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269A - 폴리에틸렌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269A
KR20100042269A KR1020107002164A KR20107002164A KR20100042269A KR 20100042269 A KR20100042269 A KR 20100042269A KR 1020107002164 A KR1020107002164 A KR 1020107002164A KR 20107002164 A KR20107002164 A KR 20107002164A KR 20100042269 A KR20100042269 A KR 20100042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thylene
solid state
molecular weigh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맥레오드
Original Assignee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4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필름과 상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축 또는 이축 배향될 수 있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은 낮은 수축률뿐만 아니라, 높은 인장 강도 및 모듈러스를 갖는 필름을 생산하면서, 높은 인발률(draw ratios)과 더 낮은 압출 압력 및 암페어(amperes)를 견딜 수 있다. 상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폴리에틸렌은 0.940 g/cc 내지 0.960 g/cc의 밀도;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 0.30 내지 1.00 dg/min의 용융 유동 지수; 및 300,000 g/mol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S}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필름과 필름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축 또는 2축으로 배향될 수 있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은, 낮은 수축률뿐만 아니라, 높은 인장 강도 및 모듈러스를 갖는 필름을 생산하면서 높은 인발률(draw ratios) 및 더 낮은 압출 압력 및 암페어를 견딜 수 있다.
고체 상태 신축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이 잘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중합체 마스터배치는 가열되고, 이어서 압출되거나, 주조되거나 또는 블로운되어 반드시 배향성이 없는 필름을 형성한다. 필름은 물 또는 공기 퀀칭됨으로써 상기 필름을 고체 상태로 되돌린다. 하나 또는 두 방향으로 고체 필름을 스트레칭 또는 배향하는 것은 상기 필름을 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 또는 그 이상, 그 결정 융점 아래로 가열한 다음, 상기 필름을 재빠르게 스트레칭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을 배향시키는 것은 광택이 많고 투명한 필름, 부드러운 표면 및 증가된 강력도(tenacity)를 제공한다. 폴리에틸렌,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이러한 방식으로 가공하기에 특히 곤란하다. 예를 들면, 슬러빙(slubbing)이라 불리는 현상이 스트레칭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높은 인발률을 획득하는 것이 흔히 곤란하다.
선행 기술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고체 상태 스트레칭으로 경험한 난점들을 다루기 위한 다수의 해결책들을 제안해 왔다. 그 예는 폴리에틸렌과 왁스 또는 또 다른 중합체와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현저한 생산 단가를 부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0.940 g/cc를 초과하고 0.960 g/cc 미만인 범위의 밀도;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Mw/Mn); 0.30 내지 1.00 dg/min 범위의 용융 유동 지수; 및 300,000 g/mol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이다.
또 다른 실시예는 0.940 g/cc를 초과하고 0.960 g/cc 미만인 범위의 밀도;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Mw/Mn); 0.30 내지 1.00 dg/min 범위의 용융 유동 지수; 및 300,000 g/mol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된 층을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이다.
또 다른 실시예는 0.940 g/cc를 초과하고 0.960 g/cc 미만인 범위의 밀도;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Mw/Mn); 0.30 내지 1.00 dg/min 범위의 용융 유동 지수; 및 300,000 g/mol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한 방향으로 용융된 중합체를 가열하고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이어서 열을 사용하여 필름을 스트레칭함으로써 상기 필름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되고 배향된 필름의 제조 공정이다. 임의로, 상기 필름은 반대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상기 필름은 복수 개의 층 중의 하나일 수 있고(있거나)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달리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상기 필름은 일축 또는 이축 배향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50,000 g/mol 이하, 또는 200,000 g/mol 이하일 수 있고; 분자량 분포는 10 내지 20일 수 있고; 용융 유동 지수는 0.20 dg/min 내지 0.50 dg/min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상기 필름, 폴리에틸렌, 또는 마스터배치는 탄산칼슘에 의해 유발되는 공동화(cavitations)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고(있거나), 실질적으로 교차결합이 없고(없거나), (탄화수소 및 마이크로-결정질 왁스를 포함하는) 왁스가 실질적으로 없다.
이들 중합체의 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고, 여러 조건 하에 여러 유형의 반응기 내의 슬러리 및 가스상 공정을 포함한다.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메탈로센 및 크롬 기재 촉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잘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1축 또는 2축으로 배향될 수 있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을 제조하여, 낮은 수축률뿐만 아니라, 높은 인장 강도 및 모듈러스를 갖는 필름을 생산하면서 높은 인발률과 보다 낮은 압출 압력 및 암페어를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비교용 대 실험용 중합체에 대한 착물 점성도 대 주파수의 그래프.
도 2는, 비교용 대 실험용 중합체에 대한 변화하는 처리량(인발률)에서 압출기 암페어의 그래프.
도 3은, 변화하는 처리량에서 압출기 압력의 그래프.
도 4는, 5% 신장률 대 인발률에서 모듈러스의 그래프.
도 5는, 최대 강력도 대 인발률의 그래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 특정 실시예들, 변화 및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 기재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변화 또는 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들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정보가 유효 정보 및 기술과 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들로 포함된다.
달리 지적하지 않는 한, 본원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사용된 분자량, 반응 조건 등과 같은 성분들의 양, 특성을 표현하는 모든 수치는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로 변형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리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다음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수치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의해 입수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특성들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근사치이다. 최소 수치에서, 각각의 수치 파라미터는 보고된 유효 숫자들의 수에 비추어 통상의 반올림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진술된 범위는 단지 종말점(들)이 아닌 전체적인 범위를 구체적으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0 내지 10인 것으로 진술된 범위는 예를 들면 1, 2, 3, 4, 등과 같은 0과 10 사이의 모든 정수, 예를 들면 1.5, 2.3. 4.57, 6.113 등과 같은 0과 10 사이의 모든 분수, 및 종말점 0 및 10을 기재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예를 들면 "C1 내지 C5 탄화수소"와 같은 화학적 치환체 그룹들과 연관된 범위는 구체적으로 C2, C3, 및 C4 탄화수소 뿐만 아니라 C1 및 C5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기재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범위를 나타내는 수치 범위 및 파라미터들이 근사치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예에 나타낸 수치 값들은 가능한 한 정확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임의의 수치 값은 본래 그들의 각각의 시험 측정치에서 발견되는 표준 편차로부터 필연적으로 초래되는 특정 오차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일", "하나의" 및 "그"라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분명하게 달리 지적하지 않는 한 이들의 복수 대상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압출기" 또는 "중합체"에 대한 대상물은 달리 진술되지 않는 한 1개 이상의 압출기 또는 중합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성분 또는 "일" 단계를 함유 또는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공정에 대한 대상은 달리 진술되지 않는 한 명명된 것 외에 다른 성분들 또는 다른 단계들을 각각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정의된 바의 "고체 상태 신축 필름"은 적어도 퀀칭 단계 및 주조/압출 단계에 이어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향된 것이다. 이는 블로운 필름은 배제한다.
본원에 기재된 폴리에틸렌은 약 90 내지 약 100 mol%의 에틸렌 함량을 포함하고 필요할 경우 C3-C8 알파 올레핀으로 구성된 밸런스를 갖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는 유니모달(unimodal)이다.
본원에 언급된 폴리에틸렌은 0.940 g/cc를 초과하고 0.960 g/cc 미만인 범위의 밀도(밀도는 ASTM D792에 의거 측정됨)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밀도는 0.950 내지 0.960 g/cc 범위이다.
본원에 언급된 폴리에틸렌은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Mw/Mn)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자량 분포는 10 내지 20, 또는 10 내지 15 범위이다(MWD = GPC로 측정된 바 Mw/Mn).
본원에 기재된 폴리에틸렌은 0.30 내지 1.00 dg/min 범위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갖는다(MI2: ASTM D-I238에 따라 측정됨; 190℃/2.16kg). 또 다른 실시예는 0.30 dg/min 내지 0.75 dg/min의 용융 유동 지수 범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0 미만, 또는 300,000 내지 100,000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250,000, 또는 100,000 내지 200,000 범위이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또한 압출에 앞서 1개 이상의 다른 첨가제들과 컴파운딩될 수 있다. 이들은 1개 이상의 다음 비제한적인 예들: 항산화제, 저 분자량 수지(USPN 6,969,740에 기재된 약 10,000 달톤 미만의 Mw), 스테아르산 칼슘, 열 안정제, 윤활제, 슬립/안티-블록제, 마이카, 활석, 실리카, 탄산칼슘, 기후 안정제, Viton GB, Viton SC, Dynamar, 엘라스토머, 플루오르엘라스토머, 임의의 플루오르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828,013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탄산칼슘 또는 임의의 기타 공동화제에 의해 유발되는 공동화가 실질적으로 없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및/또는 후속 필름)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241,937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교차결합이 실질적으로 없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887,923호, 및 제 4,870,122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왁스가 실질적으로 없다.
상기 필름-층 또는 필름 실시예들 중의 임의의 2개 이상이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 필름일 수 있다. 다중층 필름에 대해, 추가의 층들이 임의의 다른 물질, 예를 들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폴리(부텐-1),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폴리(4-메틸-1-펜텐), 임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층 필름은 예를 들면, 동시-압출, 및 라미네이션 공정과 같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잘 공지된 기술 및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특산 필름 용도뿐만 아니라 모노필라멘트, 슬릿 테이프 및 직물 용도에 특히 유용하다. 특산 필름 용도는 이축으로 배향된 필름 및 기계 방향 배향된 (MDO) 필름을 포함한다. 그러한 필름은 증가된 강성 (stiffness), 증가된 강도, 감소된 투과성, 및 양호한 광학 특성 (더 낮은 헤이즈 및 더 큰 광택)을 갖는다.
2개의 폴리에틸렌이 고체-상태 스트레칭 공정, 인발된 테이프 생산에서 이들의 가공 및 특성에 대해 평가되었다. 하나의 수지는 7208로 테이프 및 모노필라멘트와 같이 고체-상태 스트레칭 공정에서 통상의 상업적 용도를 갖는 현재 상용인 전체 석유화화물 (Total Petrochemicals) 등급이었다. 제 2 생산품은 7208과 동일한 부가물 패키지로 컴파운딩된 9458의 버전 (또 다른 전체 석유화합물 상용 등급)이었다. 두 수지는 동일한 장비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험실에서 컴파운딩되었다. 두 수지에 관한 세부 사항은 표 1에 제공된다.
7208과 9458의 특성
Resi 7208 9458
Mn 2019 1225 Mw 15606 17457 Mz 97168 116232 피크 MW 6159 5688 다분산성 7.7 14.3
M12 0.49 0.46 HLMI 21.1 34.3 HLMI/MI 43.1 74.6
결정화 온도 117 117 결정화 엔탈피 -211 - 융점 135 133 융점 엔탈피 216. 221.
밀도 0.95 0.95
상기 테이프들은 동일한 조건에서 처리되었다. 압출 구역 온도는 330/330/430/450/470/470℉였고, 압출기 공급구(feedthroat)로부터 금형으로 이동한다. 최초 3개의 온도는 압출기 배럴 온도이고, 네번째는 어댑터 및 스크린 팩 온도이고, 다섯번째는 파이핑에서 금형으로의 온도이고, 여섯번째는 금형 온도이다. 금형 갭은 15 mil로 설정되었다. 용융물은 100℉로 설정된 수조에서 퀀칭되었고, 금형 출구와 수조 사이의 에어 갭은 0.5 인치로 설정되었다. 퀀칭된 시트는 균일한 입구 상류의 닙 롤 및 가뎃 (godets)에 의해 60 ft/min으로 물로부터 인장되었다. 이러한 최초 가뎃 그룹은 주변 온도로 유지되었다. 고체 상태 스트레칭은 3개의 상이한 온도로 설정된 오븐에 의해 수행되었고; 상기 온도는 190℉, 235℉, 및 275℉였다. 인발 오븐 후 가뎃은 2가지 상이한 그룹: 즉 그룹 #2 및 그룹 #3으로 조합된다. 그룹 #2 최고 인발 속도로 설정되고, 테이프 인발률로 조절되었다. 그룹 #3은 그룹 #2보다 3% 더 느린 속도로 설정되어 약간의 이완을 허용한다. 가뎃의 두 그룹은 194℉로 설정된 온도를 갖는다. 압출기 속도는 여러 가지 인발률에서 테이프들에 대해 1000 데니어의 선형 밀도를 유지하도록 조절되었다.
9458의 한가지 장점은 그의 우수한 용융 가공 작용이다. 그것은 전단 응답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더 많은 전단 얇아짐 (shear thinning)이다. 전단 얇아짐은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오류! 참조 소스는 발견되지 않음))로 예시되고, 그 경우 9458은 >10/sec 전단 속도에서 7208보다 적은 점성도를 갖는다. 압출 개선이 압출 암페어 및 압출 압력 모두에서 감지되었다. 9458은 7208보다 낮은 암페어 및 압력으로 운영되었다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 2 and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 3). 이러한 감소는 압력 또는 모터 암페어가 제한된 라인들에 대해 더 높은 등급으로 압출될 가능성을 제공한다.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 2 and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 3은 인발률 견지에서 제공됨에 주의하시오. 모든 테이프는 1000 데니어의 일정한 선형 밀도에서 제조되었다. 그러한 타깃 밀도를 달성하기 위해, 처리량은 주어진 인발률에 대해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한 인발률은 처리량의 간접적인 척도이다. 7208 및 9458은 동일한 타깃 데니어에서 운영되고, 인발률은 동일한 처리량에서 처리된 것이었다.
9458이 제공하는 제 2의 이점은 더 높은 인발률이다 (표 2). 연구된 전체 오븐 온도 범위에 걸쳐, 9458은 7208보다 일정하게 인발될 수 있다. 이는 더 높은 속도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테이프들은 타깃 데니어로 생산된다. 수지가 더 많이 인발될 수 있는 경우, 처리량이 상승될 수 있다. 최대 인발률을 5에서 6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처리량에서 20% 증가를 달성하는 것과 등가이다. 그러한 증가는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다양한 인발 오븐 온도에서 최대 인발률. 테이프 데니어 = 1000
Resi 7208 9458
190℉ 오븐에서 최대 DR 5.0 6.0 235℉ 오븐에서 최대 DR 5.5 6.5 275℉ 오븐에서 최대 DR 5.0 6.0
9458이 제공하는 제 3의 이점은 더 큰 강성이다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 4). 테이프 강성은 주어진 인발률에서 7208과 9458 사이에서 유사하다. 9458은 더 높은 인발률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강한 테이프를 생산할 수 있다. 증가된 강성은 필름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운게이징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필름 강성은 인쇄 등록, 금형 커팅 및 라벨 분배에 도움을 준다. 높은 모듈러스 모노필라멘트 및 테이프는 더욱 강성인 직포 구조물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9458의 또 다른 이점은 각각의 약간 더 높은 강력도에 대한 능력이다. 9458에 대한 최고 인장 강도는 6.4 g/데니어인 반면, 7208에 대해 6.1 g/데니어였다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 5). 이들 테이프는 둘 다 235℉에서 스트레칭되었다. 275℉에서 인발되는 경우, 9458는 6.1 g/데니어 강력도에 도달하는 한편, 7208에 대한 최고치는 5.2 g/데니어였다. 이들의 각각의 한계치로 신축된 경우, 9458은 7208만큼 또는 그보다 더 양호하게 일정하게 수행되었다.
9458의 최종 이점은 더 낮은 수축률이다 (Error! Reference source not found.5). 190℉에서, 7208의 최고 인발률은 11.2% 수축률인 한편, 9458의 최고 인발률은 10.7%였다. 235℃에서, 7208은 8.7%인 한편 9458은 7.6%였다. 그 경향은 단지 275℉에서 깨졌다. 7208의 최고 인발률은 4.3%로 수축된 한편 9458은 4.8%로 수축되었다. 일반적인 경향은 9458이 7208보다 적게 수축되고, 심지어 그 경우 9458은 도 높은 인발률로 신축되었다는 것이다.
놀라운 결과는 9458이 더 큰 분자량 종들을 갖더라도 더 낮은 수축률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용융 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들은 동일한 밀도를 갖지만, 9458은 약간 더 낮은 온도로 이동한 더욱 광범위한 용융 흡열을 갖는다. 이러한 조합은 테이프 등의 배향된 구조물에서 더 낮은 수축률을 갖는 것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32)

  1. 고체 상태 신축 필름으로서,
    0.940 g/cc를 초과하고 0.960 g/cc 미만인 범위의 밀도;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Mw/Mn); 0.30 dg/min 내지 1.00 dg/min의 용융 유동 지수; 및 300,000 g/mol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복수 개의 층 중 하나에 배치된, 고체 상태 신축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일축 배향된, 고체 상태 신축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50,000 g/mol 이하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00,000 g/mol 이하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 분포는 10 내지 20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용융 유동 지수는 0.20 dg/min 내지 0.50 dg/min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탄산칼슘에 의해 유발된 공동화(cavitation)가 실질적으로 없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교차결합이 실질적으로 없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탄화수소 왁스가 실질적으로 없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1. 고체 상태 신축 필름으로서,
    0.940 g/cc를 초과하고 0.960 g/cc 미만인 범위의 밀도;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Mw/Mn); 0.30 dg/min 내지 1.00 dg/min의 용융 유동 지수; 및 300,000 g/mol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된 층을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이축 배향된,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일축 배향된,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50,000 g/mol 이하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00,000 g/mol 이하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 분포는 10 내지 20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용융 유동 지수는 0.20 dg/min 내지 0.50 dg/min인,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층은 탄산칼슘에 의해 유발된 공동화가 실질적으로 없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층은 교차결합이 실질적으로 없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탄화수소 왁스가 실질적으로 없는, 고체 상태 신축 필름.
  21. 제 1항의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테이프 또는 필라멘트.
  22. 제 11항의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테이프 또는 필라멘트.
  23.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0.940 g/cc를 초과하고 0.960 g/cc 미만인 범위의 밀도; 10 이상의 분자량 분포(Mw/Mn); 0.30 내지 1.00 dg/min의 용융 유동 지수; 및 300,000 g/mol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중합체 용융물을 일 방향으로 가열 및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열을 사용하여 상기 필름을 스트레칭하여 상기 필름을 동일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향하여 이축 배향 필름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50,000 g/mol 이하인,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00,000 g/mol 이하인,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자량 분포는 10 내지 20인,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용융 유동 지수는 0.20 dg/min 내지 0.50 dg/min인,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30.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배치는 탄산칼슘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3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배치는 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32.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배치는 탄화수소 왁스가 실질적으로 없는, 고체 상태 신축 및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07002164A 2007-07-30 2008-07-11 폴리에틸렌 필름 KR201000422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30,416 2007-07-30
US11/830,416 US20090035546A1 (en) 2007-07-30 2007-07-30 Polyethylene fil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269A true KR20100042269A (ko) 2010-04-23

Family

ID=4030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164A KR20100042269A (ko) 2007-07-30 2008-07-11 폴리에틸렌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90035546A1 (ko)
EP (1) EP2173794B1 (ko)
JP (1) JP2010535273A (ko)
KR (1) KR20100042269A (ko)
CN (1) CN101765624B (ko)
WO (1) WO2009017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0831A1 (en) * 2010-02-19 2011-08-25 Barrday Inc. Use of machine direction oriented films in ballistic articles
US9605360B2 (en) * 2010-04-30 2017-03-28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e fiber or filament
US9505161B2 (en) * 2014-04-10 2016-11-29 Fina Technology, Inc. Solid-state stretched HDPE
CN107614237B (zh) * 2015-05-07 2020-02-25 弗纳技术股份有限公司 优异的片材挤出热成形性能的聚乙烯
EP3519170B1 (en) * 2016-09-27 2023-08-16 DSM IP Assets B.V. Transparent drawn article
KR101901878B1 (ko) * 2017-11-22 2018-09-27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기능화된 폴리에틸렌 왁스의 제조방법
KR101901877B1 (ko) * 2017-11-22 2018-09-27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기능화 가능한 폴리에틸렌 왁스의 제조방법
US20220402192A1 (en) 2019-10-23 2022-12-22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Biaxially oriented mdpe film
EP4151677A1 (en) * 2021-09-21 2023-03-22 Borealis AG Biaxially oriented film
EP4163323B1 (en) * 2021-10-07 2024-05-29 Borealis AG Biaxially oriented fil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9750B1 (en) * 1987-07-13 1994-09-28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Linear polyethylen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1141936A (ja) * 1987-11-30 1989-06-02 Toa Nenryo Kogyo Kk ポリエチレン延伸フイルム
US5145728A (en) * 1987-11-30 1992-09-08 Toa Nenryo Kogyo Kabushiki Kaisha Oriented polyethylene film
JPH083382A (ja) * 1994-06-17 1996-01-09 Showa Denko Kk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ID22889A (id) * 1998-03-10 1999-12-16 Mitsui Chemicals Inc Komposisi kopolimer etilena dan penggunaannya
JP3777057B2 (ja) * 1998-12-16 2006-05-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材料用包装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感光材料包装体
US6361844B1 (en) * 1999-01-27 2002-03-26 David T. Ou-Yang Release article and adhesive article comprising the release article
US6441117B1 (en) * 1999-09-01 2002-08-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density polyethylene packaging
US6340730B1 (en) * 1999-12-06 2002-01-22 Univation Technologies, Llc Multiple catalyst system
CA2492839C (en) * 2002-08-12 2011-02-0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JP2004154942A (ja) * 2002-11-01 2004-06-03 Taka Plastic Navi Kk ポリエチレン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504093A (en) * 2003-05-12 2005-02-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to manufacture high molecular weight-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film therefrom
US7011892B2 (en) * 2004-01-29 2006-03-14 Equistar Chemicals, Lp Preparation of polyethylene films
JP2006299167A (ja) * 2005-04-22 2006-11-02 Tosoh Corp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3794A4 (en) 2011-12-21
US20090035546A1 (en) 2009-02-05
EP2173794A1 (en) 2010-04-14
CN101765624A (zh) 2010-06-30
JP2010535273A (ja) 2010-11-18
EP2173794B1 (en) 2014-01-22
US20100129652A1 (en) 2010-05-27
CN101765624B (zh) 2012-08-22
WO2009017955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2269A (ko) 폴리에틸렌 필름
US10144201B2 (en)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724235C (en) Biaxially oriented lldpe blends
EP1358252B1 (en) Bioriented polypropylene films
JP6615572B2 (ja) ポリエチレン組成物、およびこれらから形成されるフィルム
US20090155614A1 (en) Polypropylene Materials and Method of Preparing Polypropylene Materials
CN1678668A (zh) 用于生产双轴取向聚丙烯薄膜的树脂组合物
JPH10500157A (ja) 中モジュラスのフィルムおよび製造方法
TW201418288A (zh) 聚丙烯薄膜
EP3335874A1 (en) Biaxially oriented articles comprising multimodal polyethylene polymer
JP2015044406A (ja) ポリプロピレン積層延伸フィルム
KR100746253B1 (ko) 폴리에틸렌계 필름
WO2019065306A1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EP4048503A1 (en) Biaxially oriented mdpe film
US11326000B2 (en) Processing aid and blend employing the processing aid for achieving effective orientation of an extruded film layer and a biaxially oriented film including such film layer
US9493591B2 (en) Ethylene based polymer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16120657A (zh) 具有阻隔性的热塑性聚烯烃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US6827807B2 (en)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structures having a layer formed from a blend of an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and an ethylene-alkyl acrylate interpolymer
KR101669206B1 (ko) 인쇄성이 향상된 통기성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성이 향상된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CN112930260A (zh) 具有改善的附着力的多层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