(36)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롤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31)에 롤러(50)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롤러(50)를 직접적으로 프레임(31)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롤러(50)를 가이드(4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40)를 프레임(31)에 슬라이드시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상의 번거로움 및 조립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40)는 연결편(4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바아부재(41,41)가 구비되고, 상기 바아부재(41,41)는 상기 연결편(42)에 의해 폭방향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아부재(41,41)의 길이에 관계없 이 항상 일정한 폭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바아부재(41,4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염려가 없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롤러(50)는 상기 가이드(40) 상에서 빠질 염려가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롤러(50)에 결합되는 회전축(51)은 스틸재의 핀 형태로 구비됨과 동시에 그 표면에는 수지에 의해 코팅층(52)이 형성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스틸재 회전축(51)에 의해 상기 롤러(50)에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롤러(50)의 작동시에 코팅층(52)에 의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1)은 내부에 중공부(35)와 이 중공부(35)를 구획하는 보강리브(36)가 형성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공부(35)에 의해 상기 프레임(31)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 만큼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중공부(35)를 구획하는 보강리브(36)에 의해 프레임(31)의 내부를 보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프레임(31)은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그리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30)는 바닥부(32)와 이 바닥부(32)의 양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부(33,33)가 형성되는 프레임(31)이 구비되는데, 이 프레임(31)은 대략 "U"자 형태를 갖도록 채널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바아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각 측벽부(33,33)의 내벽에는 대향된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31)에 다수의 롤러(50)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상기 프레임(31)에는 상기 롤러(5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프레임(31)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가이드홈(34)에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40)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40)는 상기 측벽부(33,33)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아부재(41,41)가 구비되고, 상기 각 바아부재(41,41)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체결홈(43)은 상기 각 바아부재(41,41)의 상측과 내측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50)가 상하방향으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43)의 입구측은 상기 롤러(50)의 회전축(5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50)를 결합할 때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51)이 상기 체결홈(43)의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체결홈(43) 은 그 입구측의 하부가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50)가 결합된 후에 상기 회전축(51)의 유동이 가능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롤러(50)가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아부재(41,41)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편(4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편(42)은 상기 롤러(50)가 상기 바아부재(41,41)에 결합될 때에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위치되고, 이러한 연결편(42)에 의해 상기 바아부재(41,41)는 항상 일정한 폭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바아부재(41,41)는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더라도 폭방향의 간격이 벌어질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40)를 프레임(31) 상에 결합할 때에 상기 롤러(50)가 상기 바아부재(41,41) 사이로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50)는 그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51)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51)은 그 양단이 상기 체결홈(43)에 끼움결합되는데, 이러한 롤러(50)의 결합구조 및 다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50)는 그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51)이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51)은 스틸재로 이루어진 핀 형태로 구비되고, 그 표면에는 수지에 의한 코팅층(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롤러(5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사출과 같은 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상기 결합공(53)이 형성된 코어(54)에서 방사상으로 지지리브(55)가 형성되어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롤러(50)의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기는 하나, 전술된 바와 같이 스틸재의 핀 형태로 별도로 구비되는 것은 그 강도를 보다 강하게 형성하여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그 표면에는 수지로 된 코팅층(5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상기 가이드(40)의 체결홈(43)에서 회전될 때에 마찰 및 그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40)의 바아부재(41,41)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31)의 가이드홈(34)에 대응된 단면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제작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31)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성형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 프레임(31)의 측벽부(33,33)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4)의 단면형상은 측벽에서 내부측으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내부면은 완만한 곡선 형태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가이드(40)가 결합되어 프레임(31)의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가이드홈(34)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 보다 원활하면서도 유격을 최소화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31)은 그 내부에 중공부(35)가 형성되도록 성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중공부(35) 사이에는 보강리브(36)가 형성되도록 제작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를 줄임과 동시에 프레임(30)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고, 또한 상기 보강리브(36)에 의해 프레임(31)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프레임(31)의 외벽측에 형성된 조립용 홈(37)으로, 운반대차와 같은 설치물에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20)(도 2에 도시됨)을 설 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31)에 롤러(5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라 가이드(40) 상에 다수의 롤러(5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40)를 프레임(31)에 결합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견고한 결합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40)는 연결편(42)에 의해 바아부재(41,4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롤러(50)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전술된 바와 같은 조립작업 뿐만 아니라 고정이 적어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롤러 어셈블리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Claims (3)

  1. 바닥부(32)와 이 바닥부(32)의 양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부(33,33)가 형성된 채널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아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각 측벽부(33,33)의 내벽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4)이 형성된 프레임(31)과;
    상기 가이드홈(3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프레임(3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아부재(41,41)를 포함하며, 상기 각 바아부재(41,4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응된 체결홈(43)이 형성된 가이드(40)와;
    상기 체결홈(43)에 양단부가 끼워지는 회전축(5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아부재(41,41)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편(42)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편(42)에 의해 폭방향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롤러(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53)에 끼움결합되는 스틸재의 핀 형태로 구비되고, 그 표면은 수지에 의해 코팅층(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1)은 그 내부에 중공부(35) 및 이 중공부(35)를 구획하는 보강리브(36)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롤러 어셈블리.
KR1020080104379A 2008-10-23 2008-10-23 롤러 어셈블리 KR20100045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79A KR20100045270A (ko) 2008-10-23 2008-10-23 롤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79A KR20100045270A (ko) 2008-10-23 2008-10-23 롤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70A true KR20100045270A (ko) 2010-05-03

Family

ID=4227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79A KR20100045270A (ko) 2008-10-23 2008-10-23 롤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52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809A (ko) * 2015-09-30 2015-10-16 임흥순 롤러 트랙의 자동 롤러 결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809A (ko) * 2015-09-30 2015-10-16 임흥순 롤러 트랙의 자동 롤러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3838B2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for a conveyor for conveying article carriers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KR100661338B1 (ko)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
JP2008273744A (ja) コンベヤ
CN104487361A (zh) 辊道传送机
CA2846480A1 (en) Rail and roller of a window and door system and window operation apparatus for windows and doors using same
US9163699B2 (en) Energy guiding chain with rollers
US11267655B1 (en) Toolless removable wear strip and/or guide rail for a conveyor
KR101457990B1 (ko) 모빌랙
CN103180637B (zh) 啮合链式进退作动装置
KR20100045270A (ko) 롤러 어셈블리
JP6029594B2 (ja) 伸縮式ローラーコンベヤ及びフレーム
JP2014503442A5 (ko)
US10266190B2 (en) Container
US4080686A (en) Structural support mounting means for precision, telescoping, linear slide mechanisms
KR100716775B1 (ko)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0454228Y1 (ko) 슬라이딩 랙용 플라콘 지지 스토퍼
KR200447646Y1 (ko)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US11731804B2 (en) Pallet including a carrier arrangement connected to skid arrangements
TW202134559A (zh) 帶有簡化引導裝置的用於橫向穩定性的纜線引導系統以及用於此纜線引導系統的附加模組
US10442450B2 (en) Dolly edge support device
JP5013096B2 (ja) 流動棚装置
KR20100005498U (ko) 모빌랙용 대차의 바퀴 지지구조
KR101338774B1 (ko)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KR20100001065A (ko) 플라콘 롤러
KR102276665B1 (ko) 커튼레일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