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77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772A
KR20100130772A KR1020090049464A KR20090049464A KR20100130772A KR 20100130772 A KR20100130772 A KR 20100130772A KR 1020090049464 A KR1020090049464 A KR 1020090049464A KR 20090049464 A KR20090049464 A KR 20090049464A KR 20100130772 A KR20100130772 A KR 2010013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ront filter
fixed
layer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772A/ko
Publication of KR2010013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표시영역이 형성된 전면 필터;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필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지지 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전면 필터는, 상기 영상표시영역의 테두리에 둘러지도록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에 제공되며, 불투명한 색상으로 형성된 불투명층; 상기 불투명층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영상표시영역에 덮여지며, 투명한 도전층으로 제공되는 전자파 차폐층; 상기 불투명층과 상기 전자파 차폐층이 중첩된 영역에 형성되는 접지영역; 및 상기 접지영역을 제외한 상기 불투명층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는 고정영역;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접지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전면 커버 및 백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여, 전자파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 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표시영역이 형성된 전면 필터;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필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지지 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전면 필터는, 상기 영상표시영역의 테두리에 둘러지도록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에 제공되며, 불투명한 색상으로 형성된 불투명층; 상기 불투명층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영상표시영역에 덮여지며, 투명한 도전층으로 제공되는 전자파 차폐층; 상기 불투명층과 상기 전자파 차폐층이 중첩된 영역에 형성되는 접지영역; 및 상기 접지영역을 제외한 상기 불투명층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는 고정영역;이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필터의 배면에 전자파 차폐층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생성되는 전자파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발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가 고정되는 전면 필터의 고정영역과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접지영역이 각각의 면저항에 따라 구분됨에 따라서, 지지부재의 상기 고정영역에 대한 고정 강도가 일정 강도 이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접지영역에서의 접지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면 필터의 상기 고정영역 및 접지영역이 불투명층의 배면 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서 고정영역에 대한 고정 구조 및 접지영역에 대한 접지 구조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도에 따라 절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40)과, 디스플레이 모듈(4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40)을 보호하는 전면 필터(10)와 백 커버(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외부 신호에 따라서 영상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Display display device module, 이하 LCD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Plasma display panel module, 이하 PDP 모듈), 발광 다이오드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LED 모듈)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Organic ligi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OLED 모듈)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패널(41)과, 영상 패널(41)의 후방에 구비되어 영상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42)와, 지지플레이트(42)의 후방에 구비되어 외부 신호에 따라 영상 패널(41)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면 필터(10) 및 백 커버(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 및 배면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필터(10)는 테두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필터(10)의 테두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전면 필터(10)의 테두리를 감싸는 별도의 프론트 캐비닛이 더 구비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전면 필터(10)의 배면에는 상기 전면 필터(10)가 디스플레이 모듈(40)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부재(70)가 구비된다. 지지부재(70)는 판상으로 형성된 필터 몸체(11)의 배면 측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70)가 다수 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지지부재(70)가 일체로된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 필터(10)를 디스플레이 모듈(40)에 대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백 커버(20)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후방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 듈(4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백 커버(20)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서 발산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일례로 금속 재질 또는 금속 박막이 구비된 수지재 성형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필터(10) 및 백 커버(20) 사이에는 프레임(30)이 구비되어, 전면 필터(10) 및 백 커버(20)의 테두리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폐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40)과 전면 필터(10) 사이에 구비되어 전면 필터(10)를 디스플레임 모듈(40)에 대하여 지지하며, 디스플레이 모듈(40)에서 발산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0) 전면의 네 테두리를 둘러싸는 필터 서포터(50)와, 필터 서포터(50)를 전면 필터(10)에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 개스킷(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서포터(50 및 접지 개스킷(6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 서포터(50)의 일측은 체결부재(80)에 의하여 지지부재(70)에 고정되며, 필터 서포터(50)의 타측은 상기 타측에 둘러진 접지 개스킷(60)에 의하여 전면 필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 개스킷(60)이 필터 서포터(50)의 타측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접지 개스킷(60)이 생략된 상태에서 필터 서포터(50)의 타측의 적어도 일부가 직접 전면 필터(10)의 배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접지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전면 필터(10)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서 전방으로 발산되는 전자파 를 차폐하며, 전면 필터(10)의 전면 및 배면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모듈(40)에서 생성되는 영상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면 필터(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전면 필터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자파 차폐층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필터(10)는 전면 필터(1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필터 바디(11)와, 필터 바디(11)의 배면에 제공되는 불투명층(13), 전자파 차폐층(14) 및 배면 필름층(15)과, 필터 바디(11)의 전면에 제공되는 전면 필름(1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필터 바디(1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례로 영상이 투과될 수 있는 광투과성 재질의 강화 유리와 같은 세라믹 소재 또는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바디(11)의 중앙부에는 전면 필터(10)의 후방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영역(115)이 형성된다.
영상표시영역(115)의 배면 측 테두리에는, 지지부재(70)가 고정되는 고정영역을 제공하며 지지부재(70)가 필터 몸체(11)의 전방에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불투명층(13)이 제공된다. 불투명층(13)은 일례로 검은색과 같은 불투명한 색상으로 필터 바디(11)의 배면에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필름(12) 및 배면 필름(15)은 각각 무반사, 색보정층 또는 외력으부터 다른 기능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와 같은 다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 다.
한편, 전자파 차폐층(14)은 불투명층(13)의 적어도 배면 일부 및 영상표시영역(115) 배면에 덮여진 상태로 제공된다.
전자파 차폐층(14)은 일례로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극층(141)과 은과 같은 금속 박막층(142)이 교번하여 적층되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 차폐층(14)은 일정 저항 이하의 값으로 형성되어, 전자파 차폐층(14)에 입사된 전자파를 전자파 차폐층(14) 및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필터 서포터(50)를 통하여 접지된 외부로 흘려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전자파 차폐층(14)은, 투명 전극층(141) 및 금속 박막층(142)이 미소한 두께로 교번하여 적층됨에 따라서, 영상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투명 전극측 및 금속 박막층(142)은 일례로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하여 불투명층(13)의 배면 일부 및 영상표시영역(115)의 배면에 일정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
이 때, 전자파 차폐층(14)의 영역 중 불투명층(13)과 중첩되는 영역, 즉 불투명층(13)의 일부에 덮여지는 전자파 차폐층(14)의 일부는 필터 서포터(50)의 타측이 접지되기 위한 접지영역(R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자파 차폐층(14) 중 접지영역(R2)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만 배면 필름층(15)가 구비되며, 접지 영역(R2)에 대응되는 전자파 차폐층(14)의 일부는 필터 서포터(50)가 접지될 수 있도록 후방에 대하여 노출된다.
접지영역(R2)은 필터 서포터(50)의 타측이 직접 접촉되거나, 접지 개스 킷(60)이 접지될 수 있도록 일정 너비(d2)로 형성되며, 접지영역(R2)은 일례로 면저항(Rs)이 10 Ω/㎡ 이하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면저항(Rs)은 다음의 수학시 1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33916599-PAT00001
이 때, 면저항(Rs)는 저항(R)을 단위면적(S)으로 나눈 값이며, 상기 저항(R)은 비저항(ρ), 단위 길이(l), 너비(d) 및 도전성 물질이 증착된 두께(t)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상기 비저항(ρ), 단위 면적(S), 단위 길이(l) 및 너비(d)가 일정할 경우, 면저항(Rs)은 전자파 차폐층(14)을 구성하는 도전성 물질이 증착된 두께(t) 즉, 면적 대비 증착 비율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편, 불투명층(13)의 배면 중 접지 영역(R2)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고정영역(R1)이 형성된다.
고정영역(R1)은 접지영역(R2)의 바깥쪽 테두리에 위치되며, 일정 너비(d1)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영역(R2)에는 지지부재(70)가 일례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71)에 의하여 접착 고정된다.
이 때, 전자파 차폐층(14)의 도전성 물질은 일례로 스퍼터링과 같은 증착 방 법에 의하여 필터 몸체(11)의 배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도전성 물질이 접지 영역(R2)의 경계선 내에 정확하게 증착되지 않고, 상기 도전성 물질 중 일부는 접지 영역(R2)의 경계선 외부 영역에도 증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이 일정 비율 이상 불투명층(13)의 배면에 증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70)가 불투명층(13)에 접착 고정되면, 증착된 도전성 물질에 의하여 지지부재(70)의 고정이 간섭을 받아, 접착 강도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례로 고정영역(R1)은 면저항(Rs)이 일례로 10 Ω/㎡을 초과하는 영역으로 정의하여, 상기 지지부재(70)의 접착 강도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면저항(Rs)은 단위 면적당 도전성 물질이 증착된 비율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고정영역(R1)에 접지영역(R2)에 비하여 낮은 비율의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거나, 고정역역(R1)이 상기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영역(R1)에는 도전성 물질이 적은 비율로 증착되거나 도전성 물질의 증착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고정영역(R1)에 지지부재(70)가 접착되는 경우, 지지부재(70) 접착면의 대부분 또는 전부는 불투명층(13)의 배면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즉, 고정영역(R1)에서는 불투명층(13)에 접착되는 지지부재(70)의 접착면에 상기 도전성 물질이 접착됨에 따라 지지부재(70)의 접착 강도가 저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영역(R1)의 너비(d1)는 지지부재(70)가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례로 11 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불투명층(13)의 너비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접지영역(R2)에 대한 필터 서포터(50)의 접지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영역(R1)의 너비는 접지영역(R2)의 너비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필터(10)의 배면에 전자파 차폐층(13)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40)에서 생성되는 전자파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으로 발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70)가 고정되는 전면 필터(10)의 고정영역(R1)과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접지영역(R2)이 각각의 면저항에 따라 구분됨에 따라서, 지지부재(70)의 고정영역(R1)에 대한 고정 강도가 일정 강도 이상으로 유지되며, 접지영역(R2)에서의 접지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면 필터(10)의 고정영역(R1) 및 접지영역(R2)이 불투명층(13)의 배면 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에서 고정영역(R1)에 대한 고정 구조 및 접지영역(R2)에 대한 접지 구조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 선도에 따라 절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전면 필터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B-B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전자파 차폐층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8)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표시영역이 형성된 전면 필터;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필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지지 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전면 필터는, 상기 영상표시영역의 테두리에 둘러지도록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에 제공되며, 불투명한 색상으로 형성된 불투명층; 상기 불투명층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영상표시영역에 덮여지며, 투명한 도전층으로 제공되는 전자파 차폐층; 상기 불투명층과 상기 전자파 차폐층이 중첩된 영역에 형성되는 접지영역; 및 상기 접지영역을 제외한 상기 불투명층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는 고정영역;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영역과 상기 접지영역은 면저항의 크기에 따라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영역과 상기 접지영역이 구분되는 면저항의 크기는 10 Ω/㎡이며,
    상기 접지영역의 면저항은 10 Ω/㎡ 이하이며, 상기 고정영역의 면저항은 10 Ω/㎡ 을 초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투명 전극측 및 금속 박막층이 교번하여 적층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영역 및 상기 접지영역은 상기 불투명층의 배면 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필터는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필터를 지지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지 영역에 접지되는 필터 서포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49464A 2009-06-04 2009-06-04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30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64A KR20100130772A (ko) 2009-06-04 2009-06-0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64A KR20100130772A (ko) 2009-06-04 2009-06-0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772A true KR20100130772A (ko) 2010-12-14

Family

ID=4350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464A KR20100130772A (ko) 2009-06-04 2009-06-0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41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41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539B2 (en) Electro-optical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938858B2 (ja) 表示装置
EP2574978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WI321238B (en) Flat panel display
US20130010216A1 (en) Touch screen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234707B2 (en) Display device
EP2875415B1 (en) Display arrangement
EP3226070B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130278556A1 (en) Touch-screen with front-mounted flexible display
US20140036458A1 (en) Electronic apparatus
WO2014020937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1697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111B1 (ko) 필름형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11008B1 (ko) 필름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3086535B1 (en) Mobile device with an increased display size
JP6366846B2 (ja) 表示装置
KR20100044074A (ko) 디스플레이 기기
US20160085306A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notably haptic touch surface and a flexible electrical shield
KR201001307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64629A (ja) フィルタ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749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30859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KR201001344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전면 필터의 제조 방법
KR20100122992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1118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