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434A -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434A
KR20100043434A KR1020080102468A KR20080102468A KR20100043434A KR 20100043434 A KR20100043434 A KR 20100043434A KR 1020080102468 A KR1020080102468 A KR 1020080102468A KR 20080102468 A KR20080102468 A KR 20080102468A KR 20100043434 A KR20100043434 A KR 20100043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em
stored
modem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167B1 (ko
Inventor
김강희
윤한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167B1/ko
Priority to US12/573,320 priority patent/US8315665B2/en
Priority to EP09172390A priority patent/EP2177991A1/en
Priority to RU2009138599/08A priority patent/RU2530332C2/ru
Priority to CN200910205041A priority patent/CN101730304A/zh
Publication of KR2010004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Operating System : OS)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다수의 모뎀과, 상기 다수의 모뎀으로부터 해당 모뎀이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모뎀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OS로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Mux/Demux(Multiplexer/Demultiplexer) 모듈을 포함하여, 단일 OS 구현 시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복잡도를 피하고, 제조사 입장에서 기 개발된 망 사업자 소프트웨어 스택의 재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일 OS 운용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동시 통화 개념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중 모뎀, 다중 OS(Operating System), OS 가상화, 멀티 스탠바이 모바일 폰(Multi Standby Mobile Phones)

Description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MULTI OPERATING SYSTEMS IN MULTI MOD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운용 체제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국에 기출시된 듀얼 스탠바이 모바일 폰들(예: Coolpad D728, Samsung W579)은 두 개의 모뎀 칩들을 하나의 모바일 폰에 탑재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모바일 폰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무선망은 예를 들어 기술 세대가 다른 CDMA망, GSM망, UMTS망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듀얼 스탠바이 모바일 폰 구현시, 모뎀 칩들 외에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Processing Unit)을 추가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망에서 들어오거나 혹은 무선망으로 나가는 호(call)를 한번에 하나씩 서비스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스택으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이와 관련된 텔레포니 모듈(Telephony Module)을 제공한다.
상기 듀얼 스탠바이 모바일 폰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위에서 단일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 이하 'OS'라 칭함)를 운용하며, 단일 OS 위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다른 무선망들을 서비스하는 단일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CDMA 호(Call)와 GSM 호를 함께 서비스하는 하나의 호 응용 프로그램이 단일 OS 위에서 실행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사용자에게 무선망의 종류에 상관없이 단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망사업자마다 각기 다르게 요구하는 고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일 인터페이스 수렴하여 구현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OS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OS가 서로 다른 망 사업자의 소프트웨어 스택을 망 사업자 요구 사항대로 구현하고, OS 가상화 계층이 서로 다른 모뎀 칩에서 들어오는 호 연결 요구에 대해 해당 OS를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OS 가상화 계층이 다수의 모뎀으로부터 해당 모뎀이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모뎀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OS로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OS 가상화 계층이 다수의 OS로부터 해당 OS가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OS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OS에 일대일 대응하는 모뎀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모뎀으로 해당 OS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OS 가상화 계층이 OS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버퍼링하는 OS별 프레임 버퍼를 모니터링하여, 가장 최근 데이터 업데이트된 일정 개수의 프레임 버퍼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추출하여, 가상적으로 분할된 다수의 스크린에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각각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Operating System : OS)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서로 다른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다수의 모뎀과, 상기 다수의 모뎀으로부터 해당 모뎀이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모뎀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OS로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Mux/Demux(Multiplexer/Demultiplexer)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Operating System : OS)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모뎀으로부터 해당 모뎀이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모뎀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OS로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Operating System : OS)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OS로부터 해당 OS가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OS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OS에 일대일 대응하는 모뎀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모뎀으로 해당 OS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OS를 운용함으로써, 단일 OS 구현 시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복잡도를 피하고, 제조사 입장에서 기 개발된 망 사업자 소프트웨어 스택의 재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OS 가상화 기술은 복수 개의 OS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망 사업자 소프트웨어 스택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일 OS 운용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동시 통화 개념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스택들 사이에서 동시 음성 통화, 동시 데이터 통화, 동시 음성-데이터 통화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DMA 음성 통화를 들으면서(CDMA 모뎀과 통신), 백그라운드로 UMTS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UMTS 모뎀과 통신), 다른 예로 CDMA 데이터 서비스와 UMTS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CD 스크린을 가상으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OS 각각이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스크린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OS를 운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예를 들어 멀티 스탠바이 모바일 폰(Multi Standby Mobile Phones)이 있다. 상기 멀티 스탠바이 모바일 폰은 듀얼 스탠바이 모바일 폰(Dual Standby Mobile Phones)의 확장된 개념으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뎀 칩들을 하나의 모바일 폰에 탑재하여 각기 서로 다른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모바일 폰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무선망은 예를 들어 기술 세대가 다른 CDMA망, GSM망, UMTS망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OS 가상화 기술이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위에서 복수 개의 OS를 실행시키는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OS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3개의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 프로세싱 유닛(Processing Unit)(110), OS 가상화 계층(120), 상기 다수의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OS(130-1, 130-2, 130-3), 상기 다수의 모뎀에 각각 할당된 소프트웨어 스택(Software Stack)(140-1, 140-2, 140-3), 가상적으로 다수의 스크린으로 분할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 다수의 OS(130-1, 130-2, 130-3), 다수의 소프트웨어 스택(140-1, 140-2, 140-3)은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 상의 소프트웨어 블럭으로,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은 다시 Mux/Demux(Multiplexer/Demultiplexer) 모듈(121), OS 스위칭 모듈(124),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Mux/Demux 모듈(121)은 OS별 입력 데이터 큐(122-1, 122-2, 122-3)와 출력 데이터 큐(123-1, 123-2, 12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은 OS별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은 각각 서로 다른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지원한다. 즉 각 모뎀(100-1, 100-2, 100-3)은 해당 무선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Signalling Data) 및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으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그널링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를 해당 무선 망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과 프로세싱 유닛(110)은 하드웨어 통신 채 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하드웨어 통신 채널로 예를 들어, 직렬 통신, 병렬 통신, 이중 포트 메모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은 상기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을 관리하며,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에서의 복수 개의 OS들(130-1, 130-2, 130-3)의 실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은 상기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의 Mux/Demux 모듈(121)로 제공하고,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의 Mux/Demux 모듈(121)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 중 하나가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은 내부에 상기 Mux/Demux 모듈(121), OS 스위칭 모듈(124),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OS들(130-1, 130-2, 130-3)을 실행한다. 먼저, 상기 Mux/Demux 모듈(121)은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을 통해 상기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으로부터 수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를 해당 모뎀(100-1, 100-2, 100-3)에 일대일 대응하는 OS(130-1, 130-2, 130-3)의 입력 데이터 큐(122-1, 122-2, 122-3)에 저장한 후, 해당 OS(130-1, 130-2, 130-3)로 제공한다(Demultiplexing). 또한, 상기 Mux/Demux 모듈(121)은 상기 다수의 OS(130-1, 130-2, 130-3)로부터 수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를 해당 OS(130-1, 130-2, 130-3)의 출력 데이터 큐(123-1, 123-2, 123-3)에 저장한 후,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을 통해 해당 OS(130-1, 130-2, 130-3)에 일대일 대응하는 모뎀(100-1, 100-2, 100-3)으로 제공한 다(Multiplexing). 이를 위해 상기 Mux/Demux 모듈(121)에는 모뎀-OS 매핑 테이블이 존재하며, 상기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나의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 혹은 하나의 OS에 일대일 대응하는 모뎀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 상에서 한 시점에 오직 하나의 OS만이 실행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모뎀(100-1, 100-2, 100-3)이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에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OS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해야할 OS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ux/Demux 모듈(121)은 해당 모뎀(100-1, 100-2, 100-3)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해당 OS(130-1, 130-2, 130-3)의 입력 데이터 큐(122-1, 122-2, 122-3)에 저장한 후, 상기 OS 스위칭 모듈(124)을 호출한다.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의 OS 스위칭 모듈(124)은 상기 Mux/Demux 모듈(121)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OS별(130-1, 130-2, 130-3) 입력 데이터 큐(122-1, 122-2, 122-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당 OS(130-1, 130-2, 130-3)로 스위칭한다. 이때, 상기 OS 스위칭 모듈(124)은 빈번한 스위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OS별(130-1, 130-2, 130-3) 입력 데이터 큐(122-1, 122-2, 122-3)에 일정한 수의 데이터들이 채워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OS별(130-1, 130-2, 130-3)로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때 스위칭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OS 스위칭 모듈(124)은 하나의 OS(130-1, 130-2, 130-3)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실행 가능한 다른 OS들을 일정한 규칙(우선순위 또는 라운 드 로빈)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의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은 OS(130-1, 130-2, 130-3)별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각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는 해당 OS(130-1, 130-2, 130-3)의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버퍼링하며, 이는 해당 OS(130-1, 130-2, 130-3)에 의해 데이터 업데이트 된다. 여기서, 상기 OS(130-1, 130-2, 130-3)의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는 해당 OS(130-1, 130-2, 130-3) 실행에 따른 해당 소프트웨어 스택(140-1, 140-2, 140-3)의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OS(130-1, 130-2, 130-3)는 해당 소프트웨어 스택(140-1, 140-2, 140-3)에서 신규 생성 및 변경된 이미지가 감지될 시, 이를 해당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에 업데이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은 상기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의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를 모니터하며, 데이터 업데이트가 감지될 시, 해당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에 버퍼링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로 스위칭한다.
상기 다수의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OS(130-1, 130-2, 130-3)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110)과 이에 연결된 하드웨어 장치들을 독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각 OS(130-1, 130-2, 130-3)는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을 통해 해당 모뎀(100-1, 100-2, 100-3)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실행되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모뎀(100-1, 100-2, 100-3)에 할당된 소프트웨어 스택(140-1, 140-2, 140-3)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무선 망을 서비스한다. 또한, 각 OS(130-1, 130-2, 130-3)는 해당 모뎀(100-1, 100-2, 100-3)에 할당된 소프 트웨어 스택(140-1, 140-2, 140-3)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을 통해 해당 모뎀(100-1, 100-2, 100-3)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OS(130-1, 130-2, 130-3)는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의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 내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에 버퍼링한다.
상기 다수의 모뎀에 각각 할당된 소프트웨어 스택(140-1, 140-2, 140-3)은 해당 무선 망 또는 사업자 망에 특화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이와 관련된 텔레포니 모듈(Telephony Module)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사용자에게 해당 무선 망을 서비스한다. 예를 들어, CDMA 모뎀 칩과 GSM 모뎀 칩을 함께 탑재한 단말기의 경우, CDMA 망(또는 CDMA 사업자 망)에 특화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에 관련된 텔레포니 모듈, 그리고 GSM 망(또는 GSM 사업자 망)에 특화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에 관련된 텔레포니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CDMA 망과 GSM 망을 서비스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의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를 LCD 스크린에 출력한다. 이때, 한 시점에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로부터의 이미지를 LCD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하나인 LCD 스크린을 가상적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스크린에 다수의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로부터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에 따라 가상적으로 생성되는 스크린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OS(130-1, 130-2, 130-3)의 개수(예를 들어, 3)보다 작거나 같은 개수(예를 들 어, 2)를 가진다. 이와 같이, 물리적으로 하나인 LCD 스크린을 가상적으로 분할하면, 상기 OS 가상화 계층(120)의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125)은 다수의 프레임 버퍼(126-1, 126-2, 126-3)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로 동시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최근 업데이트된 N개의 OS(130-1, 130-2, 130-3)들에 대한 이미지를 M(N과 같거나 작다)개의 분할 스크린에 최근 업데이트된 M개의 OS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M개의 분할 스크린을 통해 다수의 모뎀(100-1, 100-2, 100-3)에 각각 할당된 소프트웨어 스택(140-1, 140-2, 140-3)의 상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모뎀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중 OS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201단계에서 다수의 모뎀 중 하나의 모뎀을 통해 해당 무선 망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하나의 모뎀을 통해 해당 무선 망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2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하나의 모뎀을 통해 해당 무선 망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2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 큐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5단계에서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2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 큐가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20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입력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되는 OS로 스위칭하며, 이로써, 해당 OS를 실행시킨다. 이때, 상기 단말은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나의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은,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는 경우 외에, OS별로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때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실행 가능한 다른 OS들을 일정한 규칙(우선순위 또는 라운드 로빈)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OS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중 모뎀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다수의 OS 중 하나의 OS를 통해 해당 무선 망으로의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하나의 OS를 통해 해당 무선 망으로의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3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하나의 OS를 통해 해당 무선 망으로의 데이터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OS에 일 대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 큐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출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출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3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출력 데이터 큐가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출력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당 무선 망을 지원하는, 즉 해당 OS에 일대일 대응되는 모뎀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나의 OS에 일대일 대응하는 모뎀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01단계에서 다수 OS별 프레임 버퍼를 모니터링하고, 403단계에서 데이터 업데이트가 감지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데이터 업데이트가 감지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4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데이터 업데이트가 감지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가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405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가 감지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 중 가장 최근 데이터 업데이트된 일정 개수의 프레임 버퍼를 선택하고,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프레임 버퍼에서 해당 프레임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OS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일정 개수로 분할된 가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물리적으로 하나인 LCD 스크린을 가상적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스크린에 다수의 프레임 버퍼로부터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할에 따라 가상적으로 생성되는 스크린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OS의 개수(예를 들어, 3)보다 작거나 같은 개수(예를 들어, 2)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LCD 스크린을 분할하면 복수 개의 OS 각각이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스크린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스탠바이 모바일 폰의 경우, LCD 스크린을 2개로 분할하여 한쪽 스크린에는 CDMA 응용 프로그램들의 동작 상태를, 다른쪽 스크린에는 UMTS 응용 프로그램들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된 스크린의 개수보다 OS들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일정한 규칙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실행 문맥을 가진 OS들을 제한된 수의 분할된 화면에 매핑시켜 출력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LCD 스크린을 가상적으로 분할하지 않고,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 개의 OS 각각이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스탠바이 모바일 폰의 경우, 최근에 실행된 CDMA 응용 프로그램들 의 동작 상태를 UMTS 응용 프로그램들의 동작 상태에 우선하여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OS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모뎀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중 OS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OS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중 모뎀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OS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Claims (13)

  1.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Operating System : OS)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다수의 모뎀과,
    상기 다수의 모뎀으로부터 해당 모뎀이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모뎀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OS로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Mux/Demux(Multiplexer/Demultiplexer)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ux/Demux 모듈은, 상기 모뎀에 일대일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 큐에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벤트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모뎀별 입력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당 OS로 스위칭하는 OS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는 경우, OS별로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OS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버퍼링하는 OS별 프레임 버퍼와,
    상기 OS별 프레임 버퍼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따라 가장 최근 데이터 업데이트된 일정 개수의 프레임 버퍼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프레임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디스플레이 스위칭 모듈과,
    하나인 LCD 스크린을 가상적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스크린에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ux/Demux 모듈은, 다수의 OS로부터 해당 OS가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OS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OS에 일대일 대응하는 모뎀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모뎀으로 해당 OS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ux/Demux 모듈은, 상기 OS에 일대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 큐에 해당 OS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벤트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OS별 출력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당 모뎀으로 스위칭하는 OS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Operating System : OS)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모뎀으로부터 해당 모뎀이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모뎀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모뎀에 일대일 대응하는 OS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OS로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에 일대일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 큐에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된 OS로 해당 모뎀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은, 이벤트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모뎀별 입력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당 OS로 제공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는 경우, OS별로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OS별 프레임 버퍼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데이터 업데이트가 감지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가 존재할 시,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가 감지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 중 가장 최근 데이터 업데이트된 일정 개수의 프레임 버퍼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프레임 버퍼에서 해당 프레임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OS 실행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일정 개수로 분할된 가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Operating System : OS)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OS로부터 해당 OS가 지원하는 무선 망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OS에 대해, 모뎀-OS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OS에 일대일 대응하는 모뎀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모뎀으로 해당 OS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OS에 일대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 큐에 해당 OS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된 모뎀으로 해당 OS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은, 이벤트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OS별 출력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당 모뎀으로 제공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일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출력 데이터 큐가 존재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102468A 2008-10-20 2008-10-20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0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468A KR101501167B1 (ko) 2008-10-20 2008-10-20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2/573,320 US8315665B2 (en) 2008-10-20 2009-10-05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in multi-mod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09172390A EP2177991A1 (en) 2008-10-20 2009-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in multi-mod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U2009138599/08A RU2530332C2 (ru) 2008-10-20 2009-10-19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опер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в мобильном терминале связи с несколькими модемами
CN200910205041A CN101730304A (zh) 2008-10-20 2009-10-20 操作多调制解调器移动终端中的多操作系统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468A KR101501167B1 (ko) 2008-10-20 2008-10-20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434A true KR20100043434A (ko) 2010-04-29
KR101501167B1 KR101501167B1 (ko) 2015-03-10

Family

ID=4140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468A KR101501167B1 (ko) 2008-10-20 2008-10-20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15665B2 (ko)
EP (1) EP2177991A1 (ko)
KR (1) KR101501167B1 (ko)
CN (1) CN101730304A (ko)
RU (1) RU2530332C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4828A2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User interaction support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KR101229752B1 (ko) * 2011-06-01 201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8842080B2 (en) 2010-10-01 2014-09-23 Z124 User interface with screen spanning icon morphing
US8868135B2 (en) 2011-09-27 2014-10-21 Z124 Orientation arbitration
US8898443B2 (en) 2010-10-01 2014-11-25 Z124 Multi-operating system
US8933949B2 (en) 2010-10-01 2015-01-13 Z124 User interaction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through an extended graphics context
US8957905B2 (en) 2010-10-01 2015-02-17 Z124 Cross-environment user interface mirroring
US8966379B2 (en) 2010-10-01 2015-02-24 Z124 Dynamic cross-environment application configuration/orientation in an active user environment
US9047102B2 (en) 2010-10-01 2015-06-02 Z124 Instant remote rendering
US9063798B2 (en) 2010-10-01 2015-06-23 Z124 Cross-environment communication using application space API
US10211274B2 (en) 2015-07-31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528210B2 (en) 2010-10-01 2020-01-07 Z124 Foreground/background assortment of hidden windows
US10915214B2 (en) 2010-10-01 2021-02-09 Z124 Annunciator dra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4778A1 (en) * 2011-07-13 2013-01-24 Z124 Dynamic cross-environment application configuration/orientation
US9348633B2 (en) 2009-07-20 2016-05-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89877B2 (en) 2009-07-20 2016-07-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67331B2 (en) 2009-07-20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72711B2 (en) 2009-07-20 2016-06-2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8760459B2 (en) * 2009-12-30 2014-06-24 Intel Corporation Display data management techniques
GB201010900D0 (en) * 2010-06-29 2010-08-11 Futronics Group Ltd Communications system for mobile applications
WO2012023190A1 (ja) * 2010-08-18 2012-02-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着信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着信処理方法
US20130145279A1 (en) 2011-11-16 2013-06-06 Flextronics Ap, Llc Removable, configurable vehicle console
US8761831B2 (en) 2010-10-15 2014-06-24 Z124 Mirrored remote peripheral interface
JP5724421B2 (ja) * 2011-02-04 2015-05-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354900B2 (en) * 2011-04-28 2016-05-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window in a system having two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US8966004B2 (en) * 2011-09-29 2015-02-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ple virtual machines in a mobile virtualization platform
US20130178172A1 (en) * 2012-01-05 2013-07-11 James S. Rutledge Tunable wireless antenna for information handling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US9417753B2 (en) 2012-05-02 2016-08-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ual information between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US9342325B2 (en) 2012-05-17 2016-05-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nchronizing launch-configuration informa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application environments that are operable on a multi-modal device
CN104765623A (zh) * 2014-01-03 2015-07-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多操作系统的数据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9619242B2 (en) 2014-12-23 2017-04-11 Inte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initialize a platform
CN104618894B (zh) * 2015-01-22 2018-05-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装置和数据处理方法
US9565546B2 (en) * 2015-03-04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system acquisition while roaming
CN105550002B (zh) * 2015-12-28 2020-02-07 北京元心科技有限公司 基于系统切换的界面显示方法和智能终端
US10432299B2 (en) 2016-04-06 2019-10-01 Hughes Network Systems, Llc Hybrid satellite systems for enhanced performance and enhanced quality of service broadband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1592A1 (en) 2002-05-21 2003-12-12 Jesse E. Russell An advanced multi-network client device for wideband multimedia access to private and public wireless networks
KR100889865B1 (ko) 2002-11-07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방법
US7657234B2 (en) * 2004-02-05 2010-02-02 Qualcomm Incorporated Transparent broadcast services for a multi-mode wireless device
US7506170B2 (en) * 2004-05-28 2009-03-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secure access to multiple secure networks
KR101110486B1 (ko) 2005-04-19 2012-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트래픽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방법
US20080101446A1 (en) * 2006-10-31 2008-05-01 Motorola, Inc. Multi-modem scheduling on a communication device
CN101558595B (zh) 2006-12-15 2012-12-26 Lm爱立信电话有限公司 UTRAN HSDPA无线网络中的增强MAC-d复用
KR100830532B1 (ko) 2006-12-28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호 처리 방법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3798B2 (en) 2010-10-01 2015-06-23 Z124 Cross-environment communication using application space API
US8933949B2 (en) 2010-10-01 2015-01-13 Z124 User interaction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through an extended graphics context
US11573674B2 (en) 2010-10-01 2023-02-07 Z124 Annunciator drawer
WO2012044828A2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User interaction support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US10915214B2 (en) 2010-10-01 2021-02-09 Z124 Annunciator drawer
US10528210B2 (en) 2010-10-01 2020-01-07 Z124 Foreground/background assortment of hidden windows
US8898443B2 (en) 2010-10-01 2014-11-25 Z124 Multi-operating system
US9071625B2 (en) 2010-10-01 2015-06-30 Z124 Cross-environment event notification
US8957905B2 (en) 2010-10-01 2015-02-17 Z124 Cross-environment user interface mirroring
US8963939B2 (en) 2010-10-01 2015-02-24 Z124 Extended graphics context with divided compositing
US8966379B2 (en) 2010-10-01 2015-02-24 Z124 Dynamic cross-environment application configuration/orientation in an active user environment
US9727205B2 (en) 2010-10-01 2017-08-08 Z124 User interface with screen spanning icon morphing
US9026709B2 (en) 2010-10-01 2015-05-05 Z124 Auto-waking of a suspended OS in a dockable system
US9077731B2 (en) 2010-10-01 2015-07-07 Z124 Extended graphics context with common compositing
US9047102B2 (en) 2010-10-01 2015-06-02 Z124 Instant remote rendering
US9060006B2 (en) 2010-10-01 2015-06-16 Z124 Application mirroring using multiple graphics contexts
US8842080B2 (en) 2010-10-01 2014-09-23 Z124 User interface with screen spanning icon morphing
WO2012044828A3 (en) * 2010-10-01 2012-06-14 Imerj, Llc User interaction support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US9049213B2 (en) 2010-10-01 2015-06-02 Z124 Cross-environment user interface mirroring using remote rendering
US9098437B2 (en) 2010-10-01 2015-08-04 Z124 Cross-environment communication framework
US9678810B2 (en) 2010-10-01 2017-06-13 Z124 Multi-operating system
US9405444B2 (en) 2010-10-01 2016-08-02 Z124 User interface with independent drawer control
US9160796B2 (en) 2010-10-01 2015-10-13 Z124 Cross-environment application compatibility for single mobile computing device
US9152582B2 (en) 2010-10-01 2015-10-06 Z124 Auto-configuration of a docked system in a multi-OS environment
US8869074B2 (en) 2011-06-01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229752B1 (ko) * 2011-06-01 201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152179B2 (en) 2011-09-27 2015-10-06 Z124 Portrait dual display and landscape dual display
US9128659B2 (en) 2011-09-27 2015-09-08 Z124 Dual display cursive touch input
US9128660B2 (en) 2011-09-27 2015-09-08 Z124 Dual display pinyin touch input
US9104366B2 (en) 2011-09-27 2015-08-11 Z124 Separation of screen usage for complex language input
US8996073B2 (en) 2011-09-27 2015-03-31 Z124 Orientation arbitration
US8868135B2 (en) 2011-09-27 2014-10-21 Z124 Orientation arbitration
US10211274B2 (en) 2015-07-31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5665B2 (en) 2012-11-20
EP2177991A1 (en) 2010-04-21
CN101730304A (zh) 2010-06-09
RU2530332C2 (ru) 2014-10-10
KR101501167B1 (ko) 2015-03-10
RU2009138599A (ru) 2011-04-27
US20100097386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167B1 (ko) 다중 모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운용 체제를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116745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for foreground switch of J2ME application
US9485342B2 (en) Wireless device system-architecture
US10694394B2 (en) Spectrum sharing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 traffic
US20070033260A1 (en) Multiple operating systems sharing a processor and a network interface
US20140162680A1 (en) Providing Multiple Interfaces for Traffic
WO2019071612A1 (zh) 同时支持语音业务和数据业务的方法和终端
US20140282528A1 (en) Virtualization Congestion Control Framework
US10169109B2 (en) Switched application processor apparatus for cellular devices
JP2021520092A (ja) 上り伝送取消指示の傍受方法及び端末
CN103294553A (zh) 移动终端多媒体资源的管理方法及装置
JP7138181B2 (ja) サーチスペースにおけるチャネル推定数の割り当て方法及び端末装置
JP5540963B2 (ja) 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083540B2 (ja) マルチプロセッサを用いた交換制御方式
KR100830532B1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호 처리 방법
EP2822237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system, node, flow-control network, and communication-control method
KR20100062148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CN111328061A (zh) 一种音频资源的控制方法、车载终端和系统
CN103297625A (zh) 呼叫中心的cti中间件系统及虚拟化方法
CN107295547A (zh) 一种无线信号处理方法、装置和系统
KR20230024748A (ko)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3095298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2001275139A (ja) 加入者インタフェース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3394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제어국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H06222941A (ja) 疎結合マルチプロセッ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