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367A -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367A
KR20100043367A KR1020080102376A KR20080102376A KR20100043367A KR 20100043367 A KR20100043367 A KR 20100043367A KR 1020080102376 A KR1020080102376 A KR 1020080102376A KR 20080102376 A KR20080102376 A KR 20080102376A KR 20100043367 A KR20100043367 A KR 20100043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dhesive
organic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944B1 (ko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테크
Priority to KR102008010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9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02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02F1/0107Gaskets, spacers or sealing of cells; Filling and closing of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2매의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접착면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의 접착제를 바르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채워진 트레이(tray)를 로딩포지션(loading position)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로딩 픽커(picker)가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흡착 이동시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접착면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 접착제를 자동으로 바른 다음 또 다른 트레이에 언로딩(unloading)하여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글라스 기판(2) 및 글라스 커버(3)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기소자(1)의 측면을 지지수단이 수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홀딩된 유기소자의 도포부위인 가장자리 상면이 순차적으로 도포포지션(25)에 위치되도록 지지수단을 회전 및 승, 하강한 시킨 다음 X - Y로보트(34)에 의해 이송되는 도포수단(37)을 이용하여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는 공정을 반복 실시함에 따라 유기소자(1)에 액상 접착제를 자동으로 발라줄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80102376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가장자리 액상 접착제 자동 바름, 방향절환

Description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omitted}
본 발명은 2매의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접착면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의 접착제를 바르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채워진 트레이(tray)를 로딩포지션(loading position)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로딩 픽커(picker)가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흡착 이동시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접착면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 접착제를 자동으로 바른 다음 또 다른 트레이에 언로딩(unloading)하여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형 다이오드이다.
이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된 N×M 개의 화소(pixel)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방식과,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 대별된다.
상기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는 수동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어 대 면적 구현에 적합하며 고해상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기 화합물로부터 발광된 빛의 방출 방향에 따라 전면발광형 또는 배면발광형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전면발광형 및 배면발광형이 동시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로 다시 나뉘어진다.
상기 전면발광형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배면발광형과는 달리 상기 단위화소들이 위치한 기판 반대 방향으로 빛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개구율이 큰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소형화 및 저전력화에 따라 전면발광형인 주 표시창과, 배면발광형인 보조 표시창이 동시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주로 휴대전화에 사용되고 있는데, 외부에는 보조 표시창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주 표시창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보조 표시창은 주 표시창에 비하여 전력이 적게 들어 휴대전화가 통화 대기 상태인 경우 계속해서 온(on)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신상태, 배터리 잔여량 및 시간 등을 수시로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1)는 구동회로가 형성된 글라스 기판(2)과, 상기 글라스 기판에 형성된 구동회로를 보호하는 글라스 커버(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글라스 기판(2)은 구동회로의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가장자리에 실란 트(도시는 생략함)를 도포한 다음 구동회로를 보호하는 글라스 커버(3)를 접착 고정하여 보호하는데, 이들 2개의 글라스 기판(2) 및 글라스 커버(3)가 실란트(sealant)에 의해 접착되어 있더라도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접착면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이들 글라스 기판(2) 및 글라스 커버(3)의 접착면을 따라 별도의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거나, 틈새를 통해 습기가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글라스 기판 및 글라스 커버의 접착면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의 접착제를 자동으로 바르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붓 등을 이용하여 글라스 기판 및 글라스 커버의 접착면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의 접착제를 수동으로 바른 다음 경화시키도록 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작업자의 단순 반복작업에 따라 주의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액상의 접착제 도포작업에 따른 불량률이 증가되어 완성된 제품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둘째, 액상의 접착제를 수작업으로 도포함에 따라 많은 인력을 투입하고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셋째,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넓은 작업장을 필요로 하므로 토지확보 및 건물의 신축에 따른 부대 비용이 추가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능동 형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로딩부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복수 개의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이하 "유기소자"라 함)를 순차적으로 액상 접착제의 바르는 지점으로 자동이송시켜 실란트에 의해 접착된 글라스 기판 및 글라스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의 접착제를 자동으로 바른 다음 이를 경화챔버 측으로 이동시켜 경화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글라스 기판 및 글라스 커버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기소자의 측면을 지지수단이 수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홀딩된 유기소자의 도포부위인 가장자리 상면이 순차적으로 도포포지션에 위치되도록 지지수단을 회전 및 승, 하강한 시킨 다음 X - Y로보트에 의해 이송되는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유기소자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공정을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유기소자가 채워진 트레이를 로딩부에 위치시킨 다음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공지의 로딩 픽커가 복수개의 유기소자를 트레이로부터 홀딩하여 로테이터부의 흡착블럭으로 이송시킨 후 흡착블럭에 유기소자의 측면이 수직으로 흡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흡착블럭에 복수개의 유기소자가 흡착되고 나면 위치재결정수단에 의해 유기소자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로테이터부의 흡착블럭에 흡착된 유기소자의 액상 접착제 도포면이 도포포지션에 위치되도록 흡착블럭 베이스를 회전 및 승, 하강시킨 다음 X - Y로보트의 구동으로 이송되는 도포수단에 의해 액상 접착제를 유기소자의 가장자리에 순차적으로 바르는 단계와, 상기 유기소자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차례로 바르고 나면 공지의 언로딩 픽커에 의해 언로딩부에 위치하는 빈 트레이의 내부로 언로딩하는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과와,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위치하여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가 도포될 유기소자가 담겨진 트레이가 로딩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유기소자가 공지의 이송수단인 로딩픽커에 의해 이송되어 흡착블럭에 수직상태로 흡착됨에 따라 유기소자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로테이터부와, 상기 로테이터부를 수평상태로 승, 하강시키는 승, 하강수단과, 상기 로테이터부의 상측으로 X -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X - Y로보트에 설치되어 도포포지션에 위치하는 유기소자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액상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로딩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로테이터부까지 이동하는 공지의 언로딩 픽커에 의해 유기소자가 빈 트레이에 담겨지도록 하는 언로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장비의 자동화에 따라 로딩부에 유기소자가 차례로 끼워진 트레이를 위치시키기만 하면 이를 순차적으로 꺼내 유기소자의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 접착제 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언로딩부에 위치한 빈 트레이 내에 언로딩하게 되므로 액상 접착제 도포작업에 따른 불량률을 거의 제로(0)로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완성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게 된다.
둘째, 장비의 자동화로 적은 인력을 투입하고도 생산성을 극대화하게 되므로 고가인 인건비의 절약에 따라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장비의 자동화로 많은 양의 유기소자를 자동으로 핸들링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액상 접착제를 바를 수 있게 되므로 좁은 면적의 작업장에서도 작업이 가능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량을 증대시키더라도 토지확보 및 건물의 신축에 따른 부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11)의 일 측에 유기소자(1)가 담겨진 트레이(12)가 로딩되는 로딩부(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로딩부의 일 측에는 복수개의 유기소자(1)를 공지의 이송수단인 로딩 픽커(14)에 의해 이송시킴에 따라 유기소자(1)의 측면을 수직상태로 홀딩하여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로테이터부(rotator unit)(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딩부(13)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기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소자(1)가 담긴 트레이(12)를 실린더 (47)의 구동에 따라 축(48)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로딩 플레이트(49)에 수평상태로 로딩(loading)한 다음 실린더(47)의 로드를 밀면 로딩 플레이트(49)가 축(48)을 중심으로 90° 회동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로딩 픽커(14)가 트레이(12)에 담겨진 유기소자(1)를 홀딩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로딩 픽커(14)에 설치된 또 다른 실린더(14b)의 구동으로 홀딩수단(14a)을 90° 회전시켜 트레이(12)에 담겨진 유기소자(1)의 직하방으로 진입되도록 한 다음 약간 상승하면서 흡착한 후 트레이(12)로부터 빠져나왔다가 로딩 픽커(14)가 초기위치(로테이터부의 직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실린더(14b)의 재구동으로 홀딩수단(14a)을 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기기의 면적이 트레이(12)의 일 단면 길이만큼 커지더라도 로딩픽커(14)의 이동과정에서 회전시키지 않고도 트레이(12)에 담겨진 유기소자(1)를 로테이터부(15)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로딩부(13)에 트레이(12)를 수평상태로 로딩하여 이송시킬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유기소자(1)의 측면을 수직상태로 홀딩하여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로테이터부(15)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1)과 고정된 설치판(16)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7)의 안내에 따라 수평상태로 승, 하강하는 승강판(18)과, 상기 승강판에 회전 가능하게 브라켓(19)으로 지지 설치된 흡착블럭 베이스(20)와, 상기 흡착블럭 베이스에 복수 개 설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진공 형성공(21a)으로 진공압이 걸림에 따라 유기소자(1)의 측면을 흡착하는 흡착블럭(21)과, 상기 승강판(18)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흡착블럭 베이스(20)에 축(22)으로 연결되어 흡착블럭 베이스(20)를 회전시키는 모터(2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각 흡착블럭(21)의 측면(유기소자가 흡착되는 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진공 형성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유기소자(1)가 흡착되는 흡착면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마모성을 갖고 윤활성이 우수한 다이아몬드, 테프론, 페릴린 등의 코팅층(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로테이터부(15)는 승, 하강수단(24)에 의해 도포포지션(25) 및 로테이팅포지션(26) 또는 위치결정포지션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데, 상기 승, 하강수단(24)은 상기 설치판(16)에 고정되어 축(27)이 승강판(18)에 고정된 구동부(28)와, 상기 구동부(28)의 구동에 따라 승, 하강하는 승강판(18)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부(28)는 공압실린더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17)로는 설치판(16)의 네 모서리에 고정된 가이드부재(17a) 및 승강판(18)의 저면에 고정되어 가이드부재(17a)에 각각 끼워지는 가이드봉(17b)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로딩 픽커(14)가 트레이(12)에 있던 유기소자(1)를 홀딩하여 로테이터부(15)의 흡착블럭(21)에 정확히 흡착시키는 과정에서 트레이(12)에 형성된 요입홈(유기소자가 끼워지는 홈)(12a)의 공차 및 로딩 픽커의 흡착 또는 흡착블럭에서의 흡착과정에서 공차가 발생되므로 로테이터부(15)의 흡착블럭(21)에 유기소자(1)가 흡착된 다음 유기소자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위치결정부(29)를 로테이터부(15)에 더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결정부(29)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강판(18)의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 측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블럭(30)과, 상기 위치결정블럭을 구동하는 서보모터(31)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결정블럭(30)은 유기소자(1)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직가이드면(30a) 및 Y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평가이드면(3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수평가이드면(30b)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의 봉(32)을 고정하면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과정에서 유기소자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거나, 데미지(damage)가 작용되지 않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로딩 픽커 및 언로딩 픽커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위치결정부(29)를 구성하는 서보모터(31)의 축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풀리(44a)(44b) 중 어느 하나의 풀리에 고정함과 함께 풀리에는 타이밍벨트(50)를 걸고 상기 서보모터(31)가 설치되지 않은 풀리에 고정된 축(51)과 연결된 반대편 측의 풀리에도 타이밍벨트(52)를 걸어 각각의 타이밍벨트(50)(52)에 위치결정블럭(30)을 고정하면 서보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타이밍벨트(50)(52)의 위치가 가변될 때 로테이터부(15)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블럭(30)이 동시에 내 측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로테이터부(15)의 상측으로는 도포포지션(25)에 위치하는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액상 접착제 도포부(33)가 프레임(11)에 설치된 X - Y로보트(34)에 의해 X -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상 접착제 도포부(33)는 액상 접착제를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 측으로 분사하는 도포수단(37)과, 상기 도포수단(37)을 유기소자(1)의 액상 접착제 도포부위로 이동시키는 X - Y로보트(3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도포수단(37)으로 유기소자(1)에 액상 접착제를 직접 발라주는 도포노즐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유기소자(1)로부터 약 1-2mm 떨어진 상태에서 액상 접착제를 분사하는 젯팅밸브(jetting valve)로 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13)의 반대편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테이터부(15)까지 이동하는 공지의 언로딩 픽커(40)에 의해 유기소자가 빈 트레이(도시는 생략함)에 담겨지도록 하는 언로딩부가 구성되어 있어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전부 바르고 나면 이를 언로딩 픽커(40)가 동시에 흡착하여 언로딩부의 빈 트레이의 내부에 차례로 담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상기 로테이터부(15) 및 위치결정부(29)를 프레임(11)의 내부 양측에 인라인(in-line)으로 배치하면 일 측의 로테이터부(15)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를 액상 접착제 도포부(33)에 의해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과정에서 다른 일 측의 로테이터부(15)에 유기소자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으므로 고가 장비의 싸이클 타임(cycle-time)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로테이터부(15) 및 위치결정부(29)를 프레임(11)의 내부 양측에 인라인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상기 로테이터부(15)의 사이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 이 도포수단 크리닝부(42)를 더 구비하여 셋팅된 값(예를 들어, 1롯트)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상태에서 도포수단(37)의 출구를 주기적으로 자동 크리닝하는 것이 액상 접착제의 도포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수단 크리닝부(42)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제(35)가 담기는 탱크(36)와, 상기 탱크 내의 세정제에 잠기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세정제 수용공간(38a)을 갖는 실린더(38)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스프링(56)으로 탄력 설치되며 내부에는 세정제의 통로(39a)를 갖는 피스턴(39)과, 상기 피스턴의 선단에 설치된 크리너(55)와, 상기 피스턴(39)의 통로(39a) 및 실린더(39)의 통로를 개폐하는 볼(41a)(41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크리닝부(42)의 일 측에 공기압을 분사하는 노즐(46)을 설치하면 세정제에 의해 도포수단(37)을 크리닝 후 도포수단의 토출구에 잔류하는 세정제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로테이터부(15) 및 위치결정부(29)가 1개인 타입에서는 도포수단 크리닝부(42)를 어느 일 측에 구비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비를 이용하여 유기소자(1)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 접착제를 자동으로 바르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도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여 씰링(sealing)하고자 하는 유기소자(1)를 도 17에 나타낸 트레이(12)의 요입홈(12a)에 차례로 끼운 다음 이를 로딩부(13)의 로딩포지션 (loading position)에 로딩하게 된다.(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장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트레이(12)가 얹혀지는 로딩 플레이트(49)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기소자(1)가 채워진 트레이(12)를 로딩 플레이트(49)에 얹은 다음 실린더(47)를 작동시켜 트레이가 얹혀진 로딩 플레이트(49)가 화살표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수직상태로 하면 트레이(12)에 끼워진 유기소자(1)가 수평상태를 이루는데, 이 때 글라스 커버(3)가 로딩 픽커(14)에 의해 흡착되도록 글라스 커버(3)가 하부를 향하고 있고, 흡착블럭(21)에 흡착되는 글라스 기판(2)은 상부를 향하도록 유기소자(1)가 트레이(12)에 끼워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소자(1)가 끼워진 트레이(12)를 로딩부(13)에 수직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타트 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누르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홀딩수단(14a)을 갖는 공지의 로딩 픽커(14)가 X - Y로보트(43)에 의해 로딩부(1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 7a와 같이 홀딩수단(14a)을 실린더(14b)에 의해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S200)
그 후, 로딩 픽커(14)를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딩부(13)에 위치된 트레이(12) 측으로 진입시키면 각각의 홀딩수단(14a)이 유기소자(1)의 직하방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로딩 픽커(14)의 홀딩수단(14a)이 유기소자(1)의 글라스커버(3)에 접속되는 시점에서 진공압을 형성하면서 약간(유기소자가 요입홈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 상승한 다음 로딩 픽커(14)를 도 7c와 같이 트레이(12)로부터 후퇴시키면 복수 개의 홀딩수단(14a)에 의해 트레이(12)로부터 복수 개의 유기소자 (1)가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로딩 픽커(14)의 홀딩수단(14a)이 트레이(12)로부터 복수 개의 유기소자(1)를 흡착하여 꺼내고 나면 도 7d와 같이 유기소자(1)가 흡착된 홀딩수단(14a)은 실린더(14b)의 재 구동으로 초기상태로 환원되므로 흡착수단(14a)에 흡착되어 매달린 유기소자(1)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300)
그 후, 로딩 픽커(14)가 로드레스 실린더(53)의 구동으로 도 7e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의 궤적을 그리면서 로테이터부(15)의 흡착블럭(21) 사이에 도달하면 로딩픽커(14)가 로드레스실린더(53)의 재 구동으로 유기소자 흡착위치까지 하강하는데, 이 때 유기소자(1)가 흡착된 홀딩수단(14a)은 로테이터부(15)의 흡착블럭(21)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이므로 유기소자(1)가 흡착블럭(21)에 충돌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딩 픽커(14)가 흡착블럭(21) 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기소자(1)가 흡착면에 접속되는 순간 홀딩수단(14a)의 진공압을 해제하면 홀딩수단에 수직상태로 매달려 있던 유기소자(1)가 각각의 흡착블럭(21)에 흡착되는데, 이 때 상기 각각의 흡착블럭(21)에 형성된 진공 형성공(21a)에는 진공압이 걸리게 되므로 유기소자(1)가 흡착블럭(21)에 흡착된다.(S400)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유기소자(1)가 흡착블럭(21)에 흡착되고 나면 로딩 픽커(14)는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동작으로 로딩부(13)에 위치된 트레이(12)로부터 복수개의 유기소자(1)를 홀딩하여 다른 일 측에 위치된 로테이터부(15)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착블럭(21)에 유기소자(1)의 글라스 기판(2)이 수직상태로 흡 착됨과 동시에 그 위치가 정렬되어 있으면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로딩 픽커(14)에 의해 트레이(12)에 담겨진 복수개의 유기소자(1)를 흡착하여 로딩하므로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여야만 된다.
즉, 공차를 갖는 트레이(12)의 요입홈(12a)으로부터 복수 개의 유기소자(1)를 로딩 픽커(14)의 홀딩수단(14a)이 진공 흡착하여 흡착블럭(21)으로 이송시킴에 따라 각각의 유기소자(1) 위치가 다르게 되므로 위치를 재결정하여야 된다.
따라서 진공 형성공(21a)으로 작용되던 흡착압력을 유기소자(1)의 위치결정시 흡착블럭(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위치가 미세 이동할 수 있도록 1.5kg/㎠ 내외로 한 다음 서보모터(31)가 구동하여 타이밍벨트(50)(52)에 매달린 한 쌍의 위치결정블럭(30)을 도 13a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면 위치 이동 가능하게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있던 유기소자(1)가 도 13b와 같이 위치결정블럭(30)의 수직가이드면(30a)에 의해 Y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재 정렬된다.
상기 동작으로 각각의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있던 유기소자(1)의 Y축 방향의 위치가 재 정렬되고 나면 유기소자(1)로부터 수직가이드면(30a)이 미세하게 이격되도록 2개의 위치결정블럭(30)을 양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유기소자(1)의 상면이 수평가이드면(30b)에 고정된 봉(32)과 접속되도록 승, 하강수단(24)의 구동으로 승강판(18)을 약간 상승시키면 유기소자(1)의 상면이 수평가이드면(30b)에 고정된 봉(32)에 접속되므로 X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완료된다.
상기 위치결정블럭(30)의 이동으로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있던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고 나면 1.5kg/㎠ 내외로 작용되던 흡착압력을 5-6kg/㎠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위치결정블럭(30)이 초기 위치로 환원되므로 액상 접착제를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르는 과정에서 유기소자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는다.(S500)
이 때, 유기소자(1)의 최 상면은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포지션(25)에 위치된 상태이다.
상기 유기소자(1)의 위치가 재 정렬되고, 최 상면이 도포포지션(25)에 위치된 상태에서 X - Y로보트(34)가 구동하여 도포수단(37)을 로테이터부(15) 측으로 이동시키면 도포수단(37)이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상면에 근접(도포노즐은 0.2mm 내외, 젯팅밸브는 1-2mm 정도)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포수단(37)이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도포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게 되므로 유기소자(1)의 최 상면에 액상 접착제가 도포된다.(S600)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유기소자(1)의 최상면에 액상 접착제를 바르고 나면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가 도포수단(37)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승강판(18)이 도 14b와 같이 하강함과 동시에 모터(23)의 구동으로 흡착블럭(21)이 설치된 흡착블럭 베이스(20)를 도 14c와 같이 90° 회동시키게 되므로 어느 하나의 측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700)
이와 같이 액상 접착제가 다음 발라질 어느 하나의 측면이 수평방향에 위치되고 나면 도 14d와 같이 승, 하강수단(24)의 구동으로 유기소자(1)의 도포포지션(25)까지 승강판(18)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 때 승강판(18)은 가이드부(17)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승강판(18)이 상승하는 위치가 유기소자(1)의 상면 도포지점보다 높다.
이는, 액상 접착제가 발라지는 도포포지션(25)은 일정한데 반해, 높이가 높고 폭이 좁은 유기소자(1)가 최초 수직상태로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일 측면이 승강판(18)의 상승으로 도포포지션(25)에 도달하고 나면 전술한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포수단(37)이 유기소자(1)의 측면을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는데, 이 때 일면의 글라스 기판(2)에는 구동회로부가 형성되어 있어 액상 접착제를 발라줄 수 없게 되므로 구동회로부가 위치하는 지점에서는 발라진 액상 접착제가 모세관현상에 의해 접착면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도포수단(37)의 이동을 지연하면서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게 된다.(S800)
상기 유기소자(1)의 어느 일 측면에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고 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로테이터부(15)의 구동으로 흡착블럭 베이스(20)가 180° 회동할 때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가 도포수단(37)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승, 하강수단(24)에 의해 승강판(18)이 도 14c와 같은 상태로 하강함과 동시에 모터(23)가 구동하여 흡착블럭 베이스(20)를 180° 회동시키게 되므로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던 유기소자(1)의 다른 측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900)
그 후, 상기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다른 측면이 승강판(18)의 상승으로 도포포지션(25)에 도달하고 나면 전술한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포수단 (37)이 유기소자(1)의 측면을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게 된다.(S1000)
상기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있던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고 나면 액상 접착제 도포부(33)는 X - Y로보트(34)에 의해 초기 위치로 환원됨과 동시에 언로딩부에 위치되어 있던 언로딩 픽커(40)가 X - Y로보트(45)에 의해 흡착블럭(21)이 위치된 로테이터부(15)의 상부로 이동하여 액상 접착제가 발라진 유기소자(1)를 동시에 홀딩하여 도 15의 화살표와 같은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여 언로딩부에 위치된 빈 트레이의 내부로 언로딩하게 되는데, 상기 언로딩픽커(40)의 홀딩수단(40a)이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있던 유기소자(1)를 홀딩하는 순간에 홀딩수단(40a)에 진공압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흡착블럭(21)에 작용하던 진공압은 해제시키므로 유기소자(1)의 언로딩이 가능하다.(S1100)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소자(1)를 흡착블럭(21)에 흡착하여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고 액상 접착제가 발라진 다음에는 흡착블럭(21)에 흡착되어 있던 유기소자를 언로딩 픽커(40)가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유기소자(1)의 글라스 기판(2)이 흡착되는 흡착블럭(21)의 면에 내마모성을 갖고 윤활성이 우수한 다이아몬드, 테프론, 페릴린 등의 코팅층(21b)이 형성되어 있어 흡착블럭(21)의 흡착면이 마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마모에 따른 파티클(particle)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로딩부(13) 및 로딩 픽커(14) 그리고 언로딩 픽커(40) 및 언로딩부는 1개만 구성하고 로테이터부(15) 및 위치결정부(29)는 인라인(in-line)으로 나란히 구성하면 로딩부(13)의 트레이(12)로부터 유기소자(1)를 로딩 픽커(14)가 어느 하나의 로테이터부(15) 측으로 로딩하는 동안 다른 일 측에 위치된 로테이터부에서는 액상 접착제를 바르고, 어느 하나의 로테이터부에 로딩된 유기소자를 바를 때에는 이미 액상 접착제가 발라진 유기소자를 언로딩부의 언로딩 픽커(40)가 홀딩하여 언로딩하게 되므로 고가 장비의 가동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계속되는 유기소자(1)의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도포수단(37)의 분출공(도시는 생략함)에 액상 접착제의 분사에 따른 기화로 인해 물방울이 맺히면 액상 접착제가 분사되지 않으므로 도포수단(37)을 주기적으로 크리닝하는 크리닝 단계를 거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러한 크리닝 작업을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실시하여도 되지만, 장비의 자동화 실현을 위해 콘트롤러(도시는 생략함)에 셋팅된 값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리닝단계는 장비의 가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상태에서 도포수단(37)이 크리닝포지션에 도달함에 따라 도포수단(37) 측으로 세정제를 분사하여 크리닝한 다음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도포수단(37)이 크리닝부(42)의 크리너(55)의 직상부에 도달하고 나면 실린더(54)가 구동하여 탱크(36)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크리너(55)와 고정된 피스턴(39)이 스프링(56)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는 반면, 실린더(38)의 통로는 볼(41b)가 폐쇄하고 있어 수용공간(38a) 내에 있던 일정량의 세정제(35)가 통로(39a)의 출구를 폐쇄하고 있던 볼(41a)을 밀면서 상승하여 크리너(55)에 공급되므로 도포수단 (37)을 크리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도포수단(37)을 크리닝하고 나면 도포수단이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노즐(46)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액상 접착제가 토출되는 입구에 잔류하는 세정제를 제거하게 되므로 액상 접착제를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를 따라 안정적으로 발라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로딩부(13)에 위치하는 트레이(12)로부터 로딩 픽커(14)가 1회 홀딩하여 액상 접착제가 도포되는 로테이터부(15)로 이송시킨 다음 유기소자(1)의 방향을 전환시킨 후 도포수단(37)이 유기소자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언로딩 픽커(40)가 언로딩부의 빈 트레이로 언로딩하는 1싸이클(cycle)을 설명한 것으로, 로딩부에 유기소자가 위치되도록 트레이를 반복적으로 교체하거나, 별도의 자동화설비에 의해 유기소자가 채워진 트레이를 로딩시키기만 하면 연속적으로 반복 실시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언로딩부에 위치된 빈 트레이에 액상 접착제가 발라진 유기소자(1)가 채워지고 나면 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경화챔버(도시는 생략함) 측으로 이동시켜 일정 온도에서 액상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서, 유기소자의 액상 접착제 접착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e는 트레이로부터 유기소자를 꺼내 흡착블럭에 로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로딩 픽커 및 언로딩 픽커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로테이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로테이터부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측면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흡착블럭에 흡착된 유기소자를 언라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흡착블럭에 흡착된 유기소자를 로테이팅하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5는 언로딩 픽커가 흡착블럭으로부터 유기소자를 언로딩하는 상태도
도 16은 도포수단의 크리닝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도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기 소자 2 : 글라스 기판
3 : 글라스 커버 11 : 프레임
12 : 트레이 13 : 로딩부
14 : 로딩 픽커 15 : 로테이터부
18 : 승강판 20 : 흡착블럭 베이스
21 : 흡착블럭 24 : 승, 하강수단
25 : 도포포지션 26 : 로테이팅포지션
29 ; 위치결정부 30 : 위치결정블럭
33 : 액상 접착제 도포부 37 : 도포수단
40 : 언로딩 픽커 42 : 도포수단 크리닝부

Claims (16)

  1. 글라스 기판(2) 및 글라스 커버(3)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기소자(1)의 측면을 지지수단이 수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홀딩된 유기소자의 도포부위인 가장자리 상면이 순차적으로 도포포지션(25)에 위치되도록 지지수단을 회전 및 승, 하강한 시킨 다음 X - Y로보트(34)에 의해 이송되는 도포수단(37)을 이용하여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발라주는 공정을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을 흡착블럭(21)으로 하여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가 발라지는 유기소자(1)의 글라스 기판(2)을 흡착블럭(21)이 진공압에 의해 흡착한 상태에서 도포수단(37)을 이용하여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인 흡착블럭(21)이 유기소자(1)의 측면을 흡착한 상태에서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단계에서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흡착압력을 1.5kg/㎠ 내외로 하였다가 위치결정이 완료되고 나면 흡착압력을 5-6kg/㎠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 접착제 도포방법.
  5. 유기소자(1)가 채워진 트레이(12)를 로딩부에 위치시킨 다음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공지의 로딩 픽커(14)가 복수개의 유기소자(1)를 트레이(12)로부터 홀딩하여 로테이터부(15)에 위치하는 흡착블럭(21)으로 이송시킨 후 흡착블럭(21)에 유기소자(1)의 측면이 수직으로 흡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흡착블럭(21)에 복수개의 유기소자(1)가 흡착되고 나면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로테이터부(15)의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액상 접착제 도포면이 도포포지션(25)에 위치되도록 흡착블럭 베이스(20)를 회전 및 승, 하강시킨 다음 X - Y로보트(34)의 구동으로 이송되는 도포수단(37)에 의해 액상 접착제를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에 순차적으로 바르는 단계와, 상기 유기소자(1)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차례로 바르고 나면 공지의 언로딩 픽커(40)에 의해 언로딩부에 위치하는 빈 트레이의 내부로 언로딩하는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단계에서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흡착압력을 1.5kg/㎠ 내외로 하였다가 위치결정이 완료되고 나면 흡착압력을 5-6kg/㎠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 접착제 도포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수단(37)의 출구를 셋팅된 값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자동 크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단계는 도포수단(37)이 크리닝포지션에 도달함에 따라 도포수단(37) 측으로 세정제를 분사하여 크리닝한 다음 에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9.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위치하여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가 도포될 유기소자(1)가 담겨진 트레이(12)가 로딩되는 로딩부(13)와, 상기 로딩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유기소자가 공지의 이송수단인 로딩 픽커(14)에 의해 이송되어 흡착블럭(21)에 수직상태로 흡착됨에 따라 유기소자(1)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로테이터부(15)와, 상기 로테이터부를 수평상태로 승, 하강시키는 승, 하 강수단(24)과, 상기 로테이터부의 상측으로 X -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X - Y로보트(34)에 설치되어 도포포지션(25)에 위치하는 유기소자의 가장자리에 액상 접착제를 바르는 액상 접착제 도포부(33)와, 상기 로딩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로테이터부까지 이동하는 공지의 언로딩 픽커(40)에 의해 유기소자가 빈 트레이에 담겨지도록 하는 언로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부(15)는 프레임(11)과 고정된 설치판(16)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7)의 안내에 따라 수평상태로 승, 하강하는 승강판(18)과, 상기 승강판에 회전 가능하게 브라켓(19)으로 지지 설치된 흡착블럭 베이스(20)와, 상기 흡착블럭 베이스에 복수 개 설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진공 형성공(21a)으로 진공압이 걸림에 따라 유기소자(1)의 측면을 흡착하는 흡착블럭(21)과, 상기 승강판(18)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흡착블럭 베이스(20)에 축(22)으로 연결되어 흡착블럭 베이스(20)를 회전시키는 모터(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부(15)의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의 위치를 재결정하는 위치결정부(29)가 로테이터부(15)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 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29)는 승강판(18)의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흡착블럭(21)에 흡착된 유기소자(1) 측으로 동시에 이동하며 유기소자(1)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직가이드면(30a) 및 Y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평가이드면(30b)을 구비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블럭(30)과, 상기 위치결정블럭을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공지의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부(15) 및 위치결정부(29)를 프레임(11)의 내부 양측에 인라인으로 배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14.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부(15)의 일 측 또는 사이에 도포수단 크리닝부(42)를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포수단 크리닝부는 세정제(35)가 담기는 탱크(36)와, 상기 탱크 내의 세정제에 잠기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세정제 수용공간(38a)을 갖는 실린더(38)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며 내부에는 세정제의 통로(39a)를 갖는 피스턴(39)과, 상기 피스턴의 선단에 설치된 크리너(55)와, 상기 피스턴(39)의 통로(39a) 및 실린더(39)의 통로를 개폐하는 볼(41a)(41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부(15)를 구성하는 흡착블럭(21)의 흡착면에 내마모성을 갖고 윤활성이 우수한 코팅층(2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장치.
KR1020080102376A 2008-10-20 2008-10-20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 KR100987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76A KR100987944B1 (ko) 2008-10-20 2008-10-20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76A KR100987944B1 (ko) 2008-10-20 2008-10-20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67A true KR20100043367A (ko) 2010-04-29
KR100987944B1 KR100987944B1 (ko) 2010-10-18

Family

ID=4221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376A KR100987944B1 (ko) 2008-10-20 2008-10-20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9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850B1 (ko) * 2011-12-09 2013-09-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WO2014010861A1 (ko) * 2012-07-12 2014-01-16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WO2014027749A1 (ko) * 2012-08-14 2014-02-20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101440880B1 (ko) * 2012-12-06 2014-11-04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547B1 (ko) * 2010-11-12 2013-04-30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착제 도포방법
KR101379353B1 (ko) 2012-07-12 2014-04-10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101445746B1 (ko) 2014-04-21 2014-10-06 주식회사 디앤씨 도포 설비 및 이를 이용한 도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2130A (ja) * 1991-05-30 1992-12-07 Iwasaki Electric Co Ltd 液晶セル封止方法及び装置
JP2006231192A (ja) 2005-02-24 2006-09-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塗布装置
KR20060134685A (ko) * 2005-06-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850B1 (ko) * 2011-12-09 2013-09-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WO2014010861A1 (ko) * 2012-07-12 2014-01-16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WO2014027749A1 (ko) * 2012-08-14 2014-02-20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101440880B1 (ko) * 2012-12-06 2014-11-04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944B1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944B1 (ko)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 장치
CN101254495B (zh) 基板的输送涂布装置
US9411178B2 (en) Apparatus for etching substrate and fabrication line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0822843B1 (ko) 기판접합장치
TWI460020B (zh) Smearing and smearing method
JPWO2007037005A1 (ja) ワーク収納装置
KR101389137B1 (ko) 접착제 도포장치
KR101033160B1 (ko) 수직형 기판 이송장치
KR101167078B1 (ko) Oled기판의 합착장치
KR20140022620A (ko) 접착제 도포장치
KR20150042701A (ko) 처리 시스템
JP2013175622A (ja) 塗布装置、基板保持装置および基板保持方法
KR101859279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090057901A (ko) 기판 접합 시스템
KR101344926B1 (ko) 지지유닛,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KR101384092B1 (ko) 기판 이송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기판 검사장비
JP2008210881A (ja) 局所クリーン搬送装置における物品受渡し時の清浄度保持装置
TWI408764B (zh) Substrate handling system
KR101379353B1 (ko) 접착제 도포장치
JP5244445B2 (ja) 塗布装置
KR100743031B1 (ko) 유체 디스펜싱 시스템
KR102225634B1 (ko) 본딩 스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KR10178740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CN206591173U (zh) 蒸镀系统
KR101795678B1 (ko) 봉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