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074A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074A
KR20100044074A KR1020090038353A KR20090038353A KR20100044074A KR 20100044074 A KR20100044074 A KR 20100044074A KR 1020090038353 A KR1020090038353 A KR 1020090038353A KR 20090038353 A KR20090038353 A KR 20090038353A KR 20100044074 A KR20100044074 A KR 20100044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panel
display module
back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4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8Ancillary device support associated with a video display scre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Angular and linear video display screen suppor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제공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패널이 지지되도록 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근래에는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실내공간을 차지하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편리하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일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되어 화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부품의 수가 감소되며, 제작 비용이 줄어드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전면 외관이 깔끔해지며 두께가 감소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제공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패널이 지지되도록 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방에서 보호하며, 광투과성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방에서 보호하는 백 커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지지되며,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패널이 지지되도록 하는 패널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광투과성 재질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표시되는 화면에 커보이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1)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영상이 투과되는 전면 패널(11)과, 상기 전면 패널(11)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기 전면 패널(11)의 테두리와 동일한 위치 또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고정되는 테두리부(122)를 포함하고,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백 커버(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과 상기 백 커버(12)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도 3의 14참조)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11)과 상기 백 커버(12)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전체 외관을 형성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상기 전면 패널(11)과 상기 백 커버(12)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패널(11)은 영상이 투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 즉 광투과성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11)은 대형화에 따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강화 유리 소재 또는 사출압축성형(Injection-compression molding)에 의한 광투과성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의 소재는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명하고 소정 수준의 강도를 만족하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전면 패널(10)에는 일 례로, 무반사막, 광특성 막, EMI 차폐막, 및 근적외선(near infrared : 이하 "NIR"이라 함) 차폐막 등와 같은 다수의 층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층이 구비된 필름 필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는 상기 전면 패널(11)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패널 지지부(13)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 지지부(13)는 차폐부(111)를 포함하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 일례로 실리콘과 같은 수지물로 형성된 접착부재에 의하여 접착 고정된다. 그리고, 일례로, 상기 전면 패널(11)이 수지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널 지지부(13)는 상기 전면 패널(11)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11)에 대하여 고 정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11)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 테두리 또는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구비되며, 일례로 불투명한 필름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 또는 배면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11)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11)을 통하여, 상기 전면 패널(11)의 전면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13) 및 상기 백 커버(12)의 테두리부(122)가 보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차폐부(111)는 일례로 검은색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13) 및 테두리부(122)를 상기 전면 패널(11)의 전면에 대하여 차폐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는 상기 전면 패널(11)과 상기 백 커버(12)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즉 접지되도록 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접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3)는 내부가 개구된 사각틀로 형성되며, 네 개의 부재(31, 32, 33, 34)가 일체로 또는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은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Display display device module, 이하 LCD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Plasma display panel module, 이하 PDP 모듈), 발광 다이오드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LED 모듈)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Organic ligi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OLED 모듈)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은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 고정되는 패널 지지부(13)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은 연결 부재(15)에 의해서 상기 패널 지지부(13)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 부재(15)는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패널 지지부(13)에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상기 패널 지지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13)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은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패널부(141)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패널부(14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전면 패널(11)을 투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외부에서 보여진다.
이 때, 상기 영상 패널부(141)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과의 접촉에 따른 손상, 일례로 열 또는 마찰 등과 같은 파단 인자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거리(d1)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다만, 상기 전면 패널(11)을 완전히 투과하지 못한 영상이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 맺힘으로써, 상기 영상 패널부(141)와 상기 전면 패널(11)의 이격 거리(d1)가 커지게 되는 경우, 상기 영상 패널부(141)에 형성된 영상 및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 맺힌 영상 간의 거리 또한 커지게 됨으로써, 영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서 상기 영상 패널부(141)와 상기 전면 패널(11)의 간의 상기 이격 거리(d1)는 일례로 0.1mm 이상 3 mm 이하의 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거리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11)과 상기 영상 패널 부(141)의 접촉에 따른 손상 및 전면 패널(11)과 상기 영상 패널부(141)의 이중상에 따른 영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 커버(12)는 일례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직접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백 커버(12)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 직접 접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백 커버(12)가 일례로 플라스틱 재질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도전성 물질(일례로 알루미늄)이 코팅되거나 부착되는 도전층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11)에 접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사상은 상기 백 커버(12)가 상기 전면 패널(11)에 접지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백 커버(12)는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121)와, 상기 바디부(121)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 커버(12)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122)는 전면 패널(11)에 대하여 고정되며, 상기 전면 패널(11)의 적어도 일부와 접지된다.
상기 테두리부(122)는 상기 바디부(121)의 네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과 적어도 일부가 마주본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12)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배면에 고정된 상기 패널 지지부(13)에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1)에는 상기 체결 부재(미도시)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서 상기 바디부(121)의 체결홀(123)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 지지부(13)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백 커버(12)가 상기 전면 패널(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15)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15)가 수용되는 수용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24)는 상기 바디부(121)의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122)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백 커버(12)는 상기 패널 지지부(13)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을 감싼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1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패널(11)에 상기 백 커버(12)가 직접 접촉되고, 상기 백 커버(12)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상기 패널 지지부(13)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제작 비용 및 공정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명재질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표시되는 화면에 커보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백 커버가 상기 전면 패널에 직접 접촉되어 접지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접지 횟수가 줄어들어 접지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접지 부재가 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면 패널(21)의 배면에는 접지 부재(26)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 부재(26)는 상기 전면 패널(21)의 배면 네 테두리부 즉 상기 차폐부(11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 부재(26)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 부재(26)는 탄성 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지 부재(26)는 탄성 부재(일례로, 스폰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도전성 물질(일 례로 알루미늄)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성 물질에 의해서 백 커버(22)가 상기 전면 패널(21)에 접지 가능하게 되며, 상기 탄성 부재(스폰지)에 의해서 탄성 운동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 커버(22)가 상기 접지 부재(26)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전면 패널(21)에 접지된다.
상기 접지 부재(26)의 제 1 면은 상기 전면 패널(21)의 배면에 접촉되고, 상기 접지 부재(26)의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은 상기 백 커버(22)의 테두리부(222)에 접촉된다.
상기 접지 부재(26)가 탄성 운동 가능한 경우, 상기 테두리부(222)가 상기 접지 부재(26)에 전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접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과 백 커버의 고정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면 패널(31)에는 백 커버(3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부재(37)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부재(37)는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에 접착 부재(미도시) 또는 접착제(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37)에는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 상측 테두리부 및 하측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결합 부재(371) 및 하부 결합 부재(372)와, 상기 전면 패널(33)의 배면 우측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결합 부재(371, 372)와 연결되는 측면 결합 부재(373)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하부 및 측면 결합 부재(371,372,373)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37)는 상부, 하부 및 측면 결합 부재(371,372,373)가 구비된 영역을 제외한 일 측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상기 측면 결합 부재(373)가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측면 결합 부재(373)가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 좌측에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각 결합 부재(371, 372, 373)는 대략 "ㄱ" 형상, 즉 1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백 커버(32)의 테두리부(322)는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각 결합 부재(371, 372, 373)에 결합된다. 상기 테두리부(322)가 상기 각 결합 부재(371, 372, 373)에 결합되면, 상기 각 결합 부재(371, 372, 373)는 상기 테두리부(322)의 두 면, 즉, 전면과 배면 일부를 감싸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 좌측에는 상기 백 커버(32)가 상기 결합 부재(37)에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부재(312)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312)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에 접착 부재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32)의 테두리부(322) 중 상기 결합 부재(37)에서 개구된 측의 테두리부(322)에는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312)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홀(3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백 커버(32)가 상기 각 결합 부재(371, 372, 373)에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 고정 부재(312)는 상기 각 고정홀(325)에 삽입되어 상기 백 커버(32)가 상기 전면 패널(31)에 대해서 위치가 완전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32)가 상기 전면 패널(31)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백 커버의 테두리부(322)는 상기 전면 패널(31)의 배면에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 커버(32)가 상기 결합 부재(37)에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용부(324)가 상기 백 커버(32)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12) 및 상기 결합 부재(37)는 상기 백 커버(32)가 상기 전면 패널(31)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과 백 커버의 고정 구성 및 상기 패널 지지부 및 연결 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4)는 전면 패널(41)과, 백 커버(42)와, 상기 전면 패널(41)과 상기 백 커버(42)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4)의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46)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패널 지지부(43)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패널 지지부(43)는 상기 전면 패널(41)의 차폐부(411)에 고정된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43)는 상기 전면 패널(41)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상기 차폐부(411)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4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의 일부가 안착되는 모듈 안착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안착부(412)는 일례로 스폰지와 같은 탄성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 안착부(412)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이 안착되는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이 감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패널부(441)와 상기 전면 패널(41) 사이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의 영상 패널부(441)를 제외한 다 른 영역이 상기 모듈 안착부(412)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영상 패널부(441)가 상기 모듈 안착부(412)에 직접 안착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패널 지지부(43)에는 상기 패널 지지부(43)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45)가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홀(431)과, 상기 백 커버(42)가 고정되기 위한 제2고정홀(43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재(44)는 일부가 절곡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를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이 상기 전면 패널(41)의 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451)와, 상기 고정부(451)에 대하여 절곡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모듈 지지부(45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51)에는 상기 고정부(451)를 상기 패널 지지부(43)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71)가 관통되기 위한 제1고정홀(453)과, 상기 백 커버(42)를 상기 패널 지지부(43)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72)가 관통되는 제2고정홀(454)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지지부(452)는 상기 고정부(451)가 상기 패널 지지부(4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을 상기 전면 패널(41)에 대하여 전방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이 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 전면 일부는 상기 모듈 안착부(412)에 안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의 후면 일부는 상기 모듈 지지부(452)에 의하여 상 기 전면 패널(41) 측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지지부(452)와 상기 모듈 안착부(412)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의 단면 두께에 대응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의 적어도 일부,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의 테두리부는 상기 모듈 지지부(452)와 상기 모듈 안착부(412)가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46)은 내부가 개구된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다수의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6)에는 상기 패널 지지부(43)의 제1고정홀(431) 및 제2고정홀(432)과 정렬되는 제1고정홀(461) 및 제2고정홀(462)과, 상기 패널 지지부(43)가 삽입되는 삽입홀(46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463)은 상기 패널 지지부(43)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46)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패널 지지부(4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6)은 상기 패널 지지부(43)에 의해서 상기 전면 패널(41)에 대한 형합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6)이 상기 패널 지지부(43)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46)은 상기 패널 지지부(43)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42)의 바디부(421)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테두리부(422)는 상기 프레임(46)과 접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422)에 형성된 고정홀(423)은 상기 제2고정홀(432,462,454)과 정렬되며, 상기 패널 지지부(43)의 제2고정홀(43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72)가 상기 고정홀(423) 및 제2고정홀(462,454)을 관통한다. 이 때, 상기 연결 부재(45), 상기 프레임(46) 또는 상기 패널 지지부(43)의 제2고정홀(432,462,454)의 주변부에는 상기 백 커버(42)와 상기 연결 부재(45)의 높이 차이에 따른 결합 높이를 보정하기 위한 연장 보스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46)과 상기 패널 지지부(43)가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프레임(46) 및 상기 패널 지지부(4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46) 및 상기 패널 지지부(4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일체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46) 및 상기 패널 지지부(43)는 상기 전면 패널(41)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전면 패널(41)과 상기 백 커버(42)가 이격된 공간을 외부에 대해서 차폐하게 된다.
도 11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프레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프레임(56)은 판상의 프레임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 지지부(53)의 일측 면과 접한다. 즉, 상기 프레임(56)의 내측 개구부의 둘레는, 상기 전면 패널(51)에 고정된 다수의 상기 패널 지지부(53)가 배치된 둘레에 대응된다.
상기 프레임(56)은 상기 전면 패널(51)과 상기 백 커버(5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51)과 상기 백 커버(52) 사이의 결합력이 상기 프레임(56)에 적용됨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56)이 구비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6)을 제외한 상기 전면 패널(51), 백 커버(52), 디스플레이 모듈(54) 및 연결 부재(55)의 구성은 제4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패널 지지부 및 백 커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패널 지지부(63)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를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잡아주게 되며, 일례로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금속 재질 또는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63)는 일면이 상기 전면 패널(61)의 차폐부(611)에 고정되며, 이면은 디스플레이 모듈(64)의 전면 테두리가 밀착되는 접촉면(531)과, 상기 접촉면(631)에 대하여 절곡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632) 및 상기 삽입부(632)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의 배면 테두리가 걸리며, 일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부(6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이 상기 전면 패널(61)의 배면 측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은 상기 걸림부(633)의 경사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632)의 외측이 벌어지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이 끼워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이 상기 패널 지지부(63)에 완전하게 끼워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의 배면을 형성하는 바텀 케이스(643)은 상기 걸림부(633)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의 배면(643)에는 백 커버(62)의 고정홀(623)과 정렬되는 고정 보스(644)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623)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보스(644)에 고정된 체결부재(671)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과 상기 백 커버(62)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 커버(62)의 테두리부(622)는 상기 프레임(66)과 접하며, 상기 테두리부(622)와 상기 프레임(66)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6)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면(632)에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상기 지지면(632)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4) 사이에 탄성 재질의 모듈 안착부가 더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레임(66)이 별도로 구비되지 아니하고, 상기 백 커버(62)의 테두리부가 상기 전면 패널(61)의 배면 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백 커버(62)와 상기 전면 패널(61)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대해서 차폐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13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프레임이 제거된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 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 커버(72)의 테두리부(722)는 상기 전면 패널(71)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면 패널(71)의 차폐부(711)에 접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722)의 내면은 패널 지지부(73)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부(722)는 상기 패널 지지부(73)를 외부에 대해서 상기 패널 지지부(73)를 차폐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백 커버(72)는 디스플레이 기기(7)의 측면 및 배면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전면 패널(71), 패널 지지부(73), 디스플레이 모듈(74) 및 연결 부재(75)의 상세한 구성은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패널 지지부가 전면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8)는 패널 지지부(813)가 형성된 전면 패널(81)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지지부(813)는 상기 전면 패널(81)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지지부(813)에는 디스플레이 모듈(84)을 상기 전면 패널(81)에 대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85) 및 백 커버(82)의 테두리부(822)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 패널(81) 및 상기 패널 지지부(813)은 일례로 사출 성형된 투명한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제 9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8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패널 지지부 및 백 커버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91)의 배면 테두리에는 패널 지지부(913)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패널 지지부(913)는 일례로 상기 전면 패널(91)의 배면 상측 및 하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913)의 절곡된 내면과 상기 전면 패널(91)의 배면 사이에는 백 커버(92)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922)가 삽입된다. 상기 테두리부(922)는 상기 전면 패널(91)의 배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부(922)가 상기 패널 지지부(913)와 상기 전면 패널(91)의 배면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91)은 상기 백 커버(92)에 대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91)과 상기 백 커버(92)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모듈(94)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94)은 상기 백 커버(92)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94)의 배면(943)을 형성하는 바텀 케이스에는 상기 백 커버(92)를 관통한 체결 부재(971)가 체결되는 고정 보스(944)가 형성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재질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표시되는 화면에 커보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3은 제 7 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5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6은 제 9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31)

  1.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제공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패널이 지지되도록 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테두리부와 접촉되는 접지부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광투과성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을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에 대하여 차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제공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백 커버와 상기 전면 패널을 연결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패널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측이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 커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측면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백 커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감싸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모듈 안착부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패널부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영상 패널부가 이격된 거리는 0.1~3mm인 디스플레이 기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전면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0. 제 1 항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1. 제 1 항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방에서 보호하며, 광투과성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방에서 보호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백 커버는 측면 및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백 커버와 연결되기 위한 패널 지지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 커버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7.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지지되며,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패널이 지지되도록 하는 패널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패널 지지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 지지부의 외면을 따라 둘러지는 디스플레이 기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90038353A 2008-10-20 2009-04-30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0440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2543 2008-10-20
KR1020080102543 2008-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74A true KR20100044074A (ko) 2010-04-29

Family

ID=4211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353A KR20100044074A (ko) 2008-10-20 2009-04-30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53307B2 (ko)
EP (1) EP2351361B1 (ko)
KR (1) KR20100044074A (ko)
WO (1) WO201004743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792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6649A (ko) 2014-10-17 2017-05-23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상교기쥬츠 소고켄큐쇼 카본 나노 튜브 복합막 및 그 복합막의 제조 방법
WO2018117621A1 (en) *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3751A (ja) * 2011-10-26 2013-05-16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20180083210A (ko) * 2017-01-12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677Y2 (ja) * 1991-05-10 1997-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用照明装置
KR19990032194A (ko) 1997-10-16 1999-05-06 전주범 냉동실 구동 제어 방법
KR19990032194U (ko) * 1997-12-31 1999-07-26 전주범 피디피의 필터 실드장치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JP3141869B2 (ja) * 1999-02-15 2001-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携帯用情報端末機器
KR20020081744A (ko) * 2001-04-19 2002-10-30 주식회사 토비스 평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US7362386B2 (en) * 2002-08-06 2008-04-22 Toshiba America Consumer Products, L.L.C. Integrated structural screen panel for projection television
JP4438322B2 (ja) 2003-06-04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パネル型表示装置
JP4466013B2 (ja) 2003-08-27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パネル型表示装置
TWM265876U (en) * 2004-11-01 2005-05-21 Coretronic Corp Back cover assembly device for electric equipment
KR20080038888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12587B1 (ko) * 2007-06-0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792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6649A (ko) 2014-10-17 2017-05-23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상교기쥬츠 소고켄큐쇼 카본 나노 튜브 복합막 및 그 복합막의 제조 방법
WO2018117621A1 (en) *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80074491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649255B2 (en) 2016-12-23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1361B1 (en) 2018-04-25
US20110199725A1 (en) 2011-08-18
EP2351361A4 (en) 2012-06-06
US8953307B2 (en) 2015-02-10
EP2351361A1 (en) 2011-08-03
WO2010047438A1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1853B2 (en) Display device
US7974082B2 (en) Display apparatus
KR101319156B1 (ko) 표시장치
US7889484B2 (en) Display apparatus
US7663870B2 (en) Display apparatus
WO2014196228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10069005A1 (en) Display apparatus
KR1021566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44074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396640B1 (ko) 표시장치
EP3086535B1 (en) Mobile device with an increased display size
US10394064B2 (en) Display apparatus
US20150253485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201001131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495179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JP2016197174A (ja) 医療用モニター、電子機器、及び映像表示ユニット
US9007544B2 (en) Display device
KR20110035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22305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0749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12248A (ko) 표시장치
KR102239593B1 (ko)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트 전자 장치
KR20100043539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1307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38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