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282A - 트롤리 및 트롤리용 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트롤리 및 트롤리용 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282A
KR20100044282A KR1020107006386A KR20107006386A KR20100044282A KR 20100044282 A KR20100044282 A KR 20100044282A KR 1020107006386 A KR1020107006386 A KR 1020107006386A KR 20107006386 A KR20107006386 A KR 20107006386A KR 20100044282 A KR20100044282 A KR 2010004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ontrol wheel
ground
whee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처드 러셀
존 그레엄 세던
Original Assignee
리팬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7904574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7904574A0/en
Application filed by 리팬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팬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4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92Whee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4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8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dditional wheels to increase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트롤리(10)는, 트롤리 프레임(12), 트롤리 프레임(12)에 장착되어 그 위의 트롤리(10)를 지지하는 복수의 휠(14, 16; 18, 20), 및 방향 제어 휠(22)을 포함한다. 방향 제어 휠(22)은 트롤리 프레임(12)에 연결되고, 지면 접촉 위치, 지면 이격 위치, 및 장애물 타개 위치(obstacle negotiating position)를 포함한 3가지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트롤리 프레임(12)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방향 제어 휠(22)은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는 트롤리(10)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방향 제어 휠(22)은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지면 접촉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제어 휠(22)은 지면 이격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롤리 및 트롤리용 휠 어셈블리{A TROLLEY AND A WHEEL ASSEMBLY FOR A TROLLEY}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트롤리(trolley) 및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롤리 및 향상된 방향 제어 특성을 갖는 트롤리용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이러한 맥락으로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쇼핑 트롤리와 같은 종래의 트롤리는, 특히 트롤리 휠의 하나 이상이 손상되었거나 보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원하는 주행 방향으로 따라가거나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트롤리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고, 다루기가 곤란하게 하고, 심지어는 잠재적으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적합하게 작동하는 종래의 트롤리조차도, 이러한 트롤리는 슈퍼마켓 주차장에서와 같은 경사면 상에서 사용하기가 어렵고, 다루기가 곤란하며, 심지어는 잠재적으로 위험성을 내포할 수 있다.
주차장 배수로, 연석(kerb), 및 기타 장애물 또한 종래의 트롤리로 빠져나오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장애물을 빠져나오는 동안 이러한 장애물로 인해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이 지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과거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고려되고 있었지만, 이들 중 어느 것도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트롤리와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특징에 의하면, 트롤리가 제공된다. 트롤리는, 트롤리 프레임,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되어 그 위의 상기 트롤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휠, 및 방향 제어 휠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연결되고, 지면 접촉 위치(ground contact position), 지면 이격 위치(ground clearance position), 및 장애물 타개 위치(obstacle negotiating position)를 포함한 3가지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트롤리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지면"이라는 표현은 사용자가 트롤리를 그 위에서 사용하고자하는 어떠한 표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 표면은 예컨대 실내 표면일 수도 있고 또는 실외 표면일 수도 있다.
트롤리는 어떠한 실용적인 형태로도 될 수 있다. 트롤리는 쇼핑 트롤리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트롤리는 가정용, 상업용, 소매용 및 산업용 응용 기기의 어떠한 것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실용적인 형태로 될 수도 있다.
트롤리는 작동 상태(또는 지면 접촉 위치) 또는 비작동 상태(지면 이격 위치)의 방향 제어 휠을 이용하여 트롤리 사용자에게 트롤리를 사용하는 옵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방향 제어 휠을 지면 접촉 위치로 이용하면, 휠은 트롤리를 원하는 주행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러나, 방향 제어 휠을 지면 이격 위치에서 이용하면, 휠은 실질적으로 트롤리의 주행 방향에 대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휠과 지면의 접촉이 트롤리의 어떠한 이동을 소정 방향으로 인도하도록, 프레임에 대한 방향 제어 휠의 배향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 제어 휠은,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트롤리를 단일 주행 방향 및 그에 대응하는 역주행 방향으로 제한한다. 이 방향은 트롤리의 앞방향(및 역방향)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 구성은 트롤리의 다른 고정된 주행 방향이 선호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트롤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변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방향 제어 휠을 제공하는 것은, 손상되거나 또는 열악하게 유지된 휠 때문에 원하는 주행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을 갖는 슈퍼마켓 트롤리에 대하여 특히 유용하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짐이 적재된 트롤리를 자신의 차량쪽으로 푸시할 때에, 특히 고르지 않은 표면 및/또는 경사면을 가로질러 트롤리를 푸시하는 것을 수반할 때에 트롤리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트롤리 사용자는 짐이 적재된 트롤리로 경사면을 가로지르려고 시도할 때에 특별한 곤란을 겪게 되며, 그 이유는 트롤리의 중량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트롤리를 경사면 아래로 잡아당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향 제어 휠이 작동 상태, 즉 지면 접촉 위치에 있으면, 휠은 트롤리가 경사면 아래로 구르려고 하는 경향에 저항하고, 이에 의해 쇼핑객이 트롤리를 가지고 경사면을 비교적 용이하게 가로지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별히 유용한 특징은 방향 제어 휠이 장애물 타개 위치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방향 제어 휠이 만나게 될 수도 있는 일정 범위의 장애물을 독립적으로 타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방향 제어 휠은 장애물과 마주칠 때에는 나머지 휠을 지면 상에 유지하여 트롤리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그 길을 벗어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방향 제어 휠은 장애물에 접촉하게 될 때와 같이 소정의 상방향 힘이 가해질 때에는 장애물 타개 위치로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이 지면을 떠나는 상황에서, 예컨대 트롤리가 도로 배수로 또는 연석 위로 푸시되고 있는 때에, 향상된 트롤리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방향 제어 휠은, 실용적인 한계 내에서, 장애물 타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지면과 접촉하도록 유지하고, 그 위치에서 지면과의 접촉을 일시적으로 벗어나는 트롤리 휠 대신에 트롤리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
복수의 휠의 각각은 어떠한 실용적인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복수의 휠의 각각은 캐스터 휠(castor wheel)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다른 유형의 휠 또는 복수의 휠 유형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 가지 형태에서, 방향 제어 휠은 제어 휠 차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어 휠 차축은 전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휠 아암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 휠 차축은 전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휠 아암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접선으로 배향된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한적이지 않은 한 가지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아암은 전단부와 후단부를 갖는 상기 트롤리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한 가지 형태에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 상기 지면 이격 위치, 및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으로 변위 가능하다. 방향 제어 휠은 어떠한 다른 평면으로 변위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지면 접촉 위치, 상기 지면 이격 위치, 및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의 하나 이상의 사이에서 비선형 경로를 따라 변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지면 이격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는 동일한 위치일 수도 있다. 예컨대, 지면 이격 위치는 장애물 타개 위치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해당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 아암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피봇축을 중심으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봇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 아암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피봇축을 중심으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동작 가능하게 피봇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제1 피봇축의 전반적으로 뒤쪽에서 상기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휠 아암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피봇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는 제1 피봇 차축(pivot axle)을 중심으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봇할 수 있다.
상기 트롤리는,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아암(또는 상기 방향 제어 휠)을 하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 가지 비제한적인 형태에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아암을 하방향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해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아암(또는 상기 방향 제어 휠)에 대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하방향 바이어스를 비작동 상태로 하는 비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한 가지 형태에서, 상기 비작동 기구는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된 캠(cam)을 포함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캠을 전반적으로 상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아암 표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바이어스한다. 이러한 배치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캠을 전반적으로 사이드 아암 표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바이어스한다.
상기 아암은 상기 트롤리를 다른 트롤리와 포개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있는 후단부를 포함한다.
한 가지 형태에서, 상기 휠 아암을 이동시키고, 그 결과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상기 지면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지면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휠 아암과 접촉(또는 결합)하는 수동 작동 바이어싱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지면 접촉 위치로부터 지면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바이어싱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 작동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트롤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장착되거나 또는 인접 위치되는 트롤리 핸들을 포함한다. 바이어싱 부재와 액추에이터 사이에는 케이블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바이어싱 부재의 전단부에 있거나 또는 상기 휠 아암의 전단부에 인접하여 있는 바람직한 지점을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지점에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바이어싱 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응답하여 수직으로 변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은 미적인 목적을 위해 및 케이블이 노출되어 손상을 받기가 쉽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와 휠 아암 사이의 공동(hollow)의 트롤리 프레임 부재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다른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수동 조작 액추에이터는 트롤리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적합하게 구성된 연동부(linkage) 구성에 의해 휠 아암에 연결되는 풋 페달 또는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액추에이터 및 케이블 배치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간의 방향 제어 휠의 이동은 자동적으로 취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는 슈퍼마켓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상황에서 요구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쇼핑객이 트롤리를 가지고 슈퍼마켓을 빠져나올 때에는 방향 제어 휠이 자동으로 지면 접촉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면 접촉 위치로의 방향 제어 휠의 자동 이동은 슈퍼마켓 내에 또는 슈퍼마켓 부근에 설치되어 트롤리의 방향 제어 휠에 연결된 수신기와 무선 통신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한 어떠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제어 장치는 트롤리의 집단에 대하여 방향 제어 휠의 지면 접촉 위치로의 이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트롤리는 어떠한 적합한 수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트롤리는 4개의 휠을 포함하며, 4개의 휠의 각각이 상기 트롤리 프레임의 하부측에 또는 하부측에 인접하여 장착된 휠 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4개의 휠 마운트에 의해 전반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지점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의 하부측에 또는 하부측에 인접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적어도 상기 휠 마운트의 중간지점에 인접하여 또는 상기 중간지점의 다소 전방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방향 제어 휠에게 요구된 레벨의 트롤리 조작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이 구성은 이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및 지면과 접촉하게 될 때의 방향 제어 휠을 중심으로 트롤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는 원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트롤리가 방향 제어 휠에 추가하여 4개의 휠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방향 제어 휠은 대각선으로 반대측에 배치된 휠의 마운트들 사이에서 연결한 가상의 선의 교차 지점에 인접하도록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트롤리는 복수의 휠 중의 하나 이상에 설치된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 트롤리는 2개의 전방 휠과 2개의 후방 휠을 포함하며, 2개의 후방 휠의 각각에 브레이크가 설치된다. 방향 조절 휠과 조합하여 이러한 2개의 휠 브레이크를 설치함으로써, 트롤리를 경사면 상에 방치하는 경우에도 또한 경사면에서 트롤리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트롤리를 혼자 세워둘 수도 있고 또한 안전하게 파킹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브레이크는 발로 작동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는 지면 접촉 위치, 지면 이격 위치, 및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 제어 휠에 대하여 규정하였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일정 범위의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일정 범위의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방향 제어 휠이, 실용적인 한계 내에서, 일정 범위의 치수를 갖는 장애물을 타개할 수 있도록 한다.
한 가지 형태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의 하위 영역 둘레에 연장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2개의 전방 휠의 휠 마운트들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에서 또는 상기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인접하여 상기 서브프레임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방향 조절 휠은 지금까지 전반적으로 5번째의 트롤리 휠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방향 조절 휠은 필요에 따라 종래의 트롤리 휠을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트롤리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방향 제어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는 전반적으로 트롤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 조절 휠이 트롤리에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제작된 후에 트롤리에 새로운 부품으로 끼워질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트롤리에 사용하기 위한 방향 제어 휠에도 관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트롤리용 방향 제어 휠로서, 상기 트롤리는, 트롤리 프레임과,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되어 그 위의 상기 트롤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는 트롤리용 방향 제어 휠이 제공된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연결될 때에, 지면 접촉 위치, 지면 이격 위치, 및 장애물 타개 위치를 포함한 3가지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트롤리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방향 제어 휠이 새로운 부품으로 끼워질 수 있다면, 방향 제어 휠은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방향 제어 휠이 지면 접촉 위치로 예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방향 제어 휠이 지면 이격 위치로 예시되어 있는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방향 제어 휠이 장애물 타개 위치로 예시되어 있는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지면 접촉 위치에 있는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방향 제어 휠의 부분도이다.
도 4b는 지면 이격 위치에 있는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방향 제어 휠의 부분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방향 제어 휠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방향 제어 휠이 지면 접촉 위치에 있도록 조정될 때의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액추에이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방향 제어 휠이 지면 이격 위치에 있도록 조정될 때의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액추에이터의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2개의 유사 트롤리가 포개어질 때의 도 1에 예시된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방향 제어 휠이 지면 비약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방향 제어 휠이 지면 접촉 위치에 있는 도 9에 예시된 트롤리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면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본 발명에 대해 앞에서 넓은 범위로 기술한 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트롤리(10)가 예시되어 있다. 트롤리(10)는 슈퍼마켓 타입의 트롤리이지만, 어떠한 다른 실용적인 트롤리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트롤리(10)는 트롤리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예시된 프레임(12)은 스틸로 제조되지만, 예컨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어떠한 다른 적합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트롤리(10)는 캐스터 마운트(castor mount)를 통해 각각 프레임(12)에 장착되는 4개의 휠(14, 16, 18, 20)을 포함한다. 휠(14, 16, 18, 20)은 그 위에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휠(14, 16, 18, 20)은 캐스터 휠이지만, 각각의 휠은 어떠한 다른 적합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트롤리(10)는 방향 제어 휠(22)을 더 포함한다. 방향 제어 휠(22)은 프레임(12)에 연결되고,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면 접촉 위치,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면 이격 위치,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12)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방향 제어 휠(22)은 휠(22)이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트롤리(10)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방향 제어 휠(22)은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지면 접촉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제어 휠(22)은 지면 이격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가질 형태에서, 지면 이격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 위치가 될 수도 있으며, 장애물 타개 위치로서 식별될 수도 있다.
실제로, 방향 제어 휠(22)은 지면 접촉 위치와 일정 범위의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 및 마찬가지로 지면 이격 위치와 일정 범위의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12)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방향 제어 휠(22)이 실질적인 한계 내에서는 일정 범위의 치수를 갖는 장애물을 타개할 수 있도록 한다.
트롤리(10)는, 방향 제어 휠(22)을 작동 상태(또는 지면 접촉 위치)로 하거나 또는 비작동 상태(지면 이격 위치)로 하여 트롤리(10)를 이용하는 옵션을, 트롤리 사용자(도시하지 않음)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방향 제어 휠(22)이 지면 접촉 위치에 있으면, 방향 제어 휠(22)은 트롤리(10)를 원하는 전방(및 대응하는 역방)의 주행 방향으로 트롤리(10)를 안내한다. 그러나, 방향 제어 휠(22)이 지면 이격 위치에 있으면, 방향 제어 휠(22)은 트롤리(10)의 주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종래의 트롤리처럼 동작한다.
방향 제어 휠(22)의 지면과의 접촉이 트롤리(10)의 어떠한 이동을 사전에 정해진 앞쪽(또는 반대) 방향으로 인도하도록, 방향 제어 휠(22)의 배향이 프레임(12)에 관련하여 고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방향 제어 휠(22)을 제공하는 것은 손상되거나 또는 열악하게 유지된 캐스터 휠 때문에 원하는 주행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을 갖는 슈퍼마켓 트롤리에 대하여 매우 유용하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짐이 적재된 트롤리(10)를 자신의 차량쪽으로 푸시할 때에, 구체적으로 고르지 않은 표면 및/또는 경사면을 가로질러 트롤리(10)를 푸시하는 것을 수반할 때에 트롤리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트롤리 사용자는 종래의 트롤리로 경사면을 가로지르려고 시도할 때에 특별한 곤란을 겪게 되며, 그 이유는 트롤리와 트롤리에 적재되어 있는 짐의 중량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트롤리를 경사면 아래로 잡아당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향 제어 휠(22)이 작동 상태, 즉 지면 접촉 위치에 있으면, 트롤리(10)는 트롤리(10)가 경사면 아래로 구르려고 하는 경향에 저항하고, 이에 의해 쇼핑객이 트롤리(10)를 가지고 경사면을 비교적 용이하게 가로지를 수 있게 된다. 이 점에서, 방향 제어 휠은 장애물과 마주칠 때에는 나머지 휠을 지면 상에 유지하여 트롤리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그 길을 벗어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방향 제어 휠은 장애물에 접촉하게 될 때와 같이 소정의 상방향 힘이 가해질 때에는 장애물 타개 위치로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롤리(10)의 한 가지 구체적으로 유용한 특징은 장애물 타개 위치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향 제어 휠(22)이 설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방향 제어 휠(22)이 만나게 될 수도 있는 일정 범위의 장애물을 독립적으로 타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14, 16, 18, 20)이 지면을 떠나는 상황에서, 예컨대 트롤리(10)가 도로 배수로 또는 연석 위로 푸시되고 있는 때에 향상된 트롤리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향 제어 휠(22)은 휠(22)과 아암(26)의 합성 중량 하에서 장애물 타개 위치로부터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중의 하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향 제어 휠(22)은 제어 휠 차축(24)(점선으로 나타낸)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어 휠 차축(24)은 마운트(28)에 의해 전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휠 아암(26)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어 휠 차축(24)은 전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휠 아암(26)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접선으로 배향된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아암(26)은 전단부(30) 및 후단부(32)를 갖는 트롤리(10)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방향 제어 휠(22)은 지면 접촉 위치, 지면 이격 위치, 및 장애물 타개 위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34)(도 5를 참조)으로 변위 가능하다. 방향 제어 휠(22)은 물론 어떠한 다른 평면으로도 변위할 수 있거나, 지면 접촉 위치, 지면 이격 위치, 및 장애물 타개 위치 중의 하나 이상의 사이에서 비직선 경로를 따라 변위 가능할 수도 있다.
휠 아암(26)은, 방향 제어 휠(22)을, 지면 접촉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 간에 및 지면 이격 위치와 장애물 타개 위치 간에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피봇축(36)을 중심으로 프레임(1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피봇 가능하다.
휠 아암(26)은 또한 방향 제어 휠(22)을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간에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피봇축(36)(도 4a 및 도 4b를 참조)을 중심으로 프레임(12)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피봇할 수 있다.
방향 제어 휠(22)은 제1 피봇축(36)의 전반적으로 후방에서 휠 아암(26)에 연결된다.
휠 아암(26)은, 프레임(1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피봇축(36)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는 제1 피봇 차축(40)을 중심으로 프레임(1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피봇할 수 있다.
트롤리(10)는 바이어싱 수단(42)을 포함한다.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이어싱 수단(42)은 하우징(46) 내에서 프레임(12)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44)(명확하게 보이지는 않음)을 포함한다. 바이어싱 수단(42)은 방향 제어 휠(22)이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및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 아암(26)을 하방향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은 방향 제어 휠(22)이 지면 이격 위치에서 지면 접촉 위치로 복귀하는 것에 도움을 주며, 또한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방향 제어 휠(22)의 지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이어싱 수단(42)은 방향 제어 휠(22)이 장애물 타개 위치에 있을 때에 아암(26)에 대한 바이어싱 수단(42)의 하방 바이어스를 비작동 상태로 하기 위한 비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비작동 기구는 캠 휠(48)이 회전 가능하게 위에 장착되어 있는 캠(46)을 포함한다. 캠(46)은 프레임(12)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되며, 토션 스프링(44)(명확하게 보이지는 않음)은 방향 제어 휠이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와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 전반적으로 상방으로 향하는 아암 표면(50)과 접촉하도록 캠(46)(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캠 휠(48))을 바이어스 한다. 또한, 토션 스프링(44)은 방향 제어 휠(22)이 장애물 타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캠(46)을 전반적으로 사이드 아암 표면(52)(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하도록 바이어스한다.
아암(26)은 트롤리(10)를 다른 트롤리와 포개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26)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후단부(54)를 포함한다(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제어 휠(22)이 장애물 타개 위치로부터 지면 접촉 위치 또는 지면 이격 위치 중의 하나로 복귀하는 것을 추가로 보조하기 위해, 무게추(weight)(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지점(도시하지 않음)이 후단부(54)에 또는 후단부(54)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4 Kg 정도의 무게추가 고려되지만, 필요에 따라 더 무겁거나 더 가벼운 무게추가 아암(26)에 부착될 수 있다. 무게추는 방향 제어 휠(22)이 지면 이격 위치로부터 지면 접촉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트롤리(10)는 수동 조작 액추에이터(58)가 장착된 트롤리 핸들(56)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58)는 트롤리 사용자로 하여금 방향 제어 휠(22)을 지면 접촉 위치로부터 지면 이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이어싱 수단(42)과 아암(26) 및 방향 제어 휠(22)의 중량이 방향 제어 휠(22)을 지면 접촉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이어싱 부재(59)가 피봇 차축(65)에 의해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브라켓(70)을 통해). 바이어싱 부재(59)는 사이드 아암(67)의 하부측과 접촉하기 위해 아암 접촉부(66)를 갖는다. 사이드 아암(67)은 아암(26)과 일체로 형성된다.
방향 제어 휠(22)이 지면 접촉 위치로부터 지면 이격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액추에이터(58)가 도 6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된다.
바이어싱 부재(59)의 단부(68)와 액추에이터(58) 사이에는 케이블(60)이 연결된다. 이 케이블(60)은 바이어싱 부재(59)의 단부(68)를 수직으로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작용은 아암(26) 및 그 다음에는 방향 제어 휠(22)을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60)은 미적인 목적을 위해 및 케이블(60)이 노출되어 손상을 받기가 쉽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추에이터(58)와 휠 아암(26) 사이의 공동의 트롤리 프레임 부재를 통해 보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액추에이터(58) 및 케이블(60) 배치 대신 또는 이에 추가하여,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간의 방향 제어 휠(22)의 이동은 자동적으로 취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는 슈퍼마켓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상황에서 요구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쇼핑객이 트롤리(10)를 가지고 슈퍼마켓을 빠져나올 때에는 방향 제어 휠(22)이 자동으로 지면 접촉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면 접촉 위치로의 방향 제어 휠(22)의 자동 이동은 슈퍼마켓 내에 또는 슈퍼마켓 부근에 설치되어 트롤리의 방향 제어 휠(22)에 연결된 수신기와 무선 통신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한 어떠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제어 장치는 트롤리의 집단에 대하여 방향 제어 휠의 지면 접촉 위치로의 이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방향 제어 휠(22)은 각각의 캐스터 휠(14, 16, 18, 20)의 마운트의 중간지점의 약간 전방의 위치에서 프레임(12)의 하부에 장착된다. 실제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방향 제어 휠(22)은 대각선으로 반대측에 배치된 휠(14, 18 및 16, 20)의 마운트들 사이를 연결한 가상선의 교차 지점에 인접하도록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 장착 위치는 지면 접촉 위치에서의 방향 제어 휠(22)에게 요구된 레벨의 트롤리 조작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이 구성은 이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및 지면과 접촉하게 될 때의 방향 제어 휠(22)을 중심으로 트롤리(10)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는 원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방향 제어 휠(22)의 정확한 장착 위치는 예시된 위치로부터 변경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트롤리(10)는 2개의 뒤쪽 휠(18, 20)의 각각에 설치된 발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방향 제어 휠(22)과 조합하여 2개의 휠 브레이크를 제공함으로써, 트롤리(10)를 경사면 상에 방치하는 경우에도 또한 경사면에서 트롤리(10)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트롤리(10)를 혼자 세워둘 수도 있고 또한 안전하게 파킹시킬 수도 있다.
프레임(12)은 프레임(12)의 하위 영역 둘레에 연장하는 서브프레임(64)을 포함하며, 이 서브프레임(64)은 2개의 전방 휠(14, 16)의 휠 마운트들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66)을 포함하며, 아암(26)이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66)에서 또는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66)에 인접하여 서브프레임(64)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방향 제어 휠(22), 아암(26), 및 바이어싱 부재(59)는 트롤리(10)에 통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방향 제어 휠(22) 및 아암(26)은 별도로 제조된 후에 트롤리에 새로운 부품으로 끼워질 수도 있으며, 이로써 이들은 기존의 트롤리에 끼워질 수도 있다. 또한, 방향 제어 휠이 새로운 부품으로 끼워지게 된다면, 방향 제어 휠은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동 조작 액추에이터(58a)가 한 쌍의 풋 레버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 풋 레버는 트롤리 사용자가 방향 제어 휠(22a)을 지면 접촉 위치(도 10에 예시됨)로부터 지면 이격 위치(도 9에 예시됨)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휠 아암(26a)의 전단(62a)에 인접하여 휠 아암(26a)의 사이에는 연동부(linkage)(60a)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트롤리 자체뿐만 아니라 트롤리용 방향 제어 휠에도 관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부품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 수정 및/또는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10 : 트롤리
12 : 프레임
14, 16, 18, 20 : 휠
22 : 방향 제어 휠
24 : 제어 휠 차축
26 : 휠 아암
28 : 마운트
36 : 제1 피봇축
40 : 제1 피봇 차축
42 : 바이어싱 수단
44 : 토션 스프링
46 : 캠
48 : 캠 휠
50 : 아암 표면
56 : 트롤리 핸들
58 : 수동 조작 액추에이터
59 : 바이어싱 부재
60 : 케이블
65 : 피봇 차축
67 : 사이드 아암

Claims (32)

  1. 트롤리에 있어서,
    트롤리 프레임;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되어 그 위의 상기 트롤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휠; 및
    방향 제어 휠
    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연결되고, 지면 접촉 위치(ground contact position), 지면 이격 위치(ground clearance position), 및 장애물 타개 위치(obstacle negotiating position)를 포함한 3가지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트롤리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트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휠은 캐스터 휠(castor wheel)인, 트롤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제어 휠 차축(axle)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어 휠 차축은 전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휠 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휠 차축은 전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휠 아암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접선으로 배향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전단부와 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아암은 상기 트롤리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롤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 상기 지면 이격 위치, 및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으로 변위 가능한, 트롤리.
  6. 제3항, 제4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을 인용하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 아암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피봇축을 중심으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봇할 수 있는, 트롤리.
  7. 제3항, 제4항, 제3항 또는 제4항을 인용하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 아암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지면 접촉 위치와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피봇축을 중심으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동작 가능하게 피봇할 수 있는, 트롤리.
  8. 제6항, 또는 제6항을 인용하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제1 피봇축의 전반적으로 뒤쪽에서 상기 아암에 연결되는, 트롤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상기 지면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지면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휠 아암을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10. 제6항, 또는 제6항을 인용하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아암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피봇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는 제1 피봇 차축을 중심으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봇할 수 있는, 트롤리.
  11. 제3항, 또는 제3항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아암을 하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트롤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아암을 하방향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해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트롤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아암에 대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하방향 바이어스를 비작동 상태로 하는 비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트롤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동 기구는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된 캠을 포함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캠을 전반적으로 상방향을 향하고 있는 아암 표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바이어스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캠을 전반적으로 사이드 아암 표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바이어스하는, 트롤리.
  15. 제3항, 또는 제3항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트롤리를 다른 트롤리와 포개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있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트롤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휠 중의 하나 이상에 제공된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전방 휠, 2개의 후방 휠, 및 상기 2개의 후방 휠의 각각에 제공된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브레이크는 발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인, 트롤리.
  19. 제8항, 또는 제8항을 인용하는 제9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을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바이어싱 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동 작동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장착되거나 또는 인접 위치되는 트롤리 핸들을 더 포함하는, 트롤리.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트롤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바이어싱 부재의 전단부에 인접하여 연결되는, 트롤리.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풋 액추에이터의 형태를 갖는, 트롤리.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휠 아암과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연결된 연동부(linkage)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개의 휠을 포함하며, 4개의 휠의 각각이 상기 트롤리 프레임의 하부측에 또는 하부측에 인접하여 장착된 휠 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이 상기 4개의 휠 마운트에 의해 전반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지점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의 하부측에 또는 하부측에 인접하여 장착되는, 트롤리.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적어도 상기 휠 마운트의 중간지점에 인접하여 또는 상기 중간지점의 다소 전방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되는, 트롤리.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일정 범위의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 및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일정 범위의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트롤리.
  28.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의 하위 영역 둘레에 연장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2개의 전방 휠의 휠 마운트들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에서 또는 상기 전반적으로 뒤쪽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인접하여 상기 서브프레임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롤리.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트롤리.
  30. 트롤리용 방향 제어 휠로서, 상기 트롤리는, 트롤리 프레임과,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장착되어 그 위의 상기 트롤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연결될 때에, 지면 접촉 위치, 지면 이격 위치, 및 장애물 타개 위치를 포함한 3가지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롤리 프레임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트롤리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방향 제어 휠은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지면 이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지면 접촉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면 이격 위치와 상기 장애물 타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트롤리용 방향 제어 휠.
  31.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및 예시된 바와 같은 트롤리.
  32.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및 예시된 바와 같은 트롤리용 방향 제어 휠.
KR1020107006386A 2007-08-23 2008-08-19 트롤리 및 트롤리용 휠 어셈블리 KR20100044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7904574A AU2007904574A0 (en) 2007-08-23 A trolley and a wheel assembly for a trolley
AU2007904574 2007-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282A true KR20100044282A (ko) 2010-04-29

Family

ID=4037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386A KR20100044282A (ko) 2007-08-23 2008-08-19 트롤리 및 트롤리용 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089653A1 (ko)
EP (1) EP2190715A4 (ko)
KR (1) KR20100044282A (ko)
CN (1) CN101821148A (ko)
AU (1) AU2008288680A1 (ko)
CA (1) CA2697018A1 (ko)
NZ (1) NZ583464A (ko)
TW (1) TW200911593A (ko)
WO (1) WO20090239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008A (ko) 2014-08-29 2016-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장애물 통과 가능한 트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0464A1 (en) * 2008-10-27 2012-11-08 Nelson Richard L Adjustable load-bearing wheels and kits for patient lifters
IL274908B2 (en) * 2017-12-20 2024-04-01 Keter Home And Garden Products Ltd A trolley and a mechanical braking system for it
IL257294A (en) 2018-02-01 2018-03-2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Connectable box
IL260225A (en) 2018-06-24 2018-07-31 Keter Plastic Ltd pushcart
FR3115519A1 (fr) * 2020-10-23 2022-04-29 Fileurope Chariot de manutention à maniabilité amélioré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5331A (en) * 1958-06-06 1960-05-03 Rol Away Truck Mfg Company Inc Cart
US3405783A (en) * 1966-06-10 1968-10-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leasable brake constructions for vehicles
US3458015A (en) * 1967-09-01 1969-07-29 Roy R Collins Shopping cart brake system
CA986974A (en) * 1974-03-11 1976-04-06 Normand Lessard Suspension spring adjuster
US4018449A (en) * 1975-12-16 1977-04-19 Patrick Suo Automatic braking device for nesting cart
US4580800A (en) * 1984-05-16 1986-04-08 Kart Guard Internationale, Inc. Shopping cart security device
FI75530C (fi) * 1986-10-23 1988-07-11 Ostosvaunuhuolto Oy Transportvagn.
US5033757A (en) * 1989-06-10 1991-07-23 Lloyd Gerald E Trolley
US5348326A (en) * 1993-03-02 1994-09-20 Hill-Rom Company, Inc. Carrier with deployable center wheels
US5288089A (en) * 1993-04-06 1994-02-22 Bowers A Dave Brake mechanism for telescoping shopping carts
AUPN265895A0 (en) * 1995-04-28 1995-05-25 Risk Management Resources Pty Ltd Control wheel assembly for trolleys
FR2735019B1 (fr) * 1995-06-09 1997-11-28 Corona Soc Element mobile, en particulier lit d'hospitalisation, prenant appui sur le sol par plusieurs roues de sustentation orientables
US6271755B1 (en) * 1998-05-22 2001-08-07 James G. Prather Shopping cart with improved theft disabling device
US6219881B1 (en) * 1999-10-28 2001-04-24 Cheng-Kan Wen Brake for caster
US20020140189A1 (en) * 2001-04-03 2002-10-03 Mclntyre Jonothon M.W. Shopping cart brake assembly
NZ529228A (en) * 2001-04-05 2005-12-23 Brian John Higgins Trolley wheel assembly
US7445215B2 (en) * 2002-09-16 2008-11-04 Mind Wurx, Llc Theft defeating improvements for shopping carts
AU2003903553A0 (en) * 2003-07-09 2003-07-24 Stokes, Michael Steering assembly for a shopping trolley
US7198279B2 (en) * 2004-09-13 2007-04-03 Montalvo Samuel A Guide wheel assembly for carts
US7182178B2 (en) * 2004-12-22 2007-02-27 Ching-Sung Lin Brake caster with stroke adjustment mechanism
DE202005009385U1 (de) * 2005-06-14 2006-10-19 Wanzl Metallwarenfabrik Gmbh Einkaufswagen
DE202008001085U1 (de) * 2008-01-25 2008-04-03 Torwegge Bielefeld Gmbh & Co. Kg Transportwa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008A (ko) 2014-08-29 2016-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장애물 통과 가능한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9653A1 (en) 2011-04-21
CA2697018A1 (en) 2009-02-26
TW200911593A (en) 2009-03-16
CN101821148A (zh) 2010-09-01
EP2190715A1 (en) 2010-06-02
WO2009023906A1 (en) 2009-02-26
NZ583464A (en) 2011-10-28
AU2008288680A1 (en) 2009-02-26
EP2190715A4 (en)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282A (ko) 트롤리 및 트롤리용 휠 어셈블리
EP1372567B1 (en) A rollable walker equipped with a device for facilitating driving thereof
JP4118512B2 (ja) スケートボード
EP1854443B1 (en) Motorized wheelchair
AU4512197A (en) Cart transporter
US6702306B1 (en) Pushchairs
CN1964880A (zh) 雪橇
EP0988214B1 (en) A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wheeled conveyance
WO2005074855A1 (en) An integrated device with ski and wheel for a walker
US8146203B2 (en) Castor assembly
US5868407A (en) Steerable cart with hand brake
AU2015200477A1 (en) Wheeled conveyance
US20030015852A1 (en) Wheelbarrow with multiple wheels, a pulling ring and a parking brake
US11104366B2 (en) Deployment system for wheel units on ski-mounted vehicles
WO2002006106A1 (en) Braking and steering load-carrying assemblies
CA2653000C (en) Immobilizer for shopping carts
US20200047552A1 (en) Dual-state caster and method
CN213831738U (zh) 超市户外送货用的手推车
GB2446679A (en) Hand carriage steering unit
JP3038148B2 (ja) 手押し台車
CA2244599A1 (en) Powered riding vehicle for push carts
AU2001268847A1 (en) Braking and steering load-carrying assemblies
AU7897998A (en) A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wheeled convey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