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161A -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3161A KR20100043161A KR1020100022312A KR20100022312A KR20100043161A KR 20100043161 A KR20100043161 A KR 20100043161A KR 1020100022312 A KR1020100022312 A KR 1020100022312A KR 20100022312 A KR20100022312 A KR 20100022312A KR 20100043161 A KR20100043161 A KR 20100043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construction
- large diameter
- constructing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구경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교각기둥(pier), 파일기둥(pile), 건물기둥(column) 등으로 시공하는 방법과, 이러한 기둥 시공방법을 적용한 구조물의 골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large diameter pillar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work of a structure by applying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single large diameter while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made of precast concrete of unit leng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er, a pile, a column of a column, and a frame framing method using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일반적으로 구조물에서 수직부재인 기둥은 하중을 전달하면서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부재가 되는데, 기둥으로는 기초 아래의 파일기둥, 교량에서의 교각기둥, 일반 건축물에서의 건물기둥 등이 있다. In general, pillars, which are vertical members in a structure, become members that finally support the load while transferring them. Examples of pillars include pile columns below a foundation, bridge columns in bridges, and building columns in general buildings.
기둥의 시공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1절 단위(보통 1~3개층 높이)로 제작된 형강재, 강관, PC 등의 건식부재를 현장에 반입하여 조립식으로 시공하는 건식시공방법과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하는 습식시공방법이 그것이다. 건식시공방법과 습식시공방법은 다양한 여건(시공현장상황, 공사규모, 공사기간,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pillar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dry construction method which carries out dry construction such as section steel, steel pipe, PC, etc. manufactured in 1 unit (usually 1 ~ 3 floor height) and installs them on the site. Wet construction method that reinforces reinforcement in the field and pours concrete to finish. The dry construction method and the wet construction method ar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construction situation, construction scale,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cost, etc.).
하지만, 규모가 큰 구조물이나, 장스팬으로 설계된 구조물 또는 지반이 연약하여 충분한 보강이 필요한 구조물에서는 기둥의 직경이 1000~3000㎜에 달하는 대구경 기둥(건물기둥, 파일기둥, 교각기둥 등)이 필요한데, 지금까지는 대구경 기둥의 시공을 습식시공방법에 의존하면서 시공해왔다. 왜냐하면 종래의 건식시공방법 하에서는 건식부재의 규모가 상당히 비대해져 운반과 양중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현재의 대구경 기둥 시공은 현장에서의 습식시공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 즉, 작업량 증대, 충분한 공사기간 필요, 불확실한 시공품질 등을 수반하고 있는 상황이다.
However, large structures, structures designed for long spans, or structures that require sufficient reinforcement due to soft ground, require large diameter columns (building columns, pile columns, piers, etc.) with pillar diameters ranging from 1000 to 3000 mm. Until now, the construction of large diameter columns has been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wet construction method. This is because under the conventional dry construction method, the size of the dry member is considerably enlarged, making transportation and lifting difficult. Therefore, the current large diameter pillar construction is a situation that involves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increased work volume, sufficient construction period, uncertain construction quality due to wet construction in the fiel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대구경 기둥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면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함으로써 현장 습식시공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한 대구경 기둥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ield wet type by constructing a single large diameter pillar while laying up and down a plurality of unit blocks made of precast concrete of unit length while hav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 diameter pillar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large diameter pillar construction method that solves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construc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중에 시공되는 파일기둥을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은 상·하부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단위블록 상호간을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pillar constructed in the ground as a large diameter pillar, while constructing a single large diameter pillar while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made of precast concrete of unit length up and down The unit blocks are manufactured so that coupling grooves or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the vertically stacked construction method of large diameter pillar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blocks are laminated by custom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파일기둥, 교각기둥 또는 건물기둥을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다수개의 단위블록의 관통홀에 동시에 끼워져 긴장 정착한 수직의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단위블록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ile pillar, a pier pillar or a building pillar as a large diameter pillar, while constructing a single large diameter pillar while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made of precast concrete of unit length up and down, the unit block Silver is manufactured so that through-hol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laminated at the same time by closely fitting the unit blocks by vertical steel wires or steel bar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of a plurality of unit blocks at the same time. Provides a vertical stacking method of the column.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단위블록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건물기둥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건물기둥에 보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건물기둥에서 보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의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함으로써 보와의 접합부에 거치턱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거치턱에 보를 거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골조시공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rame of the building, the pillar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large-sized building pillar in the vertical stacking method of the laminated construction while the unit blocks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teel wire or steel rod; and the building Beam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while joining the beam to the column; including, but the column construction step is adopted to the junction with the beam by adopting that the unit block immediately below the junction with the beam in the building pillar is made larger than other unit blocks The mounting jaw is made to be provided, and the beam construction step provides a fram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made while mounting the beam on the mounting jaw.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단위블록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건물기둥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건물기둥에 철골보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건물기둥에서 보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대신에 강재브라켓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건물기둥의 강재브라켓에 철골보를 용접 또는 볼트접합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골조시공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rame of the building, the pillar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large-sized building pillar in the vertical stacking method of the laminated construction while the unit blocks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teel wire or steel rod; and the building Beam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while joining the cheolgolbo to the pillar; comprising, but the pillar construction step is made by installing a steel bracket instead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junction of the beam in the building pillar, the beam construction step is Provided is a fram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welding or bolted steel cheolgolbo to the steel bracket of the building pilla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첫째, 현장에서 습식공정을 따르지 않고 건식공정으로 대구경 파일기둥, 교각기둥, 건물기둥 등을 시공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현장작업 간소화에 따른 작업성과 경제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Firs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large-diameter pile pillars, pier columns, building pillars, etc. by dry process without following the wet process in the fiel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by simplifying field work.
둘째, 공장에서 생산된 일정품질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설계내력의 안정성을 가지는 대구경 기둥시공이 가능해진다.Seco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stant construction quality because of the use of a certain quality precast concrete member produced in the factor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large diameter pillar having a stability of the design strength.
셋째, 상하 적층되는 단위블록 상호간을 강선 또는 강봉으로 긴장시키면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압축부재인 기둥을 압축방향으로 포스트텐션을 가하면서 시공하는 것과 다름없게 되어 압축력이 보강된 대구경 기둥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Third, since the unit blocks stacked up and down are joined together while being tensioned with steel wires or steel rods, the pillars, which are the compression members, are applied as post-tension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맞춤결합하여 대구경 파일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연결되어 대구경 파일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연결되어 대구경 교각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연결되어 대구경 건물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대구경 건물기둥의 시공방법이 탑다운공법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시공순서도이다.1 and 2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unit blocks are laminated by a large-diameter pile pillar by custom coupling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unit block is laminated by a large-diameter pile pillar connected by a steel wire or a steel ro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unit blocks are laminated by a large-diameter pier pillar by being connected by steel wires or steel bar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nit block is laminated by a large diameter building pillar is connected by a steel wire or steel ro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struction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large-diameter building pillar according to FIG. 6 is applied to the top-down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식의 단위블록(100, 200) 다수개를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파일기둥, 교각기둥, 건물기둥 등)으로 시공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시공하고자 할 대구경 기둥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면서 소정의 단위길이를 가지는 단위블록(100, 200)을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준비하고, 이렇게 준비된 단위블록(100, 200)을 현장에 반입한 후 하나씩 적층하면서 단위블록(100, 200) 상호간을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단위블록(100, 200)의 단위길이는 운반 및 양중을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령 1000~3000㎜ 직경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50~200㎜의 높이로 제작함이 적당하다. 또한, 단위블록(100, 200)은 시공할 대구경 기둥의 모양에 따라 원형, 각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단독으로 프리캐스트화한 것은 물론 콘크리트와 다른 재료(플라스틱, 강재 등)를 합성하여 프리캐스트화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in the construction of a single large diameter column (pile column, pier column, building pillar, etc.) while stacking a plurality of dry unit blocks (100, 200). 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에서 단위블록(100, 200)의 적층시공은, 시공위치(파일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천공된 천공홀(H), 교각기둥 내지 건물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기둥위치)에서 직접 하나씩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 시공현장에서 여럿의 단위블록(100, 200)을 하나의 시공단위로 구성한 후 시공단위별로 시공위치에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구경 기둥도 건식공정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건식화에 따른 다양한 효과(작업성 향상, 공사비 감축, 공사기간 단축 등)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inated construction of the unit blocks (100, 200) is directly in the construction position (perforated drilling holes (H) if the construction in the pile pillars, pillar positions if the construction in the pillar columns or building pillars) As well as proceeding with the construction by laminating one by one, it is also possible to proceed with a method of construct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200) in a construction site by laminating at a construction location for each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large diameter column in a dry process, and as a result, various effects (improving workability, reducing construction cost, shortening construction period, etc.) may be expecte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기둥의 적층식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로서, 단위블록(100) 다수개가 맞춤결합하면서 적층되어 하나의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시공되는 예를 보여준다.1 and 2 is an embodiment of a laminated construction method of large diameter pill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블록(100)은 상·하부면에 결합홈(110) 또는 결합돌기(120)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며, 단위블록(100) 상호간은 상기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된다. 맞춤결합에 따라 단위블록(100) 상호간 하중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적층된 다수개의 단위블록(100)은 지중에 시공되어 하나의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거동하면서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 As shown, the
단위블록(1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완성한 후에 대구경 파일기둥(P1)과 천공된 지중 사이에 추가적으로 그라우팅(G)을 하여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도 1(c)에서와 같이 단위블록(100) 상호간 들쑥날쑥 측면요철이 형성되게 시공한다면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측면요철은 단면크기가 다른 단위블록(100)을 맞춤결합하여 형성시키거나 동일한 단면크기의 단위블록(100)을 어긋나게 맞춤결합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물론, 단위블록(100)이 적층 시공완료되어 파일기둥(P1)이 완성된다면 그 위로는 기초(F)가 시공된다.After the
맞춤결합에 의한 적층방식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블록(100)의 결합돌기(120)에 고무링(121)을 끼운 상태에서 단위블록(100) 상호간에 맞춤결합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위블록(100) 상호간의 밀착결합과 함께 고무링(121)에 의한 완충작용을 유도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2, the stacking method by custom coupling may induce a custom coupling between the
단위블록(100)은 크레인에 의한 양중을 위해 그 상부면에 크레인의 갈고리를 걸기 위한 양중고리(130)가 고정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 경우 단위블록(100) 하부면에는 상부면의 양중고리(130)가 수용되는 수용홈(140)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양중고리(13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이웃하는 단위블록(100) 상·하부면을 서로 맞닿게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기둥의 적층식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200) 다수개가 긴장 정착한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적층 연결되어 하나의 파일기둥(P1), 교각기둥(P2), 건물기둥(P3)으로 시공되는 예를 보여준다.3 to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aminat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large-diameter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블록(200)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며, 관통홀(210)에 동시에 끼워져 긴장 정착한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다수개의 단위블록(200)은 밀착 연결되면서 적층 시공된다. 이때, 강선 또는 강봉(220)을 정착시키고 난 후 강선 또는 강봉(220)이 끼워진 단위블록의 관통홀(210)에는 그라우팅하여 강선 또는 강봉(220)을 구속시킬 수도 있다.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한 밀착 연결에 따라 단위블록(200)이 서로 긴결되어 단위블록(200) 상호간에 하중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적층된 다수개의 단위블록(200)은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거동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특히, 밀착 연결에 의한 적층방식은 강선 또는 강봉(220)이 긴장된 후 정착되면 곧 포스트텐션을 가하면서 다수개의 단위블록(200)을 긴결시킨 것이 되기 때문에 포스트텐션에 의해 압축력이 더욱 강화된 대구경 기둥으로의 시공을 가능케 한다. 물론, 밀착 연결결합에 의한 적층방식은 앞서 살펴본 맞춤결합에 의한 적층방식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관통홀(210)과 함께 상·하부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단위블록(200)을 제작하고, 이러한 단위블록(200)을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한 맞춤결합과 함께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한 밀착 연결결합을 유도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stacking method by the close connection is a large diameter column that is further strengthened by post tension because the steel wire or
강선 또는 강봉(220)을 끼우기 위해 단위블록(200)에 형성되는 관통홀(210)은 도 4(a)에서와 같이 면내에 형성되는 것은 물론 도 4(b)에서와 같이 단위블록(200) 측면에서부터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도 4(b)에서와 같이 형성된다면 강선 또는 강봉(220)이 단위블록(200) 측면에서부터 안내되어 끼워질 수 있으므로,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한 단위블록 상호간의 연결작업이 훨씬 수월해진다. 또한, 단위블록(200)을 크레인으로 양중하기 위해 단위블록(200)은 크레인의 갈고리를 걸기 위한 양중고리(230)가 고정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데, 도 4(a)는 양중고리(230)가 단위블록(200) 상부면에 고정된 예를 보여주며, 도 4(b)는 양중고리(230)가 중공형 단위블록(200)에서 중공부 측면에 고정된 예를 보여준다. 물론, 도 4(a)에서와 같이 단위블록(200) 상부면에 양중고리(230)가 고정된다면 단위블록(200)은 그 하부면에 양중고리(230)가 수용되는 수용홈(240)이 형성되도록 제작해야 할 것이나, 도 4(b)에서와 양중고리(230)가 단위블록(200)의 중공부 측면에 고정된다면 별도의 수용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도 4(b)와 같은 중공형 단위블록(2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위블록의 경량화가 가능해져 운반 및 양중이 훨씬 유리할 것이며, 다만 경우에 따라 단위블록의 중공부에는 철근을 배근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그라우팅을 하는 등 추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공형 단위블록은 현장 시공을 위한 일종의 거푸집 기능을 하게 될 것이고 아울러 중공부 측면의 양중고리(230)는 단위블록과 그라우팅재의 일체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The through
도 3은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완성한 예를 보여준다.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도 3(c)에서와 같이 대구경 파일기둥(P1)과 천공된 지중 사이에 추가적으로 그라우팅(G)을 하여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단위블록(200) 상호간 들쑥날쑥 측면요철이 형성되게 시공한다면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측면요철은 단면크기가 다른 단위블록(200)을 맞춤결합하여 형성시키거나 동일한 단면크기의 단위블록(200)을 어긋나게 맞춤결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단위블록(200)이 적층 시공완료되어 파일기둥(P1)이 완성된다면 그 위로는 기초(F)가 시공되는데, 도 3(b) 및 도 3(c)에서와 같이 단위블록(200)의 밀착 연결결합에 이용된 강선 또는 강봉(220)의 끝단을 맨 위의 단위블록(200)보다 더 돌출된 상태로 정착구에 의해 정착되도록 하면 강선 또는 강봉(220)의 정착단부는 파일기둥(P1)과 기초(F)의 일체화에 기여한다.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도 5는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교각기둥(P2)으로 완성한 예를 보여준다. 교각기둥(P1) 위에는 교각기둥(P1)을 연결하는 보(B)와 슬래브(S)가 시공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완성되는 교각기둥(P2)에서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할 것을 제안한다.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의 단위블록이 돌출되기 때문에 보(PC보, 철골보, 하프PC보 등)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턱(250)이 자연스럽게 마련되며, 그 결과 보(B)를 상기 거치턱(250)에 거치하는 것으로 보의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교각기둥(P2)과 보(B)의 접합부에는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교각기둥(P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보(B) 상호간을 연결봉(R)으로 연결하면 응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상기 연결봉(R)은 교각기둥(P2) 상부의 강선 또는 강봉(220)의 정착단부와 함께 교각기둥(P2)과 보(B)의 접합부에 타설된 현장콘크리트에 매입되어 교각기둥(P2)과 보(B)의 일체화에도 기여한다. 상기 교각기둥(P2)과 보(B)의 접합부에 타설되는 현장콘크리트는 교랑의 슬래브(S) 시공과 함께 진행할 수 있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도 6은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건물기둥(P3)으로 완성한 예를 보여준다. 건물기둥(P3)에는 보(B) 및 슬래브(S)가 접합 시공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6(a)에서와 같이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하여 거치턱(250)이 마련되도록 하거나, 도 6(b)에서와 같이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대신에 강재브라켓(300)을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도 6(a)는 무수축모르타르(M) 등을 이용하여 수평레벨을 조절하면서 보(B)를 단위블록의 거치턱(230)과 대면하는 단위블록의 측면에 고정한 예를 도시하며, 도 6(b)는 건물기둥의 강재브라켓(300)에 철골보(B)를 볼트접합(물론, 용접접합도 가능함)한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6(b)와 같이 건물기둥과 철골보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골조에서 상기 강재브라켓(300)은 철골보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은 물론 철골보와 다른 단면을 가져도 철골보와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가령 H형 철골보가 시공되는 경우라면 강재브라켓(300) 또한 H형 단면으로 준비하여 플랜지와 웨브접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강재브라켓을 단위블록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로 준비한 후 H형 철골보의 상하플랜지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플랜지접합만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보(B)와의 접합부를 포함하여 건물기둥(P3) 전체를 단위블록(내지 강재브라켓)을 적층 시공하여 완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보와의 접합부는 도 5의 교각기둥 시공과 마찬가지로 현장콘크리트로 일체화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건물기둥의 층간부분만을 단위블록에 의한 적층 시공으로 완성할 수도 있다.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nit blocks 200 are laminated and completed with a large-diameter building pillar P3. Since the beam (B) and the slab (S) is bonded to the building pillar (P3), 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a)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junction with the beam (B) in the building pillar (P3) The unit block is adopted to be made larger than the other unit block so that the mounting
도 7은 앞서 살펴본 도 6(a)에서와 같은 대구경 건물기둥의 시공방법이 탑다운공법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공법은 통상의 탑다운공법과 거의 동일하며, 다만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난 후 지반을 천공하여 건물기둥(P3)을 시공할 때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완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기둥위치를 천공한 후에 천공홀(H)에 강선 또는 강봉(220)으로 밀착 연결하면서 단위블록(200)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건물기둥시공단계를 진행하고, 이어 건물기둥(P3)과 건물기둥(P3) 사이를 굴착하는 굴착단계와 건물기둥(P3)과 건물기둥(P3) 사이의 보를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면서 골조를 하향식으로 시공하는 것이다.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large-diameter building pillar as shown in FIG. 6 (a) is applied to the top-down method. The top-dow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normal top-down method, except that the
건물기둥시공단계는 보와의 접합을 고려하여 보와의 접합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거치턱(250)을 형성하는 단위블록이 설치되도록 진행하거나 강재브라켓(300)이 설치되도록 진행해야 할 것이며, 아울러 건물기둥(P3)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건물기둥(P3) 하부를 그라우팅하여 기초구근이 형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Building pillar construction step should proceed to install the unit block to form the mounting
한편, 건물기둥(P3)에서 최하단에 설치되는 단위블록의 경우에는 단면크기가 큰 것을 채택하여 충분한 선단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매트기초로 마무리되는 최하층 바닥과 건물기둥과의 일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매트기초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또한 다양한 단면크기의 것을 채택하여 단위블록 자체가 쐐기로서 역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f)참조).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nit block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ilding pillar (P3) it is preferable to adopt a large cross-sectional size so that sufficient end support force can be exerted, and further integrated with the bottom floor and the building pillar finished with a mat basis In order to enhance the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blocks located at the junction with the mat base also adopt various cross-sectional sizes so that the unit blocks themselves can serve as wedges (see FIG. 7 (f)).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lso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elow.
100, 200: 단위블록
110: 결합홈
120: 결합돌기
210: 관통홀
220: 강선 또는 강봉
130, 230: 양중고리
140, 240: 수용홈
250: 거치턱
300: 강재브라켓
H: 천공홀
F: 기초
P1, P2, P3: 기둥
M: 무수축 모르타르
B: 보
S: 슬래브100, 200: unit block
110: coupling groove
120: engaging projection
210: through hole
220: liner or rod
130, 230: double ring
140, 240: accommodation groove
250: mounting jaw
300: steel bracket
H: drill hole
F: base
P1, P2, P3: pillar
M: non-shrink mortar
B: Bo
S: slab
Claims (11)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100)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100)은 상·하부면에 결합홈(110) 또는 결합돌기(120)가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단위블록(100) 상호간을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pillar (P1) to be constructed in the ground as a large diameter pillar,
While construct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made of precast concrete having a unit length up and down while constructing one large diameter column, the unit block 100 has a coupling groove 110 or a coupling protrusion 12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 Is formed to form a unit block 100, the vertical stack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large diameter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inated construction by combining the coupling groove 110 and each other by the coupling protrusion 120.
결합돌기(120)가 형성된 단위블록(100)은 결합돌기(120)에 고무링(121)이 끼워진 채 결합홈(110)이 형성된 단위블록(100)과 상호 맞춤결합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In claim 1,
The unit block 100 having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rubber ring 121 is fit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so as to be mutually combined with the unit block 100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110 is formed. Vertical stacking method for large diameter columns.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200)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200)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다수개의 단위블록의 관통홀(210)에 동시에 끼워져 긴장 정착한 수직의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단위블록(200)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pillar (P1), a pier pillar (P2) or a building pillar (P3) as a large diameter column,
While construct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200 made of precast concrete of unit length up and down while constructing one large diameter pillar, the unit block 200 is formed so that the through hole 210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Up and down stacking of large-diameter pillars, which are manufactur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210 of a plurality of unit blocks at the same time and laminated by tightly connecting the unit blocks 200 to each other by vertical steel wires or steel rods 220 that are tightly fixed. Formula construction method.
상기 단위블록(200)은 상·하부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단위블록(200) 상호간을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In claim 3,
The unit block 200 has a coupling groove or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unit block 200, the vertical stack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large diameter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inated construction by combining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jection between each other.
상기 단위블록(200)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형 부재로서 중공부의 측면에 크레인의 갈고리를 걸기 위한 양중고리(230)가 고정되도록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3 or 4,
The unit block 200 is a hollow member having a hollow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ly laminat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large diameter pill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bilateral ring 230 is fixed to the hook of the crane on the side of the hollow portion.
상기 단위블록(200) 다수개를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상호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고 난 후 단위블록 중앙의 중공부에 철근을 배근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그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In claim 5,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200 while being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teel wires or steel rods 220,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or placing concrete or grouting the hollows in the center of the unit block. Top and bottom laminated construction method.
상기 단위블록(100, 200) 다수개를 단위블록 상호간 들쑥날쑥 측면요철이 형성되도록 적층 시공하며,
측면요철이 형성되도록 적층 시공된 단위블록 외주면에 그라우팅(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Laminating and construct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200) to form a jagged side irregularities between the unit blocks,
The vertically stacked construction method of a large diameter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ting (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nit blocks laminated to form the side irregularities.
상기 제3항의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 보(B)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의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함으로써 보와의 접합부에 거치턱(250)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거치턱(250)에 보(B)를 거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A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frame of the structure while applying the vertical stacking method of the large diameter pillar of claim 3,
Column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large diameter piers pillar (P2) or building pillars (P3) by the vertical stacking method of the large diameter pillar of claim 3;
Comprising the beam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while bonding the beam (B) to the pier pillar (P2) or building pillar (P3);
In the column construction step, the mounting block 250 is connected to the beam by adopting that the unit block immediately below the junction with the beam B in the pier pillar P2 or the building pillar P3 is made larger than the other unit blocks. To be prepared,
The beam construction step is a skeleton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while mounting the beam (B) on the mounting jaw (250).
상기 제3항의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 철골보(B)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대신에 강재브라켓(30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강재브라켓(300)에 철골보(B)를 용접 또는 볼트접합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A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frame of the structure while applying the vertical stacking method of the large diameter pillar of claim 3,
Column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large diameter piers pillar (P2) or building pillars (P3) by the vertical stacking method of the large diameter pillar of claim 3;
Comprising the construction step while joining the cheolgolbo (B) to the pier pillar (P2) or building pillar (P3);
The pillar construction step is made by installing the steel bracket 300 in place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junction with the beam (B) in the pier pillar (P2) or building pillar (P3),
The beam construction step is a skeleton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while welding or bolted steel cheolgolbo (B) to the steel bracket (300).
상기 보시공단계 후에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과 보(B) 위로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슬래브(S)를 시공하는 슬래브시공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슬래브시공단계는 기둥시공단계에서 단위블록 상호 간을 밀착 연결한 강선 또는 강봉(220)의 정착단부를 현장콘크리트에 매입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8 or 9,
The slab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slab (S) while placing the site concrete over the pier pillar (P2) or building pillar (P3) and the beam (B) after the beam construction step;
The slab construction step is a fram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while buying the fixing end of the steel wire or steel rod 220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unit blocks in the pillar construction step to the site concrete.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난 후 지반을 천공하여 건물기둥(P3)을 시공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기둥시공단계 후에 건물기둥(P3)과 건물기둥(P3) 사이를 굴착하는 굴착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굴착단계 후에 상기 보시공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굴착단계와 보시공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탑다운공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8 or 9,
The pillar construction step proceeds to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pillar (P3) by drilling the grou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 wall,
After the pillar construction step proceeds the excavation step of digging between the building pillar (P3) and the building pillar (P3),
After the excavation step proceeds to the construction step,
Fram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the top-down method by repeatedly proceeding the excavation step and the construction ste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5543 | 2007-12-21 | ||
KR20070135543 | 2007-12-21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2874A Division KR101004747B1 (en) | 2007-12-21 | 2008-03-12 |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3161A true KR20100043161A (en) | 2010-04-28 |
Family
ID=409957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2874A KR101004747B1 (en) | 2007-12-21 | 2008-03-12 |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KR1020100022312A KR20100043161A (en) | 2007-12-21 | 2010-03-12 |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2874A KR101004747B1 (en) | 2007-12-21 | 2008-03-12 |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1004747B1 (en) |
EA (1) | EA01790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5439B1 (en) | 2011-03-29 | 2011-09-16 | 우경기술주식회사 | The a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it's method |
KR101638082B1 (en) * | 2015-11-10 | 2016-07-08 | (주)아그루코리아 | Pipe supports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
KR102074098B1 (en) | 2019-05-13 | 2020-02-05 | 이성권 | Factory Frame Module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
KR102401212B1 (en) * | 2021-11-29 | 2022-05-24 | (주)유주 |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5710A (en) * | 1983-11-14 | 1985-06-11 | Kensetsu Kiso Eng Kk | Constructing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crete block used therein |
JPS60148920A (en) * | 1983-12-02 | 1985-08-06 | Sutorongu Hoorudo Internatl Japan Kk | 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construction |
JPS6233926A (en) * | 1985-08-02 | 1987-02-13 | Takenaka Komuten Co Ltd | Pile foundation of pile-up structure |
GB9220975D0 (en) * | 1992-10-06 | 1992-11-18 | Air Prod & Chem |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purity gas |
US6367764B1 (en) * | 1994-08-29 | 2002-04-09 | Michael G. Butler | Versatile threaded construction stake usable to anchor and/or support construction forms, including concrete slab foundation forming devices |
KR100549649B1 (en) * | 2002-11-28 | 2006-02-08 |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 Precast Tall Pier for Bridge |
KR100599533B1 (en) * | 2004-08-31 | 2006-07-13 | 이엑스티 유한회사 | Concrete Pile Member with an Extended Head |
-
2008
- 2008-03-12 KR KR1020080022874A patent/KR10100474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8-10-23 EA EA201070784A patent/EA01790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
- 2010-03-12 KR KR1020100022312A patent/KR2010004316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A017909B1 (en) | 2013-04-30 |
EA201070784A1 (en) | 2010-12-30 |
KR20090068096A (en) | 2009-06-25 |
KR101004747B1 (en) | 2011-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340855A1 (en) |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 |
CN111576619B (en) | Production method of high-strength concrete post-cast assembled frame system | |
JP6855296B2 (en) |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53138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that enables continuous retaining wall using steel wale and diaphragm effect of concrete slab | |
KR101658648B1 (en) | Beam-column joint and simultaneous construction method of upper and lower part of building using thereof | |
JP3844743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694493B1 (en) | Downward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using bracket support type temporary structure as working table | |
KR10228622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 |
KR101004747B1 (en) |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
KR101054696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with slurry wall retained by slab diaphragm effect | |
KR20080100740A (en) |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
KR101631447B1 (en) | Top-Dow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CFT and the Composite Beam | |
KR102254227B1 (en) | High-strength concrete pile structure with pc pile cap and construction method | |
CN212656384U (en) | High-strength concrete connecting piece, high-strength concrete post-cast assembled frame system and support frame | |
KR100605514B1 (en) | Bracket support type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0641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oncrete filled tube | |
KR10085672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antilever type steel frame | |
KR101071245B1 (en) | Non support downward method using Steel-PC composite girder and the Steel-PC composite girder | |
JP4550534B2 (en) | Building basic structure | |
KR20100118482A (en) | To use reclamation steel perimeter beam and slab diaphragm effect in order for one side of the basement outer wall continuous construct was possible ,which the basemen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20080103260A (en) |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separate concrete pours and strut system method utilizing the same | |
KR102254229B1 (en) | Assembly bridge structure and method with improved coupling force | |
KR20210090100A (en) | In a building where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 wall structure, the shortened construction type top down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that enables early ground frame start using temporary transfer structures | |
KR101027921B1 (en) | Underground constructure form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s of underground slab and girder from crack | |
KR101200993B1 (en) | Precast concrete column material for permanent column pre-establish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