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671A -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671A
KR20100044671A KR1020080103896A KR20080103896A KR20100044671A KR 20100044671 A KR20100044671 A KR 20100044671A KR 1020080103896 A KR1020080103896 A KR 1020080103896A KR 20080103896 A KR20080103896 A KR 20080103896A KR 20100044671 A KR20100044671 A KR 2010004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tating
rotary
fee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556B1 (ko
Inventor
정봉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정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정봉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10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5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6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changing orientation or changing direction of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회전롤러에 밸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밸트에 용지가 안착되어 밸트의 회전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1차이송부와; 상, 하로 한 쌍의 회전기어가 일정한 틈을 두고 이격된 채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이송부의 회전롤러와 연결되어 회전기어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1차이송부를 통과한 용지가 한 쌍의 회전기어 사이의 틈 사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전기어와 연결된 제2연결회전축이 구비되어 있고, 가이드부를 통과한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제2연결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회전수단이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2차이송부와; 2차이송부의 선단에 위치하며, 2차이송부를 통과한 용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진 또는 후진하여 용지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제한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포장박스 제조장치에서 용지를 접기 위한 세팅공간으로 이송시킬 때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공급함으로 인해 전체 포장방스 제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치의 규모를 심플화 시킬 수 있게 되고, 용지 크기의 변화 시 간편하게 용지를 이송시킬 수 있는 용지공급장치가 제공된다.
포장박스, 회전수단, 고정, 세팅

Description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Paper supplying apparatus of package box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박스지의 저면에 핫멜트를 공급하여 간편하게 박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박스 조립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766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박스 조립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공급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 실린더와 실린더로드를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용지를 공급하도록 한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01782호)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 외에도, 용지를 흡착한 후 승강시킨 다음 이동시켜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박스 조립장치의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들은 전체 장치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크고, 장치를 설치할 공간을 부족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전체 설비 공간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립하기 위한 용지의 크기가 커질 경우 실린더의 이송 거리의 변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수단 및 제어 프로그램이 필요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용지를 1차 이송하는 1차이송부, 1차이송부를 통과한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통과한 용지를 세팅 공간 상부까지 이동시키는 2차이송부 및 세팅공간 상부에 도달한 용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된 이동제한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양 측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회전롤러 및 벨트,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이송 및 흡착을 위한 실린더 및 실린더 로드, 픽업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인해 전체 설비를 심플하게 구성하여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규모를 단순화 시키려는 것이다.
아울러, 용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장치를 구비하되, 이동제한장치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지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용지의 크기 변화에 따른 용지의 이송 및 정지 작업을 간편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회전롤러에 밸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밸트에 용지가 안착되어 밸트의 회전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1차이송부와; 상, 하로 한 쌍의 회전기어가 일정 한 틈을 두고 이격된 채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이송부의 회전롤러와 연결되어 회전기어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1차이송부를 통과한 용지가 한 쌍의 회전기어 사이의 틈 사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전기어와 연결된 제2연결회전축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를 통과한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제2연결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회전수단이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2차이송부와; 2차이송부의 선단에 위치하며, 2차이송부를 통과한 용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진 또는 후진하여 용지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제한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2차이송부의 회전수단은 용지의 저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으로써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용지의 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으로써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용지를 1차 이송하는 1차이송부, 1차이송부를 통과한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통과한 용지를 세팅 공간 상부까지 이동시키는 2차이송부 및 세팅공간 상부에 도달한 용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된 이동제한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양 측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회전롤러 및 벨트,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이송 및 흡착을 위한 실린더 및 실린더 로드, 픽업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인해 전체 설비를 심플하게 구성하여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규모가 소규모, 단순화된다.
아울러, 용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장치를 구비하되, 이동제한장치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지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용지의 크기 변화에 따른 용지의 이송 및 정지 작업이 간편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로,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테이블 저부에는 회전하는 회전축을 갖는 모터(21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모터(21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회전롤러(221)에 밸트(222)가 설치되어 있으며, 밸트(222)에 용지가 안착되어 밸트(222)의 회전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1차이송부(220)가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좌측에서 용지가 1차이송부(220)의 밸트(222)에 안착되면 밸트(222)의 구동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1차이송부(220)의 우측에는 상, 하로 한 쌍의 회전기어(231)가 일정한 틈을 두고 이격된 채 설치되어 있고, 1차이송부(220)의 회전롤러(221)와 연결되어 회전기어(231)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1차이송부(220)를 통과한 용지가 한 쌍의 회전기어(231) 사이의 틈 사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부(23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230)를 설치하는 이유는, 가이드부(230)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접착제를 용지에 공급하는데, 접착제 공급시 용지의 위치를 정확히 세팅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가이드부(230)의 우측으로는 가이드부(230)의 회전기어(231)와 연결된 제2연결회전축(241)이 구비되어 있고, 가이드부(230)를 통과한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제2연결회전축(2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회전수단이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2차이송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2차이송부(240)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 2차 이송부는 제2연결회전축(241)의 상부에 다수 개의 롤러(242)가 설치되어 있고, 롤러(242) 및 제2연결회전축(241)의 둘레로 밸트(24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살펴보면, 제2연결회전축(241)과 다수 개의 롤러(242)가 하나의 밸트(243)에 의해 둘러쌓여 제2연결회전축(241)의 회전에 의해 밸트(243)가 회전하면서 도 3과 같이 밸트(243) 상부에 용지가 안착된 채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2차이송부(240)의 선단에 위치하며, 2차이 송부(240)를 통과한 용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진 또는 후진하여 용지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제한장치(25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제한장치(25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이 테이블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브라켓(251)과, 상기 프레임고정브라켓(251)으로부터 돌출된 봉 형상의 가이드부재(252)와, 가이드부재(252)에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부재(252)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되어 있고, 일측에 볼트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253), 이동부재(253)의 볼트체결홀에 체결되어 조여짐에 따라 가이드부재(252)를 압박하여 이동부재(253)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볼트, 이동부재(25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부재(254), 수직부재(254)에 고정되어 있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지의 일측면을 막도록 구성된 플레이트판(2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제한장치(25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2차이송부(240)의 구동에 의해 계속 전진하려 하는 용지를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용지의 크기가 커졌을 경우 세팅 공간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용지 선단의 멈춤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간단히 플레이트판(255)이 고정된 이동부재(253)가 가이드부재(2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으로 실린더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2차이송부(240)를 구성함에 있어서, 회전수단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용지의 저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으로써 용지를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지의 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하여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간편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하는 밸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인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242)가 용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수단 및 제2연결회전축(241)을 변경하거나,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하여 회전수단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용지의 측면 날 부분을 밀고 이송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200)가 구비된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포장박스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제조된 포장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면(10)을 가지며, 바닥면(10)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된 채 접혀 형성된 측벽면(20)을 갖는다.
아울러,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마주보는 두 측벽면(20)의 양측 측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보강면(30)을 갖는데, 이 측벽보강면(3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된 상태에서 측벽보강면(30)을 갖지 않는 측벽면(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측면의 압력 에 대해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측벽보강면(30)이 연결된 측벽면(20)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접혀 형성된 상부덮개면(4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덮개면(4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 양측에서 다소 돌출된 형태의 덮개 형상을 취하게 되며, 이 부분에는 농산물의 경우 필요에 따라 비닐 커버 등이 씌워지기도 한다.
모서리강화면(5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덮개면(40)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측벽면(20)의 하단까지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측벽면(20)을 지나 바닥면(10) 일측까지 접혀 모서리의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모서리 부분이 측벽면(20), 측벽보강면(30), 모서리강화면(50)이 3겹으로 설치되므로 상부 하중에 대해 강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의 압력에 대해서도 강하게 지탱할 수 있어 종래의 포장박스에 비해 훨씬 강화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포장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는 크게 테이블(100), 본 발명의 용지공급장치(200), 수지공급부, 세팅부(400), 고정부(500), 접이부(600), 압착부(700)로 구성된다.
테이블(100)은 다수 개의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에 가이드봉(110)이 서로 직교한 채 설치되어 가이드봉(110)에 둘러쌓인 공간에 세팅공간(120)이 형성되어 있고, 세팅공간(120)의 둘레에 가이드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세팅공간(120)의 가로 세로 길이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태의 용지 바닥면(10)과 같거나 바닥면(10)보다 약간 큰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후속 공정에서 용지가 세팅공간(12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지공급장치(200)는 도시된 것처럼 테이블(10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210)에 의해 구동하여 공급된 용지를 세팅공간(120)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최초 1차이송부(220)에서는 다수 개 적층된 용지 중 최하단의 용지를 급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하는 벨트와 최하단의 용지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용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은 전체 용지가 적층되어 있는 테이블(100) 일부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하거나, 컨베이어 벨트가 상, 하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한 가지를 적용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테이블(100)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용지 적층대(2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용지 적층대(260)는 실린더 등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지공급부는 테이블(10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용지의 상부에 접착을 위한 수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팅부(4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테이블(100) 일측의 세팅공간(120)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410)와 실린더로드(420)를 구비하여 세팅공간(120) 상부에 위치되는 용지를 하부로 눌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용지공급장치(200)에 의해 용지가 이동 및 정지한 상태에서 세팅부(400)가 용지를 하부로 눌러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실린더로드(420)의 하단에는 압착플레이트(430)가 설치되어 있어 용지의 바닥면(10)을 압착하여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구조의 실린더(410)와 실린더로드(420)를 구비하여 세팅공간(120) 상부에 위치한 용지를 하부로 눌러 용지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세팅공간(120)의 둘레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부재(130)가 설치되어 있어 세팅부(400)에 의해 용지가 세팅공간(120) 내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용지의 측벽면(20)이 1차적으로 접힌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수작업이나, 1차적인 접힘을 위한 장치가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고정부(5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봉(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실린더(510)와, 실린더(51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 및 고정플레이트(520)로 구성되어 있고, 세팅부(400)의 실린더에 의해 세팅공간(120)에 위치된 용지의 측벽면(20)을 고정플레이트(520)로 눌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실린더가 가이드봉(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용지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부재(130) 역시 가이드봉(110)에 연결되어 있어 가이드봉(110)과 실린더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어 용지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접이부(6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00)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봉(610)과, 회전봉(610)에 설치된 브라켓(620)으로 구성되어 고정부(500)에 의해 고정된 용지의 상부덮개면(40)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회전봉(610)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나 모터 등의 수단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당연히 회전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착부(70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00)의 일측에 고정된 실린더(710)와, 상기 테이블(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710)와 연결된 브라켓(720)으로 구성되어 실린더(710)의 작동에 따라 브라켓(720)이 상부덮개면(40)이 접혀진 용지의 모서리강화면(50)을 압박하여 용지의 모서리강화면(50)이 측벽면(20)에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실린더(710)의 끝단이 테이블(100)의 일측에 일점 고정되어 있으며, 실린더(710)와 브라켓(720)을 연결하는 부재가 테이블(100)에 고정되어 있되 고정부재의 일측은 실린더(71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브라켓(720)에 연결되어 있어 실린더(710)의 작동에 의하여 브라켓(720)이 모서리강화면(50)을 압착하여 모서리 강화면(50)이 측벽면(20)에 압착되게 된다.
이때, 측벽면(20)에는 수지가 도포되어 있어 측벽면(20)과 모서리강화면(50)이 서로 접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접이부(600)에 지지장치(63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장치(6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회전봉(610)에 고정되어 있되, 브라켓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브라켓 설치 방향과 같은 수평부(631)와, 상기 수평부(631)에 연결되어 있고, 수평부(631)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632)로 구성되어 있어, 회전봉(610)의 회전에 의해 브라켓이 용지의 상부덮개면(40)을 덮게 되면 용지의 측벽면(20)을 수직부(632)가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압착부(700)의 브라켓이 모서리강화면(50)을 누를 때 이를 반대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모서리강화면(50)을 누를 때 반대측에서 지지하지 않게 되면 모서리강화면(50)과 측벽면(20)의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측벽면(2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데, 지지장치(630)에 의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200)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포장박스 제조장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에서 이동제한장치 및 2차이송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에서 2차이송부의 또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를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의 완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세팅공간 및 고정부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접이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압착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에서 용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바닥면 20 : 측벽면
30 : 측벽보강면 40 : 상부덮개면
50 : 모서리강화면 100 : 테이블
110 : 가이드봉 120 : 세팅공간
130 : 가이드부재 140 : 프레임
150 : 측면프레임 200 : 용지공급장치
210 : 모터 220 : 1차이송부
221 : 회전롤러 222 : 밸트
230 : 가이드부 231 : 회전기어
240 : 2차이송부 241 : 제2연결회전축
242 : 롤러 243 : 밸트
250 : 이동제한장치 251 : 프레임고정브라켓
252 : 가이드부재 253 : 이동부재
254 : 수직부재 255 : 플레이트판
260 : 적층대 400 : 세팅부
410 : 실린더 420 : 실린더로드
430 : 압착플레이트 500 : 고정부
510 : 실린더 520 : 고정플레이트
600 : 접이부 610 : 회전봉
620 : 브라켓 630 : 지지장치
631 : 수평부 632 : 수직부
700 : 압착부 710 : 실린더
720 : 브라켓

Claims (3)

  1.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회전하는 회전축을 갖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회전롤러(221)에 밸트(222)가 설치되어 있으며, 밸트(222)에 용지가 안착되어 밸트(222)의 회전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1차이송부(220)와;
    상, 하로 한 쌍의 회전기어(231)가 일정한 틈을 두고 이격된 채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이송부(220)의 회전롤러(221)와 연결되어 회전기어(231)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1차이송부(220)를 통과한 용지가 한 쌍의 회전기어(231) 사이의 틈 사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부(230)와;
    상기 가이드부(2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전기어(231)와 연결된 제2연결회전축(2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230)를 통과한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제2연결회전축(2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회전수단이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2차이송부(240)와;
    상기 2차이송부(240)의 선단에 위치하며, 2차이송부(240)를 통과한 용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진 또는 후진하여 용지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제한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이송부(240)의 회전수단은 용지의 저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으로써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이송부(240)의 회전수단은 용지의 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으로써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
KR1020080103896A 2008-10-22 2008-10-22 용지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박스 제조장치 KR10107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896A KR101070556B1 (ko) 2008-10-22 2008-10-22 용지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박스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896A KR101070556B1 (ko) 2008-10-22 2008-10-22 용지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박스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671A true KR20100044671A (ko) 2010-04-30
KR101070556B1 KR101070556B1 (ko) 2011-10-05

Family

ID=4221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896A KR101070556B1 (ko) 2008-10-22 2008-10-22 용지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박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5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36B1 (ko) * 2010-11-30 2011-07-05 서태환 포장용 박스 제함기
KR101481968B1 (ko) * 2014-08-19 2015-01-14 엔지유 인터내셔날 ㈜ 수지재질 밴드를 내부에 함입한 종이밴드를 이용하여 종이박스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에 의하여 제조된 종이박스
KR102164822B1 (ko) * 2020-05-14 2020-10-13 주식회사 제이엠씨 박스 성형 장치
KR102275809B1 (ko) * 2020-06-05 2021-07-12 주식회사 에스씨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CN113334854A (zh) * 2021-07-06 2021-09-03 安徽世品佳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纸板导料压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3502A (en) 1996-11-13 2000-03-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continuously moving stretchable layers
KR200432058Y1 (ko) 2006-07-25 2006-11-30 티제이테크 주식회사 종이상자 접지기의 센터링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36B1 (ko) * 2010-11-30 2011-07-05 서태환 포장용 박스 제함기
KR101481968B1 (ko) * 2014-08-19 2015-01-14 엔지유 인터내셔날 ㈜ 수지재질 밴드를 내부에 함입한 종이밴드를 이용하여 종이박스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에 의하여 제조된 종이박스
KR102164822B1 (ko) * 2020-05-14 2020-10-13 주식회사 제이엠씨 박스 성형 장치
KR102275809B1 (ko) * 2020-06-05 2021-07-12 주식회사 에스씨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CN113334854A (zh) * 2021-07-06 2021-09-03 安徽世品佳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纸板导料压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556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1447B2 (ja) 袋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070556B1 (ko) 용지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박스 제조장치
CN108437549B (zh) 双片全自动钉箱机
CN110422388B (zh) 一种纸箱供料装箱机器人及其供料装箱方法
KR101037276B1 (ko)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KR20060051700A (ko) 가공 기계용 판상 요소의 조립 장치
CN109927346B (zh) 一种包装盒生产工艺线
CN103612863B (zh) 一种编织袋包裹折边机构
KR101598243B1 (ko) 판 형상체의 적재 방법 및 합지 및 합지의 공급 장치
CN208452427U (zh) 双片全自动钉箱机
KR101631811B1 (ko) 골판지 박스용 합지기의 골판지 급지장치
JP5883747B2 (ja) フォルダグルア
KR101158322B1 (ko) 피포장지 피이딩 장치
KR20230064112A (ko) 용지공급이 용이한 포장박스 제조장치
WO2020124906A1 (zh) 图文送纸切割机
KR100728935B1 (ko) 제함기
CN112192900B (zh) 一种双片高速全自动钉箱机
KR101968273B1 (ko) 자동 접힘 및 접착을 위한 판지 가공 장치
KR20100119450A (ko) 타발기용 블랭킹 머신
KR200405436Y1 (ko) 라미네이팅기의 구동구조
CN113954548B (zh) 全自动皮壳机
KR100997121B1 (ko) 서류봉투 봉합용 접착테이프 접착기
KR101712131B1 (ko) 판지 이송용 반전 장치
GB253865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processing blank
KR200425957Y1 (ko) 평판타발기의 판지 피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