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339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339A
KR20100041339A KR1020080100480A KR20080100480A KR20100041339A KR 20100041339 A KR20100041339 A KR 20100041339A KR 1020080100480 A KR1020080100480 A KR 1020080100480A KR 20080100480 A KR20080100480 A KR 20080100480A KR 20100041339 A KR20100041339 A KR 20100041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zzle
vacuum cleaner
suction pipe
s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131B1 (ko
Inventor
민지성
Original Assignee
민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지성 filed Critical 민지성
Priority to KR102008010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1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노즐의 상부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노즐의 모서리에는 보조바퀴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흡입관은 상부 흡입관과, 하부 흡입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호스가 구비되는데, 상기 흡입노즐은 360˚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여 모서리나 비스듬한 벽면 등에 부딪혀도 즉시 측면이 벽면에 밀착 가능하여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고, 흡입노즐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도 360°회전이 가능하여 흡입노즐의 측면의 오물도 흡입노즐을 측면으로 움직여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흡입노즐, 보조바퀴, 360°회전, 진공청소기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c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노즐의 상부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노즐의 모서리에는 보조바퀴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흡입관은 상부 흡입관과, 하부 흡입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호스가 구비되는데, 상기 흡입노즐은 360˚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여 모서리나 비스듬한 벽면 등에 부딪혀도 즉시 측면이 벽면에 밀착 가능하여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고, 흡입노즐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도 360°회전이 가능하여 흡입노즐의 측면의 오물도 흡입노즐을 측면으로 움직여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모터(111) 및 집진실(113)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본체(110)와, 상기 흡입모터(111)의 구동시 피청소면의 오물을 주변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노즐(120)과 상기 흡입노즐(12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집진실(113)로 안내하는 공기유로를 형성시키도록 흡입노즐(120)과 진공청소기 본체(11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흡입관(130)과 손잡이부(140)와 흡입호스(15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노즐(120)을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는 흡입관(130), 손잡이부(140), 흡입호스(15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진공청소기 본체(110)의 집진실(113)에 유입되며, 집진실(113)에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물은 집진필터(115)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집진필터(115)에 의해 내부에 포함된 오물이 걸러진 후의 청정공기는 흡입모터(111)를 경유하여 진공청소기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배기구(117)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기는 청소 대상면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140)를 파지한 후, 흡입노즐(120)을 청소 대상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흡입노즐(120)이 청소 대상면에 산재한 오물을 주변 공기와 함께 흡입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 흡입노즐(12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122)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어있어서 전후 이동만 가능하여 흡입노즐(12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오물을 흡입하려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를 하다 보면 벽면의 모서리부분에 흡입노즐(120)이 부딪힐 때가 있는데 이럴 때 벽지에 흠집이 생기기도 하고, 구석진 곳에 있는 오물을 흡입하기 위해서 흡입노즐의 방향(120)을 바꾸는 것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노즐의 상부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하부 흡입관에 지지부와 회전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노즐이 360° 회전 가능하여 구석부분의 오물을 흡입할 때, 흡입노즐의 방향을 힘들이지 않고 바꿀 수 있어서 용이하게 오물을 흡입할 수 있게 하고, 흡입노즐 하부의 바퀴도 360°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흡입노즐의 양측에 존재하는 오물을 흡입하는데도 용이하고, 상기 흡입노즐의 모서리에 보조바퀴가 더 구비되어 흡입노즐이 벽면에 부딪히더라도 벽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고 용이하게 벽면과 평행하게 밀착되어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관의 연결부에서 흡입노즐만을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여 흡입노즐의 파손 시에 흡입노즐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형태의 흡입노즐이 형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의 상부에는 흡입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은 진공청소기의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상부 흡입관과,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하부 흡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관과 하부 흡입관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흡입관의 힌지 결합부분의 내부에는 호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흡입관에는 하부 흡입관에 고정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연결부에 고정되는 회전부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는 360˚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에는 연결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흡입노즐 몸체의 모서리에는 보조바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흡입노즐과 결합하기 위해 하부에 단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연결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노즐이 360°로 회전이 가능하고, 흡입노즐의 모서리에 보조바퀴가 구비되어 있어서 벽면이나, 모서리에 비스듬하게 부 딪힐 때 즉시 측면이 벽면에 밀착되어 모서리나 구석진 곳의 오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되고, 흡입관이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고 그 연결되는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180°이상을 움직일 수 있어 몸을 움직이지 않고도 여러 위치의 오물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노즐과 연결부가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흡입노즐에 손상이 생기게 되면 흡입노즐만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하므로 교체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과 흡입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의 흡입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본체(210), 흡입노즐(220), 흡입관(230), 손잡이부(240), 흡입호스(25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220)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부의 중심부에 관통공(228)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바퀴(2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228)과 연통되는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28a)가 흡입노즐(22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224)는 360°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노즐(220)을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않고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때문에, 몸을 움직이지 않고도 흡입노즐(220)의 측면에 있는 오물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220)의 하부에는 상기 바퀴(224)를 대신하여 볼(ball,224a)이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볼(ball,224a) 역시 360°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흡입노즐(220)을 어느 방향이든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바퀴(224)나 볼(ball,224a)에 의해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어, 흡입노즐(220)의 측면에 놓여있는 오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28)에는 연결부(22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부(222)는 하부에 단턱(222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28)의 상부에 걸리게 설치되고, 상기 단턱(222a)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222)의 하부에는 링형상의 연결부재(222b)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재(222b)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222a)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222)의 하부에 나사 결합이 된다.
그래서, 상기 관통공(228)에 연결부(222)의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단턱(222a)과 연결부재(222b) 사이에 관통공(228)의 테두리(221)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연결부(222)가 상기 흡입노즐(220)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노즐(220)의 측면 모서리에는 보조바퀴(226)가 더 형성되는데, 보조바퀴(226)는 측면방향으로 형성되어있어서 흡입노즐(220)이 벽면에 부딪힐 때 벽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완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바퀴(226)는 흡입노즐(220)의 모서리 뿐만 아니라 측면에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래서, 벽면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흡입노즐(220)이 360˚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벽면에 흡입노즐(220)의 측면이 밀착하여 오물을 흡입하게 되는데,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이게 되더라도 보조바퀴(226)의 작용으로 벽면에 흠집이 남지 않게 된다.
그리고, 흡입관(230)은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 흡입관(232)은 손잡이부(240)와 연결이 되고, 상기 하부 흡입관(234)은 연결부(222)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240)와 상부 흡입관(232), 연결부(222)와 하부 흡입관(234)의 연결은 억지끼움으로 연결하여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하부 흡입관(234)에는 연결부(222)에 고정되는 회전부(234a)가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부(234a)는 360˚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흡입노즐(220)이 360˚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34a)의 내주면을 따라서 홈의 형태로 회전 가이드(236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흡입관(234)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236a)에 대응하는 회전 단턱(236b)이 형성되어 360˚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연결부(222)의 내부 하단에는 상기 회전부(234a)를 지지하는 지지단턱(222d)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34a)가 하부로 내려가지 않도록 방지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34a)에는 고정돌기(234c)가 더 형성되고, 연결부(222)에는 상기 고정돌기(234c)에 대응되는 걸림홈(222c)이 더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34a)와 연결부(222)가 결합고정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34a)에는 고정돌기(234c)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재(234b)가 형성되어 연결부(222)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은 힌지 결합되어 180°의 각도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여 청소를 할 때,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여러 방향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흡입관(234)의 길이가 길게 되면, 흡입노즐(220)의 전후 폭이 좁기 때문에, 흡입노즐(220)의 하면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연결부(222)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만큼만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흡입노즐(220)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움직이기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흡입관(232)에는 길이조절부(미도시)가 더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용자의 키에 따라 적당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청소할 때 허리를 구부리지 않아도 되어 청소할 때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이 연결된 부위에는 주름이진 호스(238)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의 힌지 결합된 부분으로 공기가 세지 않게 하여, 흡입노즐(220)로부터 흡입된 오물이 용이하게 본체(210)로 흡입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호스(238)의 길이를 짧게하여 양 끝단을 각각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의 내부에 본딩 결합하여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의 힌지 결합된 부분으로 공기가 세지 않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전술한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설명하자면, 흡입노즐(220)의 하면에 설치된 바퀴(224)나 볼(ball,224a)은 360˚ 회전이 가능하고, 흡입노즐(220)의 상부에 형성 된 연결부(222)와 연결되는 하부 흡입관(234)의 회전부(234a)가 360˚회전이 가능하여 흡입노즐(220) 역시 360˚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청소할 때 흡입노즐(220)이 벽면과 비스듬하게 부딛히게 되면 즉시 벽면과 평행하게 벽면에 밀착이 가능하여 벽면의 하부에 놓여있는 오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흡입노즐(220)의 측면 모서리와 측면 중앙부에는 보조바퀴(226)이 형성되어 벽면과 평행하게 벽면에 밀착하여 움직이게 되더라도 벽면에 흠집이 남지 않게 한다.
그리고, 흡입관(230)은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흡입관(232)과 하부 흡입관(234)은 힌지 결합되어 180˚ 각도로 움직일 수 있어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도 여러 방향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연하게 움직이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노즐의 상부에 360° 회전 가능하게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노즐의 모서리에는 보조 바퀴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흡입관은 상부 흡입관과, 하부 흡입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유연한 호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유연하게 움직이는 청소기는 흡입노즐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여 모서리나 비스듬한 벽면 등에 부딪혀도 즉시 평행하게 밀착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고, 흡입노즐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는 360°회전이 가능하여 흡입노즐의 양측의 오물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유연하게 움직이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부분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과 흡입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의 흡입노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분에 대한 주요 부호의 설명 >>
220 : 흡입노즐 221 : 테두리
222 : 연결부 222a : 단턱
222b : 연결부재 222c : 걸림홈
222d : 지지단턱 224 : 바퀴
224a : 볼 226 : 보조바퀴
228 : 관통공 228a : 흡입부
230 : 흡입관 232 : 상부 흡입관
234 : 하부 흡입관 234a : 회전부
234b : 탄성재 234c : 고정돌기
236a : 회전가이드 236b : 회전단턱
238 : 호스

Claims (10)

  1. 사각 형태의 흡입노즐이 형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의 상부에는 흡입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진공청소기의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상부 흡입관과,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하부 흡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흡입관과 하부 흡입관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힌지 결합부분의 내부에는 호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진공청소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흡입관에는 하부 흡입관에 고정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연결부에 고정되는 회전부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는 360˚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연결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의 모서리에는 보조바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흡입노즐과 결합하기 위해 하부에 단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연결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의 하부에는 바퀴가 형성되고, 상기 바퀴는 360˚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의 하부에는 볼(BALL)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80100480A 2008-10-14 2008-10-14 진공청소기 KR10109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80A KR101097131B1 (ko) 2008-10-14 2008-10-14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80A KR101097131B1 (ko) 2008-10-14 2008-10-14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339A true KR20100041339A (ko) 2010-04-22
KR101097131B1 KR101097131B1 (ko) 2011-12-23

Family

ID=4221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480A KR101097131B1 (ko) 2008-10-14 2008-10-14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0012A1 (en) * 2015-12-22 2021-09-23 Run The Race Pty. Ltd. Improved vacuum head attachment and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25Y1 (ko) * 1999-06-28 2004-08-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
KR100768860B1 (ko) * 2006-01-26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소음 저감 흡입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0012A1 (en) * 2015-12-22 2021-09-23 Run The Race Pty. Ltd. Improved vacuum head attachment an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131B1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113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US10799080B2 (en) Cleaner
KR101509738B1 (ko)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EP2965678A1 (en) Vacuum cleaner head
US7594297B2 (en) Angle control apparatus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0539750B1 (ko) 불기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1097131B1 (ko) 진공청소기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KR20070102844A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1457959B1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지지장치
KR2005006509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JP4421453B2 (ja) アップライト式の電気掃除機
KR20070095558A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 구조를 개선한 청소기시스템
JP2008136672A (ja) アップライト式電気掃除機
KR101572436B1 (ko) 구석 청소 기능이 있는 진공청소기
KR20190064917A (ko)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 청소기
KR101414660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1052111B1 (ko) 진공 청소기
KR101208552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0952399B1 (ko) 보조흡입관이 구비된 진공청소기
KR100730959B1 (ko) 진공청소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299351Y1 (ko) 다용도 진공 청소기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1653309B1 (ko) 흡입관릴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20110101542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